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981B1 - 맥주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맥주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981B1
KR101227981B1 KR1020110017793A KR20110017793A KR101227981B1 KR 101227981 B1 KR101227981 B1 KR 101227981B1 KR 1020110017793 A KR1020110017793 A KR 1020110017793A KR 20110017793 A KR20110017793 A KR 20110017793A KR 101227981 B1 KR101227981 B1 KR 10122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eer
hose
connector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8086A (ko
Inventor
이상길
Original Assignee
오비맥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비맥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비맥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9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맥주저장용기 폐쇄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맥주 배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는, 맥주저장용기 폐쇄부에 맞도록 형성된 결속 플랜지와 압축가스 유입구를 구비하는 헤드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바디에는 폐쇄부 및 압축가스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승강밸브가 승강가능하게 장치되되, 상기 승강밸브는 맥주저장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유로를 내부에 가지면서 헤드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레버에 연동하여 상기 폐쇄부 및 압축가스 유입구를 개폐시키고, 직수관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밸브체를 장착한 3-WAY 연결구가 상기 승강밸브 상단에 체결가능하게 장치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맥주 배출 장치{Beer dispenser device}
본 발명은 맥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시켜 내용물(생맥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맥주저장용기 폐쇄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맥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는 크게 병맥주와 생맥주로 구분된다. 병맥주는 제조과정에서 가열, 살균과 같은 열처리가 이루어지며, 생맥주는 별도의 열처리 과정이 없다. 따라서 생맥주에는 효모와 같은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지게 된다. 특히, 2 ~ 6℃ 온도조건으로 유지시키면 생맥주의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맥주 영업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맥주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일반적인 생맥주 제공시스템은, 음용에 적당한 2 ~ 6℃의 온도조건으로 생맥주 온도를 급속 냉각시켜 주는 냉각기(4)를 포함한다. 냉각기(4)에는 생맥주 배출을 위한 인출콕크(6)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기는 호스(맥주 공급관, 5)를 매개로 내용물이 저장된 맥주저장용기(1)와 연결된다.
맥주저장용기(1)는 내부공간이 밀폐된 기밀 용기로 이루어지며, 맥주저장용기(1)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호스(5)의 단부에는, 상기 맥주저장용기(1) 폐쇄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맥주 배출 장치(2)가 마련된다. 맥주 배출 장치(2)에는 압축가스 유입구(2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연결되는 압축가스관(7)을 매개로 상기 맥주 배출 장치(2)는 CO2와 같은 압축가스가 충진된 압축가스통(3)과 연결된다.
맥주 배출 장치(2)는 맥주저장용기(1) 폐쇄부에 맞도록 형성된 결속 플랜지를 구비하는 헤드바디(2a) 및 상기 헤드바디(2a)에 승강가능하게 장치되는 승강밸브(2b)를 포함한다. 승강밸브(2b)는 가동레버(2c) 조작에 연동하여 헤드바디(2a)에 대한 승강운동을 하며, 승강밸브(2b)의 승강운동에 연계하여 상기 압축가스 유입구(2d)가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맥주저장용기에 상기 맥주 배출 장치(2)를 부착시킨 상태로 가동레버(2c)를 누르면, 상기 맥주 배출 장치를 구성하는 승강밸브(2b)가 아래로 내려가 맥주저장용기(1) 폐쇄부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압축가스 유입구(2d)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압축가스통(3)에 충진되어 있던 CO2와 같은 압축가스가 맥주저장용기(1)로 주입될 수 있다.
주입된 압축가스의 압력으로 맥주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 즉, 생맥주가 상기 맥주 배출 장치(2)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생맥주는 상기 호스(맥주 공급관, 5)를 거쳐 냉각기(4)로 제공된다. 그리고 냉각기로 제공된 생맥주는 냉각기를 경유하면서 음용에 적합한 2 ~ 6℃의 최적의 온도조건으로 냉각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한 인출콕크(6) 개방으로 냉각기(4)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생맥주 제공시스템에서, 냉각기와 맥주저장용기를 연결하는 호스(맥주 공급관, 5)의 경우 대부분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일정시간 동안 그 호스에 맥주가 머물게 되면 변질되면서 누런 이물이 발생한다. 이물은 호스 내벽에 눌어 붙어 생맥주 고유의 맛과 향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며, 따라서 위생 및 청결을 위해 상기 호스에 대한 주기적인 세척이 반드시 요구된다.
호스 세척을 행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호스(5)에 세척수(물)를 유동시켜 세척하는 물세척 방법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이 방법은, 전술한 시스템에서 상기 맥주저장용기(1) 대신 세척수를 가득 채운 세척통(도시 생략)을 맥주 배출 장치(2)에 부착한 후, 세척통에 충진된 세척수를 상기 호스 및 냉각기에 유동시켜 상기 호스 및 냉각기 내부 유로에 대한 세척을 행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호스세척 방법은, 호스에 세척수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세척통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치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상기 호스(맥주 공급관)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그 만큼 많은 양의 세척수가 요구됨에 따라, 세척통을 분리하고 세척수를 다시 채우고 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해야 하는 것과 같이 세척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세척통이 요구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호스 및 냉각기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 구현을 위한 맥주 배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맥주저장용기 폐쇄부에 맞도록 형성된 결속 플랜지와 압축가스 유입구를 일체로 구비하는 헤드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바디에는 폐쇄부 및 압축가스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승강밸브가 승강가능하게 장치되되, 상기 승강밸브는 맥주저장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유로를 내부에 가지면서 헤드바디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레버에 연동하여 상기 폐쇄부 및 압축가스 유입구를 개폐시키고; 직수관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밸브체를 장착한 3-WAY 연결구가 상기 승강밸브 상단에 체결가능하게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밸브체는, 밸브바디 일측에 상기 직수관이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슬립조인트를 구비한 직선유로형 단일밸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3-WAY 연결구에 연결되는 메인밸브를 포함하며, 밸브바디 일측에 각각, 직수관과 가스관이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슬립조인트를 구비한 직수관 연결밸브와 가스관 연결밸브가 상기 메인밸브로부터 분기된 구성의 3-WAY 밸브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3-WAY 연결구 상부로 연결되며, 냉각기로 연장되는 호스 연결을 위한 호스 연결부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직선형 유로를 가지며, 측면에는 상기 직선형 유로쪽으로 호스 세척용 볼을 투입시킬 수 있는 도관이 일체로 분기 형성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관 중간에는 커넥터 중앙에 형성된 상기 직선형 유로 방향으로만 개방이 이루어지는 체크밸브가 장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3-WAY 연결구 상부로 연결되며, 냉각기로 연장되는 호스 연결을 위한 호스 연결부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직선형 유로를 가지며, 측면에는 상기 내부의 직선형 유로를 향해 호스 세척용 볼 투입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이 마개로서 폐쇄된 구성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에 의하면, 맥주 배출 장치를 구성하는 승강밸브 상부에 직수관이 착탈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의 3-WAY 연결구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결구에 직수관을 연결시키고 간단하게 밸브조작만 하면, 별도의 세척통 없이도 호스 및 냉각기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척시스템을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3-WAY 연결구로 인해 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세척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서, 호스(맥주 공급관)의 길이가 길어 그 만큼 많은 양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경우라도 종래와 같이 세척통을 분리하고 세척수를 다시 채우고 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해야 하는 것과 같은 세척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공된 3-WAY 연결구 상부로 커넥터가 연결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호스를 보다 청결하게 세척하기 위해 호스 세척용 볼을 이용할 경우, 맥주 배출 장치로부터 호스를 따로 분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호스 세척용 볼을 호스 내부로 용이하게 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호스 세척용 볼을 이용한 세척의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생맥주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난 맥주 배출 장치의 부분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가 맥주저장용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난 맥주 배출 장치가 맥주저장용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난 맥주 배출 장치에 장착된 커넥터의 사시도 및 측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난 맥주 배출 장치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가 맥주저장용기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20)는, 장치외형을 이루는 헤드바디(2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바디(22)에는 맥주저장용기(10)의 폐쇄부(100)에 맞도록 형성된 결속 플랜지(222)와 압축가스 유입구(2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결속 플랜지(222)는 상기 폐쇄부(1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압축가스 유입구(224)에는 압축가스통에서 연장된 가스관(70)이 연결된다(도 4 참조).
헤드바디(22)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그 중앙에 중공을 형성한 깔대기 모양일 수 있다. 이러한 헤드바디(22) 중앙의 상기 중공에는 승강밸브(24)가 승강가능하게 장치되며, 헤드바디(22)에 대한 상기 승강밸브(24)의 승강운동은 가동레버(26) 조작에 연동된다. 즉, 가동레버(26)를 위아래로 승강시키는 조작으로 헤드바디(22)에 대한 승강밸브(24)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바디(22)에 대한 승강밸브(24)의 승강운동으로, 상기 압축가스 유입구(224) 및 맥주저장용기(10) 폐쇄부(100)가 개방 또는 폐쇄되며, 상기 가동레버(26)는 헤드바디(22) 일측에 힌지(H)를 매개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가동레버(26) 내측 중앙에 한 쌍으로 형성된 돌기부(262)가 상기 승강밸브(24) 외면의 요홈면(242)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레버(26)를 위아래로 승강시키는 조작에 연동하여 헤드바디(22)에 대한 승강밸브(24)의 승강이 구현되며, 이러한 승강밸브(24)의 승강운동에 연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맥주저장용기(10)의 폐쇄부(100) 및 압축가스 유입구(224)가 개방됨으로써, 압축가스통(도시 생략)에 충진된 압축가스는 가스관(70)을 거쳐 상기 맥주저장용기(10)로 도입될 수 있다.
승강밸브(24)에는 맥주저장용기(10)의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 유로(244)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레버(26) 조작으로 맥주저장용기(10)로 압축가스가 도입되면, 그 도입된 압축가스의 압력으로 맥주저장용기(10) 내에 충진되어 있던 내용물 즉, 생맥주는 상기 유로를 거쳐 호스(맥주 공급관, 50)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20)에서 상기 승강밸브(24) 상단에는, 직수관(80)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밸브체(28a)를 장착한 3-WAY 연결구(27)가 체결 가능하게 장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밸브체(28a)는, 도 2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밸브바디(282) 일측에 상기 직수관(80)이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슬립조인트(284) 예컨대, 공지된 구성의 원터치식 튜브피팅(Tube Fitting)을 구비한 직선유로형 단일밸브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4의 사용 상태도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밸브체(28a)에 직수관(80)을 연결시키고 직수관(80)의 다른 일측을 세척수 관 예컨대, 수도 배관(미도시)에 연결시킨 상태로 밸브체(28a)의 밸브를 개방시키면, 일정 압의 세척수(물)는 상기 밸브체(28a)를 통해 3-WAY 연결구(27)로 도입되고, 호스(맥주 공급관, 50) 및 냉각기를 경유하면서 관로(호스 및 냉각기 내부의 유로) 내벽에 눌어 붙은 이물을 제거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맥주 배출 장치(20)에 직수관(80)을 연결시킬 수 있는 밸브체(28)를 일체로 형성한 3-WAY 연결구(27)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결구(27)에 직수관을 연결시키고 간단하게 밸브를 개방시키는 조작을 행하면, 종래와 같이 맥주 배출 장치(20)에 별도로 세척통을 연결시키지 않고도 호스 및 냉각기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척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호스 및 냉각기에 형성된 유로에 대한 세척을 행함에 있어, 보다 확실한 이물 제거를 위해 호스 세척용 볼(B, 도 7 참조)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호스 세척용 볼을 이용한 세척은, 호스 안으로 호스 세척용 볼을 투입시켜 압축가스를 이용해 상기 호스 세척용 볼을 강제로 유동시킴으로써, 호스 및 냉각기에 형성된 유로를 상기 세척용 볼로서 닦아 내듯 세척하는 방식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20)의 경우, 호스 세척용 볼을 이용해 세척을 행함에 있어, 호스 세척용 볼을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압축가스를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도입시킬 수 있도록, 밸브체(28b)의 구조를 달리 형성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주요구성에 대해서만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된 밸브체(28b)는 메인밸브(285)를 포함하며, 이 메인밸브(285)로부터 직수관 연결밸브(286)와 가스관 연결밸브(288)가 각각 분기된 구성의 3-WAY 밸브일 수 있다.
이때 직수관 연결밸브(286)와 가스관 연결밸브(288)는 각각, 직수관과 가스관이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슬립조인트(286b)(288b)를 밸브바디(286a)(286b) 일측에 구비하며, 따라서 각각의 연결밸브(286)(288)에는 도 6의 사용 상태도의 도시와 같이 직수관(80)과 가스관(70)이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세척수(물)를 이용한 세척을 요할 경우 직수관 연결밸브(286)를 개방시킴으로써 간단히 물 세척을 행하고, 보다 확실한 청소를 위해 일정주기로 호스 세척용 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직수관 연결밸브(286)를 닫고 가스관 연결밸브(288)를 개방시킴으로써 세척을 행하는 것과 같이, 두 종류의 청소를 선택적으로 행함에 있어 유리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20)는,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20)(도 5참조)의 구성에서, 3-WAY 연결구(27) 상부로 연결되는 커넥터(29)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29)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냉각기로 연장되는 호스 연결을 위한 호스 연결부(292)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직선형 유로(294)를 가지면서, 그 측면에는 상기 직선형 유로(294)쪽으로 호스 세척용 볼(B)을 투입시킬 수 있는 도관(296)이 일체로 분기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도관(296)을 통해 호스 세척용 볼(B)을 투입시킬 경우에 있어, 내부 압에 의해 상기 호스 세척용 볼(B)이 다시 도관(296)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도관(296) 중간에는 커넥터(29) 중앙에 형성된 상기 직선형 유로(294) 방향으로만 개방이 이루어지는 체크밸브(298)가 장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29)는, 냉각기로 연장되는 호스 연결을 위한 호스 연결부(292)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직선형 유로(294)를 가지며, 측면에는 상기 내부의 직선형 유로를 향해 호스 세척용 볼 투입구멍(297)이 형성되고, 이 구멍(297)이 마개(299)로서 폐쇄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마개(299)에는 상기 구멍(297)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299a)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체결부(299a)는, 상기 구멍(297)을 통해 호스 세척용 볼(B)을 투입시킨 후 마개(299)를 이용, 유로 측으로 볼(B)을 밀어 냄에 있어, 상기 볼(B)을 유로(294)까지 안정되게 도입시킬 수 있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호스를 보다 청결하게 세척하기 위해 호스 세척용 볼(B)을 이용할 경우,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는 달리 맥주 배출 장치(20)로부터 호스를 따로 분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도관(296) 또는 호스 세척용 볼 투입구멍(297)을 통해 호스 세척용 볼을 호스(50)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다. 즉, 호스 세척용 볼을 이용하는 세척의 경우에 있어 작업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 배출 장치에 의하면, 맥주 배출 장치를 구성하는 승강밸브 상부에 직수관이 착탈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의 3-WAY 연결구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에 직수관을 연결시키고 간단하게 밸브조작만 하면, 별도의 세척통 없이도 호스 및 냉각기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척시스템을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3-WAY 연결구로 인해 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세척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서, 호스(맥주 공급관)의 길이가 길어 그 만큼 많은 양의 세척수가 요구되는 경우라도 종래와 같이 세척통을 분리하고 세척수를 다시 채우고 하는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해야 하는 것과 같은 세척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세척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공된 3-WAY 연결구 상부로 커넥터가 연결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호스를 보다 청결하게 세척하기 위해 호스 세척용 볼을 이용할 경우, 맥주 배출 장치로부터 호스를 따로 분리시키지 않고도 상기 호스 세척용 볼을 호스 내부로 용이하게 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호스 세척용 볼을 이용한 세척의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0 : 맥주 배출 장치
22 : 헤드바디
24 : 승강밸브
26 : 가동레버
27 : 3-WAY 연결구
29 : 커넥터
50 : 호스(맥주 공급관)
70 : 가스관
80 : 직수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맥주저장용기 폐쇄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맥주 배출 장치에 있어서,
    맥주저장용기 폐쇄부에 맞도록 형성된 결속 플랜지와 압축가스 유입구를 일체로 구비하는 헤드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바디에는 상기 폐쇄부 및 압축가스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승강밸브가 승강가능하게 장치되되, 상기 승강밸브는 맥주저장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유로를 내부에 가지면서 헤드바디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레버에 연동하여 상기 폐쇄부 및 압축가스 유입구를 개폐시키고,
    직수관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밸브체를 장착한 3-WAY 연결구가 상기 승강밸브 상단에 체결가능하게 장치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3-WAY 연결구에 연결되는 메인밸브를 포함하고 메인밸브로부터 직수관과 가스관이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슬립조인트를 구비한 직수관 연결밸브와 가스관 연결밸브가 각각 분기된 구성의 3-WAY 밸브이고,
    상기 3-WAY 연결구 상부에 커넥터가 연결되되, 커넥터는 냉각기로 연장되는 호스 연결을 위한 호스 연결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직선형 유로를 가지며 측면에는 상기 직선형 유로쪽으로 호스 세척용 볼을 투입시킬 수 있는 도관이 일체로 분기 형성된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 배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중간에는 커넥터 중앙에 형성된 상기 직선형 유로 방향으로만 개방이 이루어지는 체크밸브가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 배출 장치.
  6. 맥주저장용기 폐쇄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맥주 배출 장치에 있어서,
    맥주저장용기 폐쇄부에 맞도록 형성된 결속 플랜지와 압축가스 유입구를 일체로 구비하는 헤드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바디에는 상기 폐쇄부 및 압축가스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승강밸브가 승강가능하게 장치되되, 상기 승강밸브는 맥주저장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유로를 내부에 가지면서 헤드바디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레버에 연동하여 상기 폐쇄부 및 압축가스 유입구를 개폐시키고,
    직수관이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밸브체를 장착한 3-WAY 연결구가 상기 승강밸브 상단에 체결가능하게 장치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3-WAY 연결구에 연결되는 메인밸브를 포함하고 메인밸브로부터 직수관과 가스관이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슬립조인트를 구비한 직수관 연결밸브와 가스관 연결밸브가 각각 분기된 구성의 3-WAY 밸브이고,
    상기 3-WAY 연결구 상부에 커넥터가 연결되되, 커넥터는 냉각기로 연장되는 호스 연결을 위한 호스 연결부를 상부에 일체로 구비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직선형 유로를 가지며, 측면에는 상기 내부의 직선형 유로를 향해 호스 세척용 볼 투입구멍이 형성되고, 볼 투입구멍은 마개로서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 배출 장치.
KR1020110017793A 2011-02-28 2011-02-28 맥주 배출 장치 KR10122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793A KR101227981B1 (ko) 2011-02-28 2011-02-28 맥주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793A KR101227981B1 (ko) 2011-02-28 2011-02-28 맥주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086A KR20120098086A (ko) 2012-09-05
KR101227981B1 true KR101227981B1 (ko) 2013-02-01

Family

ID=4710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793A KR101227981B1 (ko) 2011-02-28 2011-02-28 맥주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604B1 (ko) 2015-11-25 2018-11-2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세척 모듈 통합형 음료 분배 헤드
CN111704099A (zh) * 2020-07-24 2020-09-25 宁波精酿谷科技有限公司 一种卫生型桶装啤酒的分配系统及其清洗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069B1 (ko) * 1991-10-30 1999-08-02 프랭크 오버그펠 분배장치내의 음료액 선을 비우고 청소하는 장치
KR19990073346A (ko) * 1999-07-05 1999-10-05 강영완 생맥주냉각기의청소장치
KR200362218Y1 (ko) * 2004-06-23 2004-09-16 최형선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의 역류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069B1 (ko) * 1991-10-30 1999-08-02 프랭크 오버그펠 분배장치내의 음료액 선을 비우고 청소하는 장치
KR19990073346A (ko) * 1999-07-05 1999-10-05 강영완 생맥주냉각기의청소장치
KR200362218Y1 (ko) * 2004-06-23 2004-09-16 최형선 맥주용 디스펜서 헤드의 역류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086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48571U (zh) 饮料分配系统、用于饮料分配系统的连接单元和分配头
MY140627A (en) Cleaning implement
US20160081538A1 (en) Insufflation and irrigation valve, and endoscope with an insufflation and irrigation valve
US9016189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milk for a coffee maker
KR101227981B1 (ko) 맥주 배출 장치
CN107072423A (zh) 用于配制烧煮饮料的方法和装置
US6601603B2 (en) Clean-in-place air-blow valve
KR200451850Y1 (ko) 구강 세척기
CN101793328A (zh) 防泄漏蝶阀
EP2163176B1 (fr) Système de production de mousse pour un appareil électroménager de production de boisson
US6866059B2 (en) Reconfigurable clean-in-place air-blow valve
CN107281792B (zh) 一种暖通管道除污器
JP5964551B2 (ja) 吐出器及び飲料吐出装置用洗浄システム
CN109820391B (zh) 一种方便拆卸的保温杯中栓
KR200328358Y1 (ko) 생수통 위생 마개
CN212687549U (zh) 卫生型饮品输出分配器及用于该分配器的饮品输出阀
JPH0610845U (ja) サンプリングバルブ付きタンクにおけるサンプリングバルブの洗浄機構
CN208831801U (zh) 双嘴无菌取样阀
KR200249043Y1 (ko) 자동세척기능을 가지는 생수자동주입장치
CN103144862B (zh) 零售小型啤酒保鲜桶
CN205978707U (zh) 可实现在线清洗的阀门结构
CN105326399B (zh) 饮料机
KR200468646Y1 (ko) 구강 세정기
CN208192806U (zh) 一种定向排气的压力烹饪器具
RU10493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