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592B1 - 차 추출용 컵 - Google Patents
차 추출용 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9592B1 KR101229592B1 KR1020120088161A KR20120088161A KR101229592B1 KR 101229592 B1 KR101229592 B1 KR 101229592B1 KR 1020120088161 A KR1020120088161 A KR 1020120088161A KR 20120088161 A KR20120088161 A KR 20120088161A KR 101229592 B1 KR101229592 B1 KR 1012295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filter net
- cup
- tea extraction
- t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두커피, 녹차 또는 홍차와 같이 온수에 우려내는 커피나 차를 생성하기 위한 컵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안치되어 있으며, 물이 통과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필터망 및 상기 필터망의 입구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당겨져 상기 필터망의 입구를 조이는 조임끈을 포함하는 차 추출용 컵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두커피, 녹차 또는 홍차와 같이 온수에 우려내는 커피나 차를 생성하기 위한 컵에 관련된 것이다.
널리 사용되는 커피자판기는 펄프를 이용한 일회용 종이컵을 사용한다. 자판기에 구비되는 종이컵의 사이즈는 일반적으로 널리 유통되는 사이즈의 종이컵과, 이보다 조금 더 큰 사이즈의 종이컵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담기는 음료수가 새지 않아야 하므로 수밀성이 우수해야 한다. 또한 일회용 종이컵의 가격은 자판기 운영 수익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가격은 저렴해야 한다. 또 이러한 일회용 종이컵은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자판기의 내부에 밀집되게 적재되어야 하므로, 종이컵은 밀집되게 적층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자판기에 사용되는 컵 디스펜서에서 한 번에 정확히 하나씩 토출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이 물에 우려내는 음료는 원재료의 분량과 우려내는 시간에 따라 농도가 달라진다. 특히 음료의 농도는 원재료의 분량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소비자는 기호에 따라 원하는 농도가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1회용 음료는 일정 분량으로만 공급되므로 원재료 분량을 조절할 수 없다. 예컨대, 녹차나 홍차와 같은 차류는 주로 1회용 티백으로 개별포장하여 유통되고 있는데, 옅게 우려내려면 티백을 온수에 침지하는 시간을 짧게 해야한다. 그러나 티백을 온수에 짧은 시간 동안만 담그면, 떫은 맛이 먼저 우러나기 때문에 차맛이 좋지 못하게 된다. 한편, 진한 농도로 즐기길 원하는 경우 침지시간을 늘리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너무 오래 티백을 담가 두면 텁텁한 맛이 된다.
원두커피의 경우에도 커피맛을 좋게 하려면, 온수에 우려내는 시간을 적절히 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획일화된 분량의 티백 포장으로는 농도조절이 쉽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우려내서 마시는 차 또는 원두커피를 개인의 기호에 따라 분량 조절하여 담을 수 있으며, 용이하게 기호에 맞는 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돕는 컵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컵은 자판기 등에서 사용할 수 있게 적층 보관이 가능하면서 기존의 디스펜서 장치에서 하나씩 분리 배출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 가능한 비용을 적게 들여 경제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안치되어 있으며, 물이 통과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필터망 및 상기 필터망의 입구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당겨져 상기 필터망의 입구를 조이는 조임끈을 포함하는 차 추출용 컵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를 향하여 끝단부가 개방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끈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조임끈의 끝단부에는 시트형 태그가 연결되고, 상기 태그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망의 바닥부는 한데 묶여 매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듭에 의하여 상기 필터망의 바닥면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는 빈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 추출용 컵은 상하로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바닥은 함몰되어 있고, 하부에 위치하는 차 추출용 컵의 매듭은 상부에 위치하는 차 추출용 컵의 함몰된 바닥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두커피나 차의 1회 분량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어 기호에 맞는 농도로 우려내 음용할 수 있으며, 찻잎이나 원두커피 가루를 손쉽게 걸러내어 음료의 섭취를 용이하게 돕는다.
공간부는 초기 물 빠짐을 유도하여 조임끈을 조이는 과정 중에 필터망의 입구를 통해 원두커피 가루 등이 넘치지 않게 해준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크게 증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컵을 적층하여 보관하였다가 하나씩 배출하는 종래의 디스펜서에 설치하는 경우, 본체와 필터망의 이탈 우려가 없으므로 높은 작동 신뢰성을 보장 받는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컵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필터망과 조임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온수를 부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온수를 부은 잠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적층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필터망과 조임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온수를 부은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온수를 부은 잠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적층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컵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내용물'은 온수나 냉수에 우려내어 음용하는 녹차나 홍차와 같은 차류와 원두커피를 분쇄한 가루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 '음료'는 내용물이 물에 우러난 상태의 액체로 음용 대상을 의미한다.
제3자가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일부의 도면에서 필터망의 두께를 과장하여 표현하였음을 밝힌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 추출용 컵이 도시되어 있다.
차 추출용 컵(100)은 본체(1), 필터망(2) 및 조임끈(3)을 포함한다. 생략 가능한 추가 구성으로, 조임끈(3)에 연결되는 태그(4)가 더 포함된다.
본체(1)는 상부에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컵 형상이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본체는 커피 자판기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1회용 종이컵일 수 있다.
차 추출용 컵(100)이 종래의 종이컵만큼 밀집되게 적층되려면, 개방된 입구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며, 외부에 손잡이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차 추출용 컵의 적층보관을 고려치 아니한다면, 본체의 외형은 다양하게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필터망(2)은 본체의 내부에 안치되어 있다. 필터망(2)은 바닥과, 바닥에서 이어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측면을 구비하고 있어, 대략 컵의 형상이다. 특히, 필터망(2)의 원통형 둘레는 본체(1)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사이즈와 형상으로, 필터망(2)의 측면부와 본체(1)의 내주면은 사실상 밀접된다.
필터망(2)은 본체와 마찬가지로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필터망 내에 직접 내용물과 물을 넣을 수 있다. 사용자는 내용물을 원하는 분량으로 넣을 수 있으며, 물의 분량도 임의로 달리할 수 있다.
필터망(2)은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터망(2)은 천연펄프를 압착하여 형성한 시트나 부직포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망의 재질은 널리 알려진 공지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필터망(2)의 바닥부는 한군데로 묶여 매듭(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매듭(21)은 필터망(2)의 제조 과정 중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망을 제조하기 위하여 부직포 시트로 원통체를 형성하고, 원통체의 하부를 금속링 등으로 한데 묶어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
매듭(21)은 필터망(2)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매듭(21)의 돌출 길이에 의해 필터망(2)이 본체(1)에 안치되면 필터망(2)의 바닥면과 본체(1)의 바닥면에는 빈 공간부(22)가 형성된다.
도 3의 (a)에서 본체(1)의 바닥면에 매듭(21)의 하단부가 접촉하면서 필터망(2)의 바닥 중앙부를 들어 올리는 것과 같이 작용하고, 이로써 본체(1)의 바닥면과 필터망(2)의 바닥면 사이에 빈 공간부(22)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1)가 자판기 등에 널리 사용되는 종이컵의 사이즈(상하길이가 대략 7cm)일 때, 매듭(21)의 돌출 길이는 0.5cm 내지 1cm 이다. 얇은 필터망은 재질의 가요성으로 처짐이나 늘어짐이 있기 때문에 매듭이 적어도 0.5cm가 되지 아니하면 공간부(22)가 충분히 형성되지 아니한다. 공간부(22)가 충분히 형성되지 아니하면, 후술하는 공간부(22)로 인한 초기 물 빠짐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만일 매듭(21)의 돌출 길이가 1cm를 초과하면, 차 추출용 컵의 적층시 매듭이 간섭하게 되어 컵의 밀집된 적층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필터망(2)의 상단은 본체(1)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필터망(2)은 본체(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된다.
만일 필터망이 본체의 상단에까지 이어지도록 높게 형성하면, 차 추출용 컵을 상하로 적층하는데, 본체 입구 주변까지 올라온 필터망에 의한 간섭이 있게 되어, 차 추출용 컵을 밀집되게 적층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조임끈(3)이 필터망(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임끈(3)이 연결된 부분에서 필터망(2)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는데, 이 부분이 차 추출용 컵을 상하 적층하는데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필터망(2)의 상단을 본체(1)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하여, 차 추출용 컵을 쌓을 때, 상부에 올려지는 본체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필터망(2)의 간섭을 최소로 하여 보다 밀집된 적층이 이루어진다.
필터망(2)은 본체(1)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본체(1)에 안치되는 것만으로도 장착이 완료된다. 그러나 필터망(2)이 사용자의 의도(후술하는 조임끈의 당김)에 상관없이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망(2)은 접착제로 본체(1)에 간이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되는 널리 사용되는 식용 접착제이고, 접착 부위는 조임끈이 연결되는 필터망의 측면 둘레일 수 있다.
한편 조임끈(3)은 필터망(2)의 개방된 입구 둘레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조임끈(3)을 당겨 필터망의 입구를 조일 수 있다.
필터망(2)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조임끈(3)을 이 구멍들에 지그재그로 꿰어, 필터망(2)에 조임끈(3)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필터망의 상단부를 접은 후, 접힌 부분의 일부분을 접착하여 필터망의 상단에 원형 공간을 형성하고, 이 원형 공간을 따라 조임끈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외 조임끈을 당겨 개방된 필터망의 입구를 줄이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조임끈(3)은 본체(1)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에는 슬릿(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은 조임끈이 통과하는 구멍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슬릿(11)은 본체(1)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본체(1)의 상부를 향하여 끝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 슬릿은 단순한 상하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임의로 조임끈(3)이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릿(11)은 필터망(2)에 연결된 조임끈의 높이에 해당되는 본체의 측면에서 본체의 원주 방향으로 1차 절개된 후, 이 원주방향의 절개된 끝부분에서 다시 본체의 상부로 이어지도록 2차 절개하여 형성된다. 즉, 슬릿(11)은 대략 'ㄴ'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조임끈(3)은 원주 방향으로 절개된 부분에서 본체(1)를 통과해 외부로 연장된다.
슬릿(11)의 한 쪽 끝단이 본체(1)의 상부를 향하여 개방됨에 따라, 조임끈(3)은 슬릿(11)을 따라 이동하면 본체와 이탈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에서 필터망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도 5 참고).
나아가 본체(1)의 외측으로 연장된 조임끈(3)은 끝단부에는 시트형상의 태그(4)가 연결될 수 있다. 태그(4)는 사용자가 손쉽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기능을 주로 담당한다.
이러한 태그(4)는 접착제를 통하여 본체(1)의 외측에 간이 부착된다(도 1의 점선 표시).
태그가 얇은 시트로 제작됨에 따라, 본체에 부착된 태그는 본체의 외측면에서 크게 돌출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차 추출용 컵을 적층할 때에, 컵들이 상하로 밀집되게 적층할 수 있게 한다. 태그는 약한 접착력으로 본체에 부착되므로, 사용자는 본체에서 태그를 쉽게 떼어낼 수 있다.
한편, 차 추출용 컵의 적층을 위하여 본체(1)의 바닥은, 다른 차 추출용 컵의 매듭(21)을 수용하도록, 상부를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하는 차 추출용 컵(100)의 매듭(21)은 상부에 위치하는 차 추출용 컵(100)의 함몰된 바닥으로 수용되어, 상하로 차 추출용 컵을 적층할 때에 매듭이 간섭하지 아니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컵을 이용한 음료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필터망(2)의 입구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분량에 만큼의 내용물과 물을 필터망에 담을 수 있다.
만일 차 추출용 컵(100)이 자판기에 사용되는 경우, 컵 디스펜서(도시 생략)에서 하나씩 배출되고, 배출구에 놓인 차 추출용 컵에는 정량의 내용물과 물이 투입된다.
도 3의 (a)는 내용물과 물이 부어진 직후의 상태이고, (b)는 잠시 뒤의 상태이다. 도 3의 (a)에서 내용물(G)과 물(W)이 투입된 직후에는, 물(W)에 내용물(G)이 뒤섞이게 된다. 필터망(2)은 아직 충분히 젖지 아니하여 물(W)이 투과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물(W)의 하중에 의해 필터망(2)의 바닥은 가장자리부터 아래로 처져 본체(1)의 바닥면과 가깝게 된다. 그러나 매듭(21)에 의하여 적어도 매듭(21) 주변에서는 필터망(2)의 바닥이 본체(1)의 바닥면과 접하지 않은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공간부(22)가 유지된다.
도 3의 (b)에서, 필터망(2)이 충분히 젖으면 내용물이 우러난 음료는 필터망(2)의 바닥을 투과하여 공간부(22)로 이동된다. 공간부(22)의 내부로 음료가 들어오면서 공간부(22)의 공기는 일부가 필터망(2)의 바닥 가장자리로 밀려나게 되어, 필터망(2)의 바닥면 가장자리가 본체(1)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진다. 이렇게 생겨난 공간은 필터망(2)을 통과한 음료가 채운다.
이와 같이, 공간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필터망(2)의 바닥을 음료가 빠른 시간 내에 통과하기 시작한다.
공간부를 형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음료의 초기 배출이 더디게 진행된다. 반복된 실험에 의하면, 공간부를 형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조임끈을 조이기 시작할 때에 음료가 필터망을 미처 빠져나가지 못하여, 내용물과 음료가 필터망의 입구를 넘쳐 흘러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공간부를 형성하였더니, 초기 물 빠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조임끈을 조이는 과정 중에 음료나 내용물이 필터망의 입구를 통해 넘치는 일이 없게 되었다.
초기 물 빠짐이 이루어진 후에, 공간부(22)에 갇혔던 공기는 필터망(2)의 바닥 가장자리를 거쳐 측면부까지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물의 접착력으로 인하여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필터망의 측면부를 떨어뜨리지는 못하더라도, 차후 조임끈의 당김에 따라 필터망이 오므려지면 공기가 상승하며 본체와 내주면에서 필터망을 떨어뜨리는데 기여하게 된다.
적정 시간이 지난 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임끈(3)을 당겨 필터망(2)의 입구를 조인다. 조임끈(3)을 당기면 필터망(2)의 측면부가 본체(1)에서 떨어지며 입구가 조여든다. 슬릿이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필터망의 입구는 슬릿이 형성된 본체(1)의 일측면에 모여지게 된다.
이후, 슬릿을 따라 조임끈(3)을 이동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망(2)을 본체(1)에서 완전히 드러낸다. 본체(1)에는 음료만 남게 되고, 사용자는 잔여하는 음료를 음용하게 된다.
도 7에는 적층된 차 추출용 컵들이 적층되어 있다. 본체(1)의 내부에는 필터망(2)이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1)의 외측면에는 태그(4)가 접착되어 있다.
하부에 위치하는 컵의 필터망 매듭(21)은 상부에 오른 컵의 함몰된 바닥에 수용되어, 컵들을 상하로 쌓는데 간섭을 일으키기 않는다.
하부에 위치하는 컵의 조임끈(3)이 연결된 부분에서 상부에 오른 컵의 본체(1)가 접하게 된다. 반면에 하부에 위치한 컵의 본체(1)의 내주면과 필터망(2)의 측면부는 서로 면접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로써 컵 디스펜서 등에서 하부의 컵을 배출할 때에, 필터망은 상부의 본체에 붙지 아니하고, 낙하는 본체에 면접한 상태에서 이탈된다. 즉, 필터망(2)과 본체(1)는 서로 접착하지 아니하여도, 적층되었다가 컵을 하나씩 배출할 때에 필터망과 본체는 임의로 분리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부의 컵 바닥, 즉 상부에 위치하는 본체(1)의 하단은 하부에 위치하는 컵의 필터망(2) 바닥과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적층하였던 컵들이 하나씩 배출될 때에 낙하는 컵의 필터망이 본체에서 이탈하여 상부에 위치한 컵의 외측에 붙어 있지 않게 된다.
나아가 조임끈(3)이 슬릿(11)에 물려진 상태이므로 필터망(2)이 본체(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로써 필터망과 본체가 일체의 관계를 유지하며, 컵 디스펜서에서 하나씩 배출될 수 있다.
100 : 컵
1 : 본체 11 : 슬릿
2 : 필터망 21 : 매듭 22 : 공간부
3 : 조임끈
4 : 태그
W : 물 G : 내용물
1 : 본체 11 : 슬릿
2 : 필터망 21 : 매듭 22 : 공간부
3 : 조임끈
4 : 태그
W : 물 G : 내용물
Claims (5)
-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안치되어 있으며, 물이 통과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어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필터망 및
상기 필터망의 입구 둘레에 연결되어 있고, 당겨져 상기 필터망의 입구를 조이는 조임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망의 바닥부는 한데 묶여 하부로 돌출되는 매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듭에 의하여 상기 필터망의 바닥면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는 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 추출용 컵. - 제1항에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를 향하여 끝단부가 개방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임끈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본체의 원주 방향으로 1차 절개되고, 1차 절개된 끝단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를 향하여 2차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인 차 추출용 컵. - 제1항에서,
상기 필터망의 상단은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컵. - 제1항에서,
상기 필터망의 바닥부에서 돌출되는 상기 매듭의 길이는 0.5cm 내지 1cm 인 차 추출용 컵. - 제1항에서,
상기 차 추출용 컵은 상하로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의 바닥은 함몰되어 있고,
하부에 위치하는 차 추출용 컵의 매듭은 상부에 위치하는 차 추출용 컵의 함몰된 바닥으로 수용되는 차 추출용 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161A KR101229592B1 (ko) | 2012-08-13 | 2012-08-13 | 차 추출용 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161A KR101229592B1 (ko) | 2012-08-13 | 2012-08-13 | 차 추출용 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9592B1 true KR101229592B1 (ko) | 2013-02-04 |
Family
ID=4789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8161A KR101229592B1 (ko) | 2012-08-13 | 2012-08-13 | 차 추출용 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959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3254Y1 (ko) * | 2002-06-25 | 2003-02-06 | 오은영 | 필터가 내장된 자동판매기용 종이컵 |
JP2005168812A (ja) * | 2003-12-11 | 2005-06-30 | Oguri Noen:Kk | 飲用容器 |
-
2012
- 2012-08-13 KR KR1020120088161A patent/KR1012295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3254Y1 (ko) * | 2002-06-25 | 2003-02-06 | 오은영 | 필터가 내장된 자동판매기용 종이컵 |
JP2005168812A (ja) * | 2003-12-11 | 2005-06-30 | Oguri Noen:Kk | 飲用容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K2781174T3 (en) | A method, device and capsule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 |
RU2378173C2 (ru) |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заварных напитков | |
US9409685B2 (en) | Cup for making tea on the go | |
DK2869740T3 (en) | A method, device and capsule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 |
US7235272B2 (en) | Drip bag | |
KR101636661B1 (ko) | 드립 커피용 컵 세트 | |
US9957101B2 (en) | Disposable brewing device | |
KR101378808B1 (ko) | 친환경 종이추출용기 | |
WO2013162438A1 (en) | Lid for a cup | |
KR101229592B1 (ko) | 차 추출용 컵 | |
EA028781B1 (ru) | Одноразовое сито с системой отжима | |
US20090246324A1 (en) | Infusion package | |
JP3135896U (ja) | 抽出物を具えたカップ | |
US20050279220A1 (en) | Cup and filter combination | |
TWI570041B (zh) | Do not need a cup of carry-on beverage brewing bag | |
KR102576031B1 (ko) | 기호성 음료 추출용 드립백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추출용 포장용기 | |
US20190090682A1 (en) | Anti-overflow brewing filter and spiral hanging-ear structure coupled thereto | |
KR100883163B1 (ko) | 농도조절이 용이한 드립커피 | |
TWM578127U (zh) | Hand tearing sleeve and container combining hand tearing sleeve | |
KR20190070000A (ko) | 음료추출용기가 구비된 음료컵 | |
KR200496168Y1 (ko) | 스푼형 음식물 저장기구 | |
RU200379U1 (ru) | Паке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методом пролива | |
KR102337485B1 (ko) |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 |
CN201356359Y (zh) | 袋泡茶袋 | |
WO2021215966A1 (ru) | Паке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методом пролив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