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442B1 -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442B1
KR101225442B1 KR1020100094569A KR20100094569A KR101225442B1 KR 101225442 B1 KR101225442 B1 KR 101225442B1 KR 1020100094569 A KR1020100094569 A KR 1020100094569A KR 20100094569 A KR20100094569 A KR 20100094569A KR 101225442 B1 KR101225442 B1 KR 10122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bed
cooled
reinforcing bar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988A (ko
Inventor
윤일성
이철원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44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44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렛을 재가열 후 압연기를 거치는 철근의 냉각시 각 제품별로 필요한 냉각시간을 유지하기 위해, 다 단으로 냉각상을 형성하여 냉각속도를 조절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는,
철근(10)이 압연 되는 압연공정; 압연 된 상기 철근이 이송되면서 1차 냉각되는 템프코어공정; 및 1차 냉각된 상기 철근이 2차 냉각되기 위해 냉각속도에 따라 다수 개의 냉각상에 분배되어 냉각되는 분배냉각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A METHOD AND DEVICE FOR ADJUSTABLE CONTROLLING COOLING SPEED MULTISTAGE COOLING BED}
본 발명은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렛을 재가열 후 압연기를 거치는 철근의 냉각시 각 제품별로 필요한 냉각시간을 유지하기 위해, 다 단으로 냉각상을 형성하여 냉각속도를 조절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연주설비에서 제조된 중간제품을 압연공장에서 재가열하고, 이어 조압연, 중간압연 및, 사상압연 공정을 통해 제품의 형상을 완성한 후, 냉각 공정, 절단 공정, 정정 공정을 통해 포장 출하된다.
상기와 같은 철근 제조시 국내와 유럽에서는 템프코어(Tempcore) 장치를 이용하여 냉각 공정을 실시하고 있는데, 열간 압연 공정이 끝난 약 850 ~ 1050 ℃의 열간압연재를 500 ~ 650 ℃까지 수냉하여 담금질(Quenching)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어 내부잠열에 의한 자기 템퍼링(Tempering)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철근의 미세조직을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와, 베이나이트(Bainate)와, 펄라이트+페라이트(Pearlite+Ferrite)로 형성시킴으로써 최소한의 합금성분으로 목적하는 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 굽힘특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냉각상에서 최정적으로 냉각이 되면서 자체 복열에 의해 템퍼링(Tempering)이 되는데, 다양한 템퍼링(Tempering) 조건을 얻어 다양한 제품을 얻기 위해 제품에 따라 냉각을 다르게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는, 동일 제품의 압연을 하면서도 냉각상에서 최종적으로 냉각이 되면서 자체 복열에 의해 템퍼링(Tempering)되는 철근의 강도와 경도를 달리하기 위해 간편하게 냉각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는, 철근의 냉각 조건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면서도, 그에 따른 설비 설치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는,
철근(10)이 압연 되는 압연공정; 압연 된 상기 철근이 이송되면서 1차 냉각되는 템프코어공정; 및 1차 냉각된 상기 철근이 2차 냉각되기 위해 냉각속도에 따라 다수 개의 냉각상에 분배되어 냉각되는 분배냉각공정;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분배냉각공정은, 상기 철근이 분배가이드를 통해 상기 냉각상에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분배공정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배냉각공정은, 상온에서 냉각되는 상온냉각공정과, 송풍에서 급속냉각되는 송풍냉각공정을 더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압연공정에서, 압연 된 상기 철근의 온도는 1000 내지 1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템프코어공정에서, 1차 냉각을 마친 상기 철근의 표면온도는 250 내지 3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송풍냉각공정에서, 상기 송풍냉각공정으로 2차 냉각을 시작하는 상기 철근의 온도는 500 내지 700 ℃ 이고, 상기 송풍냉각공정이 끝나는 상기 철근의 온도는 150 내지 2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철근이 압연 되는 압연기; 압연 된 상기 철근이 1차 냉각되는 템프코어기; 및 1차 냉각된 상기 철근이 2차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냉각상;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템프코어기와 냉각상 사이에는, 상기 철근이 다수 개의 상기 냉각상 중에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이송되어 냉각 될 수 있도록 하는 분배가이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가이드는, 외부에서 상기 분배가이드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상 중에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상기 철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기와 연결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냉각상은, 상온에서 상기 철근이 공랭 되도록 하는 상온냉각상과, 송풍을 통해 상기 철근이 급랭 되도록 하는 송풍냉각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상은, 다 단으로 적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는, 철근을 가지고 동일하게 압연을 한 후, 간편하게 냉각조건을 변경하여, 다양한 성능을 갖는 철근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그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다양한 냉각 조건을 갖춘 설비를 설치 및 활용하여 다양한 성능을 갖는 철근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그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의 요부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압연 된 철근(10)이 템프코어(tempcore)를 통해 1차 냉각된 후, 2차 냉각을 위해 냉각상(300)으로 진입시, 다양한 제품 특성을 갖을 수 있도록 다양한 냉각상(300)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특히, 냉각상(300)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철근(10)은 재가열 후 압연공정(S100)을 통해 압연 된다.
이어서, 상기 압연공정(S100)에서는, 상기 철근(10)의 사용자의 원하는 굵기로 압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연공정(S100)을 통해 압연 된 상기 철근(10)의 온도는 1000 내지 1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압연 된 상기 철근(10)은, 템프코어(tempcore)를 통해 1차 냉각되는 템프코어공정(S200)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템프코어공정(S200)을 거쳐 1차 냉각을 마친 상기 철근(10)의 표면온도는 250 내지 3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템프코어공정(S200)을 마친 상기 철근(10)은, 분배냉각공정(S300)을 거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분배냉각공정(S300)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철근(10)의 제품 특성을 다양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냉각속도를 갖는 다수 개의 냉각상(300)이 적층 된 채로 구비된다.
이렇게, 상기 분배냉각공정(S300)에서, 상기 철근(10)이 분배가이드(200)를 통해 다수 개의 상기 냉각상(3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분배되는 공정을 분배공정(S310)이라 한다.
상기에 업급 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공정(S310)에서는, 압연 된 상기 철근(10)이 상기 분배가이드(200)에 의해, 다 단으로 적층 형성된 상기 냉각상(300) 중 하나로 용이하게 분배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냉각상(300)은, 상기 철근(10)이 상온에서 냉각되도록 하는 상온냉각공정(S320)을 갖는다.
이어서, 상기 상온냉각공정(S320)은, 상기 템프코어공정(S200)을 거쳐 1차 냉각을 마친 상기 철근(10)이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철근(10)의 냉각속도가 느릴 경우 Austenite조직은 Ferrite 조직을 지나 없어지게 되므로 Martensite 조직이 생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온에서 느리게 냉각된 상기 철근(10)은, 강도가 낮은 대신 연성과 인성이 높은 특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상(300)은, 상기 철근(10)이 송풍을 통해 급속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냉각공정(S330)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송풍냉각공정(S330)은, 상기 철근(10)이 송풍을 통해 급속하게 냉각되어 단시간에 원활하게 냉각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철근(10)의 냉각속도가 빠를 경우 Austenite조직은 Ferrite 및 Pearrite 조직을 지나지 않으므로, Austenite조직은 Martensite 조직으로 상 변태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송풍냉각공정(S330)을 통해 빠르게 냉각된 상기 철근(10)은, 강도가 높은 대신 연성과 인성이 낮은 특성을 갖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철근(10)의 생산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 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철근(10)의 생산공정은, 빌릿(billet)이 재가열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굵기를 갖을 수 있도록 압연을 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철근(10)이 압연 되는 공정이 압연공정(S100)이다.
이러한, 상기 압연공정(S100)에서, 압연 된 상기 철근(10)의 온도는 1000 내지 1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철근(10)이 상기 압연공정(S100)을 거치게 되면, 압연 된 상기 철근(10)의 온도는 1000 내지 11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연공정(S100)이 완료된 상기 철근(10)은 1차로 냉각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철근(10)의 1차로 냉각되는 공정이 템프코어공정(S200)이다.
이러한 상기 템프코어공정(S200)에서는 급속으로 상기 철근(10)을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템프코어공정(S200)에서 1차 냉각을 마친 상기 철근(10)의 표면온도는 250 내지 350 ℃이다.
이어서, 상기 철근(10)이 1차 냉각된 후에는, 상기 철근(10)을 2차 냉각하기 위한 분배냉각공정(S300)이 실행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분배냉각공정(S300)은, 상기 철근(10)이 분배가이드(200)를 통해 상기 냉각상(300)에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분배공정(S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배공정(S310)에서, 상기 철근(10)을 상기 냉각상(300)에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분배가이드(200)이다.
이때, 상기 냉각상(300)은 다 단으로 적층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분배가이드(200)는 수직 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템프코어공정(S200)에서 이동된 상기 철근(10)을 다수 개의 상기 냉각상(3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냉각상(300)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특히, 상기 분배냉각공정(S300)은, 상온에서 냉각되는 상온냉각공정(S320)과, 송풍에서 급속냉각되는 송풍냉각공정(S3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온냉각공정(S320)은, 상기 철근(10)을 상온에서 천천히 냉각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냉각공정(S330)은, 상기 철근(10)을 송풍을 통해 급속하게 냉각되도록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송풍냉각공정(S330)에서, 상기 철근(10)에 송풍을 제공하는 것은 송풍기(340)이다.
이때, 상기 송풍냉각공정(S330)에서, 2차 냉각을 시작하는 상기 철근(10)의 온도는 500 내지 700 ℃ 이고, 상기 송풍냉각공정(S330)이 마무리되는 상기 철근(10)의 온도는 150 내지 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의 요부를 나타낸 실시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템프코어공정(S200)은, 압연 된 상기 철근(10)이 이송되면서 1차 냉각되는 공정이다.
이렇게 상기 템프코어공정(S200)에서 1차 냉각된 상기 철근(10)은, 또다시 2차 냉각되기 위해서, 상기 분배냉각공정(S300)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배냉각공정(S300)에서는, 상기 철근(10)을 다 단으로 적층 된 상기 냉각상(3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냉각상(300)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배가이드(200)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상(300)의 형태를 살펴보면, 상기 냉각상(300)은, 공간의 활용을 위해, 다수개의 상기 냉각상(300)이 수직 방향으로 겹겹이 적층형성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상(300)은, 수직 방향으로 겹겹이 적층형성되되, 상기 철근(10)이 2차 냉각되는데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분배냉각공정(S300)은, 상기 철근(10)을 상온에서 냉각시킬 수 있는 상온냉각공정(S320)과, 상기 철근(10)이 송풍에서 급속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송풍냉각공정(S330)을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상온냉각공정(S320)에서는, 상기 철근(10)을 상온에서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풍냉각공정(S330)에서는, 상기 철근(10)이 송풍기(340)의 송풍을 통해 급속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냉각공정(S330)에서는, 상기 철근(10)에 송풍을 공급시에, 송풍의 세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상기 철근(10)의 냉각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온에서 느리게 냉각된 상기 철근(10)은, 강도가 낮은 대신 연성과 인성이 높은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냉각공정(S330)을 통해 빠르게 냉각된 상기 철근(10)은, 강도가 높은 대신 연성과 인성이 낮은 특성을 갖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분배기냉각공정(S300)을 통해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상기 철근(10)의 특성이 상이하게 되게 된다.
특히, 다수 개가 적층 형성된 상기 냉각상(300)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 됨으로 인해, 공간활용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공간활용의 효과를 얻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철근(10)이 압연 되는 압연기(100)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압연기(100)는, 재가열된 빌릿(billet)을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로 압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연기(100)에서 압연 된 상기 철근(10)의 온도는 1000 내지 1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압연기(100)를 통해 압연 된 상기 철근(10)은, 1차 냉각을 위해 템프코어기(150)로 이송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템프코어기(150)는, 압연 된 상기 철근(10)이 급속 냉각될 수 있도록 1차 냉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템프코어기(150)에서 1차 냉각을 마친 상기 철근(10)의 표면온도는 250 내지 3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철근(10)이 상기 템프코어기(150)에서 1차 냉각된 후, 또다시 2차 냉각되게 되는데, 상기 철근(10)이 2차 냉각되기 위해, 이송되는 곳은 다수 개가 다 단으로 적층 되는 냉각상(300)이다.
이러한 상기 냉각상(30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다 단으로 적층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철근(10)이 상기 템프코어기(150)에서 1차 냉각을 마친 후, 2차 냉각을 위해 상기 냉각상(300)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상(300)은, 상온에서 상기 철근(10)이 공랭 되도록 하는 상온냉각상(310)과, 송풍을 통해 상기 철근(10)이 급랭 되도록 하는 송풍냉각상(320)을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상온냉각상(310)은, 상기 철근(10)을 상온에서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냉각상(320)은, 상기 철근(10)을 송풍을 통해 급속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냉각상(320)에서, 상기 철근(10)에 송풍을 공급하는 것은 은 송풍기(340)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냉각상(320)에서는, 상기 송풍기(340)를 통해 상기 철근(10)에 송풍을 공급시에, 송풍의 세기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상기 철근(10)의 냉각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온에서 느리게 냉각된 상기 철근(10)은, 강도가 낮은 대신 연성과 인성이 높은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냉각상(320)을 통해 빠르게 냉각된 상기 철근(10)은, 강도가 높은 대신 연성과 인성이 낮은 특성을 갖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상기 냉각상(300)을 이용하여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상기 철근(10)의 특성이 다양하게 되게 된다.
이때, 상기 템프코어기(150)와 상기 냉각상(300) 사이에는, 상기 템프코어기(150)에서 1차 냉각된 상기 철근(10)이 상기 냉각상(300)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분배가이드(20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철근(10)은, 수직 방향으로 다 단이 적층형성되되, 상기 분배가이드(200)에 의해, 다 단으로 적층 형성된 상기 냉각상(300) 중의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송되어 2차 냉각 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배가이드(200)는, 외부에서 상기 분배가이드(200)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상 중에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상기 철근(10)이 이송되어 2차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기(350)와 연결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기(350)는, 상기 템프코어기(150)에서 1차 냉각된 상기 철근(10)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 단으로 적층 된 상기 냉각상(300) 중에 어느 하나로 상기 철근(10)이 원활하게 이송되어, 제품특성이 다양한 상기 철근(10)이 완성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350)는, 상기 철근(10)의 냉각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와 표시창(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철근 100 : 압연기
150 : 템프코어기 200 : 분배가이드
300 : 냉각상 310 : 상온냉각상
320 : 송풍냉각상 340 : 송풍기
350 : 제어기
S100 : 압연공정 S200 : 템프코어공정
S300 : 분배냉각공정 S310 : 분배공정
S320 : 상온냉각공정 S330 : 송풍냉각공정

Claims (11)

  1. 철근이 압연 되는 압연공정;
    압연 된 상기 철근이 이송되면서 1차 냉각되는 템프코어공정; 및
    1차 냉각된 상기 철근이 2차 냉각되기 위해 냉각속도에 따라 다수 개의 냉각상에 분배되어 냉각되는 분배냉각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냉각공정은,
    상기 철근이 분배가이드를 통해 상기 냉각상에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분배공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냉각공정은,
    상온에서 냉각되는 상온냉각공정과,
    송풍에서 급속냉각되는 송풍냉각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공정에서,
    압연 된 상기 철근의 온도는 1000 내지 11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프코어공정에서,
    1차 냉각을 마친 상기 철근의 표면온도는 250 내지 3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냉각공정에서,
    상기 송풍냉각공정으로 2차 냉각을 시작하는 상기 철근의 온도는 500 내지 700 ℃ 이고, 상기 송풍냉각공정이 끝나는 상기 철근의 온도는 150 내지 2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7. 철근이 압연 되는 압연기;
    압연 된 상기 철근이 1차 냉각되는 템프코어기; 및
    1차 냉각된 상기 철근이 2차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냉각상;을 포함하고,
    상기 템프코어기와 냉각상 사이에는,
    상기 철근이 다수 개의 상기 냉각상 중에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이송되어 냉각 될 수 있도록 하는 분배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장치.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가이드는,
    외부에서 상기 분배가이드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상 중에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상기 철근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기와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상은,
    상온에서 상기 철근이 공랭 되도록 하는 상온냉각상과,
    송풍을 통해 상기 철근이 급랭 되도록 하는 송풍냉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상은,
    다 단으로 적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장치.
KR1020100094569A 2010-09-29 2010-09-29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KR10122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69A KR101225442B1 (ko) 2010-09-29 2010-09-29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569A KR101225442B1 (ko) 2010-09-29 2010-09-29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988A KR20120032988A (ko) 2012-04-06
KR101225442B1 true KR101225442B1 (ko) 2013-01-22

Family

ID=4613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569A KR101225442B1 (ko) 2010-09-29 2010-09-29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46A (ko) 2017-09-22 2019-04-01 동국제강주식회사 철근용 냉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414A (ja) 1982-08-25 1984-03-03 Nippon Steel Corp 冷却床上鋼材の徐冷装置
JPH08197129A (ja) * 1995-01-18 1996-08-06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鋼材の徐冷方法
KR20060017935A (ko) * 2004-08-23 2006-02-28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 선재의 냉각방법
KR200445000Y1 (ko) * 2007-11-23 2009-06-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공정용 템프코어 장치의 노즐 하우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414A (ja) 1982-08-25 1984-03-03 Nippon Steel Corp 冷却床上鋼材の徐冷装置
JPH08197129A (ja) * 1995-01-18 1996-08-06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鋼材の徐冷方法
KR20060017935A (ko) * 2004-08-23 2006-02-28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 선재의 냉각방법
KR200445000Y1 (ko) * 2007-11-23 2009-06-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공정용 템프코어 장치의 노즐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46A (ko) 2017-09-22 2019-04-01 동국제강주식회사 철근용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988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257B1 (ko) 고강도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시트
US20140261914A1 (en) Method of producing hot rolled high strength dual phase steels using room temperature water quenching
US10689726B2 (en) Method for producing hot-formed steel springs
WO2000071274A1 (fr) Installations de production en continu de fil metallique
JP5186636B2 (ja) 二相組織を有するホットストリップを製造する方法及び設備
KR101225442B1 (ko) 냉각속도를 조절가능한 다단 냉각상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US20170152581A1 (en) Multipurpose Processing Line for Heat Treating and Hot Dip Coating a Steel Strip
SK134297A3 (en) Method of manufacturing hot-worked elongated products, in particular bar or pipe, from high-alloy or hypereutectoid steel
US20170204493A1 (en) Warm rolling of steels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KR102465476B1 (ko) 강 튜브의 인-라인 제조 방법
KR101889178B1 (ko) 고탄소 고강도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215423B (zh) 一种热轧相变诱导塑性钢卷的生产方法
KR100507573B1 (ko) 제어압연을 포함하는 선재의 냉각방법 및 장치
KR102389281B1 (ko) 강도 및 단면 감소율 편차가 균일한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17590B1 (ko) 재질편차가 적은 용접봉용 선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접봉용 선재
US11981972B2 (en) Softening method for high-strength Q and P steel hot roll
KR20170056668A (ko) 중강판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KR100985242B1 (ko) 연질화 열처리 생략이 가능한 중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및 그 장치
KR101804949B1 (ko) 연신율과 항복비가 우수한 철근의 냉각 제어 방법
JP6311678B2 (ja) レ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9536686A (zh) 一种铌微合金化中锰trip钢的制备方法
KR101377920B1 (ko) 철근 및 그 제조 방법
JP2019141890A (ja) 熱延棒鋼の加速冷却方法
CN108273850A (zh) 中碳微合金钢管的在线常化方法
KR102448751B1 (ko) 충격인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선재,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