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796B1 -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 Google Patents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796B1
KR101233796B1 KR1020100123503A KR20100123503A KR101233796B1 KR 101233796 B1 KR101233796 B1 KR 101233796B1 KR 1020100123503 A KR1020100123503 A KR 1020100123503A KR 20100123503 A KR20100123503 A KR 20100123503A KR 101233796 B1 KR101233796 B1 KR 10123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signal
voice
detection signal
dange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298A (ko
Inventor
김완철
Original Assignee
김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철 filed Critical 김완철
Priority to KR102010012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7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급박한 상황에서, 마이크를 통한 음성인식 및 곳곳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와 센서를 통해 생성된 위험감지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수신자에게 전화를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부신호 입력에 따른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인식하여 수신자를 선택하고, 수신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연락처를 확인함으로써, 수신자에게 전화연락을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EMERGENCY CALLING APPARATUS USING TELEPHONE NETWORK AND INTERNET}
본 발명은 비상 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 시 또는 비상 시 긴급하게 전화를 해야 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송수화기를 들거나 다이얼을 돌리지 않고, 단말기와 떨어져 곳곳에 설치된 단순한 버튼, 스위치, 센서를 한번만 접촉하거나 몸이 불편한 경우에는 음성인식 등을 사용하여,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하는 비상 통화 장치 또는 알림장치는 무선 또는 전용선을 이용하는 장치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전용선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또는 알림장치는 즉각적인 연락과 통화가 가능하나, 피호출자를 바꾸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피호출자 중 어느 누구를 선택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설치비와 지속적인 유지비가 소요되는 문제로 인해, 일반 가정집이나 소규모 상점, 도움이 필요한 유아 및 노약자들에게 널리 보급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선으로 비상을 알리는 U-안심폰과 같은 무선 알림장치는 장소에 관계없이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단말기에 쓰는 전원을 지속적으로 충전을 해야 하며, 늘 지니고 다녀야만 했다. 또한, 유지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과 같은 습기로부터 멀리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일,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 단말기를 지니고 있지 못했거나 손이 닿는 곳에 있지 않았을 경우, 가장 중요한 알림장치로서의 역할이 없어지고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필요한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전화망-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몸이 불편하여 움직이는데 제약이 있는 사람인 경우, 평상시 또는 비상시에 송수화기를 들고 다이얼 하지 않고도, 단말기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음성인식 또는 음성 패턴 인식과 같은 수단으로 위급을 알릴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 그러한 기술은 전무하다.
맞벌이 부부와 같이 어린이들만 집에 있을 때, 유무선 단말기를 사용할 시간이나 상황이 안 되는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단말기와 떨어져 곳곳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센서를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보호자 또는 치안센터에 연락할 수 있는, 일반전화망-인터넷 망을 이용한 방법에 대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 비상연락망을 구축되어 있는 한 예는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고 7~8초 후에 특정 번호로 전화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의 문제는 항상 전화근처에 있어야만 하고, 그 특정 번호도 전화서비스 공급자만이 변경할 수 있다. 만일, 비상 상황이 전개 되었을 때, 전화기가 근처에 없다면 위급함을 알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일반전화선 또는 인터넷전화선 또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하여, 평상시 또는 비상시(유무선 단말기를 사용할 시간이나 상황이 안 되는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때)에 수화기를 들고 다이얼을 누르지 않고도, 단말기와 떨어져 곳곳에 설치된 스위치를 단 한번의 누르는 것만으로도 또는 몸이 불편한 경우에는 음성인식만으로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제어하여 보다 많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급박한 상황에서, 마이크를 통한 음성인식 및 곳곳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와 센서를 통해 생성된 위험감지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수신자에게 전화를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일반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추가 설비 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 곳곳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부신호 입력에 따른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로부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인식하여 수신자를 선택하고, 수신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연락처를 확인함으로써, 수신자에게 전화연락을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화 제어부; 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신호 입력부가 사용자에 의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부신호 입력에 따른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신호 처리부가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인식하여 수신자를 선택하고, 수신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영상 처리부가 현장 영상을 취득 및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전화 제어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수신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연락처를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전화 제어부가 일반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자에게 전화연락을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추가 설비 없이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 또는 비상시 다이얼을 누를 시간이 없을 정도로 급박하거나 주위에 전화가 없을 경우, 송수화기를 들고 다이얼을 누르지 않고도 단말기와 떨어져 곳곳에 설치된 버튼이나 각종 센서나 스위치를 한번만 조작하여도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전화번호로 전화가 되어 관계자와 연락을 취할 수 있거나 미리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몸이 불편한 경우 음성만으로도 관계자와 연락을 취하여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를 지닐 필요가 없어서 분실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물에 젖어 고장의 염려가 없고, 충전 또한 필요하지 않고, 단말기와 같은 관리 또한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한 이후에는 유지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많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입력부의 스위치 및 센서를 보여주는 일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음성 인식모듈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5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음성패턴 인식모듈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위험감지신호 인식모듈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 제어부에 관한 세부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A)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전체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입력부(100), 신호 처리부(200), 영상 처리부(300) 및 전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호 입력부(100)는 사용자에 의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부신호 입력에 따른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10), 버튼 스위치(120), 광 센서(130), 레버 스위치(140) 및 테이프 스위치(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11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이러한 음성신호는,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신호와, 수신자와의 전화 시 상대방에 전달하기 위한 음성신호 등을 포함한다.
버튼 스위치(120)는 버튼 압력을 통해 접점이 이루어지는 스위치로서, 버튼 압력 전달 시, 제 1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한다.
광 센서(130)는 빛을 순간적으로 차단하기만 하여도 접점이 이루어지는 센서로서, 빛을 상시 감지함으로써 빛의 감지 중단 시, 제 2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레버 스위치(140)는 주로 천정에 매달려 장착되어, 접촉 시 접점이 이루어지는 막대형상의 스위치로서, 막대 접촉 시, 제 3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한다.
테이프 스위치(150)는 벽을 따라 설치되는 스위치로서, 접점이 연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터치 시, 제 4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위험감지신호가 생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다수개의 위험감지신호가 생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신호 처리부(200)는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인식하여 수신자를 선택하고, 수신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모듈(210), 음성패턴 인식모듈(220) 및 위험감지신호 인식모듈(2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모듈(210)은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음성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 수신기(211), 기준 음성데이터 저장기(212), 음성신호 검색기(213) 및 수신자 추출기(21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신호 수신기(211)는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기준 음성데이터 저장기(212)는 기준 음성데이터 및 상기 기준 음성데이터에 따라 수신자를 설정하고 있다.
음성신호 검색기(213)는 상기 음성신호 수신기(211)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기준 음성데이터 저장기(212)로부터 검색한다.
수신자 추출기(214)는 상기 음성신호 검색기(213)를 통해 검색된 음성신호에 따라, 상기 기준 음성데이터 저장기(212)로부터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음성패턴 인식모듈(220)은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음성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 수신기(221), 음성패턴 저장기(222), 음성패턴 검색기(223) 및 수신자 추출기(22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신호 수신기(221)는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음성패턴 저장기(222)는 사용자의 음성패턴 및 상기 음성패턴에 따라 수신자를 설정하고 있다.
음성패턴 검색기(223)는 상기 음성신호 수신기(221)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음성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패턴을 상기 음성패턴 저장기(222)로부터 검색한다.
수신자 추출기(224)는 상기 음성패턴 검색기(223)를 통해 검색된 음성패턴에 따라, 상기 음성패턴 저장기(222)로부터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한다.
위험감지신호 인식모듈(230)은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수신된 위험감지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험감지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감지신호 수신기(231), 수신자 설정기(232), 신호 인식기(233) 및 수신자 추출기(23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험감지신호 수신기(231)는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수신자 설정기(232)는 다수개의 위험감지신호 즉, 제 1 내지 제 4 위험감지신호에 대한 수신자를 각각 설정하고 있다.
신호 인식기(233)는 상기 위험감지신호 수신기(231)를 통해 수신된 위험감지신호가 제 1 내지 제 4 위험감지신호 중, 어느 신호인지 인식한다.
수신자 추출기(234)는 상기 신호 인식기(233)를 통해 인식된 위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자 설정기(232)로부터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300)는 현장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현장 영상을 취득 및 저장한다.
전화 제어부(400)는 상기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수신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연락처를 확인함으로써, 수신자에게 전화연락을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락처 저장기(410), 연락 전송기(420) 및 신호 출력기(4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연락처 저장기(410)는 다수의 수신자 연락처 및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
연락 전송기(420)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기로서, 상기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데이터를 확인하여, 일반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자에게 전화연락을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연락 전송기(42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경우, 전화연결 시에 상기 영상을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출력기(430)는 전화연락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시, 또는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부저신호를 출력하며, 상대방과의 전화연결 시, 상대방의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A)를 이용한 비상 통화 방법에 관하여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입력부(100)는 사용자에 의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부신호 입력에 따른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한다(S10).
이후, 신호 처리부(200)는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인식하여 수신자를 선택하고, 수신자 데이터를 생성한다(S20).
또한, 영상 처리부(300)가 현장 영상을 취득 및 저장한다(S30).
뒤이어, 전화 제어부(400)가 상기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수신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연락처를 확인한다(S40).
또한, 전화 제어부(400)가 일반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수신자에게 전화연락을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S50).
이후, 상대방과의 전화연결 시, 전화 제어부(400)는 상기 영상 처리부(300)를 통해 취득한 영상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며, 상대방의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S6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100: 신호 입력부 110: 마이크
120: 버튼 스위치 130: 광 센서
140: 레버 스위치 150: 테이프 스위치
200: 신호 처리부 210: 음성 인식모듈
211: 음성신호 수신기 212: 기준 음성데이터 저장기
213: 음성신호 검색기 214: 수신자 추출기
220: 음성패턴 인식모듈 221: 음성신호 수신기
222: 음성패턴 저장기 223: 음성패턴 검색기
224: 수신자 추출기 230: 위험감지신호 인식모듈
231: 위험감지신호 수신기 232: 수신자 설정기
233: 신호 인식기 234: 수신자 추출기
300: 영상 처리부 400: 전화 제어부
410: 연락처 저장기 420: 연락 전송기
430: 신호 출력기

Claims (13)

  1.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부신호 입력에 따른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입력부(100);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인식하여 수신자를 선택하고, 수신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200); 및
    상기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수신자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연락처를 확인함으로써, 수신자에게 전화연락을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화 제어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110);
    버튼 압력을 통해 접점이 이루어지는 스위치로서, 버튼 압력 전달 시, 제 1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스위치(120);
    빛을 차단시 접점이 이루어지는 센서로서, 빛을 상시 감지함으로써 빛의 감지 중단 시, 제 2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광 센서(130);
    천정에 매달려 장착되어, 접촉 시 접점이 이루어지는 막대형상의 스위치로서, 막대 접촉 시, 제 3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레버 스위치(140); 및
    벽을 따라 설치되는 스위치로서, 접점이 연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터치 시, 제 4 위험감지신호를 생성하는 테이프 스위치(150); 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의 위험감지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200)는,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음성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모듈(210);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음성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패턴에 따라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패턴 인식모듈(220); 및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수신된 위험감지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위험감지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험감지신호 인식모듈(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는,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신호와, 상대방과의 전화 시 상대방에 전달하기 위한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모듈(210)은,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신호 수신기(211);
    기준 음성데이터 및 상기 기준 음성데이터에 따라 수신자를 설정하고 있는 기준 음성데이터 저장기(212);
    상기 음성신호 수신기(211)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기준 음성데이터 저장기(212)로부터 검색하는 음성신호 검색기(213); 및
    상기 음성신호 검색기(213)를 통해 검색된 음성신호에 따라, 상기 기준 음성데이터 저장기(212)로부터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자 추출기(2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패턴 인식모듈(220)은,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신호 수신기(221);
    사용자의 음성패턴 및 상기 음성패턴에 따라 수신자를 설정하고 있는 음성패턴 저장기(222);
    상기 음성신호 수신기(221)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음성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음성패턴을 상기 음성패턴 저장기(222)로부터 검색하는 음성패턴 검색기(223); 및
    상기 음성패턴 검색기(223)를 통해 검색된 음성패턴에 따라, 상기 음성패턴 저장기(222)로부터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자 추출기(2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감지신호 인식모듈(230)은,
    상기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위험감지신호 수신기(231);
    다수개의 위험감지신호에 대한 수신자를 각각 설정하고 있는 수신자 설정기(232);
    상기 위험감지신호 수신기(231)를 통해 수신된 위험감지신호가 제 1 내지 제 4 위험감지신호 중, 어느 신호인지 인식하는 신호 인식기(233); 및
    상기 신호 인식기(233)를 통해 인식된 위험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자 설정기(232)로부터 기 설정된 수신자를 추출하여 수신자 추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자 추출기(23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제어부(400)는,
    다수의 수신자 연락처 및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연락처 저장기(410); 및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정보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기로서, 상기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데이터를 확인하여, 수신자에게 전화연락을 하거나, 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연락 전송기(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제어부(400)는,
    전화연락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시, 또는 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음성신호 및 위험감지신호를 수신할 경우, 부저신호를 출력하며, 상대방과의 전화연결 시, 상대방의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기(4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현장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현장 영상을 취득 및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3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 전송기(420)는,
    전화연결 시, 현장에 대한 취득 영상을 첨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123503A 2010-12-06 2010-12-06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KR10123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503A KR101233796B1 (ko) 2010-12-06 2010-12-06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503A KR101233796B1 (ko) 2010-12-06 2010-12-06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98A KR20120062298A (ko) 2012-06-14
KR101233796B1 true KR101233796B1 (ko) 2013-02-18

Family

ID=4668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503A KR101233796B1 (ko) 2010-12-06 2010-12-06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7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74U (ko) * 1998-07-03 2000-02-07 서평원 전화기에서의 룸 모니터링 장치
JP2001222782A (ja) 2000-02-14 2001-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4153306A (ja) 2002-10-28 2004-05-27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90132869A (ko) * 2008-06-23 2009-12-31 주식회사 시소시스템 음성인식을 이용한 방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74U (ko) * 1998-07-03 2000-02-07 서평원 전화기에서의 룸 모니터링 장치
JP2001222782A (ja) 2000-02-14 2001-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04153306A (ja) 2002-10-28 2004-05-27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90132869A (ko) * 2008-06-23 2009-12-31 주식회사 시소시스템 음성인식을 이용한 방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98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1661A (zh) 自动求救报警方法及其系统
CN102568157A (zh) 自动求救报警方法及其系统
WO2015141174A1 (en) Monitoring system
JP2010171911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4537805A (zh) 一种智能拐杖、智能拐杖报警求救系统及方法
JP2015148648A (ja) 対話システム、発話制御装置、対話装置、発話制御方法、発話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対話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577690B1 (ko) 긴급 구난 요청 장치 및 방법
CN104010057A (zh) 语音识别呼叫系统
CN102274013B (zh) 无线智能监护系统
CN104125329A (zh) 来电防误触系统及方法
KR200459614Y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101233796B1 (ko) 일반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비상 통화 장치
JP2001053905A (ja) セキュリティー機能付き携帯電話
JP2007096832A (ja) ドアホン装置
CN205003819U (zh) 一种呼叫器及具有该呼叫器的紧急呼叫系统
JP5538990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103508B2 (ja) 呼出音登録システム
KR101641638B1 (ko) 감지기
JP200929034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ホン親機
JP202313573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0171786A (ja) 異常判定システム
KR20160133637A (ko) 가전기기 전원 온오프 전환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2005094342A (ja) 在宅確認機能を有する電話機
JP2004064371A (ja) 通報装置および通信状態管理方法
KR10078233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조명기기 제어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