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832B1 - 사납금 정산장치 - Google Patents

사납금 정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832B1
KR101228832B1 KR1020110051978A KR20110051978A KR101228832B1 KR 101228832 B1 KR101228832 B1 KR 101228832B1 KR 1020110051978 A KR1020110051978 A KR 1020110051978A KR 20110051978 A KR20110051978 A KR 20110051978A KR 101228832 B1 KR101228832 B1 KR 10122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unit
terminal
gas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3344A (ko
Inventor
김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아이씨피
Priority to KR102011005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83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18Constructional details, e.g. of drawer, printing means, input means
    • G07G1/0027Details of drawer or money-box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3/00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 G07B3/02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from stock in wound strip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납금 정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사납금 정산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사납금 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는 지폐 입출금부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통장의 정보를 판독하는 통장부와; 상기 통장부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현금카드 혹은 택시기사의 아이디 카드의 정보를 읽기 위한 카드 판독부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가스쿠폰을 발급하기 위한 가스쿠폰 발급부와; 그리고 상기 조작부와, 지폐 입출금부와, 통장부와, 카드판독부와, 가스쿠폰 발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수회사 및 운전사정보에 의하여 본인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운전사의 사납금 정보를 검색하고, 기준 사납금과 전자결제된 금액을 비교하여 실사납금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입금된 실입금액 정보를 비교 정산함으로써 사납금 완납여부를 판단하고, 지불 사납금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여, 해당 운전사가 입금한 실사납금을 확인한 후, 사납금 완납여부에 따라 가스티켓 발급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가스티켓이 발급되도록 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납금 정산장치{APPARATUS FOR MANAGING MONEY WHICH TAXI DRIVERS HAVE TO TURN OVER TO THE COMPANY}
본 발명은 사납금 정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충전소 등에 배치된 단말기에 지폐 입출금부 및 가스쿠폰 발급부를 구비하여 택시운전사들이 사납금을 용이하게 입금하고, 가스충전 쿠폰을 발급받을 수 있는 사납금 정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시 운수회사의 사납금 입금 방식은 직접 납입방식이다. 즉, 택시 운전사들이 업무 종료 후, 운수회사의 차고지에 집결해서 회사에 납입할 사납금을 창구에서 현금으로 직접 납부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택시운행에 필요한 가스를 충전할 수 있는 쿠폰을 수령하여, 가스 충전소로 이동하여 가스를 충전하여 영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납금 입금 방식은 미납금이 존재하는 운전사들에 대해서 관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가스쿠폰이 효율적으로 분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사들이 사납금을 입금하거나 가스 쿠폰을 수령하려면, 반드시 택시 운수회사로 복귀하여야 하는 바, 공차로 복귀하는 경우, 가스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를 통하여 사납금을 입금하고 입금된 정보가 중앙 처리부에 전송되어 정산처리됨으로써 가스쿠폰을 용이하게 발급받을 수 있는 사납금 정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를 통하여 사납금을 입금받음으로써, 미수금이 감소될 수 있고, 가스쿠폰의 관리가 용이한 사납금 정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 충전소와 같은 원격지에 단말기를 배치하여 사납금을 입금받음으로써 사납금 처리를 위하여 회사에 복귀할 필요가 없음으로 연료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사납금 정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사납금 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는 지폐 입출금부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통장의 정보를 판독하는 통장부와; 상기 통장부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현금카드 혹은 택시기사의 아이디 카드의 정보를 읽기 위한 카드 판독부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가스쿠폰을 발급하기 위한 가스쿠폰 발급부와; 그리고 상기 조작부와, 지폐 입출금부와, 통장부와, 카드판독부와, 가스쿠폰 발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수회사 및 운전사정보에 의하여 본인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운전사의 사납금 정보를 검색하고, 기준 사납금과 전자결제된 금액을 비교하여 실사납금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입금된 실입금액 정보를 비교 정산함으로써 사납금 완납여부를 판단하고, 지불 사납금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여, 해당 운전사가 입금한 실사납금을 확인한 후, 사납금 완납여부에 따라 가스티켓 발급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가스티켓이 발급되도록 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납금 정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납금 정산장치는 택시 운전사가 단말기의 지폐 입금부를 통하여 사납금을 입금하고 입금된 사납금 정보가 중앙 처리부로 전달되어 정산처리되고 가스쿠폰을 발급받음으로써 사납금의 입금이 편리하고, 미수금이 감소될 수 있으며, 또한 가스쿠폰의 발급과정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납금을 입금할 수 있는 단말기가 가스 충전소 혹은 공공장소와 같은 원격지에 설치됨으로써, 택시 운전사가 사납금을 입금하기 위하여 회사로 복귀하지 않고 가스 충전소에서 사납금을 온라인으로 입금할 수 있음으로 택시가 회사로 복귀하는데 소모되는 연료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납금 정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쿠폰 발급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앙 처리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사납금 관리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스쿠폰 관리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입금화면 중 운수사를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의 입금화면 중 운전사의 식별정보를 입려가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의 입금화면 중 운전자의 사납금 및 차량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의 입금화면 중 운전사가 지폐 입금부를 통하여 실사납금을 입금하는 화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의 입금화면 중 가스쿠폰이 발급되는 상태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납금 정산장치에 의한 사납금 정산처리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사납금 정산방법에 있어서, 차종과 연식에 따라서 가스쿠폰을 발급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납금 정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납금 정산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아래에서는 택시의 사납금을 정산 처리하는 경우에 의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결제와 현금결제를 병행하여 차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쿠폰을 발급하는 기술에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택시회사가 운전사에게 사납금으로 할당한 금액을 기준 사납금으로 정의하고, 승객이 카드로 전자결제한 금액을 전자결제 금액으로 정의하고, 기준 사납금에서 전자결제 금액을 제외한 잔액을 지불 사납금으로 정의하고, 운전사가 회사에 실제로 입금하는 금액을 실사납금이라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납금 정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쿠폰 발급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납금 정산장치(100)는 단말기(102)와 중앙 처리부(104)가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연결됨으로써 사납금을 자동 정산하고 가스쿠폰을 발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2)는 다수의 가스 충전소 혹은 기타 공공장소에 배치됨으로써 택시 운전사가 쉽게 접근하여 사납금을 입금시키거나 가스쿠폰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3)에 배치되며 사납금 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32)와; 상기 조작부(132)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는 지폐 입출금부(134)와; 상기 케이스(103)에 배치되며 통장의 정보를 판독하는 통장부(136)와; 상기 통장부(136)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현금카드 혹은 택시기사의 아이디 카드(ID)의 정보를 읽기 위한 카드 판독부(138)와; 상기 케이스(103)에 배치되며 가스쿠폰을 발급하기 위한 가스쿠폰 발급부(140)와, 상기 조작부(132)와, 지폐 입출금부(134)와, 통장부(132)와, 카드 판독부(138)와, 가스쿠폰 발급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4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32)는 숫자판 혹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사가 사납금 처리를 위한 메뉴를 선택하거나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132)는 버튼 방식의 숫자판일 수도 있고, 터치패널을 이용한 터치방식일 수도 있다.
또한, 표시창을 구비함으로써 연산된 결과값을 GUI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운전사가 결과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창의 여러 예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되며, 해당 화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의 해당 부분에서 설명한다.
상기 지폐 입출금부(134)는 지폐를 계수 및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지폐 입출금부(134)는 ATM기 등에 장착되는 통상적인 구조의 지폐 입출금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운전사는 이 지폐 입출금부(134)를 통하여 사납금을 입금시키거나, 초과금액을 반환받을 수 있다.
그리고, 통장부(136)는 통장의 정보를 판독하고 통장 정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사는 통장을 통해서도 사납금을 입금하거나 반환받을 수 있다.
상기 카드 판독부(138)는 고객, 바람직하게는 택시 운전사의 사납금 카드를 판독한다. 이때, 상기 카드 판독부(138)는 사납금 카드 카드뿐만 아니라, 기타 신용카드의 판독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쿠폰 발급부(140)는 상기 제어부(142)와 연동함으로써 사납금에 따라서 가스를 충전할 수 있는 가스쿠폰을 발급한다. 즉, 상기 가스쿠폰 발급부(140)는 다수개의 가스쿠폰이 띠를 이루어 권취된 롤러(R)와; 상기 제어부(142)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롤러(R)로 부터 공급된 가스쿠폰을 배출구(133)로 이송시키는 이송부(C)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쿠폰 발급부(140)는 운수회사의 중앙 처리부(104)로부터 쿠폰발급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의하여 해당 쿠폰을 발급한다.
이때, 상기 쿠폰은 마그네틱 방식, 혹은 단순 인쇄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사는 단말기(102)를 통하여 쿠폰을 발급받은 후, 회원으로 가입된 충전소에 제시함으로써 택시에 가스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단말기(102)는 중앙 처리부(104)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 유닛,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통장 또는 명세표에 인쇄를 위한 인쇄 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2)는 온라인을 통하여 중앙 처리부(104)에 연결되어 사납금 관련 정보가 송수신됨으로써 사납금의 정산 및 가스쿠폰의 발급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처리부(104)는 운수회사 및 운전사 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108)와; 운수회사 및 운전사를 인증하는 인증부(110)와; 상기 단말기(102) 및 데이터 베이스(108)의 운수회사 및 운전사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운수사 관리부(112)와; 기준 사납금과 전자결제 금액을 비교하여 실사납금을 결정하고, 실입금액을 정산함으로써 사납금 완납여부를 판단하는 사납금 관리부(114)와; 상기 단말기(102)로/부터 입출력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부(116)와; 상기 사납금 관리부(114)의 사납금 완납여부에 따라 가스쿠폰의 발급여부를 결정하는 가스쿠폰 관리부(1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중앙 처리부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110)는 단말기(102)에서 택시 운전사가 개인카드를 카드판독부(132)에 접촉하거나 번호판을 통하여 개인별 ID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데이터에 의하여 본인 여부를 인증한다.
즉, 이러한 인증부(110)는 단말기(102)로부터 택시 운전사의 개인ID 혹은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데이터 베이스(108)를 검색함으로써 해당 운전사와, 운전사가 소속된 운수회사를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본인 여부가 확인되면 단말기 관리부(116)를 통하여 단말기(102)에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08)는 운수회사의 정보와, 운전사의 개인이력 정보와, 차량의 운행 및 수리정보를 저장하는 운수사 데이터 베이스(120)와; 각 운전사별로 설정된 기준 사납금과, 실사납금 입금이력을 저장하는 사납금 데이터 베이스(122)와; 승객이 카드 결제한 요금정보를 금융기관의 중앙 처리부(104)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전자결제 데이터 베이스(124)와; 그리고 각 운전사별로 발급된 가스쿠폰의 발급 정보를 저장하는 가스쿠폰 데이터 베이스(126)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운수사 관리부(112)와 사납금 관리부(114)는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108)와 연계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수사 관리부(112)는 데이터 베이스(108)에 운수회사 정보와, 운전사 정보와, 차량정보를 저장하거나 검색한다.
이러한 운수사 관리부(112)는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운수회사에 대한 식별 및 일반 정보, 택시 운전사의 개인정보 및 실적정보, 택시의 차종, 연식, 운행이력, 수리이력 등의 차량 정보를 관리한다.
따라서, 운수회사는 택시의 차종과 연식, 수리 여부, 그리고 낮시간 혹은 밤시간에 운행하였는지 여부의 변수들을 전산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가스 소모량과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데이터들은 각 운수회사에 제공됨으로써 택시회사 경영에 참조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납금 관리부(114)는 운수사에 소속된 운전자의 사납금 이력정보를 관리한다. 일반적으로 택시회사에 소속된 택시종사자는 일일 소득 중에서 일정 금액을 택시회사에 수납해야 하며, 택시회사에 수납하는 금액을 사납금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사납금을 관리 및 결정하는 사납금 관리부(114)는 데이터 베이스(108)에서 기준 사납금 정보를 검색하고, 기준 사납금과 전자결제된 금액을 비교하여 실사납금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102)를 통하여 입금된 실입금액을 비교 정산함으로써 사납금 완납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납금 관리부(114)는 상기 사납금 데이터 베이스(122)를 검색하여 해당 운전사의 기준 사납금을 파악하는 검색부(148)와;
상기 기준 사납금에서 상기 전자결제비용 데이터베이스(124)로부터 파악된 고객의 전자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남는 잔액을 실사납금으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 관리부(116)로부터 제공된 운전사 입금액을 정산하여 사납금 완납여부를 판단하는 정산부(150)와;
상기 정산부(150)로부터 결정된 실사납금을 상기 단말기 관리부(116)에 전송하거나 상기 정산부(150)로부터 입금된 실사납금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력부(144,146)와; 그리고
상기 정산부(150)의 완납신호가 접수되면 가스쿠폰 관리부(118)에 가스티켓 발급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152)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납금 관리부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148)는 상기 택시운전자가 인증부(110)에 의하여 본인 여부가 인증되면, 각 운전자의 기준 사납금 정보를 사납금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산부(150)는 상기 전자결제 데이터베이스(124)로부터 파악된 고객의 전자결제 금액을 파악한다.
즉, 승객이 카드 등으로 택시요금을 결제하면 결제금액이 금융기관의 중앙 처리부(104)를 통하여 전자결제 데이터 베이스(124)에 저장되고, 정산부(150)는 해당 운전자가 운행한 택시에서 결제된 전자결제 금액을 검색한다.
이와 같이, 정산부(150)는 전자결제 금액을 파악한 후, 기준 사납금에서 전자결제 금액을 정산함으로써 지불 사납금을 결정한다.
이때, 기준 사납금에서 전자결제 금액을 차감하였을 때, 전자결제 금액이 기준 사납금을 초과한 경우에는 사납금을 충족시킨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초과한 금액을 운전자 계좌로 입금시킨다.
전자결제 금액이 기준 사납금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미달하는 금액을 지불 사납금으로 판단하고 단말기(102)를 통하여 운전사에게 실사납금을 안내한다.
그리고, 운전사가 단말기(102)를 통하여 입금하면 이를 실사납금으로 판단하고 기준 사납금 및 전자결제 금액과 비교 정산함으로써 사납금 완납여부를 판단한다.
사납금이 완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52)는 가스쿠폰 관리부(118)를 통하여 단말기(102)에 가스쿠폰 발급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관리부(116)는 상기 단말기(102)로부터 해당 운전사의 사원카드 혹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인증부(110) 및 운수사 관리부(112)에 제공하고, 상기 사납금 관리부(114)로부터 제공된 상기 실사납금 정보를 상기 단말기(102)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해당 운전사가 상기 단말기(102)에 입금한 현금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수사 관리부(112)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가스쿠폰 관리부(11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납금 관리부(114)의 제어부(152)로부터 전송된 가스쿠폰 발급신호를 단말기 관리부(116)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102)에 전송하는 송신부(158)와; 그리고
상기 가스쿠폰 발급시, 사납금이 완납된 경우에는 기준 쿠폰의 발급신호를 상기 단말기(102)에 전송하고, 미납된 경우에는 상기 기준쿠폰 보다 적은 가스량의 쿠폰발급신호를 상기 단말기(102)에 전송하는 컨트롤러(160)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스쿠폰 관리부(118)는 단말기(102)에 쿠폰발급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소정의 가스쿠폰을 발급하도록 한다.
이러한 사납금 정산과정과 가스쿠폰 발급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준 사납금이 100,000원이라고 가정하면, 승객이 카드 등으로 40,000원을 전자결제하였다면, 60,000원이 지불 사납금이 되고, 택시 운전사는 나머지 60,000원을 단말기(102)를 통하여 입금하여야 한다.
이때, 택시 운전사가 60,000원을 실사납금으로 입금시키면 사납금 관리부(114)은 사납금을 완납한 것으로 판단한다.
사납금을 완납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사납금 관리부(114)는 가스쿠폰 관리부(118)를 통하여 단말기(102)의 가스쿠폰 발급부(140)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기준 쿠폰, 예를 들면 30리터(Liter) 쿠폰을 발급하도록 한다.
반면에, 60,000원에 미달된다면 미수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가스쿠폰 관리부(118)는 단말기(102)의 가스 쿠폰 발급부(140)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기준 쿠폰보다 적은 량의 쿠폰, 예를 들면 25리터 쿠폰을 발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납금 관리부(114)가 사납금을 정산하는 경우, 차량의 종류, 연식 및 운행시간을 고려하여 지불 사납금을 차등결정할 수도 있다.
즉, 차량이 대형인지 소형인지를 구분하거나, 차령이 오래된 것인지 근래의 것인지, 혹은 운행시간이 낮시간인지 야간인지를 구분함으로써, 각각의 조건에 따라서 기준 사납금을 차등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납금 정산 방법이 순서대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납금 정산방법은 단말기(102)를 통하여 운전사의 정보가 입력되고 본인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하는 단계(S100)와;
상기 중앙 처리부(104)는 인증된 운전사의 기준 사납금과 전자결제 금액을 파악하고, 지불 사납금을 결정하는 단계(S110)와; 결정된 지불 사납금을 단말기(102)에 전송하고, 해당 운전사의 실사납금을 입금받는 단계(S120)와; 상기 중앙 처리부(104)는 입금된 실사납금과 지불 사납금을 비교하여 정산함으로써 사납금의 완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 그리고 사납금이 완납되면 상기 단말기(102)에 가스쿠폰 발급신호를 전송하여 가스쿠폰을 발급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단계(S100)에 있어서, 택시운전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2)의 표시창에서 소속 운수회사를 선택한다.
이때, 화면에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연계된 다수의 운수회사가 표시되고, 택시 운전사는 해당 운수회사를 선택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해당 운전사는 사원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절차를 진행한다.
이때, 사원카드를 카드 판독부(138)에 접촉함으로써 인증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숫자판에서 직접 ID 혹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원정보가 단말기(102)에 입력되면, 중앙 처리부(104)는 단말기(102)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게 되며, 인증부(110)는 해당 사원의 ID 혹은 패스워드를 데이터 베이스(108)로부터 검색하여 인출함으로써 본인 여부를 인증한다.
그리고, 인증이 성공하면 단말기(102)의 표시창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됨으로써 택시 운전사는 해당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증이 성공하면, 중앙 처리부(104)는 지불 사납금 결정단계(S110)를 진행한다.
즉, 상기 중앙 처리부(104)의 사납금 관리부(114)는 운수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운전사의 개별정보와, 해당 차량의 이력, 미납금 여부, 기준 사납금, 전자결제 금액 등을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사납금 관리부(114)는 해당 운전사의 기준 사납금을 추출하고, 전자결제 금액을 파악한다.
그리고, 기준 사납금에서 전자결제 금액을 차감함으로써 지불 사납금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기준 사납금이 100,000원이라고 가정하면, 승객이 카드 등으로 40,000원을 전자결제하였다면, 택시 운전사가 입금하여야 할 지불 사납금은 60,000원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지불 사납금이 결정된 후, 실사납금을 입금받은 단계(S120)가 진행된다.
즉, 지불 사납금이 결정되면, 상기 중앙 처리부(104)의 사납금 관리부(114)는 해당 차량 정보, 미납금 여부, 기준 사납금, 전자결제 금액과, 지불 사납금 데이터를 단말기(102)에 전송한다.
택시 운전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2)의 표시창에 지폐 입금을 안내하는 화면이 표시되면, 지불 사납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폐 입출금부를 통하여 입금한다.
이와 같이, 택시 운전사가 단말기(102)에 현금을 입금하면, 사납금의 완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가 진행된다.
즉, 단말기(102)는 입금된 금액에 대한 정보를 중앙 처리부(104)에 전송하고, 중앙 처리부(104)는 전송된 금액정보에 의하여 입금액이 기준 사납금에 충족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택시 운전사가 입금한 금액이 지불 사납금과 일치하면 사납금을 완납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입금액이 지불 사납금에 미달하면, 사납금에 대하여 미수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사납금의 완납여부 판단단계(S130)가 완료되면, 가스쿠폰 발급단계(S140)가 진행된다.
상기 단계(S140)에서는, 사납금이 완납되었다고 판단되면, 중앙 처리부(104)의 가스쿠폰 관리부(118)를 통하여 단말기(102)의 가스 쿠폰발급부(140)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가스쿠폰을 발급한다.
반면에, 입금액이 기준 사납금에 미달하면, 단말기(102)의 표시창에 미달됨을 표시한다. 따라서, 택시 운전사는 부족액을 더 입금시키거나, 부족액 만큼 보다 적은량의 가스쿠폰을 신청하여 발급받게 된다.
그리고, 택시운전사는 발급된 가스쿠폰을 회원으로 가입한 충전소에 제시함으로써 택시운행에 필요한 가스를 충전받을 수 있다.
결국, 택시 운전사가 실제 입금한 사납금에 대하여만 가스쿠폰을 발급하게 되므로 사납금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쿠폰을 발급하는 단계(S140)에 있어서, 택시의 차종과 근무시간에 따라 차등적으로 가스쿠폰을 발급할 수도 있다.
택시운전사가 단말기(102)에서 입금한 결과, 미납금이 없다고 판단되면, 중앙 처리부(104)는 차량이 대형인지 소형인지를 파악한다(S170).
이때, 차량정보는 택시가 영업을 시작할 때, 택시 회사의 담당자 혹은 운전사가 단말기 혹은 단말기(102)를 통하여 본인이 운행할 차량에 대하여 입력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차량구분 결과(S170), 대형으로 판단되면, 가스쿠폰 발급을 위한 사납금 결정시 가스 충전량을 추가로 하여 정산한다(S180).
이와 같이 차종에 따라 가스 충전량을 추가한 후, 운행시간을 판단하여 추가로 가스 충전량을 연산한다(S190).
즉, 택시가 주간운행 인지 야간운행인지에 따라 가스 충전량을 차등적으로 연산하여 적용한다(S200).
이와 같이, 차량의 종류와 운행시간에 따라 충전량을 연산한 후, 그에 상응하는 가스충전쿠폰을 발행하게 된다(S210).
반면에, 차량구분 단계(S170)에서, 차량이 소형이라고 판단되면, 가스 충전량의 추가 연산을 실시하지 않고, 다음 단계인 운행구분단계(S190)로 바로 진행한다. 그리고, 운행시간에 따라 추가 가스 충전량을 연산하여 적용한다(S200).
이와 같이, 택시의 차종과 운행시간에 따라서 가스 충전쿠폰을 차등적으로 발급함으로써 가스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택시 운행중 가스를 추가로 충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도 가스 쿠폰을 발급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사가 운행중 상기 단말기에 추가 가스티켓의 발급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납금 관리부(114)는 발급요청시까지의 실적비용을 파악하고 일정 비용 이상이면 가스티켓의 추가발급을 지시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택시운행중 가스를 추가로 충전할 필요가 있는 경우, 택시 운전사는 근처의 단말기(102)로 이동하여 표시창에서 가스 충전쿠폰을 선택한다.
그리고, 원하는 만큼의 가스쿠폰을 선택하고, 지폐 입출금부를 통하여 비용을 입금하게 된다.
예를 들면, 10리터 가스쿠폰을 선택하고, 지폐 입출금부를 통하여 30,000원을 입금한다.
입금된 금액에 대한 정보가 중앙 처리부(104)로 전송되고, 중앙 처리부(104)의 사납금 관리부(114)는 기준 사납금에 발급된 가스 충전쿠폰 비용을 합산한 금액을 지불 사납금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택시운전사는 운행 종료 후, 추가로 발급받은 가스 쿠폰 비용을 합산한 금액을 더 입금하여야 한다.
100: 사납금 정산장치 102: 단말기
132: 조작부 134: 지폐 입출금부
136: 통장부 140: 가스쿠폰 발급부

Claims (9)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사납금 관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는 지폐 입출금부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통장의 정보를 판독하는 통장부와;
    상기 통장부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어 현금카드 혹은 택시기사의 아이디 카드의 정보를 읽기 위한 카드 판독부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며 가스쿠폰을 발급하기 위한 가스쿠폰 발급부와; 그리고
    상기 조작부와, 지폐 입출금부와, 통장부와, 카드판독부와, 가스쿠폰 발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수회사 및 운전사정보에 의하여 본인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운전사의 사납금 정보를 검색하고, 기준 사납금과 전자결제된 금액을 비교하여 실사납금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입금된 실입금액 정보를 비교 정산함으로써 사납금 완납여부를 판단하고, 사납금 완납여부에 따라 가스티켓 발급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가스티켓이 발급되도록 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사납금 정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쿠폰 발급부는 가스쿠폰이 권취된 롤러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스쿠폰을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사납금 정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운수회사, 운전사, 가스티켓발급, 사납금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단말기 로부터 입력된 운수회사 및 운전사정보에 의하여 인증하는 인증부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운수회사 정보와, 운전사 정보와, 차량정보를 저장하거나 검색하는 운수사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사납금 정보를 검색하고, 기준 사납금과 전자결제된 금액을 비교하여 실사납금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입금된 실입금액 정보를 비교 정산함으로써 사납금 완납여부를 판단하는 사납금 관리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전사정보와, 입금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납금 관리부에 의하여 연산 된 결과값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말기 관리부와; 그리고
    상기 사납금 관리부에 의하여 판단된 사납금 완납여부에 따라 가스티켓 발급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가스티켓이 발급되도록 하는 가스티켓 관리부를 포함하는 사납금 정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운수회사의 정보와, 운전사의 개인이력 정보와, 차량의 운행 및 수리정보를 저장하는 운수회사 데이터 베이스와;
    각 운전사별로 설정된 기준 사납금과, 실사납금 입금이력을 저장하는 사납금 데이터 베이스와;
    금융기관의 중앙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전자결제 비용을 저장하는 전자결제 비용 데이터 베이스와; 그리고
    각 운전사별로 발급된 가스티켓의 발급 정보를 저장하는 가스 티켓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사납금 정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납금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운전사의 기준 사납금을 파악하는 검색부와;
    상기 기준 사납금에서 상기 전자결제비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파악된 고객의 전자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남는 잔액을 실사납금으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 관리부로부터 제공된 운전사 입금액을 정산하여 사납금 완납여부를 판단하는 정산부와;
    상기 정산부로부터 결정된 실사납금을 상기 단말기 관리부에 전송하거나 상기 정산부로부터 입금된 금액정보를 수신하는 입출력부와; 그리고
    상기 정산부에 의하여 결정된 사납금 완납여부에 따라 가스티켓 발급신호를 상기 가스티켓 관리부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연계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납금 정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해당 운전사의 사원카드 혹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인증부 및 운수사 관리부에 제공하고, 상기 사납금 관리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실사납금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며, 해당 운전사가 상기 단말기에 입금한 현금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수사 관리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납금 정산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티켓 관리부는 상기 사납금 관리부의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가스티켓 발급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송신부와; 그리고
    상기 사납금이 완납된 경우 기준 티켓의 발급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고, 미납된 경우 상기 기준티켓 보다 적은 가스량의 티켓발급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사납금 정산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납금 관리부가 사납금을 정산하는 경우, 차량의 연식 및 운행시간을 고려하여 지불 사납금을 차등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납금 정산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사가 운행중 상기 단말기에 추가 가스티켓의 발급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사납금 관리부는 발급요청시까지의 실적비용을 파악하고 일정 비용 이상이면 가스티켓의 추가발급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납금 정산장치.
KR1020110051978A 2011-05-31 2011-05-31 사납금 정산장치 KR10122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978A KR101228832B1 (ko) 2011-05-31 2011-05-31 사납금 정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978A KR101228832B1 (ko) 2011-05-31 2011-05-31 사납금 정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344A KR20120133344A (ko) 2012-12-10
KR101228832B1 true KR101228832B1 (ko) 2013-02-01

Family

ID=4751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978A KR101228832B1 (ko) 2011-05-31 2011-05-31 사납금 정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8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031A (ko) * 2009-06-24 2010-12-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031A (ko) * 2009-06-24 2010-12-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344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252E1 (en) Coin redemption system
US83015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spondent bank customer ATM transaction processing
US6824049B2 (en) Card transaction settlement method in point of sale systems
US8019663B1 (en) Transportation withdrawal and rebalance of cash handling device
JP720903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510702B2 (ko)
JP2008204409A (ja) 暗証番号入力表示装置及び方法
WO2000021016A1 (fr) Carte a circuit integre et unite de commande, et procede de selection d'une application pour la carte a circuit integre
JP6176980B2 (ja) 税公金収納システム
JP4706346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103312B1 (ko) 운수회사의 사납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3895577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
KR101228832B1 (ko) 사납금 정산장치
JP4353322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AU709794B1 (en) Card transaction settlement method in point of sale systems
KR20180134438A (ko) 금융기기 및 자동정산 서비스 시스템
JP3124746B2 (ja) 貨幣入出金機の管理装置
JP2021165953A (ja) 券売機、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38031A (ko) 금융자동화기기
JP4097208B2 (ja) 会員用記録媒体システム
JP2006160319A (ja) 給油料金精算装置
JP7401705B2 (ja) 駐車料金精算機
JP2018132801A (ja) 現金処理装置
RU115104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терминальная платежная система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электронная квитанция"
KR101900846B1 (ko) 무인 포스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