KR101235899B1 - 고데기 - Google Patents

고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899B1
KR101235899B1 KR1020110005932A KR20110005932A KR101235899B1 KR 101235899 B1 KR101235899 B1 KR 101235899B1 KR 1020110005932 A KR1020110005932 A KR 1020110005932A KR 20110005932 A KR20110005932 A KR 20110005932A KR 101235899 B1 KR101235899 B1 KR 101235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knob
plate
temperature control
volum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519A (ko
Inventor
강규원
Original Assignee
강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규원 filed Critical 강규원
Priority to KR102011000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8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2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20Devic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hair cur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른손가락 또는 왼손가락으로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온도 조절을 위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된 온도를 종래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면에 열판이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호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 및 상기 제1 고데기 바아에 결합되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열판의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보호하며, 지름을 따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제1 및 제2 표시창이 형성되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에 적층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표시창에 위치될 온도패턴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백라이트 플레이트;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와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와 한 몸체를 형성하되 일측이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조립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 및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가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와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데기{iron}
본 발명은, 고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른손가락 또는 왼손가락으로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온도 조절을 위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된 온도를 종래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고데기에 관한 것이다.
고데기는 불에 달구어 머리 모양을 다듬는 집게처럼 생긴 미용기구이다. 머리카락은 집게 타입의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 사이를 통과할 때 집게의 열에 의하여 변형되며, 이에 따라 헤어스타일이 연출된다.
통상적인 고데기는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가 힌지에 의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의 표면에 각각 열판이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열판의 표면에 여러 가지 굴곡 모양, 예컨대 둥근 산 모양이나 삼각형상의 산 모양이 형성되어, 머리카락이 열판에 의해 눌릴 때 그 굴곡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됨으로써 색다른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도록 한 고데기도 널리 공지되어 잇다.
한편, 고데기 바아에는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갖춰져 있다. 온도 조절 방식은 디지털 방식과 아날로그 방식으로 대별될 수 있는데, 후자의 아날로그 방식의 경우, 제1 고데기 바아에 결합되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를 이용하게 된다. 즉 온도조절용 볼륨노브를 돌려가면서 열판의 발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데기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가 오른손가락 또는 왼손가락 모두로 회전시키기에 다소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오른손가락을 통해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의 측부를 밀어 온도조절용 볼륨노브를 회전시키면서 열판의 온도를 올리거나 반대 방향으로 온도조절용 볼륨노브를 회전시켜 열판의 온도를 내릴 수 있는 구조로 된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의 경우, 왼손가락으로 조작하고자 할 때는 오른손가락의 반대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할 수밖에 없다. 즉 왼손가락으로 온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를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열판의 온도를 올려야 하는데, 고데기의 온도를 양손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왼손으로 고데기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왼손가락으로 온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점으로 미루어볼 때는 사용상 불편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따른 고데기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방식의 온도조절용 볼륨노브가 단지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을 뿐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되면서 온도 조절이 규칙적으로 조절될 수는 없다. 때문에, 한편으로는 사용상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데기의 경우,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숫자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에 촘촘하고 작게 표시되어 있거나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의 주변으로 역시 미세하게 표시되어 있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조절된 온도를 확인하는데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른손가락 또는 왼손가락으로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온도 조절을 위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된 온도를 종래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고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면에 열판이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호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 및 상기 제1 고데기 바아에 결합되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열판의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보호하며, 지름을 따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제1 및 제2 표시창이 형성되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에 적층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표시창에 위치될 온도패턴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백라이트 플레이트;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와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와 한 몸체를 형성하되 일측이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조립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 및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가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와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고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창에 인접되게 엘이디(LED)가 결합되며,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는 플라스틱의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와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조립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끼워지면서 조립되는 조립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노브몸체; 및 상기 노브몸체의 하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온도패턴은 상기 플랜지의 외면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의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몸체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외면은 원 형상 또는 기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온도패턴은 온도숫자일 수 있으며,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와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창의 위치를 가리키는 인디케이터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는,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에 마련되며,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의 회전 조작 시 상기 요철부를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회전각도 조절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는,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에 마련되는 기어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기어부재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내면에 열판이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호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 및 상기 제1 고데기 바아에 결합되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열판의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보호하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에 조립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 및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의 상부에 부착되되 온도패턴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백라이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에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빗살형 리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의 측면에는 미끌림 방지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른손가락 또는 왼손가락으로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온도 조절을 위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된 온도를 종래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의 측면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고데기 바아의 평면 구조도,
도 3의 (a) 내지 (c)는 도 2에 도시된 온도조절유닛의 단계적인 조립 평면 구조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분해도,
도 6은 도 4의 B 영역인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
도 7은 온도조절유닛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제1 변형예,
도 10 내지 도 12는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제2 변형예,
도 13은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제3 변형예,
도 14는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제4 변형예,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에 적용되는 온도조절유닛의 평면 구조도,
도 16은 도 15의 측면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의 측면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고데기 바아의 평면 구조도, 도 3의 (a) 내지 (c)는 도 2에 도시된 온도조절유닛의 단계적인 조립 평면 구조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분해도, 그리고 도 6은 도 4의 B 영역인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데기는, 힌지(101)에 의해 조립되고 힌지(101)를 축으로 하여 상호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110,12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110,120)의 내면에는 제1 및 제2 열판(111,121)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 열판(111,121) 모두는 제1 고데기 바아(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102, 도 4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1 및 제2 열판(111,121)은 온/오프(on/off)를 비롯하여 그 온도, 강도, 시간 등이 인쇄회로기판(102)에 의해 제어된다. 물론, 인쇄회로기판(102)은 온도조절유닛(130)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제1 고데기 바아(110)에는 제1 및 제2 열판(111,121)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온도조절유닛(130)이 마련된다.
온도조절유닛(13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 백라이트 플레이트(150), 그리고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를 포함한다.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판(111,121)의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102)을 보호하는 커버이다. 이러한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에는 그 지름을 따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은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의 판면을 관통하는 단순한 홀(hole)의 형태일 수도 있고, 아니면 홀에 별도의 투명플라스틱이 부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에 표시되는 온도숫자가 실질적인 열판(111,121)의 온도일 수 있다.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가 인쇄회로기판(102)을 보호하는 커버이기 때문에,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의 하부 영역에는 인쇄회로기판(102)이 마련되는데, 이 인쇄회로기판(102)에는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에 인접되게 엘이디(103,104)가 결합된다.
이처럼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에 인접되게 엘이디(103,104)가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에 위치되는 온도숫자는 밝고 명료하게 표시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열판(111,121)의 온도를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엘이디(103,104)는 R(Red).G(Green).B(Blue) 칼라 외의 다양한 칼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품의 단아하고 우아한 품격을 높여 소비자의 구매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엘이디 기능은 열판 온도변화용 인디게이터와 복합(dual)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는 플라스틱의 사출에 의해 제작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에는 열판(111,121)의 가열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143)가 마련된다. 표시램프(143)가 녹색일 때는 온도 조작이 진행됨을 의미하고, 붉은색일 때는 온도 조작이 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물론, 이처럼 표시램프(143)가 동작의 온/오프(on/off)를 외부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 외에도 표시램프(143)는 카멜레온 핫 마크(chameleon hot mark)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70도를 기준으로 한다면 70도 이상 시 표시램프(143)가 다른 칼라로 표시되고, 70도 이하가 되면 원색(바닥색)으로 돌아와 누구나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소비자 화상 방지와 안정성을 제공함으로써 신뢰감을 구축할 수 있다.
표시램프(143)의 주변에는 전원버튼(144)이 마련될 수 있다.
백라이트 플레이트(150)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의 상면에 결합된다. 도 3의 (b) 그림이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의 상면에 백라이트 플레이트(15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의 표면에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의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에 위치될 온도패턴(P1,P2)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패턴(P1,P2)은 온도숫자를 의미한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120도에서 180도까지, 시계 방향으로 역시 120도에서 180도까지 온도숫자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에는 180도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열판(111,121)의 온도는 현재 180도임을 의미한다.
온도패턴(P1,P2)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이유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를 오른손가락으로 돌리든지 왼손가락으로 돌리든지 어느 방향에서도 동일한 온도를 나타내어야 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120도에서 180도까지의 온도숫자는 하나의 예일 뿐 도시된 온도숫자보다 낮을 수도 혹은 높을 수도 있으며, 온도 단위 역시 세분화될 수 있다.
백라이트 플레이트(15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에는 별도의 다양한 칼라를 인쇄될 수 있다. 도 3의 (b)처럼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에는 180도가 위치되어 있을 경우, 엘이디(103,104)가 온(on)되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백라이트 플레이트(150)를 통해 빛이 외부로 퍼지면서 180도라는 온도숫자가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온도의 확인이 보다 용이해진다.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는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와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와 한 몸체를 형성한다. 도 3의 (c)가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 상에 백라이트 플레이트(150)가 조립되고,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에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에 조립돌기(165)가 형성되고,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에 조립돌기(165)가 끼워지면서 조립되는 조립공(155)이 형성된다. 물론,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에 조립공(155)이, 그리고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에 조립돌기(165)가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는 조립단자(167)가 백라이트 플레이트(15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02)과 조립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열판(111,121)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노브몸체(161)와, 노브몸체(161)의 하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62)를 구비한다. 플랜지(162) 역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일 수 있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노브몸체(161)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로는 고무 패드를 부착하는 방식과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는 방식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플랜지(162)의 직경은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백라이트 플레이트(150) 상에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가 조립되더라도 온도패턴(P1,P2)을 가리지 않게 된다. 플랜지(162)의 외면은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 중 어느 하나에는 온도를 가리키는 인디케이터(1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80)는 꼭짓점이 바깥쪽을 향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인디케이터(180)가 위치된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에는 제3 및 제4 표시창(142a,142b, 도 4 및 도 5 참조)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3 및 제4 표시창(142a,142b)은 선택사항이며,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를 회전시키는 경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가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면 온도 조절이 더욱 쉬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170)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170)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가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와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170)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의 상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171)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에 마련되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의 회전 조작 시 요철부(171)를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회전각도 조절돌기부(172)를 구비한다.
이에,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를 한 단계 한 단계 회전시키면 도 6의 점선에서 실선처럼 회전각도 조절돌기부(172)가 요철부(171)를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되면서 예컨대 온도가 120도에서 130도, 혹은 130도에서 140도로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요철부(171)는 도 6처럼 아크(ar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의 (c)처럼 혹은 도 4처럼,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 상에 백라이트 플레이트(150)가 조립되고,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에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가 조립된 후, 오른손가락 혹은 왼손가락으로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를 회전시키면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가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되면서 그에 대응되는 온도숫자가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에 표시되면서 열판(111,121)이 발열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른손가락 또는 왼손가락으로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 볼륨노브(160)에 클릭감을 줌으로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백라이트를 다양하게 밝혀 줌으로서 온도를 종래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에서 변형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온도조절유닛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플레이트(150)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16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의 위치를 가리키는 인디케이터(180a,180b,180c)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의 (a)는 인디케이터(180a)가 꼭짓점이 바깥쪽을 향하는 삼각형 형상이고, 도 7의 (b)는 인디케이터(180b)가 타원 형상이며, 도 7의 (c)는 인디케이터(180c)가 사각형 형상으로서 그 형상들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이들 모두는 제1 및 제2 표시창(141a,141b)의 위치를 가리킴으로써 현재의 온도가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180a,180b,180c)가 적용되면 현재의 온도를 좀 더 명확하게 알아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인디케이터(180a,180b,180c)에 색상이 표시되면 더더욱 효과가 좋을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노브몸체(261)에 별도의 식별패턴(261a)이 형성되고, 플랜지(262)의 외면이 원형 형상을 갖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260)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의 (b)는 플랜지(362)의 외면이 기어 형상으로 된 온도조절용 볼륨노브(360)를 나타내고 있다. 어떠한 것이 적용되더라도 동작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설사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양한 형상 변형은 충분히 가능한 것이다.
도 9는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의 경우,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270)를 이루는 요철부(271)는 도 6과는 달리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170)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제2 변형예이다.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470)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460)에 마련되는 기어부재(471)와, 그 일단부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 도 4 참조)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기어부재(471)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기어부재(471)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47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탄성 스토퍼(472)를 기판 커버 플레이트(140, 도 4 참조)의 측부에 배치하고 그 단부가 기어부재(471)에 선택적으로 물리도록 함으로써 온도조절용 볼륨노브(460)가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470)의 기어부재(471)는 도 12의 (a)처럼 사다리꼴 기어일 수도 있고,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470a)의 기어부재(471a)는 도 12의 (b)처럼 아크형 기어일 수도 있다.
도 13은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제3 변형예이고, 도 14는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에 대한 제4 변형예이다.
도 13은 기어부재(471)와 상호 작용하는 탄성 스토퍼(472a)의 단부가 삼각치형의 형상을 한 경우이고, 도 14는 탄성 스토퍼(572)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한 경우이다. 이와 같이, 어떠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온도 조절을 단계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데기에 적용되는 온도조절유닛의 평면 구조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측면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온도조절유닛(630)은, 열판(111,121, 도 1 참조)의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보호하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640)와,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기판 커버 플레이트(640)의 상부에 조립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열판(111,121)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의 상부에 부착되되 온도패턴(미도시)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백라이트 플레이트(6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온도조절유닛(630)이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전술한 온도조절유닛(130)과 다른 점은 백라이트 플레이트(650)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의 상부에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는 점이며, 이 외의 다른 구성들은 유사하다. 즉 인쇄회로기판에 엘이디 등이 적용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처럼 백라이트 플레이트(650)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의 상부에 배치되면 최상단부에 별다른 고정물이 없어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백라이트 플레이트(650)가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의 상부에 배치될 경우, 인쇄회로기판 쪽의 엘이디로부터의 빛이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를 통해 백라이트 플레이트(650)로 향하기 위해서는 볼륨노브(660)가 투명하거나 아니면 군데군데 개구(661)가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후자의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즉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에는 다수의 개구(661)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빗살형 리브(663)가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인쇄회로기판 쪽의 엘이디로부터의 빛은 빗살형 리브(663)들 사이의 개구(661)들 중 선택된 곳을 경유하여 그 상부의 백라이트 플레이트(650)를 통해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온도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의 측면에는 요철 패턴 형식의 미끌림 방지부(66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의 중앙에 마련되는 볼트(B)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660)를 기판 커버 플레이트(640)에 조립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도면과 달리, 볼트(B)는 그 헤드부가 튀어나오지 않는 접시머리볼트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빗살형 리브(663)들 사이에 개구(661)가 형성되는 형태를 개시하였지만, 빗살형 리브(663)와 개구(661)를 만들지 않고 이 영역을 투명 혹은 반투명한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아래쪽의 엘이디가 외부로 발산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힌지 102 : 인쇄회로기판
103,104 : 엘이디(LED) 110 : 제1 고데기 바아
111 : 제1 열판 120 : 제2 고데기 바아
121 : 제2 열판 130 : 온도조절유닛
140 : 기판 커버 플레이트 141a : 제1 표시창
141b : 제2 표시창 150 : 백라이트 플레이트
160 : 온도조절용 볼륨노브 161 : 노브몸체
162 : 플랜지 170 :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
171 : 요철부 172 : 회전각도 조절돌기부

Claims (10)

  1. 내면에 열판이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호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 및
    상기 제1 고데기 바아에 결합되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열판의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보호하며, 지름을 따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의 제1 및 제2 표시창이 형성되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에 적층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표시창에 위치될 온도패턴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백라이트 플레이트;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와 부분적으로 조립되어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와 한 몸체를 형성하되 일측이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조립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 및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가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와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고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창에 인접되게 엘이디가 결합되며,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는 플라스틱의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와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조립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끼워지면서 조립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노브몸체; 및
    상기 노브몸체의 하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온도패턴은 상기 플랜지의 외면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의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몸체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외면은 원 형상 또는 기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패턴은 온도숫자이며,
    상기 백라이트 플레이트와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창의 위치를 가리키는 인디케이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는,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의 상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 및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에 마련되며,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의 회전 조작 시 상기 요철부를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회전각도 조절돌기부를 포함하는 고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회전각도 조절부는,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에 마련되는 기어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기어부재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9. 내면에 열판이 마련되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호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제1 및 제2 고데기 바아; 및
    상기 제1 고데기 바아에 결합되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열판의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보호하는 기판 커버 플레이트;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에 조립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용 볼륨노브; 및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의 상부에 부착되되 온도패턴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 백라이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에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빗살형 리브가 마련되며,
    상기 온도조절용 볼륨노브의 측면에는 미끌림 방지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데기.
KR1020110005932A 2011-01-20 2011-01-20 고데기 KR101235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32A KR101235899B1 (ko) 2011-01-20 2011-01-20 고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932A KR101235899B1 (ko) 2011-01-20 2011-01-20 고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519A KR20120084519A (ko) 2012-07-30
KR101235899B1 true KR101235899B1 (ko) 2013-02-22

Family

ID=4671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932A KR101235899B1 (ko) 2011-01-20 2011-01-20 고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7424B (zh) 2018-01-10 2023-06-30 皇家飞利浦有限公司 激光增强光学元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519A (ko) * 1998-12-18 2000-07-05 황한규 에어컨 실내기의 다기능 스위치
JP2002371602A (ja) 2001-06-15 2002-12-26 Mym Corp ハンドルの表示装置
KR20100001974U (ko) * 2008-08-14 2010-02-24 주식회사 쥬디산업 디지털 헤어미용기구
KR20100003060U (ko) * 2008-09-08 2010-03-17 주식회사 오토닉스 온도 레인지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설정형 온도 조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0519A (ko) * 1998-12-18 2000-07-05 황한규 에어컨 실내기의 다기능 스위치
JP2002371602A (ja) 2001-06-15 2002-12-26 Mym Corp ハンドルの表示装置
KR20100001974U (ko) * 2008-08-14 2010-02-24 주식회사 쥬디산업 디지털 헤어미용기구
KR20100003060U (ko) * 2008-09-08 2010-03-17 주식회사 오토닉스 온도 레인지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설정형 온도 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519A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3590A1 (en) Electronics case with thermochromic panel
KR101235899B1 (ko) 고데기
US7931381B2 (en) Lighting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KR200461331Y1 (ko) 커버시트가 부착된 전기밥솥
WO2015101087A1 (zh) 一种飞梭按钮装置
US8740399B2 (en) Touch type lamp switch
CN204922645U (zh) 一种带有触摸开关及触摸调光功能的led灯具
JP545157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956087B2 (ja) 操作部品及びこれが設けられる電気機器
CN206647999U (zh) 一种轻触及旋转按钮相结合的照明控制面板
CN208491727U (zh) 烹饪器具
JP2004327092A (ja) 機器のスイッチ装置
CN218074603U (zh) 烤炉用温控旋钮组件
TWI476637B (zh) 可切換顏色的發光鍵盤
KR200395395Y1 (ko) 헤어 아이론의 표시부 보호구조
TWM421668U (en) Touch control lamp switch
JP2007029647A (ja)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電気製品
TWM448603U (zh) 手電筒防按押裝置
CN216250508U (zh) 调光旋钮及键盘
JP4890361B2 (ja) 電気カーペット
KR102280561B1 (ko) 컨트롤 패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N202710204U (zh) 一种直发器的温度提示结构
JP5828130B2 (ja) 電気採暖具のコントローラ
JP6937917B2 (ja) 加熱調理器
JP3900642B2 (ja) 電気スト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