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249B1 -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 Google Patents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249B1
KR101225249B1 KR1020110105958A KR20110105958A KR101225249B1 KR 101225249 B1 KR101225249 B1 KR 101225249B1 KR 1020110105958 A KR1020110105958 A KR 1020110105958A KR 20110105958 A KR20110105958 A KR 20110105958A KR 101225249 B1 KR101225249 B1 KR 101225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ucts
hook
booth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하타
백승호
이기영
권용훈
주성은
최미정
Original Assignee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2Joints between bus-bar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연 도체 부스덕트에 사용되는 덕트의 체결 구조를 개선시킨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덕트의 체결에 의해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절연 도체가 내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덕트는 각각의 덕트로부터 연장되며 선단부에 제1 후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상부 암과 하부 암, 각각의 덕트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 암과 하부 암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제1 후크에 계지되도록 선단부에 양방향의 고리가 형성된 제2 후크를 갖는 막대 암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볼트 등의 체결 장치의 배제에 따른 경제성 향상, 열방산 성능의 향상, 단락 강도의 축방향의 균일화, 방수 및 방진 성능의 향상, 볼트류의 노출에 수반하는 조립 문제의 해소,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DUCT STRUCTURE FOR BUS DUCT}
본 발명은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연 도체 부스덕트에 사용되는 덕트의 체결 구조를 개선시킨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빌딩이나 공장의 사용 전력량의 증가에 수반해 대전류 통전 가능한 전기 간선인 부스덕트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도 5의 (a)는 종래의 부스 덕트용 덕트를 이용한 부스 덕트 단면 구성 예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 있어서, 도체(21, 22, 23)가 수납되는 덕트는 복수의 강제 덕트 부재(11, 12, 13, 14)의 체결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절연 도체(21, 22, 23)을 내부에 수납한 후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 장치(31, 32, 41, 42)를 이용해 조립하는 구조이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이다.
체결 장치(31, 32, 41, 42)는 우선 덕트를 체결하는 것에 있지만, 그 외에도 내부에 수납된 절연 도체(21, 22, 23) 서로를 강하게 밀착시켜 통전에 수반하고 도체에 생기는 줄열을 효율적으로 덕트에 전달하고 열방산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또한 합선 사고 발생시에 도체끼리 서로 발생하는 과대한 전자 반발력에 저항해 덕트의 파괴나 큰 변형을 억제하는 목적도 겸하고 있다.
더욱이 덕트를 수직으로 시공할 때에 내부 절연 도체(21, 22, 23)가 덕트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덕트와 도체를 긴밀하게 단단히 조여 수직 하중 강도를 높이는 목적도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낸 덕트 구조의 경우는 단락에 수반하는 전자력에 의해 도 5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덕트의 변형이 일어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 변형을 보다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서 도 6에 나타내는 압출 알루미늄제 덕트 부재(51, 52)가 있다.
절연 도체(21, 22, 23)을 내부에 수납한 구조로서,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 장치(31, 32)를 이용해 조립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도 6에 도시된 덕트의 구조에 의하면 단락시의 덕트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는 크다. 그러나, 내부에 수납한 절연 도체(21, 22, 23) 서로를 강하게 억누르는 방향으로 볼트 결합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열방산 성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수직으로 시공하는 경우에 도체와 덕트가 서로 어긋나기 쉬운 문제도 있다.
이상 종래 기술의 구체적인 2가지 예를 예시했지만, 지금까지의 기술에는 덕트를 조립하기 위한 볼트(또는 리벳) 등 덕트 이외의 요소인 체결 장치가 필요했다. 그리고, 이 체결 장치는 단지 덕트를 조립하는 것만이 아니고, 열방산 성능의 조장, 단락 강도, 수직 하중 강도의 확보 등 부스 덕트에 필요한 많은 성능 및 기능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1) 경제성의 문제이다.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는 경우는 미리 덕트에 볼트 관통용의 구멍을 가공할 필요가 있어 제조 공정 증가의 한 요인이 된다. 또 볼트의 설치 간격은 소정의 단락 강도에 견디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작아져 통상 300mm 이하로 설계되고 있다. 3 m 정자유닛으로 한 부스 덕트의 경우, 대체로 20개의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제조 COST를 증대시켜 경제성을 저해하는 요인의 하나가 되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덕트 구조를 제안한다.
(2) 특히 도 5의 구조의 경우, 볼트 등의 체결 장치는 부스 덕트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되기 위해 볼트가 존재하는 부분은 강하고 절연 도체가 밀착해 열전도성은 양호하게 되지만, 볼트와 볼트의 중간 부분에서는 절연 도체의 밀착 정도가 약해져 열전도성을 저하시키는 불평형 열전도성의 개선을 과제로 삼는다.
(3) 특히 도 5의 구조의 경우, 단락 강도가 부스 덕트 축 방향으로 균일하지 않아 전자력에 수반하는 덕트의 변형은 볼트의 근방에서는 작지만 볼트와 볼트의 중간 부분의 변형은 커져 전체적으로 축방향으로 파상의 변형이 생기는 결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을 개선의 과제로 한다.
(4) 덕트에 가공된 볼트 관통 구멍과 볼트용 와셔면과의 몇 안 되는 틈새나 볼트와 너트의 나사부의 몇 안 되는 틈새로부터 물이 덕트 내부로 들어가는 문제가 생긴다. 만일, 물이 덕트의 내부에 들어가면 부스 덕트의 생명이라고도 할 수 있는 절연 성능이 저하해, 최악의 경우 합선 사고로 파급되는 염려가 생긴다. 그 때문에 옥외용으로서 이용하는 경우나 스프링 클러등의 물이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는 와셔면에 고무제등의 패킹을 장착하거나 나사부에 방수성 콤파운드를 도포하는 등 볼트 주위의 방수 처리가 필요했다. 이러한 작업 역시 불필요한 작업 공정으로 본 발명에서는 방수 및 방진 문제를 별도의 공정상에서 수행하지 않는 덕트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5) 덕트의 외부 표면에 볼트 등의 일부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벽이나 마루의 관통 부분에서는 관통 부분의 벽 또는 마루의 구멍을 폐쇄하는 목적으로 플랜지판 등을 이용하지만 우연히도 이 플랜지판의 설치 위치와 볼트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플랜지판에 볼트가 걸리게 되어 그대로는 플랜지판의 설치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는 시공 현장에서 플랜지판을 볼트에 해당되지 않게 절단 가공하지 않으면 안 되는 등 시공자에게 번거로움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6) 볼트 등의 체결 장치는 제품의 스마트한 외관을 저해한다. 빌딩 등에 시공된 부스 덕트의 축방향으로 덕트 표면에 노출 분포하는 볼트의 돌기 부분은 덕트 본체만의 스마트한 외관을 저해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덕트 구조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상의 과제를 고려해 창안된 본 발명은, 볼트나 리벳등의 사용에 의해서 생기는 앞의 (1)부터 (6)까지 과제를 모두 단번에 해결하고 충분한 조립성과 강도를 가지는 부스 덕트용 덕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추가로 덕트 축방향으로 불균일한 내부 도체의 결합력도 덕트 전체 길이에 균일하도록 한다.
앞의 (1)부터 (6)까지 과제는 모두 볼트 등의 체결 장치가 덕트의 축방향으로 비연속으로 존재하는 것부터 발생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근원에 있는 덕트와는 다른 부품인 체결 장치 그 자체의 사용이 없다면 모든 과제는 해소될 것이라는 발상으로부터 창안된 것이다. 그리고 필요한 덕트의 강도를 별도의 수단으로 확보하려고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부스 덕트용 덕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재로부터 구성되어 그 덕트 본체 자체에 덕트 상호를 감합 및 계지 가능한, 예를 들면 요철 형상 암의 조합에서 앞의 암의 선단에 각각 조장 후크(Hook)을 갖게 한 구조 등의 체결 장치를 단면상에 적어도 2개소 이상 갖추어 앞의 덕트의 내부에 부스 덕트용 도체(혹은 절연 도체)를 수납한 후, 앞의 체결 장치에 의해서 앞의 2개 이상의 부재로부터 덕트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부스 덕트용 덕트는, 덕트 본체 자체에 대비하는 체결 장치를 앞의 덕트에 연속하여 설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부스 덕트용 덕트는, 다른 체결 장치(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 등)를 병용하는 일 없이 덕트 본체 자체의 체결 장치만으로 기능상 충분한 강도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부스 덕트용 덕트는, 조합 완료 후의 덕트 단면 형상이 단면 중심을 점대칭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부스 덕트용 덕트는, 덕트 상호를 감합 및 계지하는 체결 장치는 요철 형상 암의 조합으로, 앞의 암의 선단에 각각 조장 후크부를 갖게 한 구조로, 앞의 체결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의 체결 장치의 凹부에 연속한 고무타입 탄성 패킹을 갖추어 체결 장치의 볼록부에서 고무상 탄성 패킹을 압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부스 덕트용 덕트는, 연속한 고무상 탄성 패킹에 대신해 방수성 콤파운드를 연속하여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덕트 이외의 요소인 예를 들면 볼트등의 체결 장치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덕트 축방향의 덕트 강도의 균일성도 현저하게 향상한다. 그것으로부터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에 나타낸 (1) 부터 (6)까지 과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즉, 첫번째 볼트 등의 체결 장치를 배제할 수 있어 경제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두번째 열방산 성능의 향상, 세번째 단락 강도의 축방향의 균일화, 네번째 방수 및 방진 성능의 향상, 다섯번째 볼트류의 노출에 수반하는 조립 문제의 해소, 그리고 여섯번째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단면을 구성하는 덕트의 종류는 덕트의 부재수의 반수로 충분하다. 예를 들면 덕트 단면을 2개의 부재로 구성한다고 하면 1 종류의 부재를 2개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 및 생산성을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의 단면도이며, (a)는 조합 전의 구성요소의 배치를 나타내며 (b)는 조합 후의 완성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일례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의 단면도이며, (a)는 평상시의 단면을 나타내며 (b)는 단락에 따른 전자력에 의한 변형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의 단면도이며, (a)는 조합 전의 구성요소의 배치를 나타내며 (b)는 조합 후의 완성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도시된 예는 3개의 도체가 수납되는 형태를 그 예로 나타낸 것이지만, 내부의 도체의 수는 전기 방식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본 발명의 요건에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부스 덕트는 제1 및 제2 덕트(61, 62) 및 절연 도체(21, 22, 23)으로 구성되고, 고무형태의 탄성 패킹(71, 72)이 부가된다.
(a)는 감합(嵌合) 및 계지(繫止) 전의 조립 전의 구성을 나타내고, 화살표는 덕트를 감합시킬 때의 힘과 그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b)는 덕트를 감합 및 계지한 후의 조립 완성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종래예와의 구성의 최대 차이점은, 종래예에 존재하는 볼트 등의 체결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덕트 본체와는 다른 요소의 체결 장치로 대신하여 덕트 본체를 체결한다는 점에 있다. 즉, 볼트 등의 체결 장치를 완전히 없애고 새로운 형태의 체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제1 및 제2 덕트(61, 62)는 각각 서로 감합 및 계지 가능한 체결 수단을 전단면상에 4개소 갖춘 예이다.
그 한 개소의 체결 장치인 도 1의 (b) A부의 상세 단면을 도 2에 나타낸다. 본 예의 경우, 체결 장치는 제1 덕트(61)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상부 암 및 하부 암(81, 82)의 중앙에 제2 덕트(62)로부터 연장되는 1개의 막대 암(83)이 도 1의 (a)에 나타낸 힘에 의해서 끼워 넣어지는 요철의 편성이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암(81, 82) 및 막대 암(83)에는 각각의 선단에 서로 계지 가능한 조장의 제1 및 제2 후크(Hook, 91, 92)를 갖추고 있다. 제1 후크(91)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단편 후크일 수 있으며, 제2 후크(92)는 양방향으로 형성된 양편 후크일 수 있다.
암 상호의 감합의 과정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암(81, 82)은 막대 암(83)의 선단부에 밀려 서로 넓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지만, 이때 상부 및 하부 암(81,82)은 탄성력을 유지해 제1 및 제2 후크(91, 92) 부분의 감합이 종료하는 위치(조장 제1 후크(91)와 제2 후크(92)의 팽창부가 서로 넘어 탄 위치, 즉 도 2에 나타낸 위치)에서 상부 및 하부 암(81, 82)의 확대는 원래대로 돌아간다. 그 결과 제1 덕트(61)로 제2 덕트(62)는 서로 계지되는 것이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구성된 체결 장치는 제1 덕트(61)와 제2 덕트(62)의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설계되어 있다.
제1 및 제2 덕트(61, 62)는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 등을 통해 복잡하고 정밀한 형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연속적인 생산성도 용이하게 확보 가능하다. 다만, 재질을 알루미늄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체결 장치의 연속성으로부터 감합 및 계지 후에 제1 및 제2 덕트(61, 62)를 갈라 놓는 힘은 축방향으로 거의 균일하게 되어, 계산이나 시험에 의해서 그 값을 얻는 것이 용이해진다.
요구되는 강도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암(81, 82) 및 막대 암(83), 그리고 제1 및 제2 후크(91, 92)의 형상 및 치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덕트 자체에 형성된 체결 장치만으로 기능상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본 실시예는 볼트 등 다른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체결 장치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갖는다.
단, 부스 덕트 접속부 등에 접하는 덕트 말단부, 접속부 등에 이용하는 부품을 계지하는 목적으로부터 볼트 등의 다른 체결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 반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는 도 1의 (b)에 나타난 단면의 중심점(O)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덕트(61, 62)가 점대칭을 이루어 있어, 2 개의 제1 및 제2 덕트(61, 62)는 동일한 형상의 부재가 되어 생산성의 효율 및 조합 공정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 단면상 4 개소에 존재하는 덕트 상호의 체결 장치 가운데, 도 1의 상하면에서 외면에 접하는 부분의 체결 장치의 상부 및 하부 암( 101, 102)로 구성되는 오목한 부분에 연속한 고무형상의 탄성 패킹(71, 72)를 삽입해, 그 패킹을 체결 장치의 막대 암(103)의 볼록 부분으로 오목한 부분으로 밀고 들어가는 것으로 충분한 방수 및 방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 고무 탄성 패킹의 형상은 도 1에 나타낸 타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방수 또는 방진의 기능을 얻는 수단으로서 이용가능한 형상이라면 특정되지는 않는다.
고무형상 탄성 패킹(71, 72)에 대신하여 방수성 콤파운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며 그 예를 도 3 및 도 4를 통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스 덕트용 덕트를 이용한 부스 덕트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비교적 소용량으로 큰 기계적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부스 덕트에 응용이 가능한 예이다.
부스 덕트는 제1 내지 제4 덕트(63, 64, 65, 66)의 4개의 부재와 절연 도체(21,22,23)로 이루어진다.
도면상에서 제1 덕트(63) 좌측에 위치하고 제2 덕트(64)는 우측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덕트(63, 64)가 체결될 때 상부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제3 덕트(65)가 게재되며 하부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제4 덕트(66)가 게재된다.
제1 및 제2 덕트(63, 64)의 내측 상하부에는 걸림턱(69)이 형성되고 외측 상하부 선단에는 후크(68)가 형성되며, 제3 및 제4 덕트(65, 66)의 양선단에는 후크(67)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걸림턱(70)이 형성되어 각각의 후크(68)는 걸림턱(70)과 계지 및 감합되고 각각의 후크(67)는 걸림턱(69)에 계지되어 감합된다.
후크(67)와 걸림턱(69)의 계지 및 감합 방향과 후크(68)와 걸림턱(70)의 계지 및 감합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체결력이 작용되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도 3에서는 방수용 고무 패킹 등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내부 충진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는 4개소의 감합 및 계지부의 위치를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비켜 놓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좌우 대상으로 배치해 경제성의 개선을 도모한다.
물론, 과대한 기계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좌우 대칭으로 그리고 상하 방향에도 체결부의 수를 늘리는 것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또, 덕트 상호의 체결 부분의 치수, 형상 및 단면상에 배치하는 위치 등도 도 1 및 도 2의 형태와 같이 덕트의 안쪽에 배치하는 것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덕트의 좌우 바깥쪽 방향으로 감합 및 계지가 가능한 체결 장치를 준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덕트 본체도 2개의 부재를 고집하는 것은 아니고 본 제2 실시예와 같은 덕트 본체를 4개 이상의 덕트 부재의 구성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스 덕트용 덕트를 이용한 부스 덕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3의 좌상과 우하의 덕트 상호의 체결 부분을 중지해, 도 3의 제1 덕트(63)와 제3 덕트(65) 및 제2 덕트(64)와 제4 덕트(66)을 일체화한 것으로 덕트의 부재 구성을 제1 덕트(63)와 제2 덕트(64)의 2개로 하여, 덕트 상호의 체결 부분도 단면상 2개소로 한 것이다.
제1 덕트(63) 및 제2 덕트(64) 각각의 상측 선단부 및 하측 선단부는 각각 후크(67, 68)가 형성되고 각각의 후크(67, 68)가 계지 및 감합될 수 있도록 각각의 후크(67, 68)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걸림턱(69, 70)이 형성된다.
후크(67)와 걸림턱(69)의 계지 및 감합 방향과 후크(68)와 걸림턱(70)의 계지 및 감합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체결력이 작용되도록 구현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 22, 23 : 절연 도체
61, 62, 63, 64, 65, 66 : 덕트
67, 68 : 후크 69, 70 : 걸림턱
71, 72: 고무 탄성 패킹
81, 101 : 상부 암 82, 102 : 하부 암
83, 103 : 막대 암
91 : 제1 후크 92 : 제2 후크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및 제2 덕트의 체결에 의해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절연 도체가 내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덕트는 각각의 덕트로부터 연장되며 선단부에 제1 후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상부 암과 하부 암, 각각의 덕트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 암과 하부 암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제1 후크에 계지되도록 선단부에 양방향의 고리가 형성된 제2 후크를 갖는 막대 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덕트 각각은 상부 암과 하부 암 그리고 막대 암 각각이 한 쌍씩 형성되는,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덕트는 체결시 단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 대칭을 이루는,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암과 하부 암이 이루는 오목한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무 패킹이 삽입되거나, 방수 컴파운드가 충진되는,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6.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덕트의 체결에 의해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절연 도체가 내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덕트의 내측 상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하 선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덕트 각각은 판형상을 가지며 양선단에 후크가 형성되고 중심에는 2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덕트의 조합시 상기 제3 덕트는 상부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4 덕트는 하부측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덕트의 걸림턱은 상기 제3 덕트의 후크와 체결되고 상기 제1 덕트의 후크는 상기 제3 덕트의 걸림턱과 체결되며,
    상기 제2 덕트의 걸림턱은 상기 제4 덕트의 후크와 체결되고 상기 제2 덕트의 후크는 상기 제4 덕트의 걸림턱과 체결되는,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7. 삭제
KR1020110105958A 2011-10-17 2011-10-17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KR101225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58A KR101225249B1 (ko) 2011-10-17 2011-10-17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958A KR101225249B1 (ko) 2011-10-17 2011-10-17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249B1 true KR101225249B1 (ko) 2013-01-22

Family

ID=4784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958A KR101225249B1 (ko) 2011-10-17 2011-10-17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2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1353A1 (en) * 2015-09-29 2017-04-05 EAE Elektrik Asansör Endüstrisi Insaat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 click-fit casing for a busbar
CN107546693A (zh) * 2017-10-23 2018-01-05 江苏瑞仁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防火母线槽
CN107611891A (zh) * 2017-10-23 2018-01-19 江苏瑞仁汽车部件有限公司 防火型母线槽
IT201800010295A1 (it) * 2018-11-13 2020-05-13 Iam Industrial Asset Man S R L Modulo di blindosbarra
CN116014650A (zh) * 2022-12-02 2023-04-25 广东谷菱智能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三明治结构变容母线槽结构及其加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0639A (ja) * 1997-01-22 1998-08-07 Kyodo Ky Tec Kk バスダクト設置構造
KR19990001958U (ko) * 1997-06-24 1999-01-15 정배근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KR20090059057A (ko) * 2007-12-05 2009-06-10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버스웨이 하우징을 버스웨이 파워 전도체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9195010A (ja) * 2008-02-14 2009-08-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バスダクト用ハウジン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0639A (ja) * 1997-01-22 1998-08-07 Kyodo Ky Tec Kk バスダクト設置構造
KR19990001958U (ko) * 1997-06-24 1999-01-15 정배근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KR20090059057A (ko) * 2007-12-05 2009-06-10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버스웨이 하우징을 버스웨이 파워 전도체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9195010A (ja) * 2008-02-14 2009-08-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バスダクト用ハウジン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1353A1 (en) * 2015-09-29 2017-04-05 EAE Elektrik Asansör Endüstrisi Insaat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 click-fit casing for a busbar
CN107546693A (zh) * 2017-10-23 2018-01-05 江苏瑞仁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防火母线槽
CN107611891A (zh) * 2017-10-23 2018-01-19 江苏瑞仁汽车部件有限公司 防火型母线槽
IT201800010295A1 (it) * 2018-11-13 2020-05-13 Iam Industrial Asset Man S R L Modulo di blindosbarra
CN116014650A (zh) * 2022-12-02 2023-04-25 广东谷菱智能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三明治结构变容母线槽结构及其加工工艺
CN116014650B (zh) * 2022-12-02 2023-09-22 广东谷菱智能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三明治结构变容母线槽结构及其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249B1 (ko) 부스덕트용 덕트 구조
US9997897B2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KR102195372B1 (ko)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CN210326909U (zh) 一种防水插接母线槽
KR101962953B1 (ko) 공기절연을 활용한 부스덕트
CN206099215U (zh) 电力输送电缆用电缆固定装置
KR20170021697A (ko) 고전압용 버스바조립체
KR20090056036A (ko) 스토퍼를 구비하는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KR101617201B1 (ko)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KR100897341B1 (ko) 판형 회전방지구가 적용된 부스 덕트 연결용 조인트 키트
CN113097952B (zh) 铜铝合金智慧母线干线系统
KR102631390B1 (ko) 부스덕트 접속키트
CN203871483U (zh) 连接器
CN210577619U (zh) 一种母线槽用接头器
CN104112937B (zh) 一种电连接装置
CN107046197B (zh) 一种并沟线夹
CN208310386U (zh) 新型单杆横担结构
CN205680800U (zh) 防开裂的铜铝并沟线夹
CN214412192U (zh) 一种节能型自锁式母线槽
CN219778561U (zh) 铜排散热结构和铜排组件
KR20090056030A (ko)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CN211829225U (zh) 一种自适应临时接地线
KR200461880Y1 (ko) 난방용 카본 발열 장치
CN211530628U (zh) 一种电缆固定用安装装置
KR101972738B1 (ko) 애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