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869B1 -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869B1
KR101229869B1 KR1020090089217A KR20090089217A KR101229869B1 KR 101229869 B1 KR101229869 B1 KR 101229869B1 KR 1020090089217 A KR1020090089217 A KR 1020090089217A KR 20090089217 A KR20090089217 A KR 20090089217A KR 101229869 B1 KR101229869 B1 KR 10122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fiber
fiber
weight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inforced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809A (ko
Inventor
윤병섭
정진호
이동훈
민기훈
장병욱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8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3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7Yarns or threads for specific use in general industrial applications, e.g. as filters or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는 시스코어(Sheath-core)형으로 구성되되, 코어부에는 고유점도(IV) 0.50~0.70 dl/g, 용융점(Tm) 235~260℃의 물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고유점도(IV) 0.75~1.64 dl/g, 용융점(Tm) 150~170℃의 물성을 갖는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Graft)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시스코어형 복합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보강

Description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REINFORCED COMPOSITE FIBER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ND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등에 보강섬유를 혼입하여 부착강도 및 내열성을 증가시키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공사시 사용되는 콘크리트 등은 공사의 완료 후 인장 및 동적 하중하에서 급작스런 파괴를 일으키는 취성을 갖게 되며, 특히 양생과정 중에 균열이 생성되기도 한다.
콘트리트 등의 양생 중에 발생되는 균열은 축조물의 역학적 성질을 나쁘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강도 및 파괴인성 등을 증가시켜 축조물의 역학적 성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대개는 철근을 와이어메쉬 형태로 하여 콘크리트 등에 매립시키고 있는 데, 근래 들어서는 철근 와이어메쉬 대신 불연속적이며 단상인 섬유질재료로 된 보강재를 콘크리트 등에 혼합시켜 콘크리트 등의 양생시에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인장저항력과 같은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등에 포함되는 시멘트 복합재료의 성능은 각 구성 재료의 재료적 특성 및 각 재료의 접합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각 재료의 접합계면에서의 특성은 시멘트 복합재료의 최종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는 시멘트 복합재료의 연성을 호가보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재료로 보강 섬유와 시멘트 복합재료와의 접착 계면 특성은 보강섬유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현재 시멘트 복합재료에 적용되고 있는 상기 보강재로서는, 강섬유(steel Fiber), 유리섬유, 합성섬유 등이 쓰이고 있다.
특히 강섬유로 된 보강재는 철재로 되어 있는데, 압축강도의 증진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및 휨강도가 향상되어 콘크리트의 최대 약점인 낮은 인장강도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연성이 우수하여 도로포장, 공항활주로, 수리항만구조물, 충격하중과 반복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축조에 적합하나, 타설비를 손상 및 파손시킬 소지를 제공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강섬유는 그 자체가 가지는 중량이 무거운 관계로 가격도 높을 뿐만 아니라 화학적 반응에 의한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합성섬유는 시멘트 복합재료의 균열제어 및 휨 성능 향상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섬유를 비롯한 표면이 소수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합성섬유는 시멘트 복합재료에 첨가되어 시멘트 매트릭스와의 부착강도가 떨어져 섬유보강 복합재료에서 섬유의 중요한 거동 중 하나인 섬유의 인발과정에서 충분한 마찰저항력을 확보하지 못한다. 이는 시멘트 복합재료의 휨 거동 중 보강섬유에 의해서 지배되는 균열 발생 후 거동에서도 충분한 성과를 얻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큰 에너지 흡수 능력의 확보를 필수로 하는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등에 합성섬유의 적용에 제한을 받는 이유가 되었다. 따라서, 합성섬유를 시멘트 복합재료의 보강재료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복합재료와 보강섬유 사이의 계면 부착 특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시멘트 복합재료와 보강 섬유의 부착 계면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은 현재까지 다양하게 알려져 왔다. 이 중 합성섬유의 표면을 친수화시키는 방법들이 있다.
합성섬유의 표면을 친수화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실시된 바 있다. 플리즈마 처리방법은 합성섬유 주사슬(backbone)로부터 수소원자를 제거하고 극성 그룹으로 치환한다. 극성 그룹은 합성섬유 표면에서 반응성을 강화하여 섬유와 시멘트 복합재료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플리즈마 처리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처리 비용이 고가이며, 다량의 친수화 처리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합성섬유의 표면을 친수화 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합성섬유의 표면을 친수성 물질로 코팅하는 화학적 방법으로 에폭시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섬유의 표면을 처리하였다. 이밖에도 폴리에틸렌, 탄소 및 아라미드 섬유를 에폭시 등을 이용하여 친수성 처리한 연구가 있었으며 친수성 처리의 효과는 시멘트 복합재료와 섬유 사이의 부착계면의 강화를 통한 성능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친수성 처리방법의 주요관점은 섬유의 표면에 화학적 산화처리, 플라즈마에 의한 산화처리와 친수성물질의 도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모든 친수화 처리 기술은 직접적으로 시멘트 복합재료와 보강 섬유 사이의 부착성능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법이라 하겠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4-0004938호에서는 다수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섬유의 전체표면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무수말레인산층을 형성함으로써 친수화 표면개질된 콘크리트/숏크리트용 폴리프로필렌 보강섬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섬유는 제조단계가 복잡한 문제점과 내구성이 우수하지 않으며 제조단가 또한 비싼 단점이 있다.
따라서, 토목 건축 자재용 콘크리트의 보강 섬유를 제공하는 데 있어 부착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조단가가 저렴한 보강섬유의 제조가 소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강섬유로서 시멘트 복합재료의 균열을 제어하고 휨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섬유 표면을 친수화하여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에 부착강도를 증진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섬유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부착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저렴한 제조원가로 제조할 수 있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는 시스코어형으로 구성되되, 코어부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고유점도(IV) 0.75~1.64 dl/g, 용융점(Tm) 150~170℃의 물성을 갖는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고유점도(IV) 0.50~0.70 dl/g, 용융점(Tm) 235~260℃의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고유점도(IV) 0.75~1.64 dl/g, 용융점(Tm) 150~170℃의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부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5 내지 95 중량% 및 시스부의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95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래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서 폴리프로필렌이 전체중량에 0.1 내지 3 중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어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시스부로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각각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방사속도가 500 내지 1,300m/min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로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된 복합섬유를 80 내지 120℃의 연신온도로 하고 90 내지 130℃로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고유점도(IV) 0.50~0.70 dl/g, 용융점(Tm) 235~260℃의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고유점도(IV) 0.75~1.64 dl/g, 용융점(Tm) 150~170℃의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부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5 내지 95 중량% 및 시스부의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95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래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서 폴리프로필렌이 전체 중량에 0.1 내지 3 중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복합섬유 또는 상기의 복합섬유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단섬유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는 시멘트 복합재료의 균열을 제어하고 휨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는 섬유 표면을 친수화하여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에 부착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데 있어 부착특성이 우수하면서도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토목/건축 자재용 시멘트 섬유 보강제를 연구하던 중 우수한 가공성, 내열성, 부착특성 및 가격경쟁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여 시스코어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는 데, 코어부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시스부에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한 결과 매우 뛰어난 효과가 발생함을 발견하여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토목/건축 자재용 복합섬유는 시스코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시스부는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를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코어부 110은 원형인 단면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어부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는 용융 방사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 데,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사용하였다. 상기 PET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축합하여 얻을 수 있는 포화폴리에스테르로서 분자쇄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잘 휘어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PET는 고유점도(IV) 0.50~0.70 dl/g, 용융점(Tm) 235~260℃의 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에서 제조된 복합섬유는 강성, 내열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시스부는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maleic anhydride grafted PP)(이하 "mPP")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화학적 안정성과 강도 특성이 매우 뛰어난 화합물인 동시에 알칼리 저항성이 매우 뛰어난 물질이다. 따라서, PET 섬유의 시스부에 폴리프로필렌이 구성됨으로써 알칼리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소수성인 특성으로 콘크리트 등에 부착특성이 우수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친수성이 있어 부착특성이 우수한 mPP를 사용하였다. 상기 mPP는 내알칼리성이 우수하고, 친수성 성질이 있어 부착특성이 우수하며 그리고 내열성이 강한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고유점도(IV) 0.75~1.64 dl/g, 용융점(Tm) 150~170℃의 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내에서 내알칼리성 및 부착강도가 우수한 특성이 있다.
상기 mPP는 무수말레이산에 폴리프로필렌이 0.1 내지 3 중량%로 그라프트 하였으며, 상기 mPP는 일반 폴리프로필렌과 동일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친수성인 재료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친수성의 특성을 갖는 상기 mPP는 부착특성이 우수하여 시스부에 형성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가 시멘트에 혼합되었을 때 시멘트 매트릭스와 섬유의 접착 계면에서 강한 부착력을 발휘하여 마찰저항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는 코어부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5 내지 95 중량% 및 시스부의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95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부가 5 중량% 미만으로 구성되면, 원사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시스부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PET의 효과를 거의 볼 수 없고 가공성에 문제가 발생하여 섬유가 쉽게 끊어지며, 상기 코어부가 95 중량%를 초과하여 복합 섬유가 제조되면, 원사의 단면으로 보았을 때 시스부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시스코어형 구조가 파괴되며 코어부가 원사 표면에 돌출되어 부착강도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복합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용융방사시 용융물의 방사온도는 각 용융온도보다 20 내지 60℃ 높은 온도로 방사한다. 방사온도가 용융 온도보다 20℃보다 낮으면 불균일한 용융이 되어 압출기 내에서의 압력이 너무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되며 제조되는 복합섬유가 물성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중합물 용융온도보다 60℃를 초과하면 용융물의 흐름성은 개선되지만 열분해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토출된 개개의 토출물은 분배판을 지나 방사구금으로 들어가면서 합쳐지게 되어 시스코어형 단면의 복합섬유 제조가 가능하다.
얻어진 복합섬유는 부분배향-연신/가연 공법이나 방사직접연신공법에 의하여 섬유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속도는 500 내지 1,300m/min 이다. 이는 500m/min 미만으로 방사시, 저속방사에 의한 중합체 용융체 토출량 감소로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연신시 연신비 향상으로 인한 열수축율 상승으로 열 에 대한 형태 안정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낮은 방사속도에서 고배율연신에 의해 형성된 결정을 가지고 있는 섬유들은 열에 대한 높은 수축률을 나타낸다. 또한, 1,300m/min를 초과하여 방사시 2종의 서로 물질간 열적, 물리적 특성이 매우 상이함으로 인한 방사성 저하로 방사공정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부분배향-연신/가연 공법이나 방사직접연신공법에 의해 제조시, 연신온도는 80 내지 120℃로 함이 바람직하다. 연신온도가 80℃ 미만에서는 균일연신이 어렵고, 120℃를 초과해서는 열에 의해 가소화되는 정도가 심해 방사간 공정성 및 그 물성이 불안정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열처리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데,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00℃로 한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열처리 할 경우 복합섬유의 높은 수축이 발생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열처리 할 경우 작업성이 좋지 않으며 제반 물성이 약화된다.
이와같이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합섬유는 이를 토목건축 자재용의 보강제로 사용할 경우 부착특성이 우수하며, 내열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토목건축 자재용 복합섬유는 단섬유로 형성되어 활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복합섬유의 제조>
코어부의 PET는 고유점도가 0.65dl/g인 수지 준비하였으며, 시스부의 mPP는 고유점도가 0.80dl/g인 수지를 준비하였는 데, 상기 mPP는 폴리프로필렌이 전체중량에 3 중량% 포함되도록 하였다. 상기 수지들을 부분배향-연신/가연 공법으로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는 데, 방사속도는 1000m/min으로 방사하였으며, 연신온도 85℃, 열처리 온도 110℃, 연신비 3.0으로 하여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는 데, 이때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율은 50:50으로 하였다.
<복합섬유가 포함된 콘크리트의 제조>
시멘트 36wt%, 모래 43wt%, 물 20wt% 및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복합섬유 1wt%를 혼합하여 교반을 거쳐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3일후, 7일후, 28일후 복합섬유와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5회 반복 실험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실시예 2 및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율은 각각 5:95 및 95:5 로 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PET는 고유점도가 0.70 dl/g이며, mPP의 고유점도 1.5 dl/g인 수지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5 및 6
실시예 4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율은 각각 5:95 및 95:5 로 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비율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는 데, 이때 복합섬유 대신 PET 섬유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시멘트 36wt%, 모래 43wt%, 물 20wt% 및 PET 섬유 1wt%), 3일후, 7일후, 28일후 섬유와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5회 반복 실험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율을 97:3 으로 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율을 97:3 으로 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구분
부착강도(Kgf/㎠)
재령 3일 재령 7일 재령 28일
실시예 1 19.6 21.4 22.5
실시예 2 21.7 23.8 24.6
실시예 3 18.8 20.7 21.3
실시예 4 20.1 21.8 22.2
실시예 5 21.8 23.6 24.5
실시예 6 19.4 21.2 21.8
비교예 1 10.2 11.2 11.9
비교예 2 10.8 11.6 11.8
비교예 3 14.6 14.8 15.0
비교예 4 13.8 14.1 14.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1)

  1.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는 시스코어형으로 구성되되,
    코어부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고유점도(IV) 0.75~1.64 dl/g, 용융점(Tm) 150~170℃의 물성을 갖는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고유점도(IV) 0.50~0.70 dl/g, 용융점(Tm) 235~260℃의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코어부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5 내지 95 중량% 및 시스부의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95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은 시스부의 전체중량에서 0.1 내지 3 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6. 시스코어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어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시스부로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각각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물을 방사속도가 500 내지 1,300m/min로 시스코어형 복합섬유로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된 복합섬유를 80 내지 120℃의 연신온도로 하고 90 내지 130℃로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고유점도(IV) 0.50~0.70 dl/g, 용융점(Tm) 235~260℃의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 유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고유점도(IV) 0.75~1.64 dl/g, 용융점(Tm) 150~170℃의 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코어부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5 내지 95 중량% 및 시스부의 상기 무수말레이산이 그라프트 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95 내지 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은 시스부의 전체중량에서 0.1 내지 3 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11.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섬유 또는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단섬유.
KR1020090089217A 2009-09-21 2009-09-21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217A KR101229869B1 (ko) 2009-09-21 2009-09-21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217A KR101229869B1 (ko) 2009-09-21 2009-09-21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809A KR20110031809A (ko) 2011-03-29
KR101229869B1 true KR101229869B1 (ko) 2013-02-05

Family

ID=4393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217A KR101229869B1 (ko) 2009-09-21 2009-09-21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309B1 (ko) * 2011-03-28 2013-07-09 주식회사 휴비스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심초형 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CN104452097A (zh) * 2014-12-06 2015-03-25 常熟江南玻璃纤维有限公司 玻璃纤维复合材料的生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6321A (ja) 2003-07-15 2005-02-10 Chisso Corp 熱接着性複合繊維、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製品
KR100639552B1 (ko) 2005-12-02 2006-11-01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코어-시스형 복합방사 섬유용 수지조성물
JP2007308839A (ja) 2006-05-19 2007-11-29 Chisso Corp 無水マレイン酸含有繊維
KR20070115133A (ko) * 2006-05-31 2007-12-05 (주)리앤에스 상용화제로 나일론 6과 무수말레인산-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나노입자상 클레이 함유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나노입자상 클레이 함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6321A (ja) 2003-07-15 2005-02-10 Chisso Corp 熱接着性複合繊維、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製品
KR100639552B1 (ko) 2005-12-02 2006-11-01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코어-시스형 복합방사 섬유용 수지조성물
JP2007308839A (ja) 2006-05-19 2007-11-29 Chisso Corp 無水マレイン酸含有繊維
KR20070115133A (ko) * 2006-05-31 2007-12-05 (주)리앤에스 상용화제로 나일론 6과 무수말레인산-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나노입자상 클레이 함유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나노입자상 클레이 함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809A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2924A (en) Novel compositions based on reinforcement with microfibrillar networks of rigid-rod polymers
Fegade et al. A review on basalt fibre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 materials
CN104725780B (zh) 一种混杂玄武岩纤维和玻璃纤维增强树脂筋
CN102307920A (zh) 用聚醚酮酮上胶的纤维
CN101121813A (zh) 一种全降解天然纤维/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6534247A (ja) コンクリートの補強のための複合繊維
JP7007630B2 (ja) 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を配合した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
KR101229869B1 (ko) 토목건축 자재용 보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5446B1 (ko) 현무암섬유를 포함한 열경화성 섬유강화 복합소재, 그 제조방법 및 이 복합소재로 형성된 밴딩 구조물
KR102200947B1 (ko) 섬유강화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EP3510188B1 (en) Enhancement of reinforcing fibers, their applic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hen et al. Construction of high-strength aligned bamboo fibre/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KR101950849B1 (ko) 콘크리트보강용 섬유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섬유복합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JP2022527551A (ja) 繊維セメントの屋根用途のためのアルカリ性環境における分散が強化された表面上に親水性ポリマーを有する二成分極細繊維
He et al. Unique silk-carbon fiber core-spun yarns for developing an advanced hybrid fiber composite with greatly enhanced impact properties
KR20050042553A (ko) 열경화성 수지로 코팅된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보강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213760A (zh) 一种大麻-椰壳混杂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ElMessiry et al. Mechanical performance of cementitious composites reinforced with pultruded jute/polymeric matrix fabric
Suresha et al. Morphology and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basalt fiber reinforced composites
KR101952621B1 (ko)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11632A (ja) セメント補強用繊維材料
KR20110078937A (ko) 보강섬유가 포함된 폭열방지 및 내화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JP2005256189A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撚糸
CN115151701A (zh) 具有改进模量的复合材料部件
Rajulu et al. Tensile properties of natural fabric Hildegardia populifolia/polycarbonate toughened epoxy 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