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385B1 -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385B1
KR101234385B1 KR1020100054263A KR20100054263A KR101234385B1 KR 101234385 B1 KR101234385 B1 KR 101234385B1 KR 1020100054263 A KR1020100054263 A KR 1020100054263A KR 20100054263 A KR20100054263 A KR 20100054263A KR 101234385 B1 KR101234385 B1 KR 10123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lament
silk protein
nonwoven web
s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608A (ko
Inventor
박서진
김동욱
권경모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38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5Protein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장섬유 스펀본드의 부직포에 우수한 터치(touch)감을 부여하고 더불어 항균 특성을 갖는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용융가소성 수지를 용융시켜 다수 개의 오리피스로 압출시킴으로써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로 하는 단계; 상기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카렌더를 통하여 열과 압력을 부여하여 열점착시킴으로써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 키스 롤 방식에 의해 견사 단백질과 바인더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배스(BATCH)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배스 내에 회전하는 롤러를 상기 부직포 웹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웹에 견사 단백질을 도포시키는 단계; 및 열풍드럼방식, 실린더 접촉 건조방식, IR과같이 열을 직접적으로 가열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에 의해 부직포를 건조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의해 견사 단백질을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 도포하여 부직포의 촉감을 부드럽게 개선하고 또한 항균성을 부여하면서, 세포독성이 없어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제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Spunbond non-woven fabric having an excellent touch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통상의 장섬유 스펀본드의 부직포에 우수한 터치(touch)감을 부여하고 더불어 항균 특성을 갖는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펀본드 부직포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장섬유 부직포는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성질, 강연성, 질감 등의 특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장섬유 부직포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용융 방사성, 섬유특성 등에서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한 스펀본드 부직포는 폴리아미드계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하여 우수한 유연성으로 일회용 기저귀 및 생리대와 같은 위생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냅킨(napkin), 유아용기저귀, 생리대 등 위생제품으로 사용되는 부직포의 경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 저비중, 내부식성, 내수성 등이 요구되어 지며 특히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위생제품의 표면재로 사용될 경우 부드러운 촉감과 피부자극이 없어야 하기에 이들 기계적 특성 및 부드럽고 유연한 촉감을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로 제조된 부직포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부직포의 경우 특유의 낮은 융점으로 인해 주로 캘린더 본딩 공법 또는 에어스루 본딩 공법을 통해 서멀 본드 부직포로 가공되어 진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부직포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연속방사에 의한 생산성 향상으로 인하여 소프트한 터치감(즉, 부드러운 감촉)의 특징이 우수한 장섬유 부직포인 스펀본드 부직포의 적용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20886호의 스펀본드 부직포 및 흡수성 물품에서는 지방산 아미드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 그 함유율이 0.05 내지 1.0 질량%인 정마찰계수가 0.1 내지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마찰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유연성, 질감, 촉감 등의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장섬유 부직포의 적용이 늘면서 추가적으로 부직포의 경량화가 가능해 지면서 일반적인 위생제품뿐만 아니라 수술용이나 일반 마스크 또는 각종 의료용품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으로 인체의 피부에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확대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바람직하기로는 부드럽고 유연한 촉감과 건성의 피부를 갖는 등 피부 민감성이 있는 사람에게는 자극성을 나타내지 않아야 하는 특성이 요구되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부직포를 구성하는 단섬유 및 장섬유 표면에 황토, 키토산 또는 녹차추출물 등의 천연물질의 추출물을 일정비율로 도포하여 피부자극성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29970호는 기능성 폴리올레핀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제1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기능성 마스터배치를 혼합하여 용융시키되, 상기 기능성 마스터배치는 제2폴리올레핀계 수지, 황토 성분, 은 성분이 포함되며, 상기 수지와 마스터배치를 함께 용융시키는 용융 단계; 상기 용융물을 250 ℃ 내외의 방사온도에서 80 내지 200 m/min의 속도로 방사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미연신사를 연신비 1.1 내지 3.0, 예열 온도 50 내지 80 ℃로 연신하는 단계; 상기 연신된 필라멘트에 권축을 부여하는 크림핑 단계; 상기 권축이 부여된 필라멘트에 방사유제 에멀젼이 포함된 액상수지를 표면에 부착시키는 표면처리 단계; 상기 표면 처리된 필라멘트를 열고정 후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절단하는 단섬유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폴리올레핀계 단섬유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의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단섬유 부직포에 황토와 같은 천연물질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으로 소프트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그 제조방법 또한 마스터 배치에 천연물질의 특정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공정으로 제조공정 상 필라멘트의 방사 등의 공정에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이에 의해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0088011호의 "천연 추출물 처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를 출원하였다. 그런데, 상기 출원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산업적으로 유용한 것이지만 친수성과 소프트한 특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것이기에 소프트한 특성만을 나타내는 데에는 개선될 소지가 있었으며, 친수성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피부와 접하는 제품, 예를 들어 마스크 등의 용품으로 사용 시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터치(touch)감, 유연성과 더불어 부가적으로 항균성을 가지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20886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29970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008801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제일 목적은 친수성을 가지므로 부드러운 감촉이 우수하고 항균 특성을 가지면서도 세포독성이 없어 피부자극 반응을 유발하지 않아 마스크 등의 의료용품이나 기저귀 등의 위생용품의 탑 시트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특성을 갖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우수한 작업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므로 제조 공정상의 어려움이 없이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인라인(in-line) 방식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용융가소성 수지를 용융시켜 다수 개의 오리피스로 압출시킴으로써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로 하는 단계;
상기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카렌더를 통하여 열과 압력을 부여하여 열점착시킴으로써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
키스 롤(kiss-roll) 방식에 의해 견사 단백질(silk protein)과 바인더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배스(BATCH)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배스 내에 회전하는 롤러를 상기 부직포 웹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웹에 견사 단백질을 도포시키는 단계; 및
열풍드럼방식, 실린더 접촉 건조방식, 적외방사(Infrared radiation; IR)와 같이 열을 직접적으로 가열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에 의해 부직포를 건조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견사 단백질은 피브로인과 세리신을 주성분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견사 단백질 혼합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구성비율은 견사단백질과 바인더(binder)가 1: 2.5 내지 3.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인더의 경우 견사단백질 고형분을 부직포 상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성분이 소량 존재하기에 바인더의 함량이 부직포 상에 3중량% 이상으로 되면 세포독성을 발생시킬 수 있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견사단백질과 바인더(binder)와 물은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며,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견사단백질 : 바인더 : 물의 함량이 1 내지 4 : 3 내지 12 : 85 내지 96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키스 롤 방식에 의한 부직포에 견사 단백질의 도포는 키스 롤의 분당 회전수를 조정하여 견사 단백질의 도포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도포량은 5 내지 30%로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므로 부직포 표면에 도포되는 견사단백질의 함량은 3중량% 이하로 된다. 만일 5% 이하로 도포되면 항균성 및 소프트성의 개선이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30%를 초과하면 제조비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용융가소성 수지를 용융시켜 다수 개의 오리피스로 압출시킴으로써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로 하는 단계;
상기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카렌더를 통하여 열과 압력을 부여하여 열점착시킴으로써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
키스 롤(kiss-roll) 방식에 의해 견사 단백질(silk protein)과 바인더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배스(BATCH)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배스 내에 회전하는 롤러를 상기 부직포 웹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웹에 견사 단백질을 도포시키는 단계; 및
열풍드럼방식, 실린더 접촉 건조방식, 적외방사와 같이 열을 직접적으로 가열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에 의해 부직포를 건조하는 단계로 구성된 공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스판본드 부직포의 기초중량이 15 내지 70g/㎡이고, 섬유 직경이 12 내지 30㎛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의해 견사 단백질을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 도포하여 부직포의 촉감을 부드럽게 개선하고 또한 항균성을 부여하면서, 세포독성이 없어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제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견사 단백질을 부직포 일면에 도포한 후 부직포 조직의 표면을 SEM 촬영(×800)한 것으로, 붉은 색 원안에 있는 것이 견사 단백질 미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견사 단백질을 도포하여 터치감을 우수하게 개선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통상의 부직포 제조방법과 같이, 용융가소성 수지를 용융시켜 다수 개의 오리피스로 압출시킴으로써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형성된 필라멘트를 고체화시키기 위하여 냉각 챔버(chamber)로부터 부여되는 냉각공기로 필라멘트를 냉각하여 고체화시키며, 이렇게 냉각에 의해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로 만든다. 이렇게 제조된 연신 필라멘트의 섬유 직경은 12 내지 25㎛의 평균 직경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신된 필라멘트는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웹(web)을 형성한다. 이렇게 집적된 부직포 웹은 자체 결합성을 가지고 있지 아니하므로 열카렌더를 통하여 열과 압력을 부여하여 열점착시킴으로써 부직포 웹에 형태안정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터치감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과정 중 상기 용융가소성 수지는 1 성분 이상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 내에는 대전방지제, 착색제 및 산화방지제와 같이 통상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1 성분 이상이라는 것은 2 성분 또는 다성분을 의미하는 것이며, 2 성분이라는 것은 2 종 이상의 중합체를 각각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시켜 함께 방사함으로써 하나의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2 성분 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의 분산형태는 내부와 외부가 각각 다른 성분으로 구성되는 시스-코어 형태, 양쪽으로 구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 및 1 성분이 타성분에 분산된 형태인 해섬(sea island) 형태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식에 의해 방사된 필라멘트는 웹의 형태로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집적되고 이동하면서 열 카렌더를 통하여 열과 압력을 부여받아 열점착되어 형태안정성을 갖는 부직포 웹으로 성형된다. 이렇게 형성된 부직포 웹은 다음으로 키스 롤 방식에 의해 견사 단백질을 도포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견사 단백질은 그의 주요성분이 피브로인과 세리신 단백질로 되고 이들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탈수 축합하여 펩티드 결합을 하고 있는 폴리펩티드의 일종이다. 실크 단백질의 주요 성분 중의 하나인 세리신 단백질의 주요 5대 구성 아미노산은 세린, 글리신, 아스파라긴산, 쓰레오닌, 알라닌이 각각 약 18%, 13%, 12%, 8%, 6% 내외가 존재하며 그 외 다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리신 단백질의 주요 아미노산은 인체 표피에 존재하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e factor)의 아미노산 조성과 매우 일치한다. 한편, 피브로인 단백질은 18종의 아미노산이 비교적 골고루 존재하며, 양모섬유의 케라틴 단백질과는 달리 글리신과 알라닌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몸을 감싸 안는 것 같은 부드러운 감촉을 주는 실크 단백질의 이러한 조성은 인체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단백질인 콜라겐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과 매우 유사하며, 피부 콜라겐 단백질의 아미노산 중에서 가장 많은 성분이 피브로인 단백질중의 글리신과 알라닌이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의 견사단백질은 천연견사의 단재(端材)에서 착안하였다. 일부 실크 섬유 및 식품에서 사용된 후 남은 견사를 독자적인 미분화 기술을 사용하여 3 내지 5㎛ 크기의 파우더로 만든 후 물과 분산제와 혼합하여 에멀전으로 만들어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견사 단백질은 실크(silk) 고형분이 10% 미만인 에멀젼으로 出光(日) 사의 "PROTEIN Finishing agent FP-1018(등록상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견사 단백질을 부직포의 표면에 도포하기 위해서는 바인더(binder)를 사용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로서는 NICCA(日) 사의 "SHEARLON P-530E(등록상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견사 단백질 혼합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구성비율은 견사단백질과 바인더가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1:3의 비율로 혼합된다. 만일, 바인더의 함량이 상기 비율에 미치지 못하면 견사단백질의 도포가 불량하고 상기 비율을 초과하게 되면 세포독성을 발생하여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제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견사단백질과 바인더의 혼합물은 물과 함께 혼합되어 사용되며,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견사단백질 : 바인더 : 물의 함량이 1 내지 4 : 3 내지 12 : 85 내지 96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질 수 있다. 특히, 견사단백질은 그 특성상 부직포에 도포하기가 극히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바인더를 상기의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키스 롤 방식에 의한 부직포에 견사 단백질의 도포는 키스 롤의 분당 회전수를 조정하여 견사 단백질의 도포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도포량은 5 내지 30%로 되도록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부직포 표면에 도포되는 견사단백질의 함량은 3중량% 이하로 된다. 상기의 범위 내로 견사단백질이 도포되게 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키스 롤의 분당 회전수를 적절하게 조절함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적정량의 견사단백질이 도포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다음으로 열풍드럼방식, 실린더 접촉 건조방식, 적외방사(Infrared radiation; IR)와 같이 열을 직접적으로 가열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건조방식에 의해 건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 조직의 표면을 SEM 촬영(×800)한 것을 도 1에 나타냈다. 도면에서, 붉은 색 원안에 있는 것이 견사 단백질 미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견사 단백질이 도포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마스크 또는 기저귀와 같은 위생용품의 탑 시트로 사용되는 부직포에 요구되는 특징인 우수한 감촉성과 항균성을 나타내며, 피부자극성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은 상기한 우수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를 인 라인(in-line) 방식으로 부직포의 표면에 견사단백질을 부착 도포하는 방식에 의하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견사 단백질에 특정한 바인더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키스 롤 방식에 의해 스펀본드 부직포의 표면에 원하는 양만큼 도포되도록 하여 도포 작업성 또한 우수하게 하여 제조 공정상의 어려움이나 비용상승 등의 문제점이 전혀 없는 것으로, 종래에 문제되었던 제조상의 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다음의 실시예 중의 각종 특성의 측정 및 평가치는 다음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평가방법]
1. 마찰계수: Toyoseiki(日) 사의 AN-F형 마찰계수측정기를 이용하여ASTMD1894의 정마찰 계수 측정법에 준거하여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2. 강연도 : BENDING LENGTH 측정기를 이용하여 JIS L 1096 (45도켄틸레버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기초중량을 30g/㎡, 섬유 직경을 20㎛로 하여 부직포 웹을 생산하고, 그 일 표면에 키스 롤 방법으로 견사 단백질을 바인더를 매개로 하여 도포하였다. 이때, 견사 단백질 FP-1018과 바인더 P-530E와 물을 각각 3:9:88 비율로 균질하게 배합하여 배스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배스 내에 회전하는 롤러를 상기와 같이 생산된 부직포 웹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웹에 견사 단백질을 도포시킨다. 또한, 키스 롤의 분당 회전수를 조절하여 견사 단백질 혼합물의 도포량은 10%가 되도록 하였다. 부직포 웹에 도포된 혼합액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도포된 부직포는 실린더 드럼방식으로 건조시켰다.
실시예 2
키스 롤의 분당 회전수를 조절하여 견사 단백질 혼합물의 도포량을 20%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3
키스 롤의 분당 회전수를 조절하여 견사 단백질 혼합물의 도포량을 30%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부직포의 기초중량을 30gsm으로 하고 견사 단백질과 바인더 처리를 하지 않은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2
견사 단백질 FP-1018과 바인더 P-530E와 물을 각각 5:15:80 비율로 균질하게 배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실험예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대해 상술한 측정방법으로 마찰계수, 소프트 성 그리고 작업성을 측정 및 판단하여 다음 표에 나타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부직포는 작업성이 양호하였을 뿐 아니라, 하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찰계수와 강연도가 낮아 소프트 성이 양호하고 작업성이 우수하였다.
반면, 비교예 2의 경우는 소프트성은 우수하였으나 표면 slip성이 증가하여 기저기 생산 시 hot melt에 의한 접착이 불량할 뿐 아니라 작업이 원할하게 수행되지 않아 작업성이 불량하였으며, 제조비용이 상승하였다.
항   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마찰계수 0.252 0.238 0.214 0.546 0.201
강연도
(mm)
MD방향 55.0 53.1 51.5 77.2 53.2
CD방향 38.2 38.1 37.0 55.2 36.9

Claims (5)

  1. 용융가소성 수지를 용융시켜 다수 개의 오리피스로 압출시킴으로써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로 하는 단계;
    상기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카렌더를 통하여 열과 압력을 부여하여 열점착시킴으로써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
    3 내지 5㎛ 크기의 파우더로 만든 견사 단백질(silk protein)을 물 및 바인더와 혼합하여 견사단백질 : 바인더 : 물의 함량이 1 내지 4 : 3 내지 12 : 85 내지 96의 중량 비율로 만들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배스(BATCH)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배스 내에 회전하는 롤러를 상기 부직포 웹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 웹에 견사 단백질을 도포시키는 단계; 및
    열풍드럼방식, 실린더 접촉 건조방식 또는 적외방사(Infrared radiation; IR)에 의해 열을 직접적으로 가열시켜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에 의해 부직포를 건조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사 단백질 혼합물을 구성하는 성분의 구성비율은 견사단백질과 바인더가 1: 3.0 내지 3.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표면에 도포되는 견사단백질의 함량은 견사단백질 혼합물 대비 3중량%를 넘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00054263A 2010-06-09 2010-06-09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KR10123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263A KR101234385B1 (ko) 2010-06-09 2010-06-09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263A KR101234385B1 (ko) 2010-06-09 2010-06-09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608A KR20110134608A (ko) 2011-12-15
KR101234385B1 true KR101234385B1 (ko) 2013-02-18

Family

ID=4550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263A KR101234385B1 (ko) 2010-06-09 2010-06-09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795B1 (ko) 2014-05-07 2015-12-08 정정숙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837B1 (ko) 2014-12-09 2016-12-2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소프트성이 우수하고 보풀 발생이 적은 부직 웹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870A (ja) * 1999-12-20 2001-06-26 Toray Ind Inc 吸湿性繊維構造物
KR20040087804A (ko) * 2003-04-10 2004-10-15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위생재 코아랩용 다층구조의 친수성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649073B1 (ko) * 2005-11-24 2006-11-2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제조방법
KR100667574B1 (ko) * 2005-09-23 2007-01-11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알로에가 함유된 친수성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2870A (ja) * 1999-12-20 2001-06-26 Toray Ind Inc 吸湿性繊維構造物
KR20040087804A (ko) * 2003-04-10 2004-10-15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위생재 코아랩용 다층구조의 친수성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667574B1 (ko) * 2005-09-23 2007-01-11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알로에가 함유된 친수성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649073B1 (ko) * 2005-11-24 2006-11-27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795B1 (ko) 2014-05-07 2015-12-08 정정숙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608A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7069B (zh) 熱接著性複合纖維及其製造方法,以及纖維集合物
JP2001286549A (ja) 医療用包帯材料
CN109183281B (zh) 一种pe纺粘无纺布及其制造方法
JP7056977B2 (ja) 海藻変性ポリプロピレン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101194359B1 (ko)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
CN1646753A (zh) 多层无纺布及其用途
KR102640140B1 (ko) 복합 적층체 및 일회용 기저귀
JP2010538171A (ja) 多成分繊維
US7238313B2 (en) Thermoplastic constructs with improved softness
CN103502517A (zh) 纤维、非织造布及其用途
KR20130035414A (ko)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87602A (ko) 나노다이아몬드-함유 열가소성 섬유의 제조 방법 그리고 실 및 패브릭에서의 이러한 섬유의 용도
KR101234385B1 (ko) 터치감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JP2001504555A (ja) ポリオレフィン繊維およびその製造法
KR101684906B1 (ko) 위생용품용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부직포,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H0369675A (ja) 抵摩耗性遠赤外線放射性合成繊維
KR102475485B1 (ko) 히알루론산염 파이버를 활용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33851B1 (ko) 천연 추출물 처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TWI717037B (zh) 抑制熱熔透印之不織布
TW202006207A (zh) 透氣抗靜水結構
KR101786489B1 (ko) 텐셀섬유와 우유단백질 섬유를 이용한 투명성과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CN112771221A (zh) 纺粘无纺布
KR101112698B1 (ko) 열융착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부직포
JP2000296280A (ja) 掛布団等用のシルク綿
EP0962157B1 (de) Textile Einlagevliese aus spinngestreckten und texturierten Polyamid 6 Stapelfas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