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333B1 -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333B1
KR101228333B1 KR1020110029860A KR20110029860A KR101228333B1 KR 101228333 B1 KR101228333 B1 KR 101228333B1 KR 1020110029860 A KR1020110029860 A KR 1020110029860A KR 20110029860 A KR20110029860 A KR 20110029860A KR 101228333 B1 KR101228333 B1 KR 10122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uminance data
local
area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409A (ko
Inventor
이석한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33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02Corrections within particular colour systems
    • H04N1/6005Corrections within particular colour systems with luminance or chrominance signals, e.g. LC1C2, HSL or YU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 영역을 검출하는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은 설정 단계, 추출 단계, 및 검출 단계를 포함한다. 설정 단계에서는, 영상 프레임에서 국부 영역이 설정되고, 국부 영역을 포함하면서 국부 영역보다 넓은 구역 영역이 설정된다. 추출 단계에서는,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가 추출된다. 검출 단계에서는,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이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이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된다.

Description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Purple fringing corr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 영역을 검출하는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을 채용한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퍼플 프린징이란, 촬상 또는 촬영 장치의 렌즈 색수차 등으로 인하여 영상의 형상 가장자리에 자주색이 형성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 같은 퍼플 프린징을 보정하기 위하여 잘 알려져 있는 렌즈 코팅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퍼플 프린징을 보정하기 위하여 촬상 또는 촬영 장치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 보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의 복잡한 색수차 보정 알고리즘에 의하면 퍼플 프린징 보정이 간접적으로 미흡하게 이루어질 뿐이다.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 보정을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함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규모를 줄이기 위하여 퍼플 프린징 영역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 퍼플 프린징 영역이 검출된 상태에서는 그 보정 방법이 상대적으로 단순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 영역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검출할 수 있는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을 채용한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 영역을 검출하는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에 있어서, 설정 단계, 추출 단계, 및 검출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단계에서는, 영상 프레임에서 국부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국부 영역을 포함하면서 상기 국부 영역보다 넓은 구역 영역이 설정된다.
상기 추출 단계에서는,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가 추출된다.
상기 검출 단계에서는, 상기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이 상기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이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된다.
또한, 상기 설정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검출 단계가 상기 영상 프레임의 모든 국부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수행되는 반복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의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을 보정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퍼플 프린징 보정 방법에 있어서, 설정 단계, 추출 단계, 및 보정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단계에서는, 영상 프레임에서 국부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국부 영역을 포함하면서 상기 국부 영역보다 넓은 구역 영역이 설정된다.
상기 추출 단계에서는,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가 추출된다.
상기 보정 단계에서는, 상기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이 상기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이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되어 설정 국부 영역의 입력 영상 데이터가 보정된다.
또한, 상기 설정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보정 단계가 상기 영상 프레임의 모든 국부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수행되는 반복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단계에서, 설정 국부 영역의 화소 별 색도 데이터가 속하는 범위에 따라 설정 국부 영역의 화소 별 색도 데이터가 서로 다른 비율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단계에서, 설정 국부 영역의 화소 별 색도 데이터가 클수록 큰 비율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의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을 보정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에 있어서, 휘도 데이터 추출부 및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는, 영상 프레임에서 국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국부 영역을 포함하면서 상기 국부 영역보다 넓은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데이터 보정부는, 상기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이 상기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을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하여 설정 국부 영역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한다.
또한,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가, 상기 영상 프레임의 모든 국부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보정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직렬로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와 직렬로 입력되는 색도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하면서, 병렬 휘도 데이터와 병렬 색도 데이터를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에 제공하는 입력 버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구역 휘도 데이터를 버퍼링하면서 상기 데이터 보정부에 입력시키는 중간 버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휘도 데이터 축소부, 중간 버퍼, 및 확대 보간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휘도 데이터 축소부는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구역 휘도 데이터를 축소한다.
상기 중간 버퍼는 상기 휘도 데이터 축소부로부터의 축소된 구역 휘도 데이터를 버퍼링하면서 출력한다.
상기 확대 보간부는, 상기 중간 버퍼로부터의 축소된 구역 휘도 데이터를 확대 보간에 의하여 복원시키면서, 복원된 구역 휘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보정부에 제공하는 확대 보간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 변환부 및 제2 데이터 변환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입력 버퍼로부터의 병렬 휘도 데이터와 병렬 색도 데이터의 휘도-색도 형식을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의 입력 조건에 맞도록 변환하면서, 변환된 휘도-색도 형식의 병렬 휘도 데이터와 병렬 색도 데이터를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에 입력한다.
상기 제2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데이터 보정부로부터 직렬 휘도 데이터와 직렬 색도 데이터의 휘도-색도 형식을 원래의 휘도-색도 형식으로 변환하면서, 원래의 휘도-색도 형식으로 변환된 직렬 휘도 데이터와 직렬 색도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국부 영역의 평균 휘도와 상기 구역 영역의 평균 휘도 사이의 차이에 따라 퍼플 프린징 영역의 여부가 판단된다.
따라서, 퍼플 프린징 자체의 의미가 직접적으로 이용되어 퍼플 프린징 영역의 여부가 판단되므로,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 영역이 효율적으로 빠르게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의 퍼플 프린징 보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 물론, 퍼플 프린징을 보정하기 위하여 렌즈 코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 및 이 검출 방법을 채용한 퍼플 프린징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 및 이 검출 방법을 채용한 퍼플 프린징 보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 보정 단계(S25)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의 데이터 보정 단계(S25)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 내지 7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에 입력되는 "YUV422" 휘도-색도 형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과 다른 "YUV444" 휘도-색도 형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 및 이 검출 방법을 채용한 퍼플 프린징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은 영상 프레임을, 12는 구역 영역을, 그리고 12p는 국부 영역을 각각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 및 이 검출 방법을 채용한 퍼플 프린징 보정 방법을 보여준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은,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설정 단계(S21), 추출 단계(S22), 및 검출 단계(S23 및 S24)를 포함한다.
설정 단계(S21)에서는, 영상 프레임(1)에서 국부 영역(12p)이 설정되고, 국부 영역(12p)을 포함하면서 국부 영역(12p)보다 넓은 구역 영역(12)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국부 영역(12p)은 가로 4 화소들과 세로 4 화소들의 정사각형으로 설정되고, 구역 영역(12)은 가로 32 화소들과 세로 32 화소들의 정사각형으로 설정된다.
추출 단계(S22)에서는, 설정 국부 영역(12p)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가 추출된다.
검출 단계(S23 및 S24)에서는,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l)이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p)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12p)이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된다.
요약하면, 국부 영역(12p)의 평균 휘도와 구역 영역(12)의 평균 휘도 사이의 차이에 따라 퍼플 프린징 영역의 여부가 판단된다.
따라서, 퍼플 프린징 자체의 의미가 직접적으로 이용되어 퍼플 프린징 영역의 여부가 판단되므로,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 영역이 효율적으로 빠르게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의 퍼플 프린징 보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 물론, 퍼플 프린징을 보정하기 위하여 렌즈 코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설정 단계(S21), 상기 추출 단계(S22), 및 상기 검출 단계(S23 및 S24)를 영상 프레임(1)의 모든 국부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수행하는 반복 단계(S27 내지 S24)가 더 포함된다. 이에 따라 영상 프레임(1)의 모든 영역들에 대하여 퍼플 프린징 영역이 검출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검출 방법이 채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방법은, 영상의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을 보정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으로서, 설정 단계(S21), 추출 단계(S22), 및 보정 단계(S23 내지 S26)를 포함한다.
설정 단계(S21)에서는, 영상 프레임(1)에서 국부 영역(12p)이 설정되고, 국부 영역(12p)을 포함하면서 국부 영역(12p)보다 넓은 구역 영역(12)이 설정된다.
추출 단계(S22)에서는, 설정 국부 영역(12p)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12)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가 추출된다.
보정 단계(S23 내지 S26)에서는,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l)이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p)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12p)이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되어 설정 국부 영역(12p)의 입력 영상 데이터가 보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설정 단계(S21), 상기 추출 단계(S22), 및 상기 검출 단계(S23 내지 S26)를 영상 프레임(1)의 모든 국부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수행하는 반복 단계(S27 내지 S24)가 더 포함된다. 이에 따라 영상 프레임(1)의 모든 영역들에 대하여 퍼플 프린징 영역이 보정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검출 방법 및 이 검출 방법을 채용한 퍼플 프린징 보정 방법을 복합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 프레임(1)에서 첫번째 국부 영역(12p)이 설정되고, 국부 영역(12p)을 포함하면서 국부 영역(12p)보다 넓은 구역 영역(12)이 설정된다(단계 S21).
다음에, 설정 국부 영역(12p)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가 추출된다(단계 S22).
다음에,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l) 및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p)이 계산된다(단계 S23).
다음에,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l)이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p)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 S24).
상기 단계 S24에서,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l)이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p)보다 크면, 퍼플 프린징 영역이므로, 설정 국부 영역(12p)의 입력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어 출력된다(단계 S26). 이 보정 단계에 대해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단계 S24에서,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l)이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Yap)보다 크지 않으면, 퍼플 프린징 영역이 아니므로, 설정 국부 영역(12p)의 입력 영상 데이터가 그대로 출력된다(단계 S26).
현재 대상이었던 국부 영역(12p)과 구역 영역(12)이 마지막 국부 영역이 아니면, 다음 국부 영역과 구역 영역이 순차적으로 설정되어 상기 단계들 S22 내지 S26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27 및 단계 S28). 즉, 디지털 영상 검사에서 잘 알려져 있는 마스크를 사용한 주사 방법이 이용된다.
도 3은 도 2의 데이터 보정 단계(S25)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참조부호 C1은 보정 전 특성 곡선을, 그리고 C2는 보정 후 특성 곡선을 각각 가리킨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2의 데이터 보정 단계(S25)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정 단계(S25)에서, 설정 국부 영역의 화소 별 색도 데이터 즉, Cb값 또는 Cr값이 속하는 범위에 따라 설정 국부 영역의 화소 별 색도 데이터가 서로 다른 비율로 감소된다. 즉, 상기 보정 단계에서, 설정 국부 영역의 화소 별 색도 데이터가 클수록 큰 비율로 감소된다.
도 4는 도 2의 데이터 보정 단계(S25)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화소 별 색도 데이터 즉, 입력 Cb값 또는 Cr값이 속하는 구간이 제3 구간이면(단계 S41), "1"보다 적은 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비율 "a"가 곱해진다(단계 S42).
화소 별 색도 데이터 즉, 입력 Cb값 또는 Cr값이 속하는 구간이 제2 구간이면(단계 S43), "1"보다 적은 수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수의 비율 "b"가 곱해진다(단계 S44).
색도 데이터가 보정된 경우, 잘 알려져 있는 휘도(Y)값 보정 알고리즘에 따라 휘도(Y)값이 보정된다(단계 S45).
화소 별 색도 데이터 즉, 입력 Cb값 또는 Cr값이 속하는 구간이 제1 구간이면(단계 S43), 영상의 재현성을 위하여 보정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단계 S46).
색도와 휘도 데이터가 보정된 경우,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출력된다(단계 S47).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를 보여준다. 도 5에서 참조 부호 Y는 휘도 데이터를, C는 색도 데이터를, VD는 수직 구동 신호를. HD는 수평 구동 신호를, Yl은 국부 영역의 휘도 데이터를, 그리고 Yp는 구역 영역의 휘도 데이터를 각각 가리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는, 영상의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을 보정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로서, 휘도 데이터 추출부(52) 및 데이터 보정부(53)를 포함한다.
휘도 데이터 추출부(52)는, 영상 프레임에서 국부 영역을 설정하고, 국부 영역을 포함하면서 국부 영역보다 넓은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Yl)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Yp)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휘도 데이터 추출부(52)는, 영상 프레임의 모든 국부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보정부(53)에 제공한다(도 1 참조).
데이터 보정부(53)는, 국부 휘도 데이터(Yl)의 평균값이 구역 휘도 데이터(Yp)의 평균값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을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하여 설정 국부 영역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한다(도 3 참조).
입력 버퍼(51)는, 직렬로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Y)와 직렬로 입력되는 색도 데이터(C)를 각각 버퍼링하면서, 병렬 휘도 데이터(Y)와 병렬 색도 데이터(C)를 휘도 데이터 추출부(52)에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를 보여준다. 도 6에서 도 5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5와 6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는 휘도 데이터 추출부(62로부터 출력되는 구역 휘도 데이터(Yp)를 버퍼링하면서 데이터 보정부(63)에 입력시키는 중간 버퍼(64)를 더 포함한다.
입력 버퍼(61)는 도 5의 입력 버퍼(51)와 동일하다.
휘도 데이터 추출부(62)는, 영상 프레임에서 국부 영역을 설정하고, 국부 영역을 포함하면서 국부 영역보다 넓은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Yl)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Yp)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휘도 데이터 추출부(62)는, 영상 프레임의 모든 국부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Yl)를 데이터 보정부(63)에 직접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데이터 양이 많은 구역 휘도 데이터(Yp)를 추출하여 중간 버퍼(64)를 통하여 데이터 보정부(63)에 제공한다.
데이터 보정부(63)는, 국부 휘도 데이터(Yl)의 평균값이 구역 휘도 데이터(Yp)의 평균값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을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하여 설정 국부 영역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한다(도 3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를 보여준다. 도 7에서 도 5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7에서 입력 버퍼(71), 휘도 데이터 추출부(72) 및 데이터 보정부(73)의 기능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도 5와 7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는 휘도 데이터 축소부(75), 중간 버퍼(74), 및 확대 보간부(76)를 더 포함한다.
휘도 데이터 축소부(75)는 휘도 데이터 추출부(72)로부터 출력되는 구역 휘도 데이터(Yp)를 축소한다.
중간 버퍼(74)는 휘도 데이터 축소부(75)로부터의 축소된 구역 휘도 데이터(Ypr)를 버퍼링하면서 출력한다.
확대 보간부(76)는, 중간 버퍼(74)로부터의 축소된 구역 휘도 데이터(Ypr)를 잘 알려져 있는 확대 보간법에 의하여 복원시키면서, 복원된 구역 휘도 데이터(Yp)를 데이터 보정부(73)에 제공한다.
도 7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데이터 양이 많은 구역 휘도 데이터(Yp)에 대하여 휘도 데이터 축소부(75)와 확대 보간부(76)가 개재됨에 따라 중간 버퍼(74)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도 5 내지 7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에 입력되는 "YUV422" 휘도-색도 형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YUV422" 휘도-색도 형식을 참조하면, 한 화소(P1, P2, P3, 또는 P4)에 대하여 색도 데이터(C)가 Cb-Cr-Cb-Cr의 순서로 하나씩 나타난다.
도 9는 도 8과 다른 "YUV444" 휘도-색도 형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YUV444" 휘도-색도 형식을 참조하면, 한 화소(P1, P2, P3, 또는 P4)에 대하여 청색 데이터(Cb) 및 적색 데이터(Cr)가 모두 나타난다.
도 5 내지 7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에서 휘도 데이터 추출부 및 데이터 보정부가 도 9의 "YUV444" 휘도-색도 형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0과 같은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가 필요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를 보여준다.
도 10에서 도 5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0에서 입력 버퍼(101), 휘도 데이터 추출부(102) 및 데이터 보정부(103)의 기능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다만, 휘도 데이터 추출부(102) 및 데이터 보정부(103)가 도 8의 휘도-색도 형식을 채용하지 않고 도 9의 휘도-색도 형식을 채용한 점에 그 차이가 있다.
도 5와 10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는 제1 데이터 변환부(104) 및 제2 데이터 변환부(105)를 더 포함한다.
제1 데이터 변환부(104)는, 입력 버퍼(101)로부터의 병렬 휘도 데이터(Y)와 병렬 색도 데이터(C)의 휘도-색도 형식(도 8)을 휘도 데이터 추출부(102)의 입력 조건에 맞도록 변환하면서, 변환된 휘도-색도 형식(도 9)의 병렬 휘도 데이터(Y)와 병렬 색도 데이터(Cb, Cr)를 휘도 데이터 추출부(102)에 입력한다.
제2 데이터 변환부(105)는, 데이터 보정부(103)로부터 직렬 휘도 데이터(Y)와 직렬 색도 데이터(Cb, Cr)의 휘도-색도 형식(도 9)을 원래의 휘도-색도 형식(도 8)으로 변환하면서, 원래의 휘도-색도 형식으로 변환된 직렬 휘도 데이터(Y)와 직렬 색도 데이터(C)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국부 영역의 평균 휘도와 구역 영역의 평균 휘도 사이의 차이에 따라 퍼플 프린징 영역의 여부가 판단된다.
따라서, 퍼플 프린징 자체의 의미가 직접적으로 이용되어 퍼플 프린징 영역의 여부가 판단되므로,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 퍼플 프린징 영역이 효율적으로 빠르게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영상 데이터에서의 퍼플 프린징 보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 물론, 퍼플 프린징을 보정하기 위하여 렌즈 코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퍼플 프린징 보정 뿐만 아니라 그밖에 색수차 보정에도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영상 프레임, 12...구역 영역,
12p...국부 영역, C1...보정 전 특성 곡선,
C2...보정 후 특성 곡선, 51,61,71,101...입력 버퍼,
52,62,72,102...휘도 데이터 추출부, 53,63,73,103...데이터 보정부,
64,74...중간 버퍼, 75...휘도 데이터 축소부,
76...확대 보간부. 104...제1 데이터 변환부,
105...제2 데이터 변환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영상의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을 보정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에 있어서,
    영상 프레임에서 국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국부 영역을 포함하면서 상기 국부 영역보다 넓은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휘도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이 상기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을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하여 설정 국부 영역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가,
    상기 영상 프레임의 모든 국부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보정부에 제공하며,
    직렬로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와 직렬로 입력되는 색도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하면서, 병렬 휘도 데이터와 병렬 색도 데이터를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에 제공하는 입력 버퍼;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로부터 출력되는 구역 휘도 데이터를 축소하는 휘도 데이터 축소부;
    상기 휘도 데이터 축소부로부터의 축소된 구역 휘도 데이터를 버퍼링하면서 출력하는 중간 버퍼; 및
    상기 중간 버퍼로부터의 축소된 구역 휘도 데이터를 확대 보간에 의하여 복원시키면서, 복원된 구역 휘도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보정부에 제공하는 확대 보간부를 더 포함한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
  12. 영상의 퍼플 프린징(purple fringing)을 보정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에 있어서,
    영상 프레임에서 국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국부 영역을 포함하면서 상기 국부 영역보다 넓은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휘도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국부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이 상기 구역 휘도 데이터의 평균값보다 크면, 설정 국부 영역을 퍼플 프린징 영역으로서 검출하여 설정 국부 영역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가,
    상기 영상 프레임의 모든 국부 영역들 각각에 대하여 구역 영역을 설정하면서, 설정 국부 영역으로부터의 국부 휘도 데이터 및 설정 구역 영역으로부터의 구역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 보정부에 제공하며,
    직렬로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와 직렬로 입력되는 색도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하면서, 병렬 휘도 데이터와 병렬 색도 데이터를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에 제공하는 입력 버퍼;
    상기 입력 버퍼로부터의 병렬 휘도 데이터와 병렬 색도 데이터의 휘도-색도 형식을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의 입력 조건에 맞도록 변환하면서, 변환된 휘도-색도 형식의 병렬 휘도 데이터와 병렬 색도 데이터를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에 입력하는 제1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보정부로부터 직렬 휘도 데이터와 직렬 색도 데이터의 휘도-색도 형식을 원래의 휘도-색도 형식으로 변환하면서, 원래의 휘도-색도 형식으로 변환된 직렬 휘도 데이터와 직렬 색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한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
KR1020110029860A 2011-03-31 2011-03-31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 KR10122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60A KR101228333B1 (ko) 2011-03-31 2011-03-31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60A KR101228333B1 (ko) 2011-03-31 2011-03-31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09A KR20120111409A (ko) 2012-10-10
KR101228333B1 true KR101228333B1 (ko) 2013-01-31

Family

ID=4728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860A KR101228333B1 (ko) 2011-03-31 2011-03-31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25B1 (ko) 2012-10-08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써모스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288A (ko) * 2004-05-27 2007-03-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KR100866490B1 (ko) 2007-01-17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색 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20290A (ko) * 2007-08-23 200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색수차 보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288A (ko) * 2004-05-27 2007-03-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KR100866490B1 (ko) 2007-01-17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색 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90020290A (ko) * 2007-08-23 200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색수차 보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09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42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US7860334B2 (en) Adaptive image filter for filtering image information
US8488026B2 (en) Image captur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JP5123756B2 (ja) 撮像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898224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1118071A1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481047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886184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performing superimposition on raw image or full color image
US201703248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isplay based on metadata,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20110279712A1 (en) Imaging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320657B2 (ja) 信号処理装置
JP2000278649A (ja) 走査線補間装置、及び走査線補間方法
US8379997B2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KR101600312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JP201401077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28333B1 (ko) 퍼플 프린징 보정 장치
JP2012235465A (ja) デジタルカメラ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5631769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9194721A (ja)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JP4966400B2 (ja) 画像出力装置及び画像出力方法
US907180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0700017B1 (ko) 조정 가능한 임계값을 이용한 컬러 보간 장치
KR101289698B1 (ko) 영상 화질 향상 장치 및 방법
JP201411050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204456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