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537B1 - 이중구조의 음료컵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음료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537B1
KR101228537B1 KR20100067804A KR20100067804A KR101228537B1 KR 101228537 B1 KR101228537 B1 KR 101228537B1 KR 20100067804 A KR20100067804 A KR 20100067804A KR 20100067804 A KR20100067804 A KR 20100067804A KR 101228537 B1 KR101228537 B1 KR 101228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ide portion
angle
inner cup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187A (ko
Inventor
이양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로마빌커피
Priority to KR2010006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5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음료컵에 관한 것으로서, 종이 재질의 외부컵과, 상기 외부컵의 내부에 수용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내부컵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컵의 높이가 외부컵보다 낮음과 함께 내부컵의 측면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컵과 내부컵 각각의 바닥부와 측면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의 뜨거움을 느끼는 불편함이 없이 따뜻한 음료를 보다 장시간 동안 즐길 수 있고, 수요자에게 종이컵의 이미지를 제공하면서도 일회용이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며, 합성수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재생지를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구조의 음료컵 {Cup having dual structure}
본 발명은 커피, 핫초코, 코코아 등 다양한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이재질의 외부컵과 합성수지재질의 내부컵이 이중구조로 결합되어 견고하면서도 친환경적이며 열차단효과 및 보온효과가 우수한 이중구조의 음료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컵은 커피 등의 음료를 마실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보통 종이재질의 컵(100% 천연펄프 사용)과 합성수지 재질의 컵으로 제작이 된다.
도 8에는 이러한 종래 음료컵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음료컵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먼저, 커피 등의 뜨거운 음료를 마시는 경우, 음료컵에 수용된 뜨거운 음료의 열이 그대로 음료컵에 전달이 되기 때문에 음료컵을 잡고 마시는 사용자의 손에도 상기의 열이 그대로 절단이 되어 사용자는 손 뜨거움을 느낄 수 밖에 없는 바, 뜨거운 음료를 마시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음과 함께 이렇게 음료의 열이 그대로 전달이 되므로 음료의 식는 속도가 빠를 수 밖에 없어 보다 장시간 따뜻한 음료를 즐기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이재질의 컵인 경우에는 세척하기가 곤란하고 강도가 약하여 재사용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바 친화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합성수지 재질의 컵인 경우에는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합성수지 재질의 특성상 역시 수요자에게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 재질의 음료컵은 그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량이 사출 성형이 되며, 사출 성형공정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사출된 음료컵들이 하강되면서 순차적으로 포개지고(stacking), 그 다음 공정에서는 작업자가 상기와 같이 포개진 음료컵들을 하나 하나 분리시키는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도시된 것처럼 포개진 음료컵들의 각 측면부가 상호 밀착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다음의 제조공정에서 작업자가 포개진 음료컵들을 분리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고, 이에 따라 제조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컵과 외부컵의 이중구조를 통해 음료의 열이 외부컵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의 뜨거움을 느끼지 않으면서 보다 장시간 따뜻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음료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회용이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며, 합성수지의 사용량을 줄이고 재생지를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친환경적인 이중구조의 음료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조공정상의 불편함을 제거하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중구조의 음료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음료컵은,
종이 재질의 외부컵과, 상기 외부컵의 내부에 수용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내부컵;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컵의 높이가 외부컵보다 낮음과 함께 내부컵의 측면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컵과 내부컵 각각의 바닥부와 측면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컵의 측면부는 중심을 향해 제1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컵의 측면부는, 상단의 컵테두리에서 중심을 향해 상기 제1 각도와 동일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측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단차부와, 상기 제1 단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가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고, 상기 내부컵의 측면부는 상기 제2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와, 상기 제2 단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3 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컵의 측면부는 상기 제3 측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3 단차부와, 상기 제3 단차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4 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측면부가 상기 제2 각도와 동일 각도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며, 상기 제4 측면부는 제2 각도보다 작은 제3 각도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음료컵은,
내부컵과 외부컵 사이의 공간부로 인해 공기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열차단 및 보온기능을 갖게 되는 바, 사용자가 손의 뜨거움을 느끼는 불편함이 없이 따뜻한 음료를 보다 장시간 동안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요자에게 종이컵의 이미지를 제공하면서도 일회용이 아니라 재사용이 가능하며, 합성수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재생지를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컵의 측면부에 형성된 다수의 단차부에 용량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적당량의 음료를 마실 수 있게 하는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조공정상의 불편함을 제거하여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컵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컵의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컵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컵이 포개진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
도 8은 종래의 음료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종래 음료컵의 포개진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음료컵은 종이 재질의 외부컵(10)과 합성수지 재질의 내부컵(20)을 포함하면서 상기 외부컵(10)의 내부에 내부컵(20)이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친환경적이면서, 특히 내부컵(20)의 높이가 외부컵(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과 함께 내부컵(20)의 측면부가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외부컵(10)과 내부컵(20) 각각의 바닥부와 측면부 사이에 단열효과를 제공하는 공간부(30)가 형성되어 손뜨꺼움을 방지하면서 보온을 통해 보다 장시간 음료를 따뜻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음료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음료컵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이재질의 외부컵(10)과, 합성수지 재질의 내부컵(2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컵(10)은 그 측면부(11)가 중심을 향해 제1 각도(d1)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컵(20)의 측면부(21)는 상단의 컵테두리(20b)에서 중심을 향해 상기 제1 각도(d1)와 동일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측면부(22)와, 상기 제1 측면부(2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단차부(23)와, 상기 제1 단차부(23)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 측면부(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각도(d1)는 6°로 채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사각 자체는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설계적 사항으로서, 다양한 임의의 각도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컵(20)의 높이(h2)가 외부컵(10)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이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컵(10)의 내부에 내부컵(20)이 수용 결합되면, 외부컵(10)의 바닥부(10a)와 내부컵(20)의 바닥부(20a) 사이, 그리고 외부컵(10)의 측면부(11)와 내부컵(20)의 측면부(21) 사이에는 공간부(30)가 형성이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음료컵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컵(10)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되, 상기 내부컵(20)에 제2 단차부(25)와 제3 측면부(26)가 더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내부컵(20)의 측면부(21)는 상단의 컵테두리(20b)에서 중심을 향해 상기 제1 각도(d1)와 동일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측면부(22)와, 상기 제1 측면부(2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단차부(23)와, 상기 제1 단차부(23)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 측면부(24)와, 상기 제2 측면부(24)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25)와, 상기 제2 단차부(25)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3 측면부(2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측면부(24)는 상기 제1 각도(d1)보다 작은 제2 각도(d2)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각도(d2)는 5°로 채택될 수 있는데, 제2 각도(d2) 자체 또한 상기 제1 각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설계적 사항으로서, 상기 제1 각도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다양한 임의의 각도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컵(10)의 내부에 내부컵(20)이 수용 결합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바닥부(10a, 20a)와 측면부(11, 21) 사이에 공간부(30)가 형성됨과 함께, 제1 각도(d1)와 제2 각도(d2)의 차이로 인해 상기 제2 단차부(25)가 외부컵(10)의 측면부(11)에 걸리게 되어 지지를 받게 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음료컵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것처럼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되, 상기 내부컵(20)에 제3 단차부(27)와 제4 측면부(28)가 더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내부컵(20)의 측면부(21)는 상단의 컵테두리(20b)에서 중심을 향해 상기 제1 각도(d1)와 동일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측면부(22)와, 상기 제1 측면부(2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단차부(23)와, 상기 제1 단차부(23)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 측면부(24)와, 상기 제2 측면부(24)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25)와, 상기 제2 단차부(25)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3 측면부(26)와, 상기 제3 측면부(26)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3 단차부(27)와, 상기 제3 단차부(27)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4 측면부(2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 측면부(26)는 상기 제2 측면부(24)의 경사각인 제2 각도(d2)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측면부(28)는 제2 각도(d2)보다 작은 제3 각도(d3)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각도(d3)는 1°로 채택될 수 있는데, 제3 각도(d3) 자체또한 상기 제1 각도, 제2 각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설계적 사항으로서, 상기 제2 각도보다 작은 범위내에서 다양한 임의의 각도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컵(20) 2개가 포개져 있는(stacking)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조공정에서 내부컵(20)의 사출 성형 후 하강되면서 포개질 때 위쪽의 내부컵(20)이 아래쪽 내부컵(20)의 제3 단차부(27)에 지지가 되기 때문에 각 측면부(21)가 상호 밀착되지 않아 차후의 제조공정에서 작업가가 포개진 컵들을 분리시키기가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에 있어 내부컵(20)의 측면부(21)에 형성된 제1 단차부(23)와 제2 단차부(25)는 일정 높이마다 형성이 되기 때문에 용량체크선으로도 기능할 수 있는 바, 내부컵(20)의 전체 높이와 직경, 단차부들의 높이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일정용량의 음료를 체크하여 사용자가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단차부(25)의 높이까지 내부컵(20)에 음료가 채워진 경우 음료량은 63cc가 되고, 제1 단차부(23)의 높이까지 채워진 경우 150cc, 상단까지 완전히 채워지면 260cc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용량체크선을 활용하여 적당량의 음료를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음료컵은 뜨거운 음료가 내부컵(20)에 채워지더라도 공간부(30)로 인해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차단되므로 사용자가 손의 뜨꺼움을 느끼지 않으면서 외부컵(10)을 파지하여 음료를 섭취하기가 용이하고 또한 음료의 열을 보온시켜 보다 장시간 따뜻한 음료를 섭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전체 컵의 크기에 비해 합성수지 재질의 내부컵 크기를 줄였기 때문에 합성수지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외부컵에 직접 음료가 닫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종이컵처럼 100% 펄프를 사용하지 않고 재생지 등을 사용해도 무방하므로 매우 친환경적임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외부컵 11: 측면부(외부컵)
20: 내부컵 21: 측면부(내부컵)
22: 제1 측면부 23: 제1 단차부
24: 제2 측면부 25; 제2 단차부
26: 제3 측면부 27: 제3 단차부
28: 제4 측면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종이 재질의 외부컵(10)과, 상기 외부컵(10)의 내부에 수용 결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내부컵(20)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컵(20)의 높이(h2)가 외부컵(10)의 높이(h1)보다 낮음과 함께 내부컵(20)의 측면부(21)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컵(10)과 내부컵(20) 각각의 바닥부(10a, 20a)와 측면부(11, 21) 사이에 공간부(30)가 형성되되,
    상기 외부컵(10)의 측면부(11)는 중심을 향해 제1 각도(d1)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컵(20)의 측면부(21)는 상단의 컵테두리(20b)에서 중심을 향해 상기 제1 각도(d1)와 동일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측면부(22)와, 상기 제1 측면부(22)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1 단차부(23)와, 상기 제1 단차부(23)에서 상기 제1 각도(d1)보다 작은 제2 각도(d2)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제2 측면부(24)와, 상기 제2 측면부(24)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25)와, 상기 제2 단차부(25)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3 측면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음료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컵(20)의 측면부(21)는 상기 제3 측면부(26)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3 단차부(27)와, 상기 제3 단차부(27)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4 측면부(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음료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부(26)가 상기 제2 각도(d2)와 동일 각도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며, 상기 제4 측면부(28)는 제2 각도(d2)보다 작은 제3 각도(d3)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음료컵





KR20100067804A 2010-07-14 2010-07-14 이중구조의 음료컵 KR101228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804A KR101228537B1 (ko) 2010-07-14 2010-07-14 이중구조의 음료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7804A KR101228537B1 (ko) 2010-07-14 2010-07-14 이중구조의 음료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87A KR20120007187A (ko) 2012-01-20
KR101228537B1 true KR101228537B1 (ko) 2013-03-06

Family

ID=4561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7804A KR101228537B1 (ko) 2010-07-14 2010-07-14 이중구조의 음료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53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65B1 (ko) 2013-05-06 2014-03-26 주식회사 새담 일회용 컵용기
USD903424S1 (en) 2017-02-07 2020-12-01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06056S1 (en) 2018-12-05 2020-12-29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50318S1 (en) 2018-05-24 2022-05-03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53811S1 (en) 2020-02-14 2022-06-07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11370579B2 (en) 2017-02-07 2022-06-28 Ball Corporation Tapered metal cup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D968893S1 (en) 2019-06-24 2022-11-08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74845S1 (en) 2020-07-15 2023-01-10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RU222663U1 (ru) * 2023-11-19 2024-01-16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Маркированный стакан-термос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трех капсул
USD1012617S1 (en) 2021-02-22 2024-01-30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5293B2 (en) 2014-02-07 2016-04-19 Christina Lynn Vucich Combination dosing chaser device
CN105083351B (zh) * 2015-08-31 2017-10-03 国家电网公司 一种可跨越障碍的电力安全设备运输车
US10843914B1 (en) 2019-05-10 2020-11-24 Dan Weatherly Pump bottle access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107A (en) 1991-12-10 1992-09-0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Insulated paper cup
JPH06219474A (ja) * 1993-01-22 1994-08-09 Shibazaki Kaseihin Kogyo Kk カップ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81503Y1 (ko) * 2005-01-05 2005-04-14 이정호 2중통체 구조를 갖는 보온 단열용 종이컵 구조
KR20080097272A (ko) * 2007-05-01 2008-11-05 이규주 이중 입구턱을 구성시킨 항균 이중 종이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107A (en) 1991-12-10 1992-09-08 International Paper Company Insulated paper cup
JPH06219474A (ja) * 1993-01-22 1994-08-09 Shibazaki Kaseihin Kogyo Kk カップ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81503Y1 (ko) * 2005-01-05 2005-04-14 이정호 2중통체 구조를 갖는 보온 단열용 종이컵 구조
KR20080097272A (ko) * 2007-05-01 2008-11-05 이규주 이중 입구턱을 구성시킨 항균 이중 종이컵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465B1 (ko) 2013-05-06 2014-03-26 주식회사 새담 일회용 컵용기
US11370579B2 (en) 2017-02-07 2022-06-28 Ball Corporation Tapered metal cup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D903424S1 (en) 2017-02-07 2020-12-01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10875076B2 (en) 2017-02-07 2020-12-29 Ball Corporation Tapered metal cup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D950318S1 (en) 2018-05-24 2022-05-03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06056S1 (en) 2018-12-05 2020-12-29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62710S1 (en) 2018-12-05 2022-09-06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68893S1 (en) 2019-06-24 2022-11-08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53811S1 (en) 2020-02-14 2022-06-07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74845S1 (en) 2020-07-15 2023-01-10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978618S1 (en) 2020-07-15 2023-02-21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USD1012617S1 (en) 2021-02-22 2024-01-30 Ball Corporation Tapered cup
RU222663U1 (ru) * 2023-11-19 2024-01-16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Маркированный стакан-термос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трех капсул
RU225283U1 (ru) * 2024-01-29 2024-04-16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термос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трех капсул, оборудованный кольцевой полкой, фиксаторами и захватами
RU225799U1 (ru) * 2024-02-15 2024-05-06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Маркированный стакан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трех капсул, оборудова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фиксаторами и кольцевой полко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87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537B1 (ko) 이중구조의 음료컵
RU2516804C2 (ru) Защитная муфта
USD717104S1 (en) Hot beverage cup lid
KR200470218Y1 (ko) 보온용기
USD600490S1 (en) Iced tea brewer
CN208481009U (zh) 一种可装两种饮料的饮料杯
CN204970667U (zh) 隔热组合简易随身免洗杯
CN104661571A (zh) 过滤器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JP3173094U (ja) 合成樹脂コップ
CN203262553U (zh) 一种饮食杯
CN103393320A (zh) 防滑保温杯
CN103300671B (zh) 一种饮料杯杯盖
US8479974B2 (en) Paper cup with heat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CN207450494U (zh) 一种防滑防烫式纸杯结构
US20100051498A1 (en) Biodegradable and disposable container
JP3117225U (ja) 脱着式ボトル
CN201847330U (zh) 一种双头摇杯
CN102349773A (zh) 一种保温杯杯体
CN203436078U (zh) 一种饮料杯杯盖
TWM459191U (zh) 飲料杯杯蓋
CN204169562U (zh) 带纸巾的纸杯
CN209377236U (zh) 一种杯盖
CN202035887U (zh) 杯子
KR102174937B1 (ko) 용기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