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470B1 -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470B1
KR101234470B1 KR1020120074005A KR20120074005A KR101234470B1 KR 101234470 B1 KR101234470 B1 KR 101234470B1 KR 1020120074005 A KR1020120074005 A KR 1020120074005A KR 20120074005 A KR20120074005 A KR 20120074005A KR 101234470 B1 KR101234470 B1 KR 10123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ank
settling
water
dred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금석
김준배
서정대
서용규
한정희
Original Assignee
현대아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아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준설수에 응집제가 혼합되고 준설수 내에 포함된 모래가 침강되는 침사조; 침사조와 연결되어 침전슬러지가 바닥으로 침전되고, 침전된 침전슬러지를 압송관을 통해 토출시키고, 상등수는 배출시키는 침전조; 침전조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침전조에서 토출된 침전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된 농축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 및 농축조에서 토출된 농축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농축슬러지를 탈수케이크로 생성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System for processing dredged}
본 발명은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침사조, 1차 균등분배조, 침전조,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 농축조, 2차 균등분배조, 탈수장치 등을 포함하여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여, 준설토의 슬러지 처리의 효율성을 강화하도록 한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 지천, 강, 저수지, 댐, 하천, 호수의 바닥에 쌓여있는 부패된 상태의 슬러지는 각종 무기물과 유기물이 퇴적되어 주변수역의 산소를 고갈시킬 뿐 아니라, 부영양화 및 연못의 노쇄화 현상을 심화시켜 수계관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의 준설이 필요하지만, 슬러지 속에 함유된 유기물질은 악취유발 등의 2차 오염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준설과정에서 발생되는 준설토를 처리할 필요성이 존재하나 짧은 시간 내에 다량의 오니준설토가 함유된 준설수를 처리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종래 이러한 오니준설토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대규모의 침전지를 형성하여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침전 슬러지가 침전지의 가장자리에서만 배출이 가능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전지의 상당 부분이 침전기능을 상실한 데드존(Dead zone)으로 전환되어 침전기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기존의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은 침사지와 침전지의 침전물의 수분함량이 높아 이러한 침전물을 수집 및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오니준설토는 선단(Dump Barge 등)에서 탁수처리 등을 거쳐 해양투기를 하였으나 2012년부터 이러한 해양투기가 금지되게 되게 되었다. 육상에서 설치되는 경우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은 넓은 부지공간를 꼭 필요로 하여 설치운영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침사조와 침전조를 분리하고 침사조에 응집제를 주입하여 응집반응으로 침전지에서의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에 설치되는 면적의 약 1/10의 부지면적으로도 설치가 가능하여, 대량의 오니준설토를 좁은 공간(예를 들어, 도심하천, 댐, 저수지, 사유지가 많은 곳), 좁은 장소에서도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소형화된 컴팩트한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준설수에 응집제가 혼합되고 준설수 내에 포함된 모래가 침강되는 침사조; 침사조와 연결되어 침전슬러지가 바닥으로 침전되고, 침전된 침전슬러지를 압송관을 통해 토출시키고, 상등수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조; 침전조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침전조에서 토출된 침전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시켜 농축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 및 농축조에서 토출된 농축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농축슬러지를 탈수케이크로 생성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침사조로 준설수를 유입시키는 배사관에 연결되어 배사관에 투입된 응집제와 준설수를 혼합하기 위한 인라인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준설수가 유입되어 준설수 내에 포함된 모래가 침강되는 침사조; 침사조를 통과한 준설수에 응집제를 투입시키는 응집제 투입장치; 응집제와 혼합된 준설수를 균등배분하여 월류시키는 1차 균등분배조(사각형 open ditch로 분배조 길이는 침전조 폭과 동일); 1차 균등분배조에 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한 응집제 투입장치; 1차 균등분배조와 연결되어 침전슬러지가 바닥으로 침전되고, 침전된 침전슬러지를 압송관을 통해 토출시키고, 상등수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조; 침전조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침전조에서 토출된 침전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시켜 농축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 및 농축조에서 토출된 농축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농축슬러지를 탈수케이크로 생성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탈수장치의 유입단 일측에 구비되어 탈수장치로 유입되는 농축슬러지에 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한 응집제 투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침사조와 침전조 사이에 구비되며 준설수를 균등배분시키는 1차 균등분배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차 균등분배조 전방에 설치되어 응집제와 오니준설토를 혼합시키기 위한 제1교반기가 설치된 제1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침전조와 농축조 사이에 구비되어 침전슬러지를 균등배분시키는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 및 농축조와 탈수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농축슬러지의 유량과 농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2차 균등분배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침사조로 유입되는 준설토는 함니율 5 ~ 18%의 오니준설토가 포함되고, 침전조에서 생성되는 침전슬러지는 함니율 20 ~ 25%의 오니준설토가 포함되며, 농축조에서 생성되는 농축슬러지는 함니율 45 ~ 55%의 오니준설토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침사조에는 침전된 모래를 배출시키기 위한 스크류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침전조의 벽체는 시트 파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침전조에는 상등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는 유출트라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유출트라프의 전방에 설치되는 경사판 침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침전조는 침전슬러지가 집수되는 복수의 브랜치, 브랜치에 의해 집수된 침전슬러지를 압송관으로 펌핑하기 위한 수중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응집제는 폴리수산화염산규산 알루미늄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침사조와 침전조를 분리하고 침사조에 응집제를 주입하여 응집반응으로 침전지에서의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에 설치되는 면적의 약 1/10의 부지면적으로도 설치가 가능하여, 대량의 오니준설토를 좁은 공간(예를 들어, 도심하천, 댐, 저수지, 사유지가 많은 곳), 좁은 장소에서도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소형화된 처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의 일구성인 침사지, 1차 균등분배조, 침전조 및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의 일구성인 농축조, 2차 균등분배조 및 탈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1)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1)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1)은 응집제가 혼합되고, 중력에 의해 오니준설토 내에 함유된 모래를 침강시켜 모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사조(100), 침사조(100)와 연결되어 응집제와 혼합되고, 모래가 배출된 원수가 유입되고, 원수 내에 함유된 응집제를 제1교반기에 의해 혼합시키는 1차 균등분배조(200), 상기 1차 균등분배조(2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침전슬러지를 바닥으로 침전시키고 이송펌프에 의해 압송관(340)을 통해 침전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침전조(300), 침전조(300)에서 배출된 침전슬러지가 유입되어 분배시키는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400),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4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침전슬러지를 저류시켜 농축슬러지를 모으는 농축조(500), 농축조(5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농축슬러지의 유량과 농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2차 균등분배조(600) 및 2차 균등분배조(6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물을 배출시키고 농축슬러지를 농축시켜 탈수 케이크를 생성하는 탈수장치(700)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1)의 일구성 각각에 대한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1)의 일구성인 침사조(100), 1차 균등분배조(200), 침전조(300) 및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400)를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항구, 하천, 저수지, 댐 등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오니준설토가 포함된 준설수는 함니율 약 10%정도의 오니준설토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오니준설토는 자연적인 방법으로는 시간이 지나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1)은 항구, 하천, 저수지, 댐 등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오니준설토를 펌프준설선(10) 등의 장비로 준설하게 되고, 펌프준설선(10)과 연결된 배사관(20)에 직접 응집제(예를 들어 PAC등)를 투입시키고 배사관(20)에 인라인 믹서(In-Line Mixer)를 연결시켜 준설선(10)의 배사압력으로 응집제와 준설수에 혼합시켜 응집제와 오니준설토를 반응시켜 응집제가 혼합된 준설수가 극소형의 침사조(100)(기존에 설치되는 침사조의 약 1/10정도)에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사조(100)에서는 준설수에 오니준설토와 함께 포함된 모래는 응집제와 반응하지 않고 중력에 의해 소형 침사조(100)에 가라앉게 되며, 가라앉은 모래는 소형 침사조(100)에 설치된 스크류 배출관에 의해 실시간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인라인 믹서는 별도의 교반기를 설치하지 않고 펌프준설선(10)의 높은 배토압력으로 오니준설토와 응집제를 교반기보다 훨씬 높은 효율로 혼합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형침사조(100)는 기존의 일반침사조 보다 부피가 약 1/10정도가 되도록 제조하여 도심지역이나 하천 주변의 공장지역, 댐/저수지 인근 등 처리장 부지를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도 적은 면적으로 침사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사조(100) 내에 설치된 스크류 배출관은 중력에 의해 침강된 모래를 실시간으로 인근의 부지로 배출시키며, 스크류배출관이 고장나거나 일시적으로 모래가 과다하게 준설되어 올라와 소형침사조(100)가 가득찰 경우를 대비하여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사조(100)에 의해 모래가 배출되고 응집제와 혼합된 준설수는 침사조(100)에서 토출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1차 균등분배조(20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서는 펌프준설선(10)과 연결된 배사관(20)에 직접 응집제를 투입시켜 배사관(20)에 인라인 믹서를 연결시켜 준설선(10)의 배사압력으로 응집제와 준설수를 혼합시켜 응집제와 오니준설토를 반응시켜 응집제가 혼합된 준설수가 극소형의 침사조(100)에 유입되는 방식이었으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응집제를 배사관(20)에 투입시키지 않고, 1차 균등분배조(200) 전방에 설치된 복수의 제1수조(210) 각각에 응집제 투입수단에 의해 투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수조(210)에 제1교반기(220)가 설치되어 오니준설토와 응집제를 서로 혼합시켜 침전성이 양호한 플록(floc)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투입되는 응집제는 폴리수산화염산규산 알루미늄(PACS 2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약품규격은 A1203 10%이상, 염기도 60%이상이며, 주입량은 준설토 1m3 당 0.3kg(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1차 균등분배조(200)에서 균등하게 배분된 준설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조(30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1)의 일구성인 침전조(300)는 장방형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며 쉬트파일(sheet pile)이 설치되는 경우 수직벽 단면을 갖게 된다. 또한, 바닥 일측에는 일정한 폭 및 깊이를 갖는 복수의 브랜치(310, branch)가 설치되고 수중펌프(330)를 갖는다.
또한, 침천조의 벽체는 시트파일(sheet pile, 360) 등의 수직 가설재로 만들어 준설수가 균등속도로 침전조(300) 내에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며, 약 20분 정도 침전조(300)에서 일정시간 체류하면서 응집제와 오니준설토가 화학반응을 하여 침전슬러지가 잘 가라앉도록 하고, 이러한 침전슬러지는 복수의 브랜치(310)를 통해 유입되어 수중펌프(330)에 의해 압송관(340)을 따라 후에 설명되는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400)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침전슬러지는 함니율 약 20% 이상으로 농축된 오니준설토로 구성된다. 또한, 침전조(300)에는 오니준설수의 수위와 같은 높이에서 유출트라프(350)를 설치하여 약 50NTU 이하의 맑은 상등수가 유출트라프(350)를 통하여 강으로 실시간으로 방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50NTU 이상의 혼탁된 상등수가 유출트라프(350)로 방류될 경우를 대비하여 유출트라프(350) 전면에 경사판침강장치(32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침전조(300)의 바닥에 쌓인 침전슬러지는 수중펌프(330)를 통해 복수의 브랜치(310)에 집수되어 압송관(340)으로 유입되어 압송관(340)을 따라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400)로 유입되게 된다.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400)는 침전조(300)의 수중펌프(330)에서 이송되는 침전슬러지를 복수의 중앙지주식 원형슬러지 수집기(530)로 균등배분 및 유입시키기 위해 구성되며, 이러한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400)에는 제2수조(410)가 설치되고, 제2수조(410)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유입관(420)과 유출관(430)이 설치되어 진다.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400)에서 자연유하 방식으로 농축조(500)로 이동시켜 오니준설토를 농축조(500)에서 일정시간 이상 체류시키면서 함니율 약 50% 이상으로 농축시켜 농축슬러지를 생성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1)의 일구성인 농축조(500), 2차 균등분배조(600) 및 탈수장치(700)를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농축조(500)는 후에 설명되는 유동판식 농축탈수기(710)에서의 탈수부하를 줄이고, 탈수효율을 올리기 위해 침전조(300)의 침전슬러지를 저류시키도록 소정의 깊이와 폭을 갖는 사각형상의 제3수조(510)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3수조(510)의 바닥에는 좌우측에서 중앙으로 일정한 하향구배가 형성되며, 바닥의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과 깊이를 갖는 호퍼(520)가 형성된다. 또한, 중앙에 중심구동 지주식 원형슬러지 수집기(530)가 설치되며 호퍼(520)에 모인 중력 침전된 농축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스프르트펌프(5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중심구동 지주식 원형슬러지 수집기(530)는 농축조(500)에서 중력 분리된 농축슬러지를 호퍼(520)로 모아 2차 균등분배조(60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구동부, 브리지, 피드웰, 센터케이지, 중앙기둥, 스크레퍼, 패널 등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침전조(300)에서 응집 침전된 침전슬러지를 수중펌프(330)에 의해 농축조(500)로 이송되고, 이송된 침전슬러지를 저류시키는 것으로 중심구동 지주식이며, 피드웰에 유입된 원수 내 슬러지는 농축조(500)의 바닥에 침전되고 스크레퍼를 연속하여 중심부로 호퍼(520)로 밀어내 슬러지를 제거하게 된다.
특히, 중심구동 지주식 원형슬러지 수집기(530)는 중심구동으로 센터케이지 피드웰의 회전, 중앙기둥을 통해 지지되며, 스크레퍼는 센터케이지에 고정되어 슬러지를 수집하며, 직경 15m 이상 규모의 농축조(500)에 적용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르트펌프(540)는 호퍼(520)에 모인 중력침전된 농축슬러지를 2차 균등분배조(600)로 이송하기 위한 설비로서 넓은 케이싱과 S형 임펠러의 적용으로 토출구경의 약 70%의 고형물 이송이 가능하며, 무접촉 원심운동 및 공동현상을 이용하여 고형물을 강제 흡입하여 압송하며, 효율이 높고, 농축슬러지 농도변화에 성능 저하가 적으며, 경도가 높은 내마모성 재질로 구성되어 농축슬러지 중의 모래 등에 따른 마모가 적고, 막힘 현상이 적으며, 정량 및 가변속 이송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2차 균등분배조(600)는 침전물의 유량과 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유동판식 농축탈수기(710)로 유입되도록 유도시켜 유동판식 농축탈수기(710)의 탈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슬러지 임지 저장 및 분배를 하기 위한 제4수조(610)와 제4수조(610)의 상부에 기계식 제2교반기(620)가 설치되어 진다.
또한, 함니율 약 50% 이상의 오니준설토로 농축된 농축슬러지는 농축조(500) 후단에 설치된 2차 균등분배조(600)로 이동시킨 다음 2차 균등분배조(600)에서 탈수장치(700)로 이동시키게 된다. 탈수장치(700)로 이송되기 전 오니준설토에 폴리머 응집제를 적정비율로 투입 교반하여 응집제와 반응한 농축슬러지에 플록(Floc)을 형성시켜 탈수장치(700)의 작업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한다.
이때 투입되는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응집제는 폴리아크릴아미드(폴리머 K912C)로 구성될 수 있고, 주입량은 준설토 1m3 당 0.85kg(850㎕)정도가 바람직하며 양이온 응집제와 음이온 응집제의 비율은 9:1 정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장치(700)를 통하여 배출되는 탈수 케이크는 모래나 양질의 토사를 적정비율로 혼합하거나 모래나 양질의 토사가 없는 경우 시멘트계 고화제를 중량비로 10 ~ 12%정도로 혼합시켜 성토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1)의 일구성인 탈수장치(700)는 유동판과 고정판 사이의 틈새로 물은 배출된다. 또한, 농축슬러지는 스크류에 의해 이송된 후 중력탈수와 압력탈수되는 유동판식 농축 탈수기(710)를 통과하여 최종탈수케이크(cake)를 토출시키고, 유동판식 농축 탈수기(710)를 통과한 탈리여액을 저장하는 탈리여액저류조(720)와 저장된 탈리여액을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400)로 이송시키는 탈리여액 이송펌프(73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동판식 농축탈수기(710)는 필터프레스 탈수기나 벨트프레스 탈수기 또는 원심탈수기와 비교하여 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1:오니준설토 처리시스템
10:펌프준설선
20:배사관
100:침사조
200:1차 균등분배조
210:제1수조
220:제1교반기
300:침전조
310:브랜치
320:경사판 침강장치
330:수중펌프
340:압송관
350:유출트라프
360:시트파일
400: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
410:제2수조
420:유입관
430:유출관
500:농축조
510:제3수조
520:호퍼
530:중심구동 지주식 원형슬러지 수집기
540:스프르트펌프
600:2차 균등분배조
610:제4수조
620:제2교반기
700:탈수장치
710:유동판식 농축 탈수기
720:탈리여액 저류조
730:탈리여액 이송펌프

Claims (15)

  1. 준설수에 응집제가 혼합되고 상기 준설수 내에 포함된 모래가 침강되는 침사조;
    상기 침사조와 연결되어 침전슬러지가 바닥으로 침전되고, 침전된 상기 침전슬러지를 압송관을 통해 토출시키고, 상등수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침전조에서 토출된 상기 침전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시켜 농축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
    상기 침사조와 상기 침전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준설수를 균등배분시키는 1차 균등분배조; 및
    상기 농축조에서 토출된 농축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상기 농축슬러지를 탈수케이크로 생성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로 준설수를 유입시키는 배사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사관에 투입된 상기 응집제와 상기 준설수를 혼합하기 위한 인라인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3. 준설수가 유입되어 상기 준설수 내에 포함된 모래가 침강되는 침사조;
    침사조를 통과한 준설수에 응집제를 투입시키는 응집제 투입장치;
    응집제와 혼합된 준설수를 균등배분하여 월류시키는 1차 균등분배조;
    상기 1차 균등분배조와 연결되어 침전슬러지가 바닥으로 침전되고, 침전된 상기 침전슬러지를 압송관을 통해 토출시키고, 상등수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토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침전조에서 토출된 상기 침전슬러지를 저류시키고 중력 분리시켜 농축슬러지를 생성시키는 농축조; 및
    상기 농축조에서 토출된 농축슬러지가 유입되어 물을 배출시켜 상기 농축슬러지를 탈수케이크로 생성시키는 탈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장치의 유입단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탈수장치로 유입되는 농축슬러지에 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한 응집제 투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균등분배조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응집제와 오니준설토를 혼합시키기 위한 제1교반기가 설치된 제1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와 상기 농축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슬러지를 균등배분시키는 침전슬러지 균등분배조; 및
    상기 농축조와 상기 탈수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농축슬러지의 유량과 농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2차 균등분배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로 유입되는 준설토는 함니율 5 ~ 18%의 오니준설토가 포함되고,
    상기 침전조에서 생성되는 침전슬러지는 함니율 20 ~ 25%의 오니준설토가 포함되며,
    상기 농축조에서 생성되는 농축슬러지는 함니율 45 ~ 55%의 오니준설토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에는 침전된 상기 모래를 배출시키기 위한 스크류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벽체는 시트 파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11.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는 상등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는 유출트라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트라프의 전방에 설치되는 경사판 침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13.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상기 침전슬러지가 집수되는 복수의 브랜치, 상기 브랜치에 의해 집수된 상기 침전슬러지를 압송관으로 펌핑하기 위한 수중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1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폴리수산화염산규산 알루미늄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1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장치는 유동판식 농축 탈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KR1020120074005A 2012-07-06 2012-07-06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KR10123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005A KR101234470B1 (ko) 2012-07-06 2012-07-06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005A KR101234470B1 (ko) 2012-07-06 2012-07-06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470B1 true KR101234470B1 (ko) 2013-02-18

Family

ID=4789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005A KR101234470B1 (ko) 2012-07-06 2012-07-06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4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112B1 (ko) * 2015-01-19 2015-02-26 박영자 정화조 침전과 기계식 탈수장치를 이용한 준설토 탈수처리시스템
KR20170103343A (ko) 2016-03-04 2017-09-13 한상관 저수지 또는 하천이나 댐이나 바다를 준설할 때에 발생되는 오염된 슬러지와 준설토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을 제거하거나 분리하여 저수지 또는 댐이나 하천 또는 바다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정화공법
WO2018032805A1 (zh) * 2016-08-16 2018-02-22 中电建水环境治理技术有限公司 河湖泊涌污染底泥处理余水多级净化处理系统
CN108049913A (zh) * 2018-01-13 2018-05-18 山东莱芜煤矿机械有限公司 一种煤矿井下水仓清挖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344B1 (ko) * 1998-03-25 2000-04-15 지선집 하천 정화 방법 및 하천 정화 시스템
KR20120011938A (ko) * 2010-07-28 2012-02-09 정세영 준설토사 함유 폐수 처리시설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344B1 (ko) * 1998-03-25 2000-04-15 지선집 하천 정화 방법 및 하천 정화 시스템
KR20120011938A (ko) * 2010-07-28 2012-02-09 정세영 준설토사 함유 폐수 처리시설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112B1 (ko) * 2015-01-19 2015-02-26 박영자 정화조 침전과 기계식 탈수장치를 이용한 준설토 탈수처리시스템
KR20170103343A (ko) 2016-03-04 2017-09-13 한상관 저수지 또는 하천이나 댐이나 바다를 준설할 때에 발생되는 오염된 슬러지와 준설토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성 물질분자들을 제거하거나 분리하여 저수지 또는 댐이나 하천 또는 바다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정화공법
WO2018032805A1 (zh) * 2016-08-16 2018-02-22 中电建水环境治理技术有限公司 河湖泊涌污染底泥处理余水多级净化处理系统
CN108049913A (zh) * 2018-01-13 2018-05-18 山东莱芜煤矿机械有限公司 一种煤矿井下水仓清挖设备
CN108049913B (zh) * 2018-01-13 2024-05-10 山东莱芜煤矿机械有限公司 一种煤矿井下水仓清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0091A (en) Method of plain sedimentation and physical-chemical sedimentation of domestic or industrial waste water
CN1246228C (zh) 对用压载的絮凝物通过絮凝-倾析处理水时产生的污泥进行增稠的方法和设备
CN105130141A (zh) 一种淤泥泥浆的连续无害处理方法和系统
US5575921A (en) Sludge dredging and dewatering process
KR101288298B1 (ko) 잉여슬러지를 이용한 초기우수 및 월류수 처리장치
KR101234470B1 (ko) 오니준설토 처리 시스템
KR101234432B1 (ko) 오니준설토 처리 방법
CN112028341B (zh) 一种水利水电工程施工中的砂石料生产废水处理系统及废水处理方法
CN109867386A (zh) 一种水上移动式泥浆处理装置及处理工艺
KR101250064B1 (ko) 준설토사 함유 폐수 처리시설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CN111574013A (zh) 双掺法、动态混合的淤泥高干度脱水工艺
RU2395465C2 (ru) Полигон переработки илового осадка сточных вод
KR101066959B1 (ko) 폐수 처리 장치
CN212293272U (zh) 一种泥水浆泥水分离系统
CN212609938U (zh) 一种tbm施工隧洞污水处理系统
JP2008155188A (ja) 泥土泥水処理方法
CN111689638A (zh) 一种围堰施工废水处理工艺
CN220078835U (zh) 一种混凝土废水处理装置
CN220283847U (zh) 一种隧道污水处理装置
CN109351000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澄清池
CN218435437U (zh) 一种清淤泥浆一体化净化处理系统
CN212559837U (zh) 一种围堰施工废水处理系统
CN204058131U (zh) 一种混凝土搅拌系统废水处理装置
KR101496112B1 (ko) 정화조 침전과 기계식 탈수장치를 이용한 준설토 탈수처리시스템
JP3031912B1 (ja) 濁水処理システム及び濁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