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570B1 -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570B1
KR101235570B1 KR1020120061151A KR20120061151A KR101235570B1 KR 101235570 B1 KR101235570 B1 KR 101235570B1 KR 1020120061151 A KR1020120061151 A KR 1020120061151A KR 20120061151 A KR20120061151 A KR 20120061151A KR 101235570 B1 KR101235570 B1 KR 10123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explosives
heavy metal
heavy metals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엽
김수미
최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Priority to KR102012006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아임계수에 첨가체를 첨가하여 화약류는 물론,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이 소개된다.
본 발명의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은,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시트르산을 265 ~ 300℃, 15 ~ 120kgf/㎠ 상태의 아임계수에 용해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PURIFICATION METHOD FOR EXPLOSIVES AND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본 발명은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첨가제가 부가된 아임계수를 이용하여 화약류 및 중금속을 동시에 제거하는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양 오염이란 지하에 침투한 오염 물질이 지질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토양은 물론 지하수나 지하 공기 등 지질 중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한 오염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토양 오염은 대기나 수질 환경에 비하여 그 오염 실태를 정확하게 조사하기 어렵고, 설령 조사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제도적으로도 토양 오염에 대한 규제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오염 실태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래, 토양 정화 사업은 광산 지역이나 핵폐기물 처리 지역에서 발생한 중금속 물질에 의한 오염을 정화하는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는바, 최근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화약 물질에 의한 토양 오염의 정화에 대하여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연구 개발의 초점 또한 이 부분에 맞추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화약류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은 크게, 소각 방식, 고도 산화 처리 방식, 생물학적 처리 방식, 염기성 알칼리 처리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각 처리 방식의 경우, 오염된 토양을 약 800℃ 이상의 고온으로 소각 처리하여 오염된 토양 중에 포함되어 있는 화약류를 분해하는 방식으로, 처리 효율은 높지만, 그에 따른 에너지 소모가 과다한 것은 물론,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환경을 오염 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설령, 이러한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별도의 정화 처리 시설을 구비하는 경우, 그 시설 구비를 위한 상당한 부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생물학적 처리 방식은, 화약류에 높은 내성을 가지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호기성 산화효소에 의한 산화반응을 이용하여, 화약류를 분해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처리 방식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694881호(2007.03.07.)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는, 화약류 분해능을 갖는 호기성 슈도모나스, 호기성 아조리조비움 및 호기성 프로테우스의 혼합균주 NIXE I, 화약류 분해능을 갖는 혐기성 아시네토박터, 혐기성 슈도모나스 및 혐기성 박테로이드의 혼합균주 NIXE II, 및 화약류 오염 토양에 이 균주를 분주함으로써, 화약류 오염 토양의 화약류를 분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르는 경우, 환경 친화적이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은 있지만, 오염 토양의 복원 기간이 길게 소요되고, 복원이 불완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도 산화 처리 방식은, Fenton 반응, Photo assisted Fenton, 광촉매 반응 등이 있으며, 가장 강력한 산화제인 수산화기를 생성하여 분해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그 공정이 빠르게 진행되며 뛰어난 분해 효율을 보이지만 약품이 많이 소요되며, 토양 미생물이 사멸하여 토양의 생물학적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염기성 알칼리 처리 방식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석회, 수산화나트륨을 이용, 단순한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비용이 경제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염기성 알칼리 처리 방식과 관련하여, 미국공개특허 제2010-0069702호(2010.03.18.)에는, 염기성 가수분해에 의한 화약류 분해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PH 12 이상에서만 가능하며, 토양 중에 분포되어 있는 화약류 오염 물질은 미세토양의 경우 토양 입자가 강하게 흡착되어 있어서, 염기성 용액 중에 충분히 용해되지 못하고, 토양 중에 잔류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편,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오염토 처리는, 유기물질과 중금속의 서로 다른 특성 때문에, 복합된 형태의 공정이나 식물 추출법 이외에 다른 처리 방법이 개발되고 있지 않다.
최근에는 화약류와 중금속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서, 고도 산화 방식과 토양 세척법을 접목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연구 개발 단계에 있는 실정이며 현장에 적용된 사례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물학적 처리 방식은 친환경적이고 광범위한 오염 지역을 저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처리 기간이 길고 오염 농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 소각 처리 방식은 대부분의 유기물질을 처리할 수는 있지만 중금속의 경우, 수은, 크롬 등의 휘발성 중금속이나 비소 등에만 국한되어 적용되며, 8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과다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열탈착 방식은 소각 처리 방식에 비하여 300 ~ 600℃의 상대적 저온에서 처리하는 방식인데, 유기 물질과 일부 휘발성 중금속을 처리할 수는 있지만 배출되는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후단 처리 시설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94881호(2007.03.07.) 미국공개특허 제2010-0069702호(2010.03.1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토양 중에 흡착된 화약류 및 중금속을 높은 추출 효율로 제거함과 동시에, 공정이 단순화되고, 약품 사용량을 감소시키며, 친환경적인 처리 가능한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은,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시트르산을 265 ~ 300℃, 15 ~ 120kgf/㎠ 상태의 아임계수에 용해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은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수산화나트륨을 230 ~ 300℃, 15 ~ 120kgf/㎠상태의 아임계수에 용해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은,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EDTA(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을, 235 ~ 300℃, 15 ~ 120kgf/㎠ 상태의 아임계수에 용해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은,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시트르산 및 EDTA(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을, 200 ~ 260℃, 15 ~ 120kgf/㎠ 상태의 아임계수에 용해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중금속이 토양과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처리 효율이 개선되며, 종래 고도산화 내지 토양 세척 방식에 의할 때 영향을 미치는 유기물 함량, 토양 입경 등 토양의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둘째, 단일 공정으로 유기물 및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토양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바, 공정이 단순하고,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종래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 세척시 산을 이용하되, 이 산을 PH 2 정도까지 낮추고, 이를 중화하기 위해 과량의 약품을 소모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적은 양의 약품 사용만으로 소정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별도의 중화 공정이 필요없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된 토양은 물과 분리되어 2차적인 별도의 처리없이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되는 물은 공정수로 재활용될 수 있는바, 처리토는 토양의 유기물 함량, 입경 등에 변화가 없어서 재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각 단계별 중금속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추출제로 시트르산 용액을 사용한 경우 각 중금속별 온도에 따른 추출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추출제로 시트르산 및 EDTA 용액을 사용한 경우 각 중금속별 온도에 따른 추출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추출제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한 경우 각 중금속별 온도에 따른 추출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추출제로 EDTA 용액을 사용한 경우 각 중금속별 온도에 따른 추출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에 의할 때, 화약류의 제거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약류와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제 및 이를 이용한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약류와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제 및 이를 이용한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은, 환경부에서 주관하는 '선별-염기성 가수분해-아임계수 추출 토양정화 연계 공정 개발' 연구 과제(과제고유번호 : 173-111-037)로부터 도출된 결과물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약류와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제 및 이를 이용한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은, 화약류와 중금속으로 복합 오염된 오염토를 아임계수를 이용하여 분해, 추출, 제거하는 것을 발명의 핵심으로 한다.
물은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면서 액체와 기체가 공존하는 임계점(374, 217kgf/cm2)에 도달한다. 아임계수는 이러한 임계점 이하인 200~300℃, 15~120kgf/cm2의 부근을 말하며 물은 본래의 극성을 잃게 되어 유전상수의 급격한 감소가 일어나면서 친유기성 용매의 성질을 나타내므로 특정 유기물에 대한 추출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점성도 감소에 따라 물질 전달율을 더 향상되는바, 물질의 추출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아임계수 상태의 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유기물 및 비소는 처리가 가능하지만 중금속은 추출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물의 성질을 이용하여, 아임계수 상태의 물에 첨가제를 넣어 유기 오염 물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중금속까지 추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중금속 및 유기 오염 물질을 동시에 처리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아임계수 상태에서 유기물과 비소, 중금속이 동시에 분해, 추출하도록 산, 염기, 킬레이트 화합물인 EDTA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중금속과 화약류가 동시에 높은 효율로 처리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경우, 기존의 고도산화법에 비해 약품소모량이 적으며, 물을 용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종래 세척법의 경우, 상온에서 중금속을 추출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약품을 투입해야 하며, 중금속의 결합형태와 토양의 입경, 유기물 함량 등 토양의 특성에 따라 추출율이 크게 저하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중금속의 결합형태나 토양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중금속 및 유기 오염물질을 높은 처리효율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각이나 열탈착에 비해서는 낮은 온도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량이 적고, 유해한 배출가스도 발생하지 않아 후단 처리공정이 불필요하며, 식물 정화법에 비해서는 단기간에 훨씬 높은 처리효율로 처리된다는 이점이 있다.
오염토의 중금속 및 화약류 농도를 표 1에 도시하였고, 단계 추출법을 사용하였을 때, 각 단계별 중금속 결합 형태는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계별 중금속 결합 형태는, 각 중금속 전체 중량에 대한 각 단계별 중량 비율에 해당하는 것으로, 단계별 중금속 결합 형태는 Tessier 추출법을 사용하여 전처리한 후 분석한 것이다.
Tessier 추출법에 의한 각 단계별 결합 형태는, 1단계 '이온 결합형', 2단계 '탄산염 결합형', 3단계 '철/망간 산화물 결합형', 4단계 '유기물 결합형', 5단계 '광물격자 결합형'으로 분류되며, 1단계에서 5단계로 갈수록 토양 입자에 강력하게 결합된다.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온 결합형은, 식물에 가장 잘 흡수될 수 있는 형태로서 매질의 이온 강도의 미세한 변화에 의해 쉽게 용출될 수 있는 형태이며, 탄산염 결합형은, PH 변화에 민감하며, PH가 낮아지면 쉽게 용출될 수 있는 형태의 결합이다.
또한, 철/망간 산화물 결합형은, 토양 내의 철, 망간과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서, 환원제나 산화제를 주입할 때 용출될 수 있는 형태의 결합이며, 유기물 결합형은, 토양 내의 유기물과 강력하게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고, 광물격자 결합형은 오랜 기간 일어나는 토양의 풍화에 의해 용출될 수 있는 형태로서, 토양 중에서 거의 용출되지 않는 형태의 결합이다.
분석 결과, 자연계에서 쉽게 추출될 수 있는 형태인 이온 결합형, 산세척 및 화학적 첨가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탄산염 결합형 및 철/망간 산화물 결합형의 경우(1단계 내지 3단계), 비소, 카드뮴, 구리, 납, 아연이 각각 약 16%, 42%, 38%, 56%, 58%로서, 16 ~ 58% 범위를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토양 중의 유기물 결합형 및 광물결자 결합형의 경우, 일반적인 정화방법으로는 추출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비소, 카드뮴, 구리, 납, 아연인 각각 약 84%, 58%, 62%, 44%, 42%로서, 42 ~ 84%의 범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본 발명의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의 실험 대상 오염토는 TNT가 83.6mg/kg, 비소 등 중금속이 토양 오염 우려 기준치의 2 ~ 24배까지 오염된 것을 기초로 하였다.
각 단계별 중금속 결합형태에서는 모든 중금속에서 가장 결합력이 강한 형태인 4, 5단계에서 41 ~ 85%를 차지하여 일반적인 세척법이나 식물정화법으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였다.
중금속 오염 토양과 관련하여, 토양 환경 보전법에서는 중금속 기준을 아래의 표 1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오염 우려 기준 1지역은, 전, 답, 과수원, 목장 용지, 학교 용지, 양어장, 공원 등이 이에 포함되고, 오염 우려 기준 2지역은, 임야, 염전, 하천 등이 이에 포함되며, 오염 우려 기준 3지역은, 공장 용지, 주차장 등이 이에 포함되는바, 1지역에서 3지역으로 갈수록 중금속 허용 기준이 상향된다.

중금속 화약류
As Cd Cu Pb Zn TNT

농도
(mg/kg)

601.5

19.7

156.2

4086.3

776.1

83.6
오염 우려 기준 1지역 25 4 150 200 300 -
오염 우려 기준 2지역 50 10 500 400 600 -
오염 우려 기준 3지역 200 60 2000 700 200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예에서 화약류는 물론이고, 중금속 제거 효율의 하한을 75%로 설정하였다.
중금속 제거효율을 75% 이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오염 우려 기준 2지역에서 허용되는 중금속 기준을 오염 우려 기준 1지역에서 허용하는 중금속 기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최소한 75%의 제거 효율이 달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오염 우려 기준 3지역에서 허용되는 중금속 기준을 오염 우려 기준 2지역에서 허용하는 중금속 기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최소한 85% 이상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만족하여야 하는바, 85% 이상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만족한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중금속 처리 효율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아임계수 처리된 용액의 화약류 제거 효율을 후술하기로 한다.
첨가제로 시트르산을 첨가한 100mM의 시트르산 용액을 상술한 표 1의 중금속 및 화약류가 함유된 오염된 토양을 넣고, 중금속 추출 효율을 관측하여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 ~ 120kgf/㎠, 265℃ 이상에서 비소, 카드뮴, 아연의 제거 효율이 75%를 상회하였다.
반면, 구리, 납의 경우, 아임계수의 범위 내에서 50% 이상의 제거 효율을 얻을 수 없었다.
즉, 모든 중금속은 아임계수 범위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추출효율이 증가하여, 비소와 아연은 300℃ 에서 98%이상, 카드뮴은 300℃에서 83%의 추출효율을 나타내었지만, 구리나 납은 300℃에서 각각 45%, 47.5%의 추출율을 나타내었는바, 특히, 15 ~ 120kgf/㎠, 265 ~ 300℃ 범위에서 비소, 카드뮴, 아연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출제로 시트르산을 첨가한 100mM의 시트르산 용액과,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를 첨가한 100mM의 EDTA 용액을 표 1에 개시된 오염 토양에 넣어 추출 효율을 관측하였는바,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르산 및 EDTA 첨가제를 혼합하여 주입하였을 때, 각 중금속은 200℃에서 모두 90%이상의 추출효율을 나타내었으며, 단지 구리의 경우 200℃ 이상에서 추출율이 감소함으로 알 수 있었다.
이는 탈카르복시화 반응(decarboxylation)에 의한 킬레이트 능력의 급격한 감소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15 ~ 120kgf/㎠, 200 ~ 260℃ 범위로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 모든 중금속은 75% 이상 제거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200 ~ 210℃ 범위 내에서 온도를 조절하면, 모든 중금속을 90% 가까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추출제로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한 100m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표 1에 개시된 오염 토양에 넣어 추출 효율을 관측하였는바,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산화나트륨 첨가제를 혼합하여 주입하였을 때, 비소와 아연은 250℃에서 90%이상, 카드뮴은 85%, 구리 및 납은 각각 86%, 84%의 추출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15 ~ 120kgf/㎠, 230 ~ 300℃ 범위로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 모든 중금속은 75% 이상 제거할 수 있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더 바람직하게는 250 ~ 300℃ 범위 내에서 온도를 조절하면, 모든 중금속을 약 85% 이상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출제로 EDTA를 첨가한 100mM의 EDTA 용액을 표 1에 개시된 오염 토양에 넣어 추출 효율을 관측하였는바, 그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DTA 첨가제를 혼합하여 주입하였을 때, 모든 중금속은 온도 증가에 따라 그 추출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아연은 250℃에서 90% 이상, 카드뮴 및 비소는 각각 87%, 86%, 구리 및 납은 300℃에서 각각 86%, 82%의 추출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15 ~ 120kgf/㎠, 235 ~ 300℃ 범위로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 모든 중금속은 75% 이상 제거할 수 있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더 바람직하게는 290 ~ 300℃ 범위 내에서 온도를 조절하면, 모든 중금속을 약 80% 이상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르면, 첨가제가 함유된 아임계수를 이용하는 경우, 탁월한 중금속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금속과 동시에 제거되는 TNT의 제거 효율을 관측하기 위하여 각각의 실시예로부터 반응온도에 따른 화약류의 처리 효율을 관측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 ~ 300℃의 아임계수 상태에서 반응 시간을 2시간으로 유지하였을 때, TNT 처리 효율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200℃ 이상에서는 90% 이상의 처리 효율을 얻을 수 있었는바, 특히, 처리 후 농도의 경우, U.S. EPA에서 인체 위해성에 근거한 거주지의 TNT 토양 정화 기준인 19mg/kg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오염 토양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75%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TNT 처리 효율도 일정 기준 이상을 유지함으로써, U.S. EPA에서 인체 위해성에 근거한 거주지의 TNT 토양 정화 기준인 19mg/kg을 만족한바, 오염 토양 중의 중금속 및 화약류를 동시에 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의 경우, 중금속 제거 효과는 물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약류를 기준치 이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6)

  1.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시트르산을 265 ~ 300℃, 15 ~ 120kgf/㎠ 상태의 아임계수에 용해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2.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수산화나트륨을 230 ~ 300℃, 15 ~ 120kgf/㎠상태의 아임계수에 용해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3.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EDTA(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을, 235 ~ 300℃, 15 ~ 120kgf/㎠ 상태의 아임계수에 용해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4. 화약류 및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할 수 있도록 시트르산 및 EDTA(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을, 200 ~ 260℃, 15 ~ 120kgf/㎠ 상태의 아임계수에 용해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20061151A 2012-06-07 2012-06-07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KR10123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51A KR101235570B1 (ko) 2012-06-07 2012-06-07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51A KR101235570B1 (ko) 2012-06-07 2012-06-07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570B1 true KR101235570B1 (ko) 2013-02-21

Family

ID=4789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51A KR101235570B1 (ko) 2012-06-07 2012-06-07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5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484B1 (ko) * 2013-04-18 2013-12-20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납 오염토양 추출용액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375471B1 (ko) * 2013-10-17 2014-03-17 현대건설주식회사 단계별 연속식 고도선별과 동전기 정화공정을 결합한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및 정화방법
CN103918437A (zh) * 2014-03-31 2014-07-16 天津师范大学 一种采用复合淋洗液修复污灌区土壤重金属的方法
KR101544041B1 (ko) * 2014-05-23 2015-08-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광석 및 광미로부터 중금속과 미량원소의 용출방법
CN107363082A (zh) * 2017-07-04 2017-11-21 王坤 一种利用高生物质兼容性高粱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
CN116813417A (zh) * 2023-08-25 2023-09-29 云南省生态环境科学研究院 一种针对重金属污染土壤的智能控释肥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66B1 (ko) * 2001-10-05 2003-11-21 주식회사 에코필 동전기를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KR100928065B1 (ko) * 2009-07-24 2009-11-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척기술과 전기역학적 정화기술을 결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
JP2011056330A (ja) 2009-09-04 2011-03-24 Symbiotic Resources Laboratory Co Ltd 重金属除去装置及び重金属除去方法
KR101038686B1 (ko) * 2010-11-24 2011-06-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임계수를 이용한 오염 토양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66B1 (ko) * 2001-10-05 2003-11-21 주식회사 에코필 동전기를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KR100928065B1 (ko) * 2009-07-24 2009-11-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척기술과 전기역학적 정화기술을 결합한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
JP2011056330A (ja) 2009-09-04 2011-03-24 Symbiotic Resources Laboratory Co Ltd 重金属除去装置及び重金属除去方法
KR101038686B1 (ko) * 2010-11-24 2011-06-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임계수를 이용한 오염 토양 정화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484B1 (ko) * 2013-04-18 2013-12-20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납 오염토양 추출용액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375471B1 (ko) * 2013-10-17 2014-03-17 현대건설주식회사 단계별 연속식 고도선별과 동전기 정화공정을 결합한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및 정화방법
CN103918437A (zh) * 2014-03-31 2014-07-16 天津师范大学 一种采用复合淋洗液修复污灌区土壤重金属的方法
KR101544041B1 (ko) * 2014-05-23 2015-08-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광석 및 광미로부터 중금속과 미량원소의 용출방법
CN107363082A (zh) * 2017-07-04 2017-11-21 王坤 一种利用高生物质兼容性高粱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
CN116813417A (zh) * 2023-08-25 2023-09-29 云南省生态环境科学研究院 一种针对重金属污染土壤的智能控释肥料及其制备方法
CN116813417B (zh) * 2023-08-25 2023-11-03 云南省生态环境科学研究院 一种针对重金属污染土壤的智能控释肥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570B1 (ko) 화약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 정화방법
Kumar et al. Mobilization of contaminants: Potential for soil remediation and unintended consequences
US5302287A (en) Method for on site cleaning of soil contaminated with metal compounds, sulfides and cyanogen derivatives
CN102909215B (zh) 化学淋洗和生物修复相结合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
Smolyakov Uptake of Zn, Cu, Pb, and Cd by water hyacinth in the initial stage of water system remediation
CN105253983A (zh) 一种零价铁-铜双金属活化过硫酸盐的水处理方法
CN103555338B (zh) 表面活性剂与螯合剂联合处理铅锌污染的方法及其淋洗剂
AU2013235063B2 (en) Environmental remediation process
CN104164238A (zh) 一种针对重金属污染土壤的高效固化稳定修复药剂
CN103639190A (zh) 一种利用氨基三甲叉膦酸修复铅污染土壤的方法
CN105405567A (zh) 土壤或水中有机物污染的磁性修复材料及制备方法与应用
CN103288200A (zh) 一种化学还原去除地下水及土壤泥浆体系中氯代烃的方法
CN103624074A (zh) 混合表面活性剂增溶与芬顿氧化联用的土壤高浓度氯代硝基苯类污染深度降解方法
CN102615098B (zh) 一种镉铅复合污染石灰性土壤的修复方法
CN106583441A (zh) 一种超声强化高铁酸钾/过氧化氢修复有机氯污染土壤的方法
CN102689983A (zh) 用于地下水氮污染修复技术的复合材料制备方法
CN102951719B (zh) 一种利用磁黄铁矿固定床处理硝基苯废水的方法
Liu et al. Co-pyrolysis with pine sawdust reduces the environmental risks of copper and zinc in dredged sediment and improves its adsorption capacity for cadmium
Wang et al. Agent-assisted electrokinetic treatment of sewage sludge: Heavy metal removal effectiveness and nutrient content characteristics
JP2014117688A (ja) 重金属類汚染土壌用洗浄液組成物及び重金属類汚染土壌の洗浄方法
Su et al. Choline Chloride-Urea Deep Eutectic Solvent Enhanced Removal of Lead from Mining Area Soil in the Presence of Oxalic Acid.
JP2006116420A (ja) 化学汚染物質の処理方法
Zhao et al. Migration and remediation of typical contaminants in soil and groundwater: A state of art review
KR101343484B1 (ko) 납 오염토양 추출용액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Jia et al. Research Progress of heavy metals remediation in soil by ionic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