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009B1 -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009B1
KR101228009B1 KR1020120043729A KR20120043729A KR101228009B1 KR 101228009 B1 KR101228009 B1 KR 101228009B1 KR 1020120043729 A KR1020120043729 A KR 1020120043729A KR 20120043729 A KR20120043729 A KR 20120043729A KR 101228009 B1 KR101228009 B1 KR 10122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weight
adhesive layer
part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열
김상준
Original Assignee
김상준
이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준, 이명열 filed Critical 김상준
Priority to KR1020120043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불연성 물질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 및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혼합된 아크릴 점착제가 도포된 제 1 점착층; 상기 제 1 점착층의 외면에 팽창흑연과,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과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혼합된 아크릴 점착제가 도포된 제 2 점착층; 및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2 점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형성된 이형층;을 포함하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층의 양면에 난연성 물질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 1 점착층과 제 2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 및 방염성이 극대화 될 뿐만 아니라 고도의 접착력과 유지력을 나타냄은 물론, 제 2 점착층에 포함된 팽창흑연에 의해 열과 화학품에 안정한 층을 형성하여 고상 방식으로 난연성을 증대시키고, 무독성이며,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열전도성이 낮아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을 저지하며, 600 ~ 800㎛ 범위의 두께를 갖고 있어 소음 및 진동의 차단 효과도 우수하며, 점착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FLAME-RETARDING ADHESIVE TAPE HAVING DOUBLE ADHESIVE LAYERS WITH EXCELLENT FLAME-PROOFING PROPERTY}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도어를 비롯한 난연성 및 방염성을 필요로 하는 각종 건축 자재에 점착되어 사용되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외부의 화력이 도어를 통하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화도어(fire-proof door)가 설치되고, 최근에는 건물 내부의 승강로를 따라 승강 이동하는 엘리베이터에도 승객 보호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화도어가 설치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방화도어를 비롯하여 그 밖에 전선, 케이블 등 각종 건축 자재에도 난연 및 방염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화도어에는 보강판이나 보강대 등이 부착되는데, 기존에는 용접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였으나, 용접은 흔적이 남고, 접착제는 경화 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접합 부위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방화도어와 보강판이나 보강대 등을 부착해 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점착 테이프는 난연 및 방염 성능을 갖고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으므로, 기재층의 양면에 난연성 아크릴이나 실리콘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화재시 불연성을 갖는 방화도어용 종래의 점착 테이프(T)가 개발되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4320호로 출원 및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방화도어용 점착 테이프는 난연 및 방염 성능이 부족하여 화재 발생시 불꽃이 발생하여 번질 수 있고, 접착력과 유지력도 양호하지 못하며, 유독가스가 발생되고, 소음 및 진동의 차단 효과도 적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방화도어용 점착 테이프는 한번에 코팅된 점착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난연성 및 방염성의 최대 효과를 내기 위해서 점착층 도막의 두께는 최소한 200㎛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두께를 갖는 점착층을 한번에 코팅 형성하는 것은 공정상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재층의 양면에 난연성 물질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 1 점착층과 제 2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 및 방염성이 극대화 될 뿐만 아니라 고도의 접착력과 유지력을 나타냄은 물론, 제 2 점착층에 포함된 팽창흑연에 의해 열과 화학품에 안정한 층을 형성하여 고상 방식으로 난연성을 증대시키고, 무독성이며,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열전도성이 낮아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며, 600 ~ 800㎛ 범위의 두께를 갖고 있어 소음 및 진동의 차단 효과도 우수하고, 점착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150 ~ 250㎛의 두께로 형성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 및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혼합된 아크릴 점착제가 도포되어 100 ~ 150㎛의 두께로 형성된 제 1 점착층; 상기 제 1 점착층의 외면에 팽창흑연과,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과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혼합된 아크릴 점착제가 도포되어 100 ~ 150㎛의 두께로 형성된 제 2 점착층; 및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2 점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형성된 이형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점착층에 도포된 아크릴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팽창흑연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테이프의 전체 두께가 600 ~ 800㎛여서 진동과 소음 방지 효과를 함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 1 점착층에 도포된 아크릴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삼산화안티몬(Sb2O3) 75 내지 105 중량부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2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제 2 점착층에 도포된 아크릴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삼산화안티몬(Sb2O3) 45 내지 75 중량부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1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삭제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상기 팽창흑연은 80 ~ 250 메쉬의 크기를 갖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층의 양면에 난연성 물질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 1 점착층과 제 2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 및 방염성이 극대화 될 뿐만 아니라 고도의 접착력과 유지력을 나타냄은 물론, 제 2 점착층에 포함된 팽창흑연에 의해 열과 화학품에 안정한 층을 형성하여 고상 방식으로 난연성을 증대시키고, 무독성이며,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열전도성이 낮아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며, 600 ~ 800㎛ 범위의 두께를 갖고 있어 소음 및 진동의 차단 효과도 우수하며, 점착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불연성 점착 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자는 종래의 점착 테이프는 난연 및 방염 성능이 부족하여 화재 발생시 불꽃이 발생하여 번질 수 있고, 접착력과 유지력도 양호하지 못하며, 유독가스가 발생될 수 있고, 소음 및 진동의 차단 효과도 적을 뿐만 아니라, 200㎛ 이상의 도막 두께를 갖는 점착층을 한번에 코팅 형성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결과, 기재층의 양면에 난연성 물질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 1 점착층과 제 2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 및 방염성이 극대화 될 뿐만 아니라 고도의 접착력과 유지력을 나타냄은 물론, 제 2 점착층에 포함된 팽창흑연에 의해 열과 화학품에 안정한 층을 형성하여 고상 방식으로 난연성을 증대시키고, 무독성이며,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열전도성이 낮아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며, 600 ~ 800㎛ 범위의 두께를 갖고 있어 소음 및 진동 차단 효과가 우수한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1)는 크게 기재층(10)과, 제 1 점착층(11)과, 제 2 점착층(12) 및 이형층(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층(10)은 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glass fiber)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유리섬유는 규산염을 주성분으로 하고, 유리를 용융하여 섬유 모양으로 가공한 것이며, 불연성이 우수하고, 기계적으로 강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내약품성 및 절연성이 우수하므로, 이와 같은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기재층(10)을 150 ~ 250㎛의 두께로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200㎛로 형성한다.
상기 제 1 점착층(11)은 상기 기재층(10)의 양면에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 및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혼합된 아크릴 점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점착층(11)은 피착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의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며, 주로 난연성 및 방염성을 발현하는 기능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점착층(11)은 제 2 점착층(12)에 비하여 난연제를 더 많이 사용하는 대신 상기 기재층(10)과 합지될 정도의 점착력도 확보한다.
이때, 상기 제 1 점착층(11)에 도포된 아크릴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삼산화안티몬(Sb2O3) 75 내지 105 중량부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2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점착성이 있으며,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난연성 및 방염성을 비롯한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휘발성 유기 용제의 함유량과 건조속도 및 작업성을 고려하여 고형분은 40 ~ 60%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은 브롬을 포함하는 브롬계 난연제로서, 화재시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는 라디칼에 대하여 산소와 경쟁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난연성 및 방염성을 나타내고, 상기 라디칼이 화재시 연쇄 반응을 주변으로 전파하지 않도록 억제하기 때문에 연소 사이클이 깨져서 우수한 난연성 및 방염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25 중량부 미만이면 상술된 효과가 적고, 35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삼산화안티몬(Sb2O3)의 첨가량 대비 과도하게 되어 오히려 난연성 및 방염성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25 내지 3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삼산화안티몬(Sb2O3)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의 라디칼 형성에 도움을 주는 일종의 보조재로 사용되고, 상기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과 적정량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의 라디칼 포착 효과를 훨씬 증가시키는 상승 효과(synergism effect)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삼산화안티몬(Sb2O3)이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75 중량부 미만이면 상술된 상승 효과가 적게 나타나고, 105 중량부를 초과하면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의 첨가량 대비 과도하게 되어 오히려 난연성 및 방염성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삼산화안티몬(Sb2O3) 75 내지 10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나 삼산화안티몬(Sb2O3)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난연 및 방염 효과가 그렇게 뛰어나지 않았으나,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난연 및 방염 효과가 극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는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의 라디칼 포착 효과를 증가시키고, 외부에 유리막을 형성시켜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난연 및 방염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 2 점착층(12)에 도포된 아크릴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삼산화안티몬(Sb2O3) 45 내지 75 중량부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15 내지 25 중량부 및 팽창흑연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2 점착층(12)은 난연제로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상기 삼산화안티몬(Sb2O3) 45 내지 75 중량부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1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그 수치한정의 이유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고, 다만, 상기 제 2 점착층(12)에 포함된 난연제의 첨가량이 상기 제 1 점착층(11)에 포함된 난연제의 첨가량보다 더 적은 이유는 상기 제 2 점착층(12)에 난연제가 과다 첨가되는 경우 접착력이 저하되어 점착층이 장기간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팽창흑연은 천연 흑연의 층간에 황산, 질산 또는 과염소산 등을 첨가하여 산처리한 후 여과, 세척, 건조의 과정을 거쳐 흑연 표면을 각종 액상 유기화합물 또는 식물성 기름으로 표면 처리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수백 배로 팽창된 팽창흑연이 제조된다.
이러한 팽창흑연은 열과 화학품에 안정한 층을 형성하여 고상 방식으로 난연성을 증대시키고, 연소시 팽창하여 외부 공기를 차단하며, 무독성(non-toxic)이고,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며, 열전도성이 낮아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팽창흑연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1 중량부 미만이면 상술된 효과가 적게 나타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필요 이상으로 첨가되면 그만큼 난연제와 아크릴계 수지의 첨가량이 감소하여 난연 및 방염 효과와 점착성이 함께 저하될 수 있으므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팽창흑연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팽창흑연은 80 ~ 250 메쉬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팽창흑연의 크기가 80 메쉬 미만이면 입도가 거칠어 외관상 미분산처럼 보이게 되므로 코팅면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고, 250 메쉬를 초과하면 입도가 너무 미세하여 난연성 및 방염성이 떨어질 수 있고, 가격이 상승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팽창흑연은 200 메쉬의 크기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층(13)은 상기 기재층(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 2 점착층(12)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형성되고, 이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 2 점착층(12) 각각의 일면에 상기 이형층(13)을 합지하여 형성하며, 이를 통하여 생성된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1)를 양면 테이프로도 사용할 수 있어 점착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염성이 우수한 양면 난연 점착 테이프(1)는 전체 두께를 600 ~ 800㎛의 범위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점착 테이프 보다 큰 두께로 형성하여, 방화도어에 보강판이나 보강대를 붙이기 때문에 이로써 소음 및 진동의 차단 효과도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제 1 점착층(11)과 제 2 점착층(12)은 각각 100 ~ 15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제 1 점착층(11)의 경우 두께가 100㎛ 미만이면 난연 및 방염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두께가 150㎛를 초과하면 코팅을 위한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전체 구성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제 2 점착층(12)의 경우 두께가 100㎛ 미만이면 접착성이 떨어지고 두께가 150㎛를 초과하면 코팅시 끓거나 외관상 표면 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코팅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PET의 이형필름에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 및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혼합된 아크릴 점착제를 1차 코팅한 후 건조터널을 통과시키면서 건조시켜 도막 두께가 100 ~ 150㎛가 되도록 하고, 직조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기재층(10)에 합지후 열전사시켜 상기 기재층(10)의 일면에 제 1 점착층(11)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새로운 이형필름에 팽창흑연과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과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혼합된 아크릴 점착제를 2차 코팅한 후 건조터널을 통과시키면서 건조시켜 도막 두께가 100 ~ 150㎛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1차 코팅된 원단의 이형필름을 벗겨내면서 2차 코팅된 이형필름과 합지후 1차 코팅된 원단의 제 1 점착층(11)에 열전사시켜 제 2 점착층(12)을 형성한다. 그렇게 되면 기재층(10), 제 1 점착층(11), 제 2 점착층(12) 및 이형층(13)으로 이루어진 점착 테이프의 일면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기재층(10)의 타면에도 제 1 점착층(11)과 제 2 점착층(12) 및 이형층(13)을 형성한 후 몇일간 양생하여 완성하며, 마지막으로, 단면의 이형층(13)을 벗겨내면 일면 또는 양면의 점착 테이프가 되는 것이다.
유리섬유를 천 형태로 직조하여 두께 200㎛의 기재층(10)을 만들고, 제 1 점착층(11) 제조를 위하여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유기 용제를 함유한 고형분 50%인 아크릴계 수지와,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각 구성 성분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한 후 여과망으로 여과하였으며, 제 2 점착층(12) 제조를 위하여 상기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각 구성 성분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한 후 여과망으로 여과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상술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700㎛의 두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2033366569-pat00001

그리고, 길이 127mm, 폭 12.7mm 시험편을 만들고, UL 94 난연 규정에 따라 상기 시험편을 수직으로 유지하고, 하단에 버너의 불을 10 초간 접염시킨 후 불길을 제거하며, 상기 시험편에 착화한 불이 꺼지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불이 꺼짐과 동시에 2회째의 접염을 10초간 개시하고, 1회째와 동일하게 하여 착화한 불이 꺼지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낙하하는 불씨에 의해 시험편의 아래의 면이 착화하는 지 여부에 대해서도 동시에 평가하였다.
1회째와 2회째의 연소시간, 면 착화의 유무 등으로부터 상기 UL 94 난연 규정에 따라서 연소 랭크를 붙였고, 연소 랭크는 V-0이 최고이고, 이하로 V-1, V-2가 됨에 따라 난연성은 저하되며, V-0 내지 V-2의 랭크 어디에도 해당되지 않는 것은 NR로 하여 난연성 측정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의 원단에 대하여 방염성의 기준인 KOFEIS 1001에 따라 방염성을 평가하여 그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잔염시간은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고, 잔신시간은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탄화길이는 불꽃에 의하여 탄화된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였고, 탄화면적은 불꽃에 의하여 탄화된 부분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사용한 버너는 메켈이며 65mm의 불꽃에서 2분동안 접촉하였다.
[표 2]
Figure 112012033366569-pat00002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의 방염성은 모두 한국방염공사의 기준치에 부합되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실시예 1, 3, 5의 방염성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층의 양면에 난연성 물질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 1 점착층과 제 2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난연성 및 방염성이 극대화 될 뿐만 아니라 고도의 접착력과 유지력을 나타냄은 물론, 제 2 점착층에 포함된 팽창흑연에 의해 열과 화학품에 안정한 층을 형성하여 고상 방식으로 난연성을 증대시키고, 무독성이며,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열전도성이 낮아 절연층으로 작용하여 열의 이동 및 확산을 저지하며, 600 ~ 800㎛ 범위의 두께를 갖고 있어 소음 및 진동의 차단 효과도 우수하며, 점착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T. 종래의 점착 테이프
B. 기재층
P. 점착층
R. 이형라이너층
1.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10. 기재층
11. 제 1 점착층
12. 제 2 점착층
13. 이형층

Claims (7)

  1. 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150 ~ 250㎛의 두께로 형성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양면에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 및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100 내지 140 중량부가 함께 혼합된 아크릴 점착제가 도포되어 100 ~ 150㎛의 두께로 형성된 제 1 점착층;
    상기 제 1 점착층의 외면에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1 내지 10 중량부의 팽창흑연과, 난연제로서 삼산화안티몬(Sb2O3)과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이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60 내지 100 중량부가 함께 혼합된 아크릴 점착제가 도포되어 100 ~ 150㎛의 두께로 형성된 제 2 점착층; 및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2 점착층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형성된 이형층;을 포함하되,
    테이프의 전체 두께가 600 ~ 800㎛여서 진동과 소음 방지 효과를 함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에 도포된 아크릴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삼산화안티몬(Sb2O3) 75 내지 105 중량부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2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점착층에 도포된 아크릴 점착제는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당 삼산화안티몬(Sb2O3) 45 내지 75 중량부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탄(DBDPE) 1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은 80 ~ 250 메쉬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6. 삭제
  7. 삭제
KR1020120043729A 2012-04-26 2012-04-26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KR10122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729A KR101228009B1 (ko) 2012-04-26 2012-04-26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729A KR101228009B1 (ko) 2012-04-26 2012-04-26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009B1 true KR101228009B1 (ko) 2013-02-01

Family

ID=4789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729A KR101228009B1 (ko) 2012-04-26 2012-04-26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0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7404A (zh) * 2018-11-13 2019-03-26 贵州大自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纤维片材生产用胶粘剂及使用方法
KR102147994B1 (ko) * 2020-05-08 2020-08-26 김화숙 내화 테이프
KR20210101512A (ko) * 2020-02-10 2021-08-19 김상준 방염특성을 갖는 2액형 난연 접착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618A (ko) * 2005-01-07 2007-09-11 나고야 유카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섬유 시트 및 그 성형물
KR20080113427A (ko) * 2006-03-28 2008-12-30 제온 코포레이션 열전도성 감압 접착제 조성물 및 열전도성 감압 접착성 시트상 성형체
KR20090010155U (ko) *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케이씨씨 점착력이 우수한 장식용 점착시트
KR100924320B1 (ko) * 2007-10-18 2009-11-02 최경용 방화도어용 불연성 점착테이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618A (ko) * 2005-01-07 2007-09-11 나고야 유카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섬유 시트 및 그 성형물
KR20080113427A (ko) * 2006-03-28 2008-12-30 제온 코포레이션 열전도성 감압 접착제 조성물 및 열전도성 감압 접착성 시트상 성형체
KR100924320B1 (ko) * 2007-10-18 2009-11-02 최경용 방화도어용 불연성 점착테이프
KR20090010155U (ko) *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케이씨씨 점착력이 우수한 장식용 점착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7404A (zh) * 2018-11-13 2019-03-26 贵州大自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纤维片材生产用胶粘剂及使用方法
CN109517404B (zh) * 2018-11-13 2021-04-13 大自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纤维片材生产用胶粘剂及使用方法
KR20210101512A (ko) * 2020-02-10 2021-08-19 김상준 방염특성을 갖는 2액형 난연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2306270B1 (ko) 2020-02-10 2021-09-28 김상준 방염특성을 갖는 2액형 난연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2147994B1 (ko) * 2020-05-08 2020-08-26 김화숙 내화 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6068C2 (ru) Эластомерное тело для амортизации колебаний
KR101228009B1 (ko) 이중 점착층을 갖는 방염성이 우수한 난연 점착 테이프
US20080302544A1 (en) Fire barrier fabric and related fire protective systems
CN102634351B (zh) 水性无卤柔性防火堵料
KR101746739B1 (ko) 난연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111371A (ja) 難燃性面状体及び該難燃性面状体を用いた有害ガス難発生敷物並びに該有害ガス難発生敷物の製造方法。
KR101946537B1 (ko) 용접포용 방염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접포
CN211493094U (zh) 一种防火玻璃纤维网格布
KR20190069907A (ko) 흑연이 포함된 화재 방지용 조성물
KR100924320B1 (ko) 방화도어용 불연성 점착테이프
CN101392107B (zh) 一种具有阻燃和电绝缘功能的无机复合超细活性填料的制备方法
Nikitina et al. New fire retardant compositions for fire-resistant automatic curtains
CN112175436B (zh) 无机膨胀型防火涂料
JP2002167886A (ja) 建築物用難燃性防水シート
KR101130336B1 (ko) 유리섬유 불연 패브릭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0792301U (zh) 一种防火的泡绵结构
CN101840747A (zh) 柔性隔火层阻燃耐火电线电缆
JPH10193496A (ja) 保護材料
KR100895673B1 (ko) 난연코팅된 전선피복용 글라스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117922146B (zh) 一种火灾应急阻燃防火的复合气凝胶膜及制备方法和应用
CN203762340U (zh) 一种防火棉手套
CN205862863U (zh) 一种新材料的阻燃电缆
CN113027306A (zh) 升降梯用不燃性粘着带及其制造方法
KR101000536B1 (ko) 방염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셔터 스크린
CN210270289U (zh) 电力管道沟通信光缆防火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