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702B1 -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702B1
KR101232702B1 KR1020110035076A KR20110035076A KR101232702B1 KR 101232702 B1 KR101232702 B1 KR 101232702B1 KR 1020110035076 A KR1020110035076 A KR 1020110035076A KR 20110035076 A KR20110035076 A KR 20110035076A KR 101232702 B1 KR101232702 B1 KR 101232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ircular
bridge
flat
adap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361A (ko
Inventor
곽현신
김은현
김태형
Original Assignee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7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7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원형 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 덕트의 외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1공정; 상기 중앙부에서 이격되는 교량의 측면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플랫 덕트가 설치되는 제2공정; 상기 중앙부와 상기 측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에 상기 원형 덕트와 상기 플랫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 어댑터가 설치되는 제3공정; 및 강연선이 상기 플랫 덕트, 상기 덕트 어댑터, 상기 원형 덕트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 타설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횡방향 텐던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of a Horizontal tendon for PSC box girde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을 분리 시공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거어더 등의 콘크리트 부재에 발생하는 허용응력 기준에 의하면, 일례로, 공사 중 콘크리트 부재의 허용인장응력(Fta)이 (+)33kgf/cm2, 허용압축응력(Fca)이 (-)140kgf/cm2 이내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거어더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공사 중 콘크리트 부재의 인장 또는 압축응력이 허용응력 기준치를 초과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이를 해소하기 위해 텐던 등과 같은 보강재를 다량 사용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텐던(Tendon)은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인장응력이 허용인장응력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을 저감 또는 상쇄시키기 위해 그 인장부에 설치되어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긴장시켜 주는 수단으로서의 텐션 유지용 강연선 다발을 지칭한다.
교량에 관련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강연선을 이용한 포스트 텐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량의 내부에는 강연선이 삽입된 상태의 횡방향 덕트가 삽입되고, 그 덕트 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며, 강연선에 텐션을 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게 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교량의 폭 전체를 연결하는 덕트가 삽입된 후에 교량의 폭 전체에 일괄적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교량의 크기가 커지는 것(광폭 교량)이 일반적이고, 교량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교량에 콘크리트를 일괄적으로 타설하기 위해서는 종래에 비해서 대형 장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대형 장비는 고가일 뿐 아니라, 대형 장비를 이용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 해당 장비를 이동하거나 설치, 작업하는 공간을 확보하는 등에 따른 다양한 제약이 발생되어, 작업 공정이 길어질 뿐 아니라 공사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콘크리트를 일괄적으로 타설하는 경우에는 일괄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작업 공정이 중단되어 전체적인 작업 공정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교량을 분리 시공할 수 있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을 분리 시공하는 경우에도 횡방향 텐던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원형 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 덕트의 외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1공정; 상기 중앙부에서 이격되는 교량의 측면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플랫 덕트가 설치되는 제2공정; 상기 중앙부와 상기 측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에 상기 원형 덕트와 상기 플랫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 어댑터가 설치되는 제3공정; 및 강연선이 상기 플랫 덕트, 상기 덕트 어댑터, 상기 원형 덕트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와 상기 연결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5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중앙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면부와 상기 중앙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중앙부와 상기 좌측면부를 연결하는 좌측 연결부, 상기 중앙부와 상기 우측면부를 연결하는 우측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 어댑터는 일단은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공정에서 상기 덕트 어댑터의 일단은 상기 원형 덕트와 체결되고, 상기 덕트 어댑터의 타단은 상기 플랫 덕트와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덕트 어댑터의 타단은 원형 덕트가 원의 중심방향으로 가압되어서 사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나아가 사각형 형상의 높이 방향으로는 상기 강연선이 하나만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가로 방향으로는 상기 강연선이 복수 개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공정에서는 상기 원형 덕트의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원형 덕트의 양단을 배제하고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을 시공할 때에 분리 타설을 할 수 있어, 콘크리트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계적으로 구분해서, 1차 타설 부분의 양생 시에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동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분리 타설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횡방향 텐던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교량에 안정적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정단면도.
도 2는 덕트 어댑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어댑터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플랫 덕트에 강연선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원형 덕트에 강연선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이 완료된 교량의 전체적인 단면형상이 도시된다.
교량은 좌측에 위치한 부분부터 측면부, 연결부, 중앙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부, 상기 연결부, 상기 중앙부는 교량을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에, 전체적인 교량에 대비해서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할 뿐, 정확한 거리로 구분되는 부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해당 부분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나, 해당 부분이 배치되는 순서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에 도시된 교량은 보다 상세하게, 좌측으로부터 좌측면부(30a), 좌측 연결부(20a), 중앙부(10), 우측 연결부(20b), 우측면부(30b)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좌측면부(30a)의 우측에는 상기 좌측 연결부(20a)가 배치되고, 상기 좌측 연결부(20a)의 우측에는 중앙부(10)가 배치되며, 상기 중앙부(10)의 우측에는 우측 연결부(20b)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연결부(20b)의 우측에는 우측면부(30b)가 배치된다.
도 2는 덕트 어댑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과 달리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지 않아 덕트 어댑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격자 형태를 이루는 부분은 철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미 건설된 교량의 하판의 철근 위에 덕트 어댑터 등이 설치된다.
도 2에는 상기 좌측면부(30a)의 일부, 상기 좌측 연결부(20a), 상기 중앙부(10)의 일부가 도시된다. 즉 상기 좌측면부(30a)와 상기 중앙부(10)는 전체가 아닌 상기 좌측 연결부(20a)에 인접한 일부만이 도시된다.
상기 중앙부(10)에는 원형 덕트(12)가 배치되고, 상기 좌측 연결부(20a)에는 덕트 어댑터(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면부(30a)에는 플랫 덕트(32)가 배치된다. 참고로 원형 덕트(12)는 덕트의 단면이 원형(도 6참조)이고, 플랫 덕트(32)는 덕트 단면이 전체적으로 사각형(도 7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 덕트(12)와 상기 플랫 덕트(32)의 사이에는 상기 덕트 어댑터(22)가 설치되는데, 상기 플랫 덕트(32), 상기 덕트 어댑터(22) 및 상기 원형 덕트(12)는 전체적으로 직선상에 일자로 배치된다.
상기 덕트 어댑터(22)는 상기 원형 덕트(12)와 상기 플랫 덕트(32)에 각각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거나, 다양한 결합 부재를 이용해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 부재는 테이프,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해칭으로 표현된 부분과 같이, 상기 덕트 어댑터(22)와 상기 원형 덕트(12)의 사이, 상기 덕트 어댑터(22)와 상기 플랫 덕트(32)의 사이에는 테이프 등의 결합 부재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좌측면부(30a)에 설치되는 상기 플랫 덕트(32)의 일단(상기 덕트 어댑터(22)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 끝)에는 상기 플랫 덕트(32)에 수용된 강연선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플랫 덕트(32)에 수용된 강연선이 1열로 병렬 배치되는 형상과 유사한 단면을 갖는다(도 6 참조). 이 경우 해당 단면은 원형 단면에 비해서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교량의 양 측 끝부분에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다른 보강 부재의 간섭을 적게 받기 때문에 설계에 있어서 용이하고, 이러한 이점 때문에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인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교량에 콘크리트를 일괄적으로 타설하는 것이 아니라, 교량을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분리 타설하기 위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교량 전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에 필요한 시간 동안 시간을 기다리기 보다는, 교량 일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해당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동안에 다른 작업을 수행해서, 시공 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본 발명은 교량의 중앙부(10)에 원형 덕트(12)를 설치한다(S10). 상기 원형 덕트(12)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덕트를 의미한다.
이어서 교량의 중앙부(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S20). 이때 상기 중앙부(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상기 원형 덕트(12)의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원형 덕트(12)의 양단을 배제하고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원형 덕트(12)의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 상기 덕트 어댑터(22)가 상기 원형 덕트(12)와 체결되기 어렵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원형 덕트(12)의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포스트 텐션에 적용되는 덕트의 두께는 대략 0.3mm에 불과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형 덕트(12)는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더라도 원형 덕트(12)의 단면 형상에는 크게 변화가 없다. 왜냐하면 원형의 단면 형상은 그 위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다른 단면 형상에 비해서 하중을 견디는 힘이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교량의 측면부(30a,30b)에 플랫 덕트(32)가 설치된다(S30). 상기 교량의 측면부(30a,30b)는 상기 좌측면부(30a)와 상기 우측면부(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 덕트(32)는 상기 좌측면부(30a)와 상기 우측면부(30b)에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교량의 연결부(20a,20b)에 상기 덕트 어댑터(22)가 배치된다(S40). 이때 상기 연결부(20a,20b)는 상기 좌측 연결부(20a)와 상기 우측 연결부(20b)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연결부(20a)에 사용되는 덕트 어댑터(22)와 상기 우측 연결부(20b)에 사용되는 덕트 어댑터는 형상이 동일하고,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덕트 어댑터(22)의 일단은 상기 플랫 덕트(32)와 체결되고, 상기 덕트 어댑터(22)의 타단은 상기 원형 덕트(12)와 체결된다. 상기 덕트 어댑터(22)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중공은 상기 플랫 덕트(32)와 상기 원형 덕트(12)가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중공의 중심을 선으로 그으면 1자로 연결되어 두 개의 플랫 덕트의 양 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강연선(40)이 상기 플랫 덕트(32), 상기 덕트 어댑터(22), 상기 원형 덕트(12)에 차례대로 삽입되어, 최종적으로 두 개의 플랫 덕트(32)를 관통한다(S50). 상기 강연선(40)은 길이 방향으로 늘어진 긴 강선으로, 각각의 덕트에 수용되기 때문에 도면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강연선(40)은 상기 좌측면부(30a)에 배치되는 플랫 덕트(32)와 상기 우측면부(30b)에 배치되는 플랫 덕트(32)의 바깥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강연선(40)은 여러 가닥의 강철선을 꼬아서 만든 줄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량의 측면부(30a,30b)와 교량의 연결부(20a,20b)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원형 덕트(12), 상기 덕트 어댑터(22) 및 상기 플랫 덕트(32)가 콘크리트로 밀폐된다(S60).
콘크리트가 타설 된 후에 상기 강연선(40)은 양단으로 당겨져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 덕트(32)의 일단에 상기 강연선(4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플랫 덕트(32)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부재도 상기 플랫 덕트(32)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단면을 이루면서, 상기 플랫 덕트(32)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강연선(40)을 한가닥씩 개별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서 상기 플랫 덕트(32)의 양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강연선(40)은 양단이 잡아당겨져서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강연선(40)이 수평적이면서, 병렬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랫 덕트(32)의 단면에 상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강연선(40) 각각에 고르게 힘을 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어댑터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덕트 어댑터(22)는 상기 원형 덕트(12)와 상기 플랫 덕트(32)를 서로 연통되도록 중간에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덕트 어댑터(22), 상기 원형 덕트(12), 상기 플랫 덕트(32)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덕트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랫 덕트(32), 상기 원형 덕트(12), 상기 플랫 덕트(32)는 단면의 외주면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해서, 서로가 다른 부재에 끼워져서 삽입되거나, 맞닿아질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덕트 어댑터(22)는 좌측으로부터 사각형부(24), 전이부(26), 원형부(28)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사각형부(24)는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이고, 상기 원형부(28)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을 이룬다. 상기 전이부(26)는 좌측에 배치되는 상기 사각형부(24)의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부터 우측에 배치되는 상기 원형부(28)의 원형 단면 형상으로 단면 형상이 점차적으로 변형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덕트 어댑터(22)는 초기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원형 덕트로 제작되었으나, 상기 사각형부(24)에 해당하는 부분을 유압 장치에 의해서 사각형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가압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사각형부(24)는 원형 덕트(12)가 원의 중심방향으로 가압되어, 높이 방향 보다 가로 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덕트 어댑터(22)는 정면에서 봤을 때에 사각형부(24)가 보이고, 그 단면 형상이 점차적으로 변화되지만,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공은 직선으로 연결가능한 형상을 갖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플랫 덕트에 강연선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상기 플랫 덕트(32)는 폭이 70mm이고, 높이가 19mm 정도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플랫 덕트(32)의 외주면은 70*2+19*2로 대략 180mm로 이루어 진다.
상기 플랫 덕트(32)에 수용된 상기 강연선(40)은 지름이 대략 15.2mm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플랫 덕트(32)의 높이 방향으로는 상기 강연선(40)이 하나만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폭 방향에는 상기 강연선(40)이 복수 개, 즉 4개가 병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랫 덕트(32)의 높이 방향 길이는 상기 강연선(40)이 2개가 병렬로 배치되는데 필요한 30mm 보다 작은 19mm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기 강연선(40)은 높이 방향으로 2개가 병렬로 배치될 수 없다. 즉 상기 플랫 덕트(32)의 단면은 지름이 대략 15.2mm로 이루어진 강연선을 4개가 가로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것이 간신히 가능할 정도의 단면을 이룬다.
도 7은 원형 덕트에 강연선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원형 덕트는 내경이 대략 29mm로 이루어져, 외주면의 길이가 29*2pi로 대략 180mm로 이루어 진다. 즉 상기 플랫 덕트(32)와 상기 원형 덕트(12)는 외주면의 길이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플랫 덕트(32)는 상기 원형 덕트(12)를 직사각형 형태로 가압해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플랫 덕트(32)는 상기 원형 덕트(12)를 가압해서 제작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덕트 어댑터(22)가 상기 원형 덕트(12)와 상기 플랫 덕트(32)를 동시에 연결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원형 덕트(12)와 상기 플랫 덕트(32)의 외주면은 서로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 덕트(12)에는 상기 플랫 덕트(32)와 동일하게 4개의 상기 강연선(40)이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원형 덕트(12)는 상기 플랫 덕트(32)에 비해서 상기 강연선(40) 이외에 빈 공간이 많이 형성되어 있다. 왜냐하면 동일한 외주면의 길이를 갖는 덕트를 사용하더라도, 원형의 단면과 직사각형의 단면은 도 6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4개의 강연선을 덕트에 삽입할 때에 상기 플랫 덕트(32) 보다는 상기 원형 덕트(12)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강연선(40)은 포스트 텐션을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에 덕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교량의 경우 대체로 그 폭이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에 이르기 때문에, 덕트 내에 강연선을 삽입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강연선이 덕트에 마찰이 발생되며 굴절되거나 얽히게 되어 삽입이 불가능하다.
또한 덕트에 강연선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덕트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우에는, 턱트의 형상에 따라 덕트가 콘크리트의 힘을 견디지 못하고, 그 단면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교량의 횡당향 텐던의 적용시에 사용되는 덕트의 두께가 대략 0.3mm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각형 덕트의 경우에는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서 사각형의 상면이 압력을 받아 변형되기 쉽고, 그에 따라 단면의 형상이 변형되게 된다. 이 경우 덕트의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가지런하게 형성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강연선을 삽입하는 것이 굉장히 어려운 작업으로 변하고, 강연선의 삽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해체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교량의 전부가 아닌 교량의 중앙부에만 콘크리트가 먼저 타설된 후에 강연선이 삽입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먼저 타설되는 덕트는 덕트의 단면을 유지하기 위해서 원형 덕트를 사용했고, 교량의 연결부와 측면부에는 강연선이 삽입된 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때문에 원형이 아닌 플랫 덕트와 덕트 어댑터를 사용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중앙부 12: 원형 덕트
20a : 좌측 연결부 22: 덕트 어댑터
30a: 좌측면부 32: 플랫 덕트
40: 강연선

Claims (8)

  1. 교량의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원형 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원형 덕트의 외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1공정;
    상기 중앙부에서 이격되는 교량의 측면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플랫 덕트가 설치되는 제2공정;
    상기 중앙부와 상기 측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에 상기 원형 덕트와 상기 플랫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 어댑터가 설치되는 제3공정; 및
    강연선이 상기 플랫 덕트, 상기 덕트 어댑터, 상기 원형 덕트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 상기 연결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제5공정;을 더 포함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중앙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면부와 상기 중앙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면부를 포함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중앙부와 상기 좌측면부를 연결하는 좌측 연결부, 상기 중앙부와 상기 우측면부를 연결하는 우측 연결부를 포함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댑터는 일단은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공정에서 상기 덕트 어댑터의 일단은 상기 원형 덕트와 체결되고, 상기 덕트 어댑터의 타단은 상기 플랫 덕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댑터의 타단은 원형 덕트가 원의 중심방향으로 가압되어서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사각형 형상의 높이 방향으로는 상기 강연선이 하나만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가로 방향으로는 상기 강연선이 복수 개 병렬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는 상기 원형 덕트의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원형 덕트의 양단을 배제하고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KR1020110035076A 2011-04-15 2011-04-15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Active KR10123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076A KR101232702B1 (ko) 2011-04-15 2011-04-15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076A KR101232702B1 (ko) 2011-04-15 2011-04-15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61A KR20120117361A (ko) 2012-10-24
KR101232702B1 true KR101232702B1 (ko) 2013-02-13

Family

ID=4728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076A Active KR101232702B1 (ko) 2011-04-15 2011-04-15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784B1 (ko) 2015-06-05 2016-09-26 김현기 해상풍력발전 콘크리트 기초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711U (ja) 1984-05-25 1985-12-14 黒沢建設株式会社 フラツトシ−ス型pc鋼材用端末シ−ス
KR20020028393A (ko) * 2000-10-09 2002-04-17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고속철도 프리캐스트 스팬공법 교량의 연속화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711U (ja) 1984-05-25 1985-12-14 黒沢建設株式会社 フラツトシ−ス型pc鋼材用端末シ−ス
KR20020028393A (ko) * 2000-10-09 2002-04-17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고속철도 프리캐스트 스팬공법 교량의 연속화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784B1 (ko) 2015-06-05 2016-09-26 김현기 해상풍력발전 콘크리트 기초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361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773B1 (ko) 세그먼트의 임시 연결에 의한 지지케이블 설치순서의 변경을 통하여 공기를 단축시키는 사장교 시공방법
KR101676321B1 (ko) 모노 스트랜드 잭을 사용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1482388B1 (ko)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KR20170014821A (ko) 프리캐스트 코어를 이용한 상부구조물을 가지는 사장교의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되는 사장교
KR100960508B1 (ko) 강합성 거더 제조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101232702B1 (ko) 교량의 횡방향 텐던 시공 방법
KR101084700B1 (ko) 강연선 커플러와 커플러포켓을 이용한 프리텐션 거더 및 그의 제작공법
KR101471648B1 (ko) 하이브리드 텐던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의 제작 방법
JP6179980B2 (ja) 緊張材の緊張接続方法及び緊張材の一部交換方法
KR101839791B1 (ko) 수평방향 프리플렉스 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불균일 법선응력이 상쇄된 곡선거더
KR101293548B1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박스 빔 구조 및 시공방법
JP5427657B2 (ja) 緊張材の緊張力解放装置及び緊張力解放方法
KR101898721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강판과 그 강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거더 보강방법
KR101763162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거푸집과 크로스빔 간의 간섭 완화장치
CN202787969U (zh) 圆柱模板
KR10151051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KR102183432B1 (ko) 매치 캐스팅에 의한 분절거더의 세그먼트 제작방법, 이를 위한 수평이격장치, 및 세그먼트 조립에 의한 분절거더 시공방법
KR101268375B1 (ko) 임시 결합재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74278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구조물 및 상기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45620B1 (ko) 임시 결합재를 이용한 ilm 압출공법
KR20160014309A (ko) 프리텐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돌출 긴장재를 이용한 긴장력 도입 연속화 시공방법
JP2009121089A (ja) 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及び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製造方法
KR20140105914A (ko) 절곡부재를 거푸집으로 겸용하는 합성거더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405040B1 (ko) 외측경간용 및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제조방법 및 외측경간용 및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거더교의 시공방법
KR20150072798A (ko)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