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410B1 -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410B1
KR101235410B1 KR1020110024388A KR20110024388A KR101235410B1 KR 101235410 B1 KR101235410 B1 KR 101235410B1 KR 1020110024388 A KR1020110024388 A KR 1020110024388A KR 20110024388 A KR20110024388 A KR 20110024388A KR 101235410 B1 KR101235410 B1 KR 101235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anium dioxide
silver
polyester
chip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333A (ko
Inventor
박상원
김동건
한상택
김재호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성안합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안합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안합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41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35Applying energy to the substrate during sputtering
    • C23C14/3442Applying energy to the substrate during sputtering using an ion beam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칩 100~140kg을 초기압력 10-1~10-6torr의 진공 챔버에 로딩하는 단계; 스퍼터링에 입자크기 0.3㎛~0.4㎛의 은 및 이산화티탄을 타겟으로써 장착하는 단계; 스퍼터링 가스로써 아르곤 가스를 진공 챔버의 압력이 100²torr될 때까지 주입하는 단계; 상기 은과 이산화티탄 타겟에 -500∼-5000V의 높은 부전압을 걸어 음극으로 만드는 단계; 이온빔을 경사지게 입사시켜 방출되는 상기 타겟 이온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응착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대한 상기 은 및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0.5~1.0 중량% 증착시켜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상기 마스터배치 칩을 혼합하여 사속 3,000m/min~3,500m/min의 속도로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및 이산화티탄 입자가 진공증착된 항균성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은나노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성 침구류 섬유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은나노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침구류 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Multifunctional Slipping Stuffs with Nanosilv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NAP형 은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NAP(Nano Attached Powder)기술로 나노크기의 항균 기능제인 은을 원사내에 투입하여 세균, 박테리아 등에 대해 항균.멸균성을 반영구적으로 발현하고, 반복세탁에도 고내구성과 더불어 흡한속건, 자외선차단 및 소취까지 지닌 침구류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은(Ag)은 은분말 또는 나노실버 또는 은용액을 포함한다. 예로부터 은(Ag)은 자연항생제로 사용하였으며, 수용액 상태의 은용액을 만들어 음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은의 항균효과가 밝혀지면서 다양한 실험과 함께 그 적용 분야를 넓혀가고 있는 실정이다.
은(Ag)은 원소기호 Ag, 원자번호 47, 원자량 107.868, 녹는점 961.9℃, 끓는점 2212℃, 비중 10.49(20℃)로서 열과 전기의 전도성이 금속 중 가장 우수하다. 또한, 은(Ag)은 은이온에 의한 항균작용과 활성산소에 의한 항균작용으로 균의 물질대사를 방해하여 균을 질식시킨다. 이는 은이온의 전기적 부하가 병균의 생식기능을 제거하며, 세포구조를 파괴함에 따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산화은(Ag2O)의 형태로 은에 결합하고 있는 산소는 은이온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활성산소로 전환하고, 활성산소는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 또한, 은이온은 쉽게 인체에 흡수되어 박테리아나 균류 등이 산소대사를 할 때 효소의 기능을 막으면서, 강력한 촉매역할을 하여 이들 병원체들을 살상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은이온 또는 은입자는 특히 인체에 해가 없으므로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은을 폴리에스테르 원사에 적용시 사용할 수 있는 나노실버(nano silver)는 Nano-Technology 와 silver 의 합성어로 나노실버(nano silver)라 명명하였으며, 나노 실버(nano silver)의 추출방법은 증류수에 은(Ag 99.9%)을 투입하고 저온에서 저 전류를 발생시켜 은 이 포함된 화합물을 전기 분해하여 각 분자가 가지고 있는 +, - 극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실시한 후 은(Ag
99.9%)을 모을 수 있으며 그밖에도 액상 환원법, 그라인딩(grinding) 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나노실버(nano silver)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의 전기 분해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촉매는 나노크기의 이산화티탄 입자로 빛을 촉매로 하여 자정작용(Self-Cleaning)과 초친수 작용을 하는 물질을 말한다. 광촉매로써 이산화티탄(TiO2)은 태양광이나 형광등의 자외선을 받으면 전자(e-)와 정공(h+)을 발생하며, 그 중에서 특히 정공(h+)은 강력한 산화작용을 가지는 수산화물(OH radical)을 형성하여 살균효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전자는 광촉매에 흡착되어 있는 산소를 산소이온(O2-)으로 생성시키는데 이 산소이온은 반응 활성종으로 산화반응 중간체에 부가되어 냄새제거나 유기물 분해 효능을 가지게 된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건축 마감 자재 및 건축 시공 후에 발생하는 VOC 문제의 해결책으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섬유에 이용된 기능성 무기입자는 거의 모두 미크론 크기여서 섬유 방사성의 문제점 때문에 그 사용량이 제약을 받아 극한 기능성을 설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생산 방식이 한정적이고 비용이 높아 regular 품종에만 적용 가능한 한계성이 있고 기능성 충진제 입자가 커서 생산시 불순물로 작용하여 방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나노 입자에 또다른 기능성을 갖는 물질을 나노 코팅하여 복합기능을 갖는 나노 입자를 제조하여 기능을 복합화하거나 더욱 강화시킬 수도 있다. 제품의 품질차별화를 위해 소재원사가 초극세화 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한 흡수력이 월등히 높아지며, 미세한 공간형성에 의한 먼지 흡착력이 향상되고 또한 닦는 물체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으며 비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먼지나 유막의 제거성능이 높아져 고기능 항균 생활용품 개발에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라즈마 이온빔(NAP:Nano Attached Power)공법을 통하여 무기물의 나노 입자화한 두가지 이상의 기능제를 폴리에스테르 중합 및 이형 방사 공정에 투입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한 다기능성 침구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침구류는 베개, 이불 등을 의미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칩 100~140kg을 초기압력 10-1~10-6torr의 진공 챔버에 로딩하는 단계; 스퍼터링에 입자크기 0.3㎛~0.4㎛의 은 및 이산화티탄을 타겟으로써 장착하는 단계; 스퍼터링 가스로써 아르곤 가스를 진공 챔버의 압력이 100²torr될 때까지 주입하는 단계; 상기 은과 이산화티탄 타겟에 -500∼-5000V의 높은 부전압을 걸어 음극으로 만드는 단계; 이온빔을 경사지게 입사시켜 방출되는 상기 타겟이온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응착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대한 상기 은 및 이산화티탄의 함량을 0.5~1.0중량% 증착시켜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상기 마스터배치 칩을 혼합하여 사속 3,000m/min~3,500m/min의 속도로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직조된 은나노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성 침구류 섬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온빔은 500eV,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된 항균성 침구류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산화티탄 및 은나노를 함유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된 침구류 섬유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에 따른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의 제조방법은, 현재 섬유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미크론 크기의 무기입자에 비하여 낮은 충전량으로도 높은 기능성을 얻을 수 있고, 방사성을 해치지 않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극한 기능성 설계에 더 유리하다. 또한, 넓은 표면적에 의하여 흡착성 등 표면활성이 높아 다른 섬유 소재와의 혼화성이 우수하여 은 및 이산화티탄의 기능성 나노입자를 한가지의 유기 섬유내 도입시켜 고성능 복합 기능 섬유 창출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나노 입자에 또다른 기능성을 갖는 물질을 나노 코팅하여 복합기능을 갖는 나노 입자를 제조하여 기능을 복합화하거나 더욱 강화시킬 수도 있다. 제품의 품질차별화를 위해 소재원사가 초극세화 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한 흡수력이 월등히 높아지며, 미세한 공간형성에 의한 먼지 흡착력이 향상되고 또한 닦는 물체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으며 비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먼지나 유막의 제거성능이 높일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탄(TiO2)과 은(Ag)을 함유한 항균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된 침구류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칩 100~140kg을 초기압력 10-1~10-6torr의 진공 챔버에 로딩하는 단계, 스퍼터링에 입자크기 0.3㎛~0.4㎛의 은 및 이산화티탄을 타겟으로써 장착하는 단계; 스퍼터링 가스로써 아르곤 가스를 진공 챔버의 압력이 100²torr될 때까지 주입하는 단계, 상기 은과 이산화티탄 타겟에 -500∼-5000V의 높은 부전압을 걸어 음극으로 만드는 단계, 이온빔을 경사지게 입사시켜 방출되는 상기 타겟 이온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응착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대한 상기 은 및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0.5~1.0중량% 증착시켜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상기 마스터배치 칩을 혼합하여 사속 3,000m/min~3,500m/min의 속도로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 은 나노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된 침구류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침구류 섬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일기능사(흡한속건사)에 고가의 기능제 첨가로 2가지 기능을 가진 기능사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능제의 입자크기, 균제도 문제로 Regular사에 국한되어 있고, 복합기능사 기술개발은 답보상태에 있다.
기능성 원사는 고가의 기능제를 일본에서 분말상태로 수입하여 마스터배치로 만들거나, 마스터배치화 된 칩을 수입하여 방사 과정에서 믹싱하는 방법이 대다수이다.
종래에는 기능제 입자가 1~100㎛이므로 방사시 원사의 굵기와 유사하여, 불순물로 작용하여 절사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원사의 굵기가 굵은 범용사종에만 적용 가능한 한계성으로 극세사, 이형 단면사 뿐만 아니라 타 기능제와의 접목은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능제로서 입자크기 0.3㎛~0.4㎛의 은(Ag)과 이산화티탄(TiO2)을 사용하고 있다. 은(銀)은 약 650종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다. 은이 단세포 병균의 소화나 호흡 등의 신진대사를 도와주는 효소의 작용을 무력화 시켜 병균을 살균하고, 방출하는 은이온(Ag+)의 전기적 부하가 병균의 생식기능을 제거하기 때문에 은과 접촉해서 6분 이상 생존할 수 있는 세균은 없다. 은(銀)은 악취 유발성 세균의 멸균과 곰팡이 방지, 부패방지로 인한 탈취기능이 있다. 세균은 인체 및 생활환경 조건과 비슷한 온도인 20-35℃, 함수율 50-70%의 조건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번식한다. 은 이온은 세균의 증식을 막고 살균을 하여 이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냄새들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탈취기능을 발휘한다. 은은 인체 피부에 접촉했을 때 아무 해를 입히지 않는 반면, 약 650가지 이상의 병원성 유기체를 죽일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의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1리터의 물을 소독하는 데는 수백만 분의 1g만 있어도 충분할 정도로 적은양의 은 입자만 있어도 멸균성이 우수함이 나타나 있다.
이산화티탄(TiO2)은 태양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에너지로 활성화 되어, 공기 중의 산소나 물에서 활성산소를 생성한다. 이 활성산소는 산화력으로, 표면에 부착된 악취나 오염의 원인이 되는 유기물을 분해하고, 살균, 냄새를 분해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태양광이나 형광등에 포함된 자외선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이 광촉매기능에 이해, 자외선의 조사를 받으면, 전자정공대가 생성된다. 정공은 표면의 수분과 반응하여 강한 산화력을 가지는 히드로키실라디컬을 생성하고, 이 산화력은 대부분의 유기물을 탄소가스와 수분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수중 또는 공기 중의 환경오염물질의 제거, 항균, 방곰방이, 방오, 소취 기능을 발휘한다.
기능제의 입자 사이즈를 0.3㎛~0.4㎛로 할 수 있게 되어서, 극세사, 이형단면사뿐만 아니라 타 기능제와의 접목이 가능하게 되었다.
폴리에스테르 칩 100~140kg을 초기압력 10-1~10-6torr의 진공 챔버에 로딩한 후, 스퍼터링에 입자크기 0.3㎛~0.4㎛의 은 및 이산화티탄을 타겟으로써 장착한다. 그리고, 스퍼터링 가스로써 아르곤 가스를 진공 챔버의 압력이 100²torr될 때까지 주입한다.
이온 스퍼터링은 초기에는 진공증착과 동일한 10-1~10-6torr 정도의 진공도를 유지하나 플라즈마를 일으킬 수 있는 아르곤가스를 진공챔버 압력이 약 100²torr될 때까지 불어넣고, 타겟에 높은 부전압(-500∼-5000V)을 걸어 음극으로 만든다. 이때 비정규 글로우 방전에 의해 발생한 높은 에너지(1,000eV)를 가진 아르곤 가스인 불활성 가스 양이온이 음극으로 대전된 타겟 표면에 충돌하여 타겟 이온을 원자형태로 방출시키며, 진공 증착의 경우보다 높은 10∼40eV정도 에너지를 가진 증기상이 폴리에스테르 칩 쪽으로 이동하여 응축되게 함으로서 표면층을 형성하게 하는 방식이다.
타겟 표면에 입사된 아르곤 가스 이온의 에너지 중 약 65%는 열로, 약 24% 정도는 2차 전자를 방출하는데 소모되고, 단지 약 1%만이 스퍼터링 입자(재료입자)를 방출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온빔을 경사지게 입사시켜 방출되는 상기 타겟 이온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응착되게 하며, 이온빔은 500eV, 1㎃/㎠ 을 사용하여 균질한 피복을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 99~99.5중량%에 대하여 상기 은 및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0.5~1.0중량%을 증착시켜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한다.
폴리에스테르 원료와 상기 마스터배치 칩을 10:1 ~20:1로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사속 3,000m/min~3,500m/min의 속도로 은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성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여 은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성 침구류 섬유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원사의 원료로서 폴리에스테르 이외에도 나이론6, 나이론 66등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등의 용융방사 및 플라즈마 이온증착이 가능한 합성섬유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은 및 이산화티탄 함유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가지고 은 및 이산화티탄의 함량 테스트와 항균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함량 테스트는 ICP-OES(유도 결합 플라스마 - 광학 발광 분광기)로 분석하였으며 은 및 이산화티탄의 함량은 각각 135.0 mg/kg와 112mg/kg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의 은나노 및 이산화티탄이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원사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균시험을 아래< 표1 > 에서와 같이 항균력 테스트를 하였으며, 20시간 동안 증식시킨 결과를 적용한 시험구에서는 균주의 경우 99.9%, 감소하였고, 50회 세탁후에는 45%의 정균감소율을 보인다. 반면 은나노 및 이산화티탄을 포함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균의 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항균력테스트
Shake Flask법(KSM 0146-2003). 포도상구균
항목 blank 은 나노 및 이산화티탄 함유 항균성 폴리에스테르원사
초기균수 1.3X 105 1.3X 105
20시간 후 3.2 X 106 <10
20시간후 정균감소율 - 99.9%
50회 세탁후 정균 감소율 45%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

  1. 은나노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성 침구류 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칩 100~140kg을 초기압력 10-1~10-6torr의 진공 챔버에 로딩하는 단계;
    스퍼터링에 입자크기 0.3㎛~0.4㎛의 은 및 이산화티탄을 타겟으로써 장착하는 단계;
    스퍼터링 가스로써 아르곤 가스를 진공 챔버의 압력이 100²torr될 때까지 주입하는 단계;
    상기 은과 이산화티탄 타겟에 -500∼-5000V의 높은 부전압을 걸어 음극으로 만드는 단계;
    500eV, 1㎃/㎠ 인 이온빔을 경사지게 입사시켜 방출되는 상기 타겟 이온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응착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칩에 대한 상기 은 및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0.5~1.0중량% 증착시켜 마스터배치 칩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에스테르 원사와 상기 마스터배치 칩을 혼합하여 사속 3,000m/min~3,500m/min의 속도로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및 이산화티탄 입자가 진공증착된 항균성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로 은나노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성 침구류 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및 이산화티탄의 입자크기는 0.30㎛~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나노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한 항균성 침구류 섬유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해 제조된 은 및 이산화티탄을 함유하는 항균성 침구류 섬유.
KR1020110024388A 2011-03-18 2011-03-18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5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388A KR101235410B1 (ko) 2011-03-18 2011-03-18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388A KR101235410B1 (ko) 2011-03-18 2011-03-18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333A KR20120106333A (ko) 2012-09-26
KR101235410B1 true KR101235410B1 (ko) 2013-02-22

Family

ID=4711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388A KR101235410B1 (ko) 2011-03-18 2011-03-18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2884B2 (en) 2018-10-16 2021-07-27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Method of making an antimicrobial text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2765B2 (en) 2004-07-22 2006-05-30 Taiw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bacterial polyester master batches and fibers both containing nano-silver particles
KR20080042635A (ko) * 2006-11-09 2008-05-15 최명부 기능성 조성물 폴리에스테르 방적사 제조 방법
KR100872737B1 (ko) * 2007-08-10 2008-12-08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금속, 합금 및 세라믹 나노 입자가 진공 증착된 마스터배치 칩을 이용한 항균섬유의 제조방법
KR20100007450A (ko) * 2008-07-14 2010-01-22 성안합섬주식회사 은 나노입자가 증착된 마스터배치을 이용하여 제조된다기능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2765B2 (en) 2004-07-22 2006-05-30 Taiw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bacterial polyester master batches and fibers both containing nano-silver particles
KR20080042635A (ko) * 2006-11-09 2008-05-15 최명부 기능성 조성물 폴리에스테르 방적사 제조 방법
KR100872737B1 (ko) * 2007-08-10 2008-12-08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금속, 합금 및 세라믹 나노 입자가 진공 증착된 마스터배치 칩을 이용한 항균섬유의 제조방법
KR20100007450A (ko) * 2008-07-14 2010-01-22 성안합섬주식회사 은 나노입자가 증착된 마스터배치을 이용하여 제조된다기능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2884B2 (en) 2018-10-16 2021-07-27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Method of making an antimicrobial textile
US11306430B2 (en) 2018-10-16 2022-04-19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Treatment method for cotton textile
US11746462B2 (en) 2018-10-16 2023-09-05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Method for making antimicrobial article
US11834775B2 (en) 2018-10-16 2023-12-05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Antimicrobial fabric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333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ung et al. Self-cleaning fibers via nanotechnology: a virtual reality
Jatoi et al. Cellulose acetate nanofibers embedded with AgNPs anchored TiO2 nanoparticles for long term excellent antibacterial applications
Montazer et al. Functionality of nano titanium dioxide on textiles with future aspects: Focus on wool
Yadav et al. Developments in photocatalytic antibacterial activity of nano TiO 2: A review
Raut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TiO2: Cu nanocomposite and their enhanced antimicrobial activity with visible light
Wu et al. Visible-light-induced bactericidal activity of titanium dioxide codoped with nitrogen and silver
Adhikari et al. Photocatalytic inactivation of E. coli by ZnO–Ag nanoparticles under solar radiation
Yu et al. Synthesis of Ag–TiO2 composite nano thin film for antimicrobial application
Saud et al. Preparation and photocatalytic activity of fly ash incorporated TiO2 nanofibers for effective removal of organic pollutants
Li et al. Treatment of coliphage MS2 with palladium-modified nitrogen-doped titanium oxide photocatalyst illuminated by visible light
EP1437397A1 (en) Cleaning agent, antibacterial material, environment clarifying material, functional adsorbent
KR100355463B1 (ko) 음이온과 원적외선 발생 및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다기능성 섬유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섬유
CN101173487A (zh) 一种多功能纺织面料
Saud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and antibacterial investigation of nano synthesized Ag 3 VO 4 particles@ PAN nanofibers
Rathnayake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Ag-doped TiO 2 nanoparticles incorporated natural rubber latex foam under visible light conditions
Wu et al. Enhanced visible‐light photocatalytic disinfection of bacterial spores by palladium‐modified nitrogen‐doped titanium oxide
Schutte-Smith et al. Using visible light to activate antivir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iO2 nanoparticles in paints and coatings: Focus on new developments for frequent-touch surfaces in hospitals
JP2022530171A (ja) 視光線において微生物、匂い及び有機化合物と戦うフリーラジカルをin-situ生成するための透明な光触媒コーティング
Nautiyal et al. ZnO-TiO2 hybrid nanocrystal-loaded, wash durable, multifunction cotton textiles
KR101235410B1 (ko)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침구류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5458B1 (ko)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인테리어 섬유 및 이의제조방법
KR101264990B1 (ko)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아웃웨어 및 이의제조방법
KR101264986B1 (ko) 은나노 함유 다기능성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이의제조방법
JP2003213565A (ja) 難燃抗菌性繊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3667B1 (ja) 多機能性フィルター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