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933B1 - 향의 지속력을 높이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의 지속력을 높이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933B1
KR101230933B1 KR1020060092129A KR20060092129A KR101230933B1 KR 101230933 B1 KR101230933 B1 KR 101230933B1 KR 1020060092129 A KR1020060092129 A KR 1020060092129A KR 20060092129 A KR20060092129 A KR 20060092129A KR 101230933 B1 KR101230933 B1 KR 10123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mposition
base
perfume
persis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6913A (ko
Inventor
우창식
이은주
서형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9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9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2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1Aromatic amines, i.e. where the amino group is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nucl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향료 조성물 내의 향료 성분 중 LogP 값이 3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 성분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원래 향료내 배합비와 동일한 양으로 다시 조합하여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base)를 만들고, 이 향지속성 베이스를 전체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5 중량%로 함유시킴으로써 향취 지속력이 우수하도록 제조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향지속성 베이스, 향료 조성물, 휘발도, LogP

Description

향의 지속력을 높이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Longlasting of Fragrance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표준시험법을 통하여 잔향 지속성 관능평가를 실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휘발되는 것을 GC(gray chart) 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휘발되는 향기를 포집하는 SPME(Solid Phase Micro Extraction) 사진이다.
도 4는 LogP 및 휘발도(b.p)에 따른 잔향 지속력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base)를 첨가한 후 잔향 지속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향료 조성물 내의 향료 성분 중 LogP 값이 3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 성분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원래 향료내 배합비와 동일한 양으로 다시 조합하여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base)를 만들고, 이 향지속성 베이스를 전체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5 중량%로 함유시킴으로써 향취 지속력이 우수하도록 제조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바디클렌저 및 비누 등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은 향취에 대해 은은하면서도 그 향이 오래 지속되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샴푸, 바디클렌저 및 비누 향의 특징은 향취가 상쾌하면서도 과일향 계열의 향료들이 많이 사용되어 향취 지속성면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따라서, 상쾌한 향취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잔향을 오래 남게 하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잔향을 오래 가게 하는 방법은 간단히 휘발도(b.p)가 높은 향들로만 조합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그런 향들은 향취가 너무 무겁기 때문에 제품의 향이 상쾌하고 시원한 느낌을 전혀 줄 수가 없어 기호성 면에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향료 보류제(Fixative)를 사용하여 휘발되는 향을 잡아주어 지속성을 늘려주는 방법이 있으나, 이것 역시 향의 상쾌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또 향료의 부향율을 늘려주는 방법도 있지만 이것은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고 대부분 물에 씻어내는 제품일 경우 향료가 씻겨져 없어지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 결방법은 아니다.
또한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향의 지속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세밀하게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샴푸를 예로 들면, 물의 온도, 횟수 및 시간 등이 지속력 측정 시마다 틀려 측정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정확하게 향의 지속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향의 지속성이 단지 향료의 부향율을 높이고 향취 강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향료의 고유 LogP 값 및 휘발도(b.p)와 매우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고, 향료의 LogP 값이 3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 성분들을 배합하여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base)를 제조하고, 이를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5 중량%로 함유시킨 향료 조성물에서 관능적으로 향취의 지속력이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료 조성물 내의 향료 성분 중 LogP 값이 3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성분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원래 향료내 배합비와 동일한 양으로 다시 조합하여 제조한 향지속성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향지속성 베이스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5 중량%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향취계열은 유지하면서도 향지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향료 조성물 내의 향료 성분 중 LogP 값이 3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성분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원래 향료내 배합비와 동일한 양으로 다시 조합하여 제조한 향지속성 베이스를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5 중량%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워시오프 타입에서 향의 지속력을 높일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은 첫째, 향의 기호성을 줄 수 있는 특징 중에 중요한 요인인 상쾌함을 유지하면서도 지속력을 높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물에 헹굴 시 향료가 덜 씻겨나가야 하고, 둘째, 헤어를 건조한 후에도 8시간 정도 서서히 휘발되는 향료이어야 하며, 셋째, 삼푸의 계면활성제 및 기타 성분과 혼합 시 경시 안정도가 뛰어나야 한다.
화장품 및 생활용품에 함유된 향료에서 물에 대한 향료의 용해도(LogP data)를 나타내는 것이 LogP 값이다. 따라서, 향료의 지속력은 이들의 LogP 값과 휘발도(b.p)로 인해 결정되며 모든 향료에는 LogP 값이 존재하는데 그 값의 범위는 대부분 1∼7 값을 가진다.
Log P 값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P는 분별계수로 단일 향료 성분을 옥탄올(Octanol)에 녹였을 때의 농도와 물에 녹였을 때의 용해도 비로서, 대부분의 향료 물질은 친유성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P의 값이 10∼10,000,000 이상이 된다. 따라서, 그 수치가 너무 크기 때문에 Log를 취한 것을 의미하고 하기 수학식 1 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68593797-pat00001
LogP 값이 1이면 A란 향료 물질이 물 보다 옥탄올에 10배 정도 잘 용해되는 것을 의미하고, LogP 값이 7이면 A란 향료 물질이 물 보다 옥탄올에 10,000,000배 정도 잘 용해된다는 의미로서 물에서 씻겨져 나가는 양이 훨씬 적어진다.
따라서, LogP 값이 1에 가까울수록 향료는 친수성이 있어 물에 거의 씻겨져 나가 없어지고 반대로 7에 가까울수록 친유성이 강해 물에 씻겨지기 보다는 헤어나 바디에 잔존하여 향취를 오래 지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향료의 휘발도(b.p)는 샴푸한 후 헤어를 건조한 다음 헤어에 잔존하는 향료들이 얼마만큼 오래 휘발되는지를 알 수 있는 인자로서, 본 발명에서는 휘발도가 250℃ 이상은 되어야 지속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향료 조성물 내의 향료 성분 중 LogP 값이 3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성분들을 분리하고 이들을 원래 향료내 배합비와 동일한 양으로 다시 조합하여 제조한 향지속성 베이스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5 중량% 함유함으로써 관능적으로 향취의 지속력이 우수하 며 기존 향의 향취도 비슷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는 향지속력을 증진시키는데 무리가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향취가 바뀔 우려가 있으므로, 그 함량이 10∼15 중량%일 경우가 지속력을 높이면서도 기존의 향취를 변화시키지 않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향료 성분의 변취를 고려하여 향료 조성물 내의 향료 성분 중 LogP 값이 4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성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조향방법에 관한 것이다:
1) 향료 조성물 내의 향료 성분 중 LogP 값이 3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성분들을 분리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분리한 향료 성분들을 상기 1)의 향료 조성물 내에서 존재하는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다시 조합하여 향지속성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에서 제조한 향지속성 베이스를 상기 1)의 향료 조성물에 10∼15 중량%로 첨가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다 정확한 향의 지속성을 관능평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향의 지속성 관능측정법을 고안해 내었으며, 그 과정은 하기와 같다:
① 헤어 견본 5∼7개를 25% SLES(Sodium lauryl ethylene sulfate) 1ℓ로 24 시간 침적시킨다.
② 상기 견본을 흐르는 수돗물에서 10분간 3회(30분간) 세척한다.
③ 헤어 3.5g에 무향샴푸 베이스(base) 3g을 묻혀 손끝으로 문지르고 흐르는 수돗물에서 10분간 2회(20분간) 세척한다.
④ 헤어 3.5g에 샴푸 3g을 묻힌 후 손끝으로 2분간 문지른다.
⑤ 30℃ 수돗물에서 15초간 헹군다
⑥ 냄새가 없는 수건으로 30초간 물기를 제거한다.
⑦ 드라이어로 헤어를 완전히 건조한다.
⑧ 8시간 후에 잔향을 평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샴푸, 비누, 바디클렌저 및 클렌징 폼 등의 세정용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세정용 조성물에 대하여 샴푸의 경우는 0.7∼1.5 중량%, 비누의 경우는 0.5∼3 중량%, 바디클레저의 경우는 0.5∼2 중량%, 클렌징 폼의 경우는 0.2∼1.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범위를 넘을 경우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 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워시오프 타입의 대표 제품인 샴푸를 대상으로 잔향이 오래가는 향료성분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헤어를 샴푸로 세척한 후에 각 향료성분의 잔향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삼푸한 다음 헤어를 건조한 후 방치하였을 때 잔향이 남아있는 정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건조 후 1시간 경과, 4시간 경과 및 8시간 경과 후에 각각 도 3과 같이 헤드스페이스(Headspace) 상의 휘발되는 향기를 SPME(Solide Phase Micro Extraction)로 포집하여 GC 차트로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향이 점차 휘발되어 피크 영역(peak area)이 점점 줄어 들고 향기가 점점 약해지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향기가 빨리 없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현재 시판 중인 자사의 샴푸 중 하나인 D샴푸를 실험 대상으로 하여 표 1과 같이 GC/MS를 통하여 향료 성분을 분석하여 보았다.
번호 화합물명 함량(‰)
1 아그루맥스(agrumex) 0.20
2 아이미(aimi) 2.40
3 알데히드 C12 MNA 0.10
4 알데히드 C14 0.20
5 알데히드 C8 0.04
6 알릴 카프로에이트(allyl caproate) 0.40
7 아밀 시나믹 알데히드 알파(amyl cinnamic aldehyde alpha) 0.30
8 아밀 살리실레이트(amyl salicylate) 0.20
9 아네톨(Anethol) 0.60
10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0.50
11 박다놀(Bacdanol) 1.30
12 벤질 아세테이트 4.00
13 벤질 벤조에이트 10.00
14 보나픽스(bornafix) 1.40
15 보르게날(bourgenal) 2.50
16 부틸 사이클로헥실 아세테이트(butyl cyclohexyl acetate) 0.20
17 카르본 L(carvone L) 0.20
18 시트럴(citral) 3.00
19 시트로네롤(citronellol) 15.00
20 시트로네릴 아세테이트(citronellyl acetate) 2.00
21 사이클라멘 알데히드(cyclamen aldehyde) 5.00
22 사이클로갈바네이트(cyclogalbanate) 2.00
23 사이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cyclohexyl salicylate) 0.30
24 다마세논(damascenone) 0.50
25 데카락톤 감마(decalactone gamma) 0.10
26 디메틸 옥탄올(dimethyl octanol) 1.00
27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60
28 에틸 리날룰(ethyl linalool) 19.00
29 엑살톨리드 토탈(exaltolide total) 1.00
30 플로랄오존(floralozone) 1.70
31 플로르알린(floralyn) 0.20
32 플로로사(florosa) 16.00
33 갈락솔리드 501IPM(galaxolide 501IPM) 96.00
34 갈벡스 183(galbex 183) 0.30
35 게라니올(geraniol) 3.00
36 게라닐 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3.00
37 헤디온(hedione) 174.00
38 헥실 아세테이트(hexyl acetate) 0.50
39 헥실 시나믹 알데히드 알파(hexyl cinnamic aldehyde alpha) 15.00
40 헥실 살리실레이트(hexyl salicylate) 22.00
41 아이오논 알파(ionone alpha) 0.10
42 아이오논 베타(ionone beta) 6.00
43 이소 이 슈퍼(iso e super) 20.00
44 이소아나네이트(isoananate) 0.30
45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178.00
46 자스몬 시스(jasmone cis) 1.10
47 카라날(karanal) 0.20
48 리파롬(liffarome) 0.70
49 리구스트랄(ligustral) 1.10
50 리모넨 d(limonene d) 2.00
51 리날룰(linalool) 39.00
52 리날룰 옥사이드(linalool oxide) 1.10
53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32.00
54 라이랄(lyral) 12.00
55 리스메랄(Lysmeral) 14.00
56 만자네이트(manzanate) 0.10
57 멜로날(melonal) 0.03
58 메틸 아트라레이트(methyl atrarate) 0.50
59 네롤(nerol) 1.20
60 네릴 아세테이트(neryl acetate) 1.20
61 팸플 플루어(pample fleur) 0.40
62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4.00
63 프리사이클몬 B(precyclemone B) 1.00
64 스티랄릴 아세테이트(stylrallyl acetate) 10.00
65 타마린 베이스(tamarine base) 0.70
66 테르피닐 아세테이트(terpinyl acetate) 102.00
67 토날리드(tonalide) 12.00
68 트리에틸 시트레이트(trietyl citrate) 0.70
69 베르토픽스 코우어(vertofix Coeur) 0.30
70 비리딘(viridine) 0.20
71 베르가모트 오일(bergamot oil) 25.00
72 레몬 cp 오일(lemon cp oil) 15.00
73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0.60
74 바실 오일(basil oil) 1.80
75 게라늄 오일(geranium oil) 0.50
76 다이프로필렌 글리콜(Diprophylene Glycol) 107.43
합계 1000.00
총 76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헤어를 건조하고 8시간 후에 남아 있는 향료 물질들은 그 함량이 많이 들어가 있는 향들이 아니라 LogP 값이 3이상이면서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들이 거의 대분분이었다. 따라서, 남아 있는 향료를 분석하여 비율대로 재조합을 해 보았다.
하기 표 2는 8시간 후 남아있는 향료들의 비율이다.
번호 화합물명 함량 b.p.(℃) log P
1 카라날(karanal) 1.3 302 5.89
2 토날리드(tonalide) 85 312 5.7
3 베르토픽스 코우어(vertofix Coeur) 4 272 5.655
4 갈락솔리드 501 IPM(galaxolide 501IPM) 650 306 5.482
5 헥실 시나믹 알데히드 알파(hexyl cinnamic aldehyde alpha) 100 305 5.473
6 엑살톨리드 토탈(exaltolide total) 8 280 5.346
7 이소 이 슈퍼(iso e super) 135 295 5.23
8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citronellyl acetate) 14 229 4.56
9 아그루멕스(agrumex) 2 221 4.42
10 프리사이클몬 B(precyclemone B) 0.7 267 4.36
합계 1000    
[시험예 2]
상기 시험예 1의 결과를 반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해보았다. 하기의 4가지 그룹으로 향료를 분리하여 향지속성 테스트를 하였다.
< 1그룹 : b.p>250℃ 및 Log P >3.000 >
번호 화합물명 b.p Log P
1 아우란티올(aurantiol) 450 4.210
2 에틸렌 브라실레이트(ethylene brassylate) 332 4.554
3 토날리드(tonalide) 312 5.700
4 아밀 시나메이트(amyl cinnamate) 310 3.771
5 헥실 시나믹 알데히드 알파(hexyl cinnamic aldehyde alpha) 305 5.473
6 세드릴 아세테이트(cedryl acetate) 303 5.436
7 카라날(karanal) 302 5.890
8 암브레톨리드(ambrettolide) 300 6.261
9 벤질 살리실레이트(benzyl salicylate) 300 4.383
10 헥사데카놀리드(hexadecanolide) 294 6.805
< 2그룹 : b.p>250℃ 및 Log P <3.000 >
번호 화합물명 b.p Log P
1 코우마린(coumarin) 291 1.412
2 유게놀(eugenol) 253 2.307
3 이소-유게놀(iso-eugenol) 266 2.547
4 인돌(indole) 254 2.142
5 메틸 시나메이트(methyl cinnamate) 263 2.620
6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jasmonate) 300 2.275
7 메틸-N-메틸 안트라닐레이트(methyl-N-methyl anthranilate) 256 2.791
8 베타-메틸 나프틸 케톤(beta-methyl naphthyl ketone) 300 2.275
9 델타-노나락톤(delta-nonalactone) 280 2.760
10 바닐린(Vanillin) 285 1.580
< 3그룹 : b.p<250℃ 및 Log P >3.000 >
번호 화합물명 b.p Log P
1 이소-보닐 아세테이트(iso-bornyl acetate) 227 3.485
2 카바크롤(carvacrol) 238 3.401
3 알파-시트로넬롤(alpha-citronellol) 225 3.193
4 파라-시멘(para-cymene) 179 4.068
5 디하이드로미레놀(dihydromyrenol) 208 3.030
6 게라닐 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245 3.715
7 d-리모넨(d-limonene) 177 4.232
8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220 3.500
9 베르테넥스(vertenex) 232 4.060
10 네릴 아세테이트(neryl acetate) 231 3.670
< 4그룹 : b.p<250℃ 및 Log P <3.000 >
번호 화합물명 b.p Log P
1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179 1.480
2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215 1.960
3 l-카르본(l-carvone) 231 2.083
4 게라니올(geraniol) 230 2.649
5 히드록실시트로넬랄(hydroxylcitronellal) 241 1.541
6 시스-자스몬(cis-jasmone) 248 2.712
7 리날룰(linalool) 198 2.429
8 네롤(nerol) 227 2.649
9 페닐 에틸 알코올(phenyl ethyl alcohol) 220 1.183
10 알파-테르피네올(alpha-terpineol) 219 2.569
즉, 1그룹은 LogP 값이 3보다 크면서 휘발도(b.p) 250℃ 이상인 것, 2그룹은 LogP 값이 3보다 작으면서 휘발도(b.p) 250℃ 이상인 것, 3그룹은 LogP 값이 3보다 크면서 휘발도(b.p) 250℃ 이하인 것, 4그룹은 LogP 값이 3보다 작으면서 휘발도(b.p) 250℃ 이하인 향료들을 동량으로 샴푸에 부향한 후 패널 전문가를 통하여 블라인드 테스트로 8시간 후에 잔향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2회 반복 측정하였다.
Figure 112006068593797-pat00002
향취강도 점수는 7점척도법을 사용하여 각 샘플간에 상대 비교로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듯이, 1그룹이 헤어를 건조하고 8시간 후에 향취 강도 평균점수가 6.5점으로 월등히 높았다. 이것은 8시간이 지나도 다른 그룹에 비해서 향료들이 헤어에 잔존하는 양이 많고 휘발도 늦게 되어 오랜 시간 동안 향을 발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정반대로 4그룹의 경우는 향취 강도 평균점수가 1.75점에 그쳐 다른 그룹에 비해 향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2그룹은 향취강도 평균점수가 4.00점이고, 3그룹은 4.58점으로 3그룹이 다소 높은 편이나 오차범위 내에 있으므로 향취 지속성이 어떤 한 인자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휘발도(b.p)와 LogP 두개의 인자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각 그룹에 따른 차이는 P값이 0.000으로 유의함을 증명할 수 있고 휘발도(b.p)가 높고 LogP 값이 클수록 향취 지속력을 증강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근거로 기존의 샴푸 향에 대해 초기의 향취 기호성을 유지하면서 잔향 지속성을 높여주는 기술에 대해 기술하면 최초 실험대상인 D샴푸에 대해 향료를 GC/MS 분석한 것은 표 1과 같이 총 75종으로 구성이 되어 있었다. 하지만 8시간 후에 헤어에 잔존하는 향들을 분석해 본 결과, 표 2와 같이 10종만이 두드러져 있었다. 헤어에 잔존하는 향료들을 살펴보면 거의 LogP 값이 3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 되는 향료들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위의 조건이 잔향지속성을 늘려준다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그리고 이 향료들의 특징은 샴푸초기에 향취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일정량 함량을 늘려주어도 기호성에는 전혀 변화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향취의 기호성은 유지하면서 잔향의 지속성은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시험예 3]
본 발명에 의한 향지속성 베이스의 향료 조성물내 함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서 8시간 후 헤어에 잔존하는 표 2의 향들을 표 2에 기재된 비율대로 조합하여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base)를 제조하였다. 기존 향에 A는 5 중량%, B는 25 중량%, C는 10 중량%, D는 15 중량%, E는 20 중량% 및 F는 기존 향으로 각각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base)를 첨가하여 샴푸에 부향한 후 각각 1시간, 4시간 및 8시간 후에 잔향을 도 1에 도시된 방법으로 관능측정하였다. 평가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 F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향취 강도를 측정하였고,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순번도 랜덤하게 하여 그 결과를 표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68593797-pat00003
표 4의 결과에서,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base)를 25 중량% 첨가한 B가 향 지속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향지속성 베이스(Longlasting base)를 20 중량% 이상 첨가한 B와 E는 지속성은 우수하나 초기 향취에 변화가 생겨 기호성이 떨어지는 역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10∼15 중량% 정도 일 때가 샴푸향 초기의 향취에는 전혀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도 최대로 지속력만을 늘릴 수 있는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향지속성 베이스의 첨가량이 15중량%에 가까워지면 LogP 값이 4 이상인 경우의 향료 조합이 4 미만인 경우보다 변취가 적어 기호성이 우수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지속성 베이스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은 제품향에 대해 기존의 초기 향취에는 변화를 주지않으면서 잔향 지속성만을 늘려주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기존에는 잔향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서 향취계열을 바꾸는 방법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향취를 유지함에 따라 검증된 향료의 기호성은 만족시키면서 잔향성만을 높이는 획기적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조향기술은 삼푸 향료뿐만 아니라 바디클렌저, 비누 및 클렌징폼 등 물로 씻어내는 제품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Log P 값이 3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성분을 배합하여 제조한 향지속성 향료 베이스를 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5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향료 성분은 카라날, 토날리드, 베르토픽스 코우어, 갈락솔리드 501 IPM, 헥실 시나믹 알데히드 알파, 엑살톨리드 토탈, 이소 이 슈퍼, 프리사이클몬 B, 아우란티올,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아밀 시나메이트, 세드릴 아세테이트, 암브레톨리드, 벤질 살리실레이트 및 헥사데카놀리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Log P 값이 4이상이고, 휘발도(b.p)가 250℃ 이상인 향료성분을 배합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비누, 바디클렌저 및 클렌징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세정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92129A 2006-09-22 2006-09-22 향의 지속력을 높이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23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129A KR101230933B1 (ko) 2006-09-22 2006-09-22 향의 지속력을 높이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129A KR101230933B1 (ko) 2006-09-22 2006-09-22 향의 지속력을 높이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913A KR20080026913A (ko) 2008-03-26
KR101230933B1 true KR101230933B1 (ko) 2013-02-07

Family

ID=3941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129A KR101230933B1 (ko) 2006-09-22 2006-09-22 향의 지속력을 높이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9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205A (ko) 2015-11-30 2017-06-08 (주)아모레퍼시픽 향지속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7460A (ko) 2018-02-12 2019-08-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를 활용하여 향의 지속성을 증대시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0439A (ko) * 2019-01-21 2020-07-29 한국콜마주식회사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94B1 (ko) * 2008-04-30 2015-01-12 (주)아모레퍼시픽 칡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10875B1 (ko) 2016-02-22 2023-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기 지속성이 우수한 고온 또는 초고온 살균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81669B1 (ko) * 2016-12-05 2018-07-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길마가지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2786A1 (en) * 1994-10-20 1996-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enduring perfu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2786A1 (en) * 1994-10-20 1996-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enduring perfu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205A (ko) 2015-11-30 2017-06-08 (주)아모레퍼시픽 향지속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7460A (ko) 2018-02-12 2019-08-2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를 활용하여 향의 지속성을 증대시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0439A (ko) * 2019-01-21 2020-07-29 한국콜마주식회사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KR102166517B1 (ko) 2019-01-21 2020-10-15 한국콜마주식회사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913A (ko) 200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4470B1 (en) Fragrance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detergent products
KR101230933B1 (ko) 향의 지속력을 높이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US8822404B2 (en) Perfum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9428712B2 (en) Perfuming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1474095A1 (en) Olfactory adaptation and cross-adapting agents to reduce the perception of body odors
US7517840B2 (en) Optimized perfumery for rinse-off products
WO2005044206A1 (en) Fragrances comprising residual accords
US20100048441A1 (en) Multisensory Fragrance Compositions
BR112018000807B1 (pt) Composição de limpeza, uso da composição, método para a deposição de um agente beneficiador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a composição
CN102170858A (zh) 加香组合物及其应用
JP2004502833A (ja) 香料保留剤および/または香料エンハンサーとしての、香料組成物中での(1−エトキシエトキシ)シクロドデカンの使用
US8633144B2 (en) Octahydro-1H-4,7-methano-indene-5-aldehydes and their use in perfume compositions
JP2002317192A (ja) 香料組成物
US6475473B1 (en) Perfume compositions
EP2917317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JP2007063251A (ja) 香料成分の選定方法及び調香方法
JP2011084617A (ja) 香料組成物
JP2006045571A (ja) 香料香質保持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香料組成物
US6451758B1 (en) Aldehyde mixtures,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oviding fragrance using the same
EP2134317A1 (en) Multisensory fragrance compositions
JP2002275494A (ja) 桜花様香料組成物及び化粧料
JP2011084618A (ja) 香料組成物
KR102599099B1 (ko)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JPH11501081A (ja) 酸化防止剤としての4−第3ブチル−1−シクロヘキサノールの使用
KR101988012B1 (ko) 화장료 원료취 차폐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