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766B1 -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766B1
KR101227766B1 KR1020117002187A KR20117002187A KR101227766B1 KR 101227766 B1 KR101227766 B1 KR 101227766B1 KR 1020117002187 A KR1020117002187 A KR 1020117002187A KR 20117002187 A KR20117002187 A KR 20117002187A KR 101227766 B1 KR101227766 B1 KR 10122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parts
electric lamp
axial distanc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297A (ko
Inventor
이스트반 우르스칭
페렌크 팝
라즐로 반쿠티
자노스 오반
조제프 풀롭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1003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4Double-wall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7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5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6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전기 램프는 광원과 제어 기어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를 포함한다. 외부 엔빌로프는 광원 및 제어 기어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예정된 벽 두께와 단부를 갖는다. 원주방향 분리선을 따라 분리되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은 밀봉 영역에 의해 균일한 외부 엔빌로프를 형성하도록 결합 및 밀봉될 수 있다. 밀봉 영역은 벽 두께를 가지며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의 표면 부분에서 병합되어 밀봉 영역의 표면 불균일성이 0.5 밀리미터보다 크지 않으며, 외부 엔빌로프의 벽 두께에 대한 밀봉 영역의 벽 두께의 최대 차이는 0.3 밀리미터보다 크지 않다. 전술한 전기 램프를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용접 공정에 의해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을 결합 및 밀봉하는 중에, 2개의 부품은 접촉 위치에 가게 되고 제 1 축방향 거리만큼 더 압착된 다음, 2개의 부품은 제 2 축방향 거리만큼 서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지며, 제 2 축방향 거리는 제 1 축방향 거리보다 크다.

Description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ELECTRIC LAMP WITH INNER ASSEMBLY AND OUTER BUL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본 발명과 동시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FIXING MECHANISM FOR AN INNER ASSEMBLY TO OUTER BULB"[대리인 참조 번호 232335(GECZ 200904)]이며 공동 소유이고 공동 계류 중인 특허 출원 제 12/181,406호 및 본 발명과 동시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HOLDER FOR INTEGRAL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OUTER BULB"[대리인 참조 번호 232555(GECZ 200905)]이며 공동 소유이고 공동 계류 중인 특허 출원 제 12/181,414호를 상호 참조한다.
본 발명은 전기 램프, 보다 구체적으로 광원과 제어 기어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를 구비하고 종래의 범용 백열 램프를 대체할 수 있는 전기 램프에 관한 것이다. 더욱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어 기어 회로를 둘러싸는 외부 엔빌로프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지되고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한 저압 형광 방전 램프의 대부분은, 소위 콤팩트 형광 램프(CFL-s)이다. 이들 램프는 광범위한 산업 현장 및 가정 용례에 사용되는 백열 램프를 대체하도록 의도된다. 이들 램프의 주요 이점으로는 낮은 전력 소비와 긴 수명에 있다. 그러나, CFL-s에서의 단점으로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과 큰 길이 치수가 있다. 길이 치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구성이 제안되었다. 그러한 해법은 다중 관 구조 및 코일식 관 구조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6,064,155호는 표준 에디슨형 베이스 상에 백열 램프의 외부 형상을 갖는 외부 엔빌로프를 구비한 형광 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방전관이 램프의 종축 둘레의 코일에 권취되고 외부 엔빌로프 내에 배치된다. 외부 엔빌로프 내에는 밸러스트가 또한 배치된다. 방전관을 외부 엔빌로프 내에 배치하기 위하여, 시임의 중간 부위에서 엔빌로프를 절단한 다음 방전관의 배치 후에 재밀봉한다. 따라서, 균일한 벌브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엔빌로프를 어떻게 절단하고 재밀봉하는지에 대해서는 이 문헌으로부터 개시되어 있지 않고 명백하지도 않다. 유리 엔빌로프의 경우, 2개의 분리된 부품들을 용접해야 하는데, 이는 두꺼워진 원주방향 시임 영역을 유발하고, 이러한 시임 영역은 램프의 광학 특성 및 심미적인 외양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 외에, 밀봉 영역에서 벽 두께가 증가되므로 엔빌로프의 유리벽에서 과도한 응력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유리 재료로 이루어지고 외부 엔빌로프의 시임 영역에서 벽 구조가 개선되며 실질적인 비용 증가없이 램프가 제조되게 하는 외부 엔빌로프를 구비한 전기 램프, 구체적으로 콤팩트 형광 램프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제조 단계들과 용이하게 조합하고 이에 따라 대량 생산에 모순이 없는 개선된 제조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여러 종류의 방전관 구성을 쉽게 지원하는 콤팩트 형광 램프 구성의 제공을 추구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과, 광원의 전류를 제어하고 광원의 전극에 접속되는 제어 기어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가 제공된다. 외부 엔빌로프는 광원 및 제어 기어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예정된 벽 두께와 단부를 갖는다. 외부 엔빌로프의 단부는 베이스 쉘을 수용하는 개방 단부가 있는 목부를 갖는다. 외부 엔빌로프는 주축을 정의하고 엔빌로프의 주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원주방향 분리선을 따라 분리되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은 밀봉 영역에 의해 균일한 외부 엔빌로프를 형성하도록 결합 및 밀봉될 수 있다. 밀봉 영역은 벽 두께를 가지며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의 표면 부분에서 병합되어 밀봉 영역의 표면 불균일성이 0.5 밀리미터보다 크지 않으며, 외부 엔빌로프의 벽 두께에 대한 밀봉 영역의 벽 두께의 최대 차이는 0.3 밀리미터보다 크지 않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이 제안된다. 이 방법은:
a)주축을 갖고 베이스 쉘을 수용하는 개방 단부에 의해 종결되는 목부를 갖는 단부를 포함하는 외부 엔빌로프를 제공하는 단계;
b)엔빌로프의 주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원주방향 분리선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엔빌로프를 가장자리 영역을 각각 갖는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으로 분리하는 단계;
c)광원과 제어 기어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d)내부 조립체를 엔빌로프의 제 2 부품 내에 도입하는 단계;
e)원주방향 분리선을 따라 엔빌로프의 분리된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을 서로 근접하게 가져가는 단계;
f)엔빌로프의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의 가장자리 영역을 연화점으로 가열하는 단계;
g)엔빌로프의 제 1 및 제 2 부품을 원주방향 분리선을 따라 결합 및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합 및 밀봉 단계는,
h)2개의 부품을 접촉 위치로 가져가고 가열을 유지하면서 2개의 부품을 제 1 축방향 거리만큼 더 압착하는 단계;
i)밀봉 영역을 2개의 부품의 표면 부분에 병합하도록 2개의 부품을 제 2 축방향 거리만큼 서로 멀어지게 당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 2 축방향 거리는 제 1 축방향 거리보다 크다.
개시된 전기 램프는 종래 기술의 램프에 비해 보다 우수한 광학 특성과 보다 훌륭한 심미적 외양을 제공한다. 간단한 제조 방법이 달성되었다. 특별한 제조 라인이 필요하지 않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대량 생산 조건이 보존된다.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을 서로 멀어지게 당김으로써 벽 두꺼워짐이 밀봉 영역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잔류 응력이 상당히 저감된다. 이 램프의 추가 이점은 효율적인 대체 램프가 가능하게 하는 벌브형 백열 램프와의 완전한 기계적 및 전기적 호환성이다. 제안된 램프는 외부 엔빌로프로 인한 환경 부담에 대해 일정 수준의 보호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방법에 의해 결합 및 밀봉된 2 부품 외부 엔빌로프 내에 밀폐된 내부 조립체를 구비한 전기 램프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방법에 의해 결합 및 밀봉된 2 부품 외부 엔빌로프를 구비한 전기 램프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결합 및 밀봉된 2 부품 외부 엔빌로프를 구비한 전기 램프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램프 엔빌로프를 2 부품으로 절단하는 제조 단계의 개략도,
도 5는 직선관 부재를 갖는 방전관과 밸러스트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의 정면도,
도 6은 나선형 관 형태의 방전관과 밸러스트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의 정면도,
도 7은 내부 조립체를 엔빌로프의 목측 부분에 삽입하는 제조 단계의 개략도,
도 8은 밀봉 영역에 열을 가하면서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을 접촉 위치에 가져가는 제조 단계의 개략도,
도 9는 밀봉 영역의 가열을 유지하고 2개의 부품을 축방향으로 압착하는 제조 단계의 개략도,
도 10은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을 축방향으로 당기는 제조 단계의 개략도,
도 11은 밀봉 영역에서 유리 재료를 어닐링하는 제조 단계의 개략도,
도 12는 램프의 제조시에 광원과 전기 제어 기어 회로를 밀폐하는 밀봉된 램프 엔빌로프의 개략도,
도 13은 램프의 제조시에 엔빌로프의 폐쇄 단부에 베이스 및 접촉 단자를 마련하는 개략도.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원(2)과, 광원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광원(2)에 접속된 제어 기어 회로(29)와, 예정되고 실질적으로 균일한 벽 두께(w1)를 갖는 외부 엔빌로프(3)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1)가 도시되어 있다. 50 내지 100 밀리미터 범위의 외경을 갖는 표준 크기의 외부 엔빌로프는 약 0.4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벽 두께를 갖는다. 외부 엔빌로프는 광원(2)과 제어 기어 회로(29)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베이스 쉘(26)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 단부를 포함하는 목부를 갖는 단부를 갖는다. 목부는 나사식 베이스 쉘(26)을 수용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 외벽(24)을 가질 수 있다. 광원은 방전관일 수 있고, 밸러스트 회로가 제어 기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방전관은 이 방전관의 밀봉 단부를 통해 유도되는 와이어(33)의 전류 도선에 의해 밸러스트 회로에 접속된 전극을 갖는다. 제어 기어 회로(29)와 방전관은 유지 및 보호 실드(35)에 의해 서로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유지 및 보호 실드의 상세 내용은 2007년 8월 13일자로 출원된 공동 계류 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 11/87,858호에 설명되어 있고, 이 특허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다. 밸러스트 회로는 리드 아웃 와이어(34; lead out wire)를 통해 베이스 쉘의 접촉 단자에 접속된다. 외부 엔빌로프(3)는 주축(12)을 형성하고, 광원(2)과 제어 기어 회로(29)를 수용하도록 엔빌로프(3)의 주축(1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원주방향 분리선(15)을 따라 분리된 2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31, 32)은 밀봉 영역(19)을 갖는 균일한 외부 엔빌로프를 형성하도록 결합 및 밀봉된다. 밀봉 영역(19)은 약 3 내지 6 밀리미터의 폭을 갖는다. 엔빌로프가 유리 재료인 경우, 2개의 부품(31, 32)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밀봉 영역 외의 엔빌로프의 벽 두께(w1)보다 적어도 50% 큰 벽 두께(w2)를 갖는 밀봉 영역(19)이 생긴다(w2≥1.5*w1). 도 1 및 도 2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 영역은 엔빌로프의 원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중앙 리브와, 이 중앙 리브의 양측에서 엔빌로프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2개의 림을 포함한다. 이 중앙 리브와 림 구조는 또한 참조 번호 u1 및 u2에 의해 나타내는 표면 불균일성과 관련될 수 있다. 표면 불균일성은 또한 엔빌로프의 원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 측정된 엔빌로프의 원래 표면 또는 이상적인 표면으로부터 리브의 가장 높은 지점 또는 림의 가장 낮은 지점의 거리로서 정의될 수 있다. 표면 불균일성은 밀봉 영역 외의 엔빌로프의 벽 두께보다 적어도 50% 큰 리브 섹션의 벽 두께(w2) 정도이다(u1≒u2≒w2). 증가된 벽 두께 및 표면 불균일성 때문에, 증가된 잔류 응력이 밀봉 영역에 존재하고, 이로 인해 임의의 기계적 또는 열적 충격의 경우에 엔빌로프가 파괴될 수 있다. 그러한 밀봉 영역은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외양을 갖지 못하고 또한 광학 성능이 악화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전기 램프 구성이 제안된다. 전술한 예와 유사하게, 개선된 구성에서, 램프는 광원(2)과 제어 기어 회로를 수용하기 위해 2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은 밀봉 영역을 갖는 균일한 외부 엔빌로프를 형성하도록 결합 및 밀봉된다. 이 램프 구성에서, 엔빌로프는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의 표면 부분에 융합된 밀봉 영역의 벽 두께(w2')를 갖는다. 이 경우에 밀봉 영역의 표면 불균일성(u1', u2')은 0.5 밀리미터보다 크지 않다. 동시에, 밀봉 영역 외에 외부 엔빌로프의 벽 두께(w1')에 대한 밀봉 영역의 벽 두께(w2')의 최대 차이는 0.3 밀리미터보다 크지 않다. 전기 램프는 또한 형광 방전 램프일 수 있고, 광원은 방전관 구조(23)이며 제어 기어 회로는 밸러스트 회로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엔빌로프(3)는 구형 부분과, 베이스 쉘에 결합되는 개방 단부형 목부를 갖는 세장형 부분을 갖는 벌브형 엔빌로프이다(도 1). 램프 베이스는 램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종래 또는 표준 타입일 수 있는 소켓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램프 베이스는 나사형 소켓 또는 베이요넷(bayonet) 소켓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목부에 결합된 베이스 쉘은 나사형 또는 에디슨형 베이스 쉘이고, 이 베이스 쉘은 목부의 외벽과 형상 클로저(form closure)를 갖는다. 이를 위해, 목부는 나사식 외벽(24)을 갖는다. 이 나사식 외벽은 베이요넷형 베이스 쉘이 사용된다면 필요하지 않다. 이 경우, 접착제에 의해 결합이 달성되고 고정된다.
실시예(도 5)에 있어서, 방전관 구조(23)는 형광 램프의 주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종축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선형 관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방전관 구조(23)의 구성은 연속적인 원호 경로를 형성하도록 브릿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인 2개 이상의 개별적인 세장형의 거의 평행한 직선형 방전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적인 방전관 부재의 개수가 출력 광도를 결정하게 된다. 방전관 구조는 또한 연속적인 원호 경로를 형성하도록 브릿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의 U형으로 만곡된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세장형 방전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적인 방전관 부재의 개수는 출력 광도에 비례한다. 방전관 구조의 단부 섹션에는 전극이 마련되고 기밀식으로 밀봉된다. 전극은 밀봉된 단부 섹션을 통해 유도되는 리드 인 와이어(33; lead in wir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드 인 와이어(33)는 베이스 쉘의 접촉 단자에 접속되도록 리드 아웃 와이어(34)를 구비하는 제어 기어 회로(29)에 접속된다.
다른 실시예(도 6)에서, 방전관 구조(20)는 실질적으로 직선형 단부 섹션들과 이 단부 섹션들 사이의 중간 부분을 갖는 단일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부 섹션은 방전관 구조의 일단부에서 서로에 대해 근접해 있고, 중간 부분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도록 램프의 종축 둘레에 권취된 코일식 형태를 갖는다. 방전관의 전체 길이 또는 유사하게 코일식 중간 부분의 권선의 개수는 램프의 출력 광도에 비례하게 된다. 권선의 직경은 외부 엔빌로프를 채우고 외부 엔빌로프에 맞추도록 가능한 한 크게 선택된다. 방전관 구조의 단부 섹션에는 전극이 마련되고 기밀식으로 밀봉된다. 전극은 밀봉된 단부 섹션을 통해 유도되는 리드 인 와이어(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드 인 와이어(33)는 베이스 쉘의 접촉 단자에 접속되도록 리드 인 와이어(34)를 구비하는 제어 기어 회로(29)에 접속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구형 부분과 세장형 단부를 갖는 벌브형 외부 엔빌로프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를 생산하는 제조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 램프는 제조 방법의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콤팩트 형광 램프이다.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전기 램프의 제조 공정에서, 주축을 갖고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쉘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 단부에 의해 종결되는 목부를 갖는 단부를 포함하는 외부 엔빌로프로부터 시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단계에서, 외부 엔빌로프는 화살표 11과 9에 의해 각각 지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동기식 회전되는 제 1 고정 요소(10)와 제 2 고정 요소(8) 내에 수용되어 이들 요소 사이에 유지된다. 점선이 고정 요소(10, 8)에 의해 커버되는 엔빌로프 부분을 나타낸다. 이 제조 단계 중에, 외부 엔빌로프는 절단 다이(5)에 의해 2개의 부품으로 절단된다. 이는 엔빌로프의 실질적으로 구형 부분의 중앙 영역 위의 절단 다이(5)를 절단 지점으로 가져가면서 엔빌로프를 주축(12)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절단 다이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회전축(6)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엔빌로프와 절단 다이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9, 11, 7)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하고, 이로 인해 엔빌로프와 절단 다이 사이의 접촉점에서 절단 속도가 증가된다. 이 방식으로 생성된 원주방향 분리선(15)은 엔빌로프의 주축(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원주 또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형태를 갖는다. 전술한 방식으로 엔빌로프를 절단함으로써, 엔빌로프는 제 1 부품(31)과 제 2 부품(32)으로 분리하게 된다. 원주방향 분리선의 위치는 외부 엔빌로프의 실질적으로 구형 부분의 최대 직경의 영역에서 선택되어, 엔빌로프 내측의 부품들에 대한 보다 양호한 접근을 제공하고 보다 큰 크기의 광원 또는 방전관 구조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준비 단계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과 제어 기어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를 제공하여 외부 엔빌로프 내에 배치하도록 광원과 제어 기어 회로가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 도 7의 화살표(13, 14)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엔빌로프의 제 2 부품으로부터 제 1 부품이 제거된 후에, 내부 용적은 램프의 내부 조립체에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제조 단계에서, 광원과 제어 기어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는 외부 엔빌로프의 제 2 부품(32) 내에 삽입된다. 광원과 제어 기어 회로를 외부 엔빌로프의 제 2 부품(32) 내에 삽입하는 동안, 전기 접속 와이어가 목부의 개구를 통해 유도된다. 2개의 리드 아웃 와이어들 간에 전기 절연을 제공하기 위하여, 와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절연층이 마련되어야 한다. 베이스의 접촉 단자들 중 하나와 전기 접촉할 수 있도록 절연층이 마련된 리드 아웃 와이어의 베이스측 단부는 절연층이 제거되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원은 방전관 구조(20)이고 제어 기어 회로는 밸러스트 회로이다.
다음 제조 단계(도 8 참조)에서, 외부 엔빌로프의 제 1 부품(31)은 제 2 부품(32)과 근접하게 된다. 외부 엔빌로프의 제 1 부품(31)과 제 2 부품(32) 사이에 견고한 기계적 결합 또는 밀봉을 달성하기 위하여, 2개의 부품은 가스 히터일 수 있는 히터(30)를 사용하여 함께 용접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절단선을 따라 외부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31, 32)의 가장자리부를 가열할 때에, 유리 재료의 연화점 이상에서,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 영역에서 엔빌로프의 유리 벽 두께가 증가하게 되고 엔빌로프의 직경 치수가 감소 또는 수축하게 된다.
원주방향 분리선을 따라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의 가장자리 영역을 용융시키면, 2개의 부품들이 서로 접촉 위치로 가게 되고 가열을 유지하면서 화살표(16, 17)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축방향 거리만큼 부품들이 더 압착된다. 엔빌로프의 제 1 부품(31)과 제 2 부품(32)의 가장자리 영역의 압착 중에 제 1 축방향 거리는 0.2 내지 1.5 밀리미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밀리미터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도 9의 하부의 부분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가된 벽 두께를 갖는 링(18)이 밀봉 영역에 마련된다.
다음 단계(도 10)에서, 엔빌로프의 재결합된 2개의 부품은 밀봉 영역에서 벽 두께와 불균일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화살표(21, 22)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축방향 거리만큼 서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지는데, 제 2 축방향 거리는 제 1 축방향 거리보다 크다. 엔빌로프의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을 서로 멀어지게 당기는 동안의 제 2 축방향 거리는 약 4 밀리미터이다. 벽 두께와 불균일성의 감소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엔빌로프의 내부에는 0.2 내지 0.5 mbar의 범위,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3 mbar일 수 있는 과압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과압은 연성의 유리 재료가 엔빌로프의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엔빌로프의 구형 부분의 원래 형태를 유지하는 데에 일조한다.
엔빌로프의 2개의 부품(31, 32)을 멀어지게 당기는 단계를 완료하면, 엔빌로프의 제 1 부품(31)은 제 1 고정 요소(10; 도 11)로부터 해방되게 된다. 제 2 고정 요소(8)에 의해 수용 및 유지된 엔빌로프의 회전을 계속하는 동안, 밀봉 영역(19)은 보다 낮은 에너지 화염 또는 소프트 화염을 갖는 가스 히터(30)를 사용함으로써 어닐링된다. 이 어닐링 단계 중에, 대부분의 잔류 응력이 밀봉 영역(19)으로부터 제거된다.
연속적인 단계에서, 엔빌로프(3)는 제 2 고정 요소(8)로부터 제거되고 모든 종류의 가열이 중지된다. 엔빌로프는 어떠한 손상을 유발하는 임의의 열적 또는 기계적 응력으로부터 안전한 추가의 처리 전에 수집 및 보관된다(도 12).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엔빌로프(3)의 세장형 부분의 목부에는 나사식 외벽(24) 및 관형 개구(25)가 마련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 외벽(24)은 나사형 또는 에디슨형 베이스 쉘이 사용되는 경우에만 필요하다. 다른 종류의 베이스 쉘의 경우, 예컨대 베이요넷형 베이스 쉘이 사용되면, 이 나사식 외면이 생략되고 다른 형태가 목부에 적용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최종 단계(도 13)에서, 램프를 임의의 암나사형 또는 베이요넷형의 종래 또는 표준 소켓에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쉘(26)을 갖는 전기 램프가 완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램프, 이 실시예에서 콤팩트 형광 램프에는 에디슨형 베이스가 마련된다. 램프 베이스는 임의의 종래의 방식으로 외부 엔빌로프의 세장형 부분의 베이스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외부 엔빌로프의 세장형 부분의 베이스측 단부는 접착제, 시멘트 또는 나사식 결합을 이용하여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에디슨형 베이스와 나사식 결합을 이용하는 경우, 에디슨형 베이스가 엔빌로프의 나사식 단부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어 기어 또는 밸러스트 회로의 전류 리드 와이어의 전기 접점 및 베이스 쉘(26)의 접촉 단자(27, 28)가 이 단계에서 또한 생성된다.
본 발명은 도시 및 개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요소, 개선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컨대, 엔빌로프(3)의 다수의 다른 형태 및 크기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엔빌로프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및 100 밀리미터보다 크거나 50 밀리미터보다 작은 최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광원은 CFL-s, LED-s와 같은 임의의 종래의 또는 에너지 절감형 광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CFL의 경우, 램프 내에 방전관 부재의 개수는 또한 램프의 크기 또는 원하는 전력 출력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주축을 갖고, 베이스 쉘을 수용하는 개방 단부에 의해 종결되는 목부를 갖는 단부를 포함하는 외부 엔빌로프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엔빌로프의 주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 원주방향 분리선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엔빌로프를 가장자리 영역을 각각 갖는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으로 분리하는 단계와,
    c) 광원과 제어 기어 회로를 포함하는 내부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d) 내부 조립체를 엔빌로프의 제 2 부품 내에 도입하는 단계와,
    e) 원주방향 분리선을 따라 엔빌로프의 분리된 제 1 부품 및 제 2 부품을 서로 근접하게 하는 단계와,
    f) 엔빌로프의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의 가장자리 영역을 연화점까지 가열하는 단계와,
    g) 엔빌로프의 제 1 및 제 2 부품을 원주방향 분리선을 따라 결합 및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및 밀봉 단계는,
    h) 2개의 부품을 접촉 위치로 가져가고 가열 상태를 유지하면서 2개의 부품을 제 1 축방향 거리만큼 더 압착하는 단계와,
    i) 밀봉 영역을 2개의 부품의 표면 부분에 병합하도록 2개의 부품을 제 2 축방향 거리만큼 서로 멀어지게 당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축방향 거리는 제 1 축방향 거리보다 큰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 중에, 상기 엔빌로프의 상기 밀봉 영역에서 벽 두께와 불균일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엔빌로프의 내부에 과압이 가해지는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엔빌로프의 내부에 가해진 과압은 0.2 mbar 내지 0.5 mbar인 것인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엔빌로프의 내부에 가해진 과압은 0.3 mbar인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빌로프의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의 압착 중에 제 1 축방향 거리는 0.2 mm 내지 1.5 mm의 범위인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빌로프의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의 압착 중에 제 1 축방향 거리는 0.2 mm 내지 0.8 mm의 범위인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엔빌로프의 제 1 부품과 제 2 부품을 서로 멀어지게 당기는 중에 제 2 축방향 거리는 4 mm인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KR1020117002187A 2008-07-29 2009-06-30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KR101227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1,419 2008-07-29
US12/181,419 US7915826B2 (en) 2008-07-29 2008-07-29 Electric lamp with inner assembly and outer bul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CT/US2009/049202 WO2010014334A2 (en) 2008-07-29 2009-06-30 Electric lamp with inner assembly and outer bul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466A Division KR20120118510A (ko) 2008-07-29 2009-06-30 전기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297A KR20110039297A (ko) 2011-04-15
KR101227766B1 true KR101227766B1 (ko) 2013-01-29

Family

ID=41479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466A KR20120118510A (ko) 2008-07-29 2009-06-30 전기 램프
KR1020117002187A KR101227766B1 (ko) 2008-07-29 2009-06-30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466A KR20120118510A (ko) 2008-07-29 2009-06-30 전기 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15826B2 (ko)
EP (1) EP2308070A2 (ko)
KR (2) KR20120118510A (ko)
CN (1) CN102113081B (ko)
WO (1) WO20100143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5750A (zh) * 2014-09-17 2014-12-24 安徽亮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半遮光节能灯灯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155A (en) * 1998-05-04 2000-05-16 Matsushita Electric Works Research And Development Labratory Inc Compact fluorescent lamp as a retrofit for an incandescent lamp
US20070063656A1 (en) * 2005-09-16 2007-03-22 Istvan Wursching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0600797D0 (en) * 2006-10-24 2006-12-28 Ge Hungary Zrt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U0700331D0 (en) 2007-05-10 2007-07-30 Ge Hungary Zrt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outer envel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155A (en) * 1998-05-04 2000-05-16 Matsushita Electric Works Research And Development Labratory Inc Compact fluorescent lamp as a retrofit for an incandescent lamp
US20070063656A1 (en) * 2005-09-16 2007-03-22 Istvan Wursching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510A (ko) 2012-10-26
EP2308070A2 (en) 2011-04-13
WO2010014334A3 (en) 2010-04-01
US20100026182A1 (en) 2010-02-04
CN102113081A (zh) 2011-06-29
KR20110039297A (ko) 2011-04-15
WO2010014334A2 (en) 2010-02-04
US7915826B2 (en) 2011-03-29
CN102113081B (zh)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9856B1 (en)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outer envelo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7064488B2 (en) Easily-assembled compact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EP1916699B1 (en)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7804234B2 (en) Self-ballasted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P0808807B1 (en) Processing of glass tubes, manufacture of closed-loop tubular lamp and lamps therefrom
KR101227766B1 (ko) 전기 램프의 제조 방법
US6121729A (en) Metal halide lamp
US20070278959A1 (en) Self ballasted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lighting apparatus
US8460045B2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enhanced dimming characteristcs
JP5346950B2 (ja) ランプ用の電球型外部エンベロープ、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エンベロープを有するコンパクト形蛍光ランプ
JP2005108699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4313594B2 (ja) ランプ用電極、ランプ用電極の製造方法、発光管、発光管の製造方法及びランプ
JP2002298729A (ja) 環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WO2009144904A1 (ja) 反射鏡付放電ランプ
JP2007273226A (ja) 電球形蛍光ランプ、照明器具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
JP2010251243A (ja) 蛍光ランプ
JPH1040813A (ja) 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および蛍光ランプ
JP2009016307A (ja) 蛍光ランプおよびその照明装置
JP2002367570A (ja) 管 球
JP2010033758A (ja) 低圧水銀ランプ用マウ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07101A (ja) 白熱電球
JP2010205727A (ja) 外側封体を備えたランプ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