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748B1 -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748B1
KR101225748B1 KR1020060050005A KR20060050005A KR101225748B1 KR 101225748 B1 KR101225748 B1 KR 101225748B1 KR 1020060050005 A KR1020060050005 A KR 1020060050005A KR 20060050005 A KR20060050005 A KR 20060050005A KR 101225748 B1 KR101225748 B1 KR 101225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data
input
custom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490A (ko
Inventor
서용운
김도희
이동규
조영구
김영태
임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홈쇼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홈쇼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홈쇼핑
Priority to KR102006005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748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 방송 화면에서 고객의 주소정보를 입력하는 주소정보 입력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의 회원 가입시 고객 현주소 또는 주문 상품의 배송 주소를 입력할 때 고객의 선택에 의해 데이터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주소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고객이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 배치된 주소 입력 메뉴(시/도, 구/군 및 동/읍/면 입력 메뉴)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해당 주소 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 해당 주소 입력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소 입력 메뉴의 해당 주소 명칭 리스트가 하단으로 배열된 팝업 창이 데이터 베이스부의 주소 컨텐츠 DB로부터 독취되어 선택된 주소 입력 메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팝업 창을 보고 고객이 현주소 또는 배송 주소에 해당되는 주소 데이터(시/도, 구/군, 동/읍/면 명칭 데이터)를 리모콘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해당 주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의 회원주소 DB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방송의 단점으로 지적된 리모콘으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용자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데이터 방송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데이터 방송, 홈쇼핑 방송, 주소 입력 방법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A method for inputting a customer's address of data broadcasting}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소 입력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 참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주소 입력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소 입력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 참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TV 101: 케이블TV 홈쇼핑 방송국
102: 데이터 방송 서버 103: 데이터 베이스부
104: 회원주소 DB 105: 주소 컨텐츠 DB
106: 리모콘 107: 셋톱박스
200: 주소 입력 메뉴 201: 팝업 창
203: 주소창 204: 상세주소 입력창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방송의 시청중 고객의 주소정보 입력시 주소 입력 화면상에 세부 주소 리스트가 하단으로 배열된 팝업 창을 제공하여 고객이 간편하게 팝업 창에서 리모콘의 방향키를 통해 해당 주소를 선택하여 고객의 주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발전과 그에 따른 매체의 다양화 및 대중화로 인하여 대면 판매 방식에 의존하던 종래의 상거래 방식을 대체하는 인터넷과 케이블 TV 등의 다중 매체를 통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신규 상거래 매체는 크게 인터넷과 방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각각의 매체 특성에 따라 장단점을 달리한다.
인터넷은 정보의 하향 전달뿐만 아니라 상향전달이 가능한 점, 즉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거나 서비스 제공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방송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터넷의 특징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주문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인터넷을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량은 대략 3~4개월마다 2배씩 증가하고 있으나, 기 존 통신회선의 전송속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급격히 증가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처리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방송네트워크는 넓은 주파수대역을 가지고 있어 방송의 전송속도가 인터넷보다 빠르다는 장점을 갖으며, 높은 TV 보급률을 이용하여 동시에 많은 최종 이용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정보의 전송효율이라는 측면에서는 인터넷을 능가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방송방법은 하향식 정보전달만이 가능하였으며 시청자가 직접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런데, 최근 디지털 방송이 상용화 단계에 들어서면서 인터넷의 선택성과 방송의 정보전송효율을 모두 갖춘 새로운 매체로서 데이터 방송이 주목을 받고 있다.
데이터 방송은 방송사업자의 채널을 이용해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TV와 달리 TV 전송방식을 디지털화하면서 각종 데이터를 첨가하여 기능을 부가한 방송으로서 텍스트, 정지화상, 그래픽, 문서, 소프트웨어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방송매체를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용 셋톱박스로 클라이언트가 그 정보를 이용하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잘 부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은 데이터 방송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내용이 방송중인 프로그램과 연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방송중인 기본 A/V 프로그램과 연관된 정보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프로그램 연동형 서비스로, 방송중인 기본 A/V 프로그램과 무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독립형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2007년부터는 많은 사업자에 의해 데이터 방송관련 사업이 시작될 것 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데이터 방송업체는 데이터 방송만의 특성을 살린 데이터 방송서비스를 개발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 방송에 의한 홈쇼핑 방송의 시작과 함께 전자상거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상품을 파는 백화점용 쇼핑에서부터 전문적인 상품만을 판매하는 전문 쇼핑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의 홈쇼핑 방송이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측 셋톱 박스와 일정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 방송 서버를 통해 홈쇼핑 상품을 주문 및 결제하고 배송 신청까지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데이터 방송의 경우, 리모콘 등 입력 인터페이스의 표준화가 정해지지 않아 DMC(Digital Media Center) 또는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서비스하는 플랫폼의 경우, 서로 상이한 문자 입력방법 및 다른 기능의 특수키, 네비게이션(방향키) 등으로 인해 시청자가 편리한 방송 시청에 제약요소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데이터 방송 서비스, T-커머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주문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방송의 회원가입시 고객 주소정보 또는 주문상품의 배송 신청시에 배송 주소정보를 리모콘을 이용하여 입력시켜야 하는데,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리모콘을 이용하여 고객 주소 정보를 입력시키는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데이터 방송의 시청중 고객의 주소정보 입력시 주소 입력 화면상에 세부 주소 리스트가 하단으 로 배열된 팝업 창을 제공하여 고객이 간편하게 팝업 창에서 리모콘의 방향키를 통해 해당 주소를 선택하여 고객의 주소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데이터 방송의 단점으로 지적된 리모콘으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화면에서 고객의 주소정보를 입력하는 주소정보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의 회원 가입시 고객 현주소 또는 주문 상품의 배송 주소를 입력할 때 고객의 선택에 의해 데이터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주소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고객이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 배치된 주소 입력 메뉴(시/도, 구/군 및 동/읍/면 입력 메뉴)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해당 주소 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 해당 주소 입력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소 입력 메뉴의 해당 주소 명칭 리스트가 하단으로 배열된 팝업 창이 데이터 베이스부의 주소 컨텐츠 DB로부터 독취되어 선택된 주소 입력 메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팝업 창을 보고 고객이 현주소 또는 배송 주소에 해당되는 주소 데이터(시/도, 구/군, 동/읍/면 명칭 데이터)를 리모콘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해당 주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의 회원주소 DB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서 고객이 현주소 또는 배송 주소에 해당하는 주 소 데이터를 선택할 경우에는 리모콘의 상하 이동키를 통해 상기 팝업 창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포커스를 해당 주소 데이터에 위치시킨 후 상기 리모콘의 선택 버튼을 누르면 해당 주소 데이터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서 고객의 주소 입력시 상기 주소 데이터(시/도, 구/군, 동/읍/면) 이외에 상세주소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리모콘을 이용하여 고객이 직접 상세정보 입력창에 상세주소를 입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소 입력 화면의 일측에는 리모콘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정보를 제공하는 리모콘 UI 화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데이터 방송에 의한 홈쇼핑 방송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홈쇼핑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인 TV(100)와, 상기 TV(100)로 홈쇼핑 방송을 제공하는 케이블 TV 홈쇼핑 방송국(101)과, 상기 TV의 한 화면상으로 상기 케이블 TV 홈쇼핑 방송국(101)에서 방송하는 방송 화면과 구별되는 사용자 주소 입력을 위한 컨텐츠 화면을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 서버(102)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2)의 제어하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소 컨텐츠 화면을 제공하는 주소 컨텐츠 DB(105)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현주소를 저장하는 회원주소 DB(104)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3)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2)로부터 전송받은 주소 입력 컨텐츠를 사용자의 TV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사용자의 리모콘(106) 입력에 의한 소정 컨텐츠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2)에 전송하여 쌍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셋톱박스(107)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홈쇼핑 데이터방송에서의 사용자 주소정보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홈쇼핑 데이터 방송 화면에서 고객의 주소정보를 입력하는 주소정보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쇼핑 데이터 방송의 회원 가입시 고객 현주소 또는 주문 상품의 배송 주소를 입력할 때 고객의 선택에 의해 데이터 방송 서버(102)로부터 제공되는 주소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200)와; 고객이 리모콘(106)을 이용하여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 배치된 주소 입력 메뉴(시/도, 구/군 및 동/읍/면 입력 메뉴)(200)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해당 주소 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201)와; 해당 주소 입력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소 입력 메뉴(200)의 해당 주소 명칭 리스트가 하단으로 배열된 팝업 창(201)이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주소 컨텐츠 DB(105)로부터 독취되어 선택된 주소 입력 메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S202)와; 상기 팝업 창(201)을 보고 고객이 현주소 또는 배송 주소에 해당되는 주소 데이터(시/도, 구/군, 동/읍/면 명칭 데이터)를 리모콘(106)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한 후 확인 버튼(도면에 미도시)을 누르면, 입력된 해당 주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2)로 전송된 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회원주소 DB(104)에 저장되는 단계(S2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서 고객의 주소 입력시 상기 주소 데이터(시/도, 구/군, 동/읍/면) 이외에 상세주소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리모콘을 이용하여 고객이 직접 상세정보 입력창(204)에 상세주소를 입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서 고객이 현주소 또는 배송 주소에 해당하는 주소 데이터를 선택할 경우에는 리모콘(106)의 상하 이동키를 통해 상기 팝업 창(201)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포커스(202)를 해당 주소 데이터에 위치시킨 후 상기 리모콘(106)의 선택 버튼을 누르면 해당 주소 데이터가 선택된다.
또한, 상기 주소 입력 화면의 일측에는 리모콘(106)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정보를 제공하는 리모콘 UI 화면(205)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객이 TV(100)로 케이블 TV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다가 방송중인 상품을 구입하거나 주문하기 위해 로그인을 하려면 리모콘(106) 등을 이용하여 홈쇼핑 방송 화면의 일측에 배치된 데이터 방송 로그인 화면에서 로그인을 하면 되는데, 이때, 기존에 회원 가입이 안된 경우에는 신규 회원가입을 하여야 한다.
상기 홈쇼핑 데이터 방송의 회원 가입시 성명, 아이디, 패스워드, 연락처 등의 고객 정보를 입력하면서 고객 주소정보도 입력시켜야 하는데 이때, 고객이 리모콘(106)을 이용하여 주소 입력을 선택하게 되면, 데이터 방송 서버(102)로부터 제 공되는 주소입력 화면이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고객이 리모콘(106)을 이용하여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 배치된 시/도, 구/군 및 동/읍/면 입력 메뉴로 이루어진 다수의 주소 입력 메뉴 중에서 먼저, 상기 시/도 입력 메뉴(200)의 일측에 배치된 하측 방향키를 선택하여 누르면, 선택된 시/도 입력 메뉴(200)의 해당 시/도 주소 명칭 리스트가 하단으로 배열된 팝업 창(201)이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주소 컨텐츠 DB(105)로부터 독취된 후 선택된 주소 입력 메뉴인 시/도 메뉴(200)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된다.
계속해서 고객이 상기 팝업 창(201)을 보고 리모콘(106)의 상하 이동키를 이용하여 자신의 현주소 또는 배송 주소에 해당되는 "서울특별시"에 포커스(202)를 위치시킨 후, 상기 리모콘(106)의 선택 버튼(예컨데, OK 버튼이라 명명할 수 있음)을 누르면 상기 "서울특별시"가 선택되어 입력된다.
일단, 상기 시/도 입력 메뉴에서 "서울특별시"가 선택되면, 포커스는 자동으로 구/군 입력 메뉴(200)쪽으로 이동되고 이때, 고객이 상기 리모콘(106)의 상하 이동키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이, 상기 팝업 창(201)의 "강서구" 에 포커스(202)를 위치시킨 후 리모콘(106)의 선택 버튼을 누르면 구/군 명칭 데이터로 "강서구"가 선택된다.
상기와 같이 고객에 의해 구/군 입력 메뉴(200)에서 "강서구"가 선택되면 역시 상기 포커스는 자동으로 동/읍/면 입력 메뉴(200)쪽으로 이동되고 이때, 고객이 상기 리모콘(106)의 상하 이동키를 이용하여 도 5와 같이, "화곡2동" 에 상기 포커스(202)를 위치시킨 후 상기 리모콘(106)의 선택 버튼을 누르면 동/읍/면 명칭 데 이터로 "화곡2동"이 선택된다.
상기와 같이 고객의 주소에 해당되는 시/도, 구/군 및 동/읍/면 주소 데이터가 모두 선택되면 도 5와 같이, 선택된 주소 데이터가 자동으로 하측에 있는 우편번호와 함께 주소창(203)에 표시되며, 상기 포커스(202)는 주소창 하단부의 상세주소 입력창(204)에 자동으로 위치된다.
상기 포커스(202)가 주소창 하단부의 상세주소 입력창(204)에 자동으로 위치되면 고객은 번지, 아파트 동/호수 등의 자신의 상세 주소를 리모콘(106)을 이용하여 상기 상세주소 입력창(204)에 입력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주소 입력 화면의 일측에는 상기 리모콘(106)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정보를 제공하는 리모콘 UI 화면(205)이 배치되어 고객이 리모콘(106)을 이용하여 문자 및 숫자 입력시 도움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객의 주소 데이터가 모두 입력된 상태에서 고객이 리모콘(106)의 확인 버튼(도면에 미도시)을 누르면, 입력된 고객 주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102)로 전송된 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3)의 회원주소 DB(104)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홈쇼핑 방송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방송 분야라면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당연하다고 하겠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방송의 단점으로 지적된 리모콘으로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용자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데이터 방송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의 리모콘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들의 리모콘 조작을 최소화함으로써 홈쇼핑 방송이나 다양한 데이터 방송에 있어서 가입정보 및 주소 입력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데이터 방송 화면에서 고객의 주소정보를 입력하는 주소정보 입력방법에 있어서,
    고객 현주소 또는 주문 상품의 배송 주소를 입력할 때 고객의 선택에 의해 데이터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주소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고객이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 배치된 일 이상의 주소 입력 메뉴(시/도, 구/군, 동/읍/면 입력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주소 입력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
    주소 입력 메뉴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소 입력 메뉴의 해당 주소 명칭 리스트가 배열된 팝업 창이 데이터 베이스부의 주소 컨텐츠 DB로부터 독취되어 선택된 주소 입력 메뉴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고객이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팝업 창의 주소 명칭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현주소 또는 배송 주소에 해당되는 주소 데이터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해당 주소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방송 서버로 전송된 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의 회원주소 DB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서 고객이 현주소 또는 배송 주소에 해당하는 주소 데 이터를 선택할 경우에는 리모콘의 상하 이동키를 통해 상기 팝업 창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포커스를 해당 주소 데이터에 위치시킨 후 상기 리모콘의 선택 버튼을 누르면 해당 주소 데이터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입력 화면에서 고객의 주소 입력시 상기 주소 데이터(시/도, 구/군, 동/읍/면) 이외에 상세주소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리모콘을 이용하여 고객이 직접 상세정보 입력창에 상세주소를 입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입력 화면의 일측에는 리모콘에 의한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정보를 제공하는 리모콘 UI 화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KR1020060050005A 2006-06-02 2006-06-02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KR10122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05A KR101225748B1 (ko) 2006-06-02 2006-06-02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05A KR101225748B1 (ko) 2006-06-02 2006-06-02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90A KR20070115490A (ko) 2007-12-06
KR101225748B1 true KR101225748B1 (ko) 2013-01-24

Family

ID=3914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005A KR101225748B1 (ko) 2006-06-02 2006-06-02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322A (ko) 2019-07-15 2019-09-25 (주)에이스게이트 주소 자동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주소 자동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인정보 관리 서버 및 주소 자동 입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145A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대화형 텔레비젼의 쇼핑방법
KR19990003383A (ko) * 1997-06-25 1999-01-15 김영환 차량항법장치에서의 지역별 정보검색방법
KR20040044784A (ko) * 2002-11-22 2004-05-31 이채근 전화번호검색기를 이용한 실시간 전화번호 검색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62356A (ko) * 2003-12-20 200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145A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대화형 텔레비젼의 쇼핑방법
KR19990003383A (ko) * 1997-06-25 1999-01-15 김영환 차량항법장치에서의 지역별 정보검색방법
KR20040044784A (ko) * 2002-11-22 2004-05-31 이채근 전화번호검색기를 이용한 실시간 전화번호 검색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62356A (ko) * 2003-12-20 200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90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9560B2 (en) Viewing and purchasing programming in other formats
US201103063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 Commerce Transaction Over a Distribution Network
US200800764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ervice Using Access Code
US2008002230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real-time access to movie information
US8369799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communicate received commands from a receiving device to a mobile device
KR100749960B1 (ko) 식별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 방법 및 장치
US201103211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 of Cable Television Devices and Other Devices
US8270578B2 (en) Mobile payment system
KR100856585B1 (ko) 양방향 텔레비전 시스템
KR100837604B1 (ko) Ars 안내를 이용한 홈쇼핑 방송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25748B1 (ko) 데이터 방송에서의 주소정보 입력방법
KR100876001B1 (ko) 정보 제공자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양방향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86811B1 (ko) 홈쇼핑 데이터 방송에서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메뉴 제공 방법
KR101988795B1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JP6727968B2 (ja) コンテンツ配信設備
KR20090109153A (ko) 아이피 티브이기반 상세 지역별 정보와 광고 제공을 통한주문, 결제 및 배송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CA24154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television commerce simultaneously for multiple channels for multiple merchants
KR102029969B1 (ko) 콘텐츠 제공 및 선호도 분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115491A (ko) 데이터 방송에서의 시청자 의견 올리기 시스템 및 방법
KR100786810B1 (ko) 홈쇼핑 데이터 방송의 이벤트 컨텐츠 제공 방법
KR20070050025A (ko) 식별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요청 방법 및 장치
KR101053938B1 (ko) Iptv의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iptv의 광고 방법
KR100786809B1 (ko) 홈쇼핑 데이터 방송의 메인 메뉴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873098B1 (ko) 마이페이지 영역을 이용하여 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JP4160791B2 (ja) 情報利用料課金方法および情報利用料課金ユーザ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