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571B1 -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 Google Patents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571B1
KR101231571B1 KR1020120070695A KR20120070695A KR101231571B1 KR 101231571 B1 KR101231571 B1 KR 101231571B1 KR 1020120070695 A KR1020120070695 A KR 1020120070695A KR 20120070695 A KR20120070695 A KR 20120070695A KR 101231571 B1 KR101231571 B1 KR 10123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slope
relief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한
Original Assignee
하나케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케이텍(주) filed Critical 하나케이텍(주)
Priority to KR102012007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5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의 녹지화 및 수로의 유실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는, 사면에 시공되는 복수의 식생호안블록;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사면 측에 지지시키도록 사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유닛;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 하단에 시공되어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기초콘크리트층; 및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 상단에 시공되어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단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호안블록과 사면 사이에는 부직포층이 개재되며, 상기 식생호안블록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인조석, 상기 베이스 측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식생공을 가지고, 상기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돌출부 및 복수의 보조 식생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생호안블록들의 가장자리들이 인접할 경우 상호 대향되는 보조 식생홈부들이 상호 대응되게 연접함에 따라 보조 식생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RAVETMENT STRUCTURE USING PLANT GROWING BLOCK}
본 발명은 호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안의 녹지화 및 수로의 유실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하천 유역의 토지이용이 증대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하천환경이 현저하게 변화되며, 그외 기상 이변으로 인한 홍수, 수로의 유실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하천환경의 변화는 하천환경 정비방식이 치수, 이수목적의 대규모 토목공사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환경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 개발공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 정비되는 하천의 호안 구조는 자연 생태계의 보존 및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녹지를 조성시켜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하천의 호안 구조는 하천의 제방 또는 하안 등에 시공되어 지반의 침식 및 침하를 방지하고 수로의 유실을 막고자 다양한 형태의 호안블록과 돌망테 등으로 시공되고 있으나, 돌망테의 경우 하천의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계의 단절을 초래하므로 최근에는 생태계의 보존 및 하천의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환경 친화적인 식생호안블록이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친화적인 식생호안블록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선행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며, 그중 대표적인 기술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03848호(환경친화형 식생블록)와, 실용신안등록 제0284981호(식생식물활착안정과구조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호안블록)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출원된 '환경친화형 식생블록'은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사각형상의 블록몸체에 녹지 조성용 식물(목본류)이 식재되는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다수 형성되고 블록몸체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복토유실방지턱이 형성된 한편 사방 모서리에 블록 연결고리가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또 다른 선출원인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호안블록'은 사각형상의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몸체의 중앙부에 녹지 조성용 식물이 식재되는 중공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사방 측면에 설치과정에서 상호 결합을 위한 돌기부와 홈부가 대칭으로 형성된 한편 몸체의 상측 사방 모서리에 마찰형성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호안블록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식생공간이 어느 정도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시공작업에서 호안블록의 사방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홈부에 상호 끼워져 결합 시공되는 구조로 호안블록간의 결속력을 유지하거나 호안블록들의 사방 모서리에 구성된 연결고리를 상호 결속시켜 호안블록간의 결속력을 유지함에 따라 사실상 제방이나 법면에 호안블록의 고정력이 현저하게 떨어짐으로서 홍수 피해로 인하여 호안블록과 제방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집중 호우로 인하여 하천의 범람과 함께 유속이 급격하게 빨라지면 호안블록은 유속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이탈하여 유실되며, 호안블록들이 연결고리에 상호 결속된 상태여도 제방이나 법면의 원지반토사 위에 그냥 올려져 놓여 있으므로 사실상 제방이나 법면과의 고정력이 떨어져 가장자리 일부분이 유속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유실됨으로서, 연결고리에 결속된 호안블록들이 연쇄적으로 유실됨에 따라 제방이 무너지고 유실되는 큰 피해를 야기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호안블록과 호안블록 사이가 기밀하게 밀착됨에 따라 호안블록에 의해 시공된 호안구조 전체에 걸쳐 식생공간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호안구조 전체에 걸쳐 식물의 식생이 폭 넓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호안구조에 대한 녹지 조성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하천의 호안, 제방 등과 같은 사면 측에 견고하게 고착함으로써 식생호안블록의 유실 등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식생호안블록들 사이에 보다 넓은 식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녹지를 조성할 수 있는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는,
사면에 시공되는 복수의 식생호안블록;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사면 측에 지지시키도록 사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유닛;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 하단에 시공되어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기초콘크리트층; 및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 상단에 시공되어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단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호안블록과 사면 사이에는 부직포층이 개재되며,
상기 식생호안블록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인조석, 상기 베이스 측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식생공을 가지고,
상기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돌출부 및 복수의 보조 식생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생호안블록들의 가장자리들이 인접할 경우 상호 대향되는 보조 식생홈부들이 상호 대응되게 연접함에 따라 보조 식생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호안블록의 각 꼭지점 부분에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식생호안블록의 각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연결고리 및 인접한 식생호안블록들의 연결고리들에 걸쳐 결속되는 결속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호안블록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여 복수의 조립돌기 및 복수의 조립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조립돌기 및 복수의 조립홈부들은 상호 끼움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은 보다 견고하게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사면의 지반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 및 상기 앵커부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사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타설되며, 상기 앵커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인접한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되어 인접한 한 쌍의 식생호안블록들은 사면의 지반 측으로 고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와 이에 접촉하는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상호 대응하는 곡률의 곡면구조 및 상호 대응하는 각형 구조 중에서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사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미끄럼방지틀 및 상기 미끄럼방지틀의 상측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대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방지틀의 하측은 사면의 지반 내에 일정깊이로 타설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틀의 상측은 사면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미끄럼방지틀은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이 사면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대는 상기 미끄럼방지틀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방지틀과 이에 인접하는 식생호안블록 사이에는 보조 부직포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생호안블록 저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사면과의 결착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유닛에 의해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하천의 호안, 제방 등과 같은 사면 측에 견고하게 고착함으로써 식생호안블록의 유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식생호안블록 내의 식생공 뿐만 아니라 식생호안블록들이 연접함에 따라 가장자리측의 보조 식생홈부이 상호 인접함에 따라 복수의 보조 식생공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보조 식생홈부에 의해 식생호안블록들 사이에 복수의 보조 식생공을 형성하여 보다 넓은 식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녹지를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면의 상면에는 부직포층이 시공되고, 이 부직포층 위에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이 시공됨으로써 식생호안블록과 사면 사이에 부직포층이 개재되고, 이러한 부직포층에 의해 사면의 토양을 마찰에 의해 잡아줌으로써 사면의 토양층이 외력에 의해 무너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식생호안블록의 식생공 및 보조 식생공 등에 채워진 토사의 흘러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대한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에 이용되는 식생호안블록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화살표 E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에 이용되는 식생호안블록의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식생호안블록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F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 G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는 하천이나 호수의 하안, 제방 등의 사면(1)에 시공되는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을 사면(1) 측에 지지시키는 복수의 지지유닛(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들은 사면(1)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연접하여 시공되고, 사면(1)의 길이방향 하단에는 기초콘크리트층(5)이 시공되어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들을 하측에서 지지하며, 사면(1)의 길이방향 상단에는 상단콘트리트층(6)이 시공되어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들을 상측에서 지지한다.
식생호안블록(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 베이스(11)의 상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인조석(12), 베이스(11) 측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식생공(13)을 포함한다.
인조석(12)들은 미려한 외관을 가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인조석(12)들과 식생공(13)들 사이에는 소정간격으로 평탄한 토사채움부(14)가 형성되며, 이 토사채움부(14) 측에 토사가 채워질 수 있다.
복수의 식생공(13)과 복수의 인조석(12)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특히 식생공(13)들은 인조석(12)들의 심미감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적절히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식생공(13)을 통해 풍부한 식생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 식생공(13)들을 통과하여 식물이 식재된 후에 식물의 뿌리가 사면(1)의 원지반에 착상하여 다양하나 식물이 생육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천의 호안, 제방 등의 사면(1)에 대한 친환경적인 녹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식생호안블록(10)들은 도 6과 같이 인접하여 배열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식생호안블록(10)들을 서로 단단하게 연접시키기 위해서 식생호안블록(10)의 각 꼭지점 부분에 연결부(30)가 형성된다.
연결부(30)는 각 식생호안블록(10)의 각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연결고리(31) 및 인접한 식생호안블록(10)들의 연결고리(31)들에 걸쳐 결속되는 결속체인(32)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연결부(30)에 의해 인접한 식생호안블록(10)들은 서로 단단하게 연접될 수 있다.
이때, 결속체인(32) 끝단에 클램프(미도시)가 설치되어 결속체인(32)을 단속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각 식생호안블록(1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돌출부(41) 및 복수의 보조 식생홈부(42)가 형성되며, 이에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호안블록(10)들의 돌출부(41)들이 서로 접촉함에 따라 상호 대향되는 보조 식생홈부(42)들이 상호 대응되게 인접함에 따라 보조 식생공(43)을 형성한다. 이에 본 발명은 각 식생호안블록(10) 내의 식생공(12) 뿐만 아니라 식생호안블록(10)들이 연접함에 따라 가장자리측의 보조 식생홈부(42)이 상호 인접함에 따라 복수의 보조 식생공(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 식생홈부(42)에 의해 식생호안블록(10)들 사이에 복수의 보조 식생공(43)을 형성하여 보다 넓은 식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녹지를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호안블록(1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꼭지점에 인접하여 복수의 조립돌기(51) 및 복수의 조립홈부(52)가 형성되고,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이 그 꼭지점 부분을 중심으로 연접시키고자 할 경우 각 조립돌기(51) 및 조립홈부(52)들은 도 10과 같이 상호 끼움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은 보다 견고하게 연접될 수 있다.
한편, 사면(1)의 상면에는 부직포층(18)이 시공되고, 이 부직포층(18) 위에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이 시공됨으로써 식생호안블록(10)과 사면(1) 사이에 부직포층(18)이 개재된다. 이러한 부직포층(18)에 의해 사면(1)의 토양을 마찰에 의해 잡아줌으로써 사면(1)의 토양층이 외력에 의해 무너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식생호안블록(10)의 식생공(13) 및 보조 식생공(43) 등에 채워진 토사의 흘러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1)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각 지지유닛(20)은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식생호안블록(10)들 사이에서 결합된 상태로 사면(1)의 지반 내로 타설됨으로써 적어도 일부의 식생호안블록(10)들이 사면(1) 측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0)은 사면(1)을 따라 연접한 식생호안블록(10)들 중에서 식생호안블록(10)들의 사이에 모두 설치되지 않고 일부의 식생호안블록(10) 예컨대, 2개의 식생호안블록(10)을 건너뛰면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면(1)의 경사도가 급격할 경우, 예컨대 절벽과 같이 사면(1)의 경사도가 수직할 경우 복수의 지지유닛(20)이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식생호안블록(10)들 사이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20)은 사면(1)의 지반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21) 및 앵커부(21)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22)를 가진다.
앵커부(21)는 사면(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타설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21)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21a)가 형성되며, 이 돌기(21a)들에 의해 앵커부(21)는 사면(1)의 지반 측에 견고하게 타설될 수 있다.
결합부(22)는 인접한 식생호안블록(10)의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되어 인접한 한 쌍의 식생호안블록(10)들은 사면(1)의 지반 측으로 고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면(1)에 시공되는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들은 사면(1) 측에 매우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22)와 이에 접촉하는 식생호안블록(10)의 가장자리 측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22a) 및 하나 이상의 결합홈(10a)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에 결합부(22) 및 식생호안블록(10)은 결합돌기(22a) 및 결합홈(10a)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는 결합부(22)의 양측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22a)가 돌출하고, 식생호안블록(10)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결합홈(10a)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결합부(22)의 결합돌기(22a)들이 접촉하는 식생호안블록(10)의 결합홈(10a)측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22)의 양측면에 한 쌍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22)와 접촉하는 식생호안블록(10)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이에 결합부(22)와 이와 접촉하는 식생호안블록(10)는 결합홈 및 결합돌기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2a) 및 결합홈(10a)은 상호 대응하는 곡률의 곡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2a) 및 결합홈(10a)은 상호 대응하는 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는 하천이나 호수의 하안, 제방 등의 사면(1)에 시공되는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을 사면(1) 측에 지지시키는 지지유닛(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60)은 하천, 호수 등의 하안, 제방 등의 사면(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미끄럼방지틀(61) 및 미끄럼방지틀(61)의 상측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대(62)를 포함한다.
미끄럼방지틀(61)의 하측은 사면(1)의 지반 내에 일정깊이로 타설되고, 미끄럼방지틀(61)의 상측은 사면(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틀(61)은 복수의 식생호안블록(10)이 사면(1)을 따라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사면(1)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보강대(62)는 미끄럼방지틀(61)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이에 미끄럼방지틀(61)의 지지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방지틀(61)과 이에 인접하는 식생호안블록(10) 사이에는 보조 부직포층(63)이 설치되고, 이 보조 부직포층(63)에 의해 식생호안블록(10)의 밀림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호안블록(10)의 저면에 다수개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사면(1)과의 결착력을 증진시키켜 상기 돌기(미도시)에 의해 식생호안블록(10)의 밀림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선행하는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 사면 10: 식생호안블록
11: 베이스 12: 인조석
13: 식생공 20: 지지유닛
21: 앵커부 22: 결합부
30: 연결부 31: 연결고리
32: 결속체인 41: 돌출부
42: 보조 식생홈부 43: 보조 식생홈
51: 조립돌기 52: 조립홈부

Claims (10)

  1. 사면에 시공되는 복수의 식생호안블록;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사면 측에 지지시키도록 사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유닛;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 하단에 시공되어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기초콘크리트층; 및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 상단에 시공되어 상기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단콘크리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식생호안블록과 사면 사이에는 부직포층이 개재되며,
    상기 식생호안블록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인조석, 상기 베이스 측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식생공을 가지고,
    상기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돌출부 및 복수의 보조 식생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식생호안블록들의 가장자리들이 인접할 경우 상호 대향되는 보조 식생홈부들이 상호 대응되게 연접함에 따라 보조 식생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지지유닛은 사면의 지반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 및 상기 앵커부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사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타설되며, 상기 앵커부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인접한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 측면에 결합되어 인접한 한 쌍의 식생호안블록들은 사면의 지반 측으로 고착될 수 있는 것과,
    상기 결합부와 이에 접촉하는 식생호안블록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과,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은 상호 대응하는 곡률의 곡면구조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지지유닛은 사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미끄럼방지틀 및 상기 미끄럼방지틀의 상측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대를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방지틀의 하측은 사면의 지반 내에 일정깊이로 타설되며, 상기 미끄럼방지틀의 상측은 사면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미끄럼방지틀은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이 사면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대는 상기 미끄럼방지틀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과,
    상기 미끄럼방지틀과 이에 인접하는 식생호안블록 사이에는 보조 부직포층이 설치되는 것과,
    상기 식생호안블록 저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사면과의 결착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호안블록의 각 꼭지점 부분에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식생호안블록의 각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연결고리 및 인접한 식생호안블록들의 연결고리들에 걸쳐 결속되는 결속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생호안블록의 각 꼭지점에 인접하여 복수의 조립돌기 및 복수의 조립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립돌기 및 복수의 조립홈부들은 상호 끼움결합됨으로써 복수의 식생호안블록은 보다 견고하게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70695A 2012-06-29 2012-06-29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KR10123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695A KR101231571B1 (ko) 2012-06-29 2012-06-29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695A KR101231571B1 (ko) 2012-06-29 2012-06-29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571B1 true KR101231571B1 (ko) 2013-02-08

Family

ID=4789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695A KR101231571B1 (ko) 2012-06-29 2012-06-29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5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283Y1 (ko) * 2001-03-21 2001-10-08 나성민 말뚝지주형 식생대
KR200274527Y1 (ko) * 2002-02-20 2002-05-04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생태블럭
JP2005054451A (ja) * 2003-08-05 2005-03-03 Hiroshi Nojima 立体的歯合ブロック
KR101049597B1 (ko) * 2010-12-31 2011-07-14 박재희 식생매트를 이용한 사면 녹화 시공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283Y1 (ko) * 2001-03-21 2001-10-08 나성민 말뚝지주형 식생대
KR200274527Y1 (ko) * 2002-02-20 2002-05-04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생태블럭
JP2005054451A (ja) * 2003-08-05 2005-03-03 Hiroshi Nojima 立体的歯合ブロック
KR101049597B1 (ko) * 2010-12-31 2011-07-14 박재희 식생매트를 이용한 사면 녹화 시공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413B1 (ko) 식생 녹화블록
CN208917771U (zh) 一种生态护岸结构
CN102071665B (zh) 全向互锁型护坡砌块及其搭接互锁方法
KR101231571B1 (ko)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KR100566667B1 (ko) 하천 제방의 친환경 매트 블록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CN208379542U (zh) 一种低水位护岸砌块构筑结构
KR100449585B1 (ko)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200247050Y1 (ko) 구배가 형성된 대형식재옹벽블록
KR200249172Y1 (ko) 환경친화적 중력식 보강토 식재옹벽블록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514086B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
KR100710493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236316Y1 (ko) 호안블럭의 구조
KR100305773B1 (ko) 토목용부직포흙벽돌및그것을이용한시공방법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102326713B1 (ko)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98169Y1 (ko) 식생 호안블록
KR100948202B1 (ko) 식생 호안블럭
ES2919335B2 (es) Pieza para la ejecucion de diques para el control de la erosion en carcavas
KR20130050408A (ko) 식생토낭과 결합한 식생호안블록과 그 시공방법
KR200422482Y1 (ko) 호안블록
KR200438545Y1 (ko) 식생옹벽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