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234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234B1
KR101225234B1 KR1020100038488A KR20100038488A KR101225234B1 KR 101225234 B1 KR101225234 B1 KR 101225234B1 KR 1020100038488 A KR1020100038488 A KR 1020100038488A KR 20100038488 A KR20100038488 A KR 20100038488A KR 101225234 B1 KR101225234 B1 KR 101225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strength
impedance
piezoelectric sensor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025A (ko
Inventor
박승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23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01H11/08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using piezo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12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frequency or resonanc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생 중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에 따라 다른 공진주파수를 가진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단단히 부착되는 압전 센서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전압 신호로 가진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에 반응하는 상기 압전 센서의 출력 신호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양생 중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저비용 및 단순계산으로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콘트리트 구조물에 고정 부착되는 압전 센서, 상기 압전 센서에 사전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가진하되, 주파수를 가변하면서 연속적으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임의파형 생성기,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가진되는 상기 압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응답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를 입력받아 공진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콘트리트 구조물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A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curing process of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양생 중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에 따라 다른 공진주파수를 가진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단단히 부착되는 압전 센서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전압 신호로 가진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에 반응하는 상기 압전 센서의 출력 신호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양생 중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저비용 및 단순계산으로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마다 경제 산업발전을 위한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으로 사회 공공핵심 구조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건설 규모는 계속 대형화되고 있다.
특히 초장대 교량이나 초고층 건물들의 건설이 활발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대형 구조물의 건설은 막대한 초기 건설 투자는 물론 건설 후 유지관리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이들 대형구조물 건설이 늘어남에 따라 기존 강도의 콘크리트보다 압축 강도가 높아 부재 단면을 축소시키고 자중이 감소되며 낮은 W/C(Water/Cement) 비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은 강도 발현의 변동에 따라 취성 파괴가 일어날 우려가 있으므로(Marzouk and Hussein, 1991), 발현 강도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만 한다.
기존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발현 강도 평가와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적산온도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전기 화학적 촉진법, 그리고 각종 비파괴 시험법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수학적인 모델링에 의해 제안된 이론식 뿐만 아니라, 실제 실험을 수행하거나 경험에 근거한 식의 형태로도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평가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거나 제안된 식 자체가 복잡하여 실무에서 크게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평가를 고려한 효율적인 실시간 상시 계측 모니터링을 통하여 이상 거동을 감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시설물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에 따라 구조물의 공진주파수가 달라진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단단히 부착되는 압전 센서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전압 신호로 가진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에 반응하는 상기 압전 센서의 출력 신호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양생 중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저비용 및 단순계산으로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콘트리트 구조물에 고정 부착되는 압전 센서, 상기 압전 센서에 사전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가진하되, 연속적으로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임의파형 생성기,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가진되는 상기 압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응답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를 입력받아 공진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콘트리트 구조물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는, 상기 압전 센서의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되,
Figure 112010026806265-pat00001
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Z(jw)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이고, Vi(jw)는 입력신호의 전압이고, Vo(jw)는 상기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며, Cr은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임.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피크 값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 주파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공진주파수 범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1 매칭테이블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일자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준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2 매칭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가 포함되는 상기 공진주파수 범위에 매칭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추출하고, 상기 제2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양생 일자에 매칭된 기준 강도와 상기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비교하여 강도 발현 적정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임의파형 생성기가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입력 신호를 연속적으로 압전 센서에 인가하는 입력신호 인가 단계, 상기 압전 센서가 가진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진동을 가하고, 상기 진동에 따른 응답 신호를 상기 압전 센서가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응답신호 출력 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임피던스 측정기가 입력받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임피던스 측정 단계,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입력받은 모니터링 장치가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피크 값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 주파수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공진주파수 범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1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가 포함되는 상기 공진주파수 범위에 매칭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추출하는 과정,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일자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준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2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양생 일자에 매칭된 기준 강도와 상기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비교하여 강도 발현 적정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에 따라 다른 공진주파수를 가진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단단히 부착되는 압전 센서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전압 신호로 가진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에 반응하는 상기 압전 센서의 출력 신호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양생 중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저비용 및 단순계산으로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양생 중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붕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완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의파형 발생기에서 생성하는 입력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피던스 측정기의 동작 설명을 위한 시스템 모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니터링 장치에서 측정되는 양생 일자에 따른 공진주파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방법의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되는 압전 센서(20), 상기 압전 센서(2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임의파형 생성기(30), 상기 압전 센서(20)의 출력 신호인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40) 및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 및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진주파수를 결정하고, 강도발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은 본 발명에서의 강도발현 모니터링을 위한 대상체이다. 즉, 건축물을 완성하기 위한 부분 구조물로서, 양생 과정을 거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은 건축물의 안정성을 위하여 양생 과정 중에 적정한 강도발현을 하고 있는지 판단되어야 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은 강도가 증가할수록 공진주파수가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양생 과정 중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이 잘 이루어져 강도가 증가하면, 상기 공진주파수도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압전 센서(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진동에 따른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압전 센서(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순간 접착제나 또는 에폭시를 통하여 단단히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되지 않는다면, 상기 압전 센서(20)에서 출력되는 임피던스 값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 값이 아니라 상기 압전 센서 자체의 임피던스 값만 출력되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해야 하는 본 발명의 목적과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압전 센서(20)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압전 센서(20)의 가진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진동을 발생하고, 이 진동에 반응하여 상기 압전 센서(20)가 응답 신호를 출력해야 한다.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진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진되어야 한다(진동이 가해져야 한다). 상기 압전 센서(20)의 가진은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에서 생성한 입력 신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는 상기 압전 센서(20)에 사전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가진한다. 상기 입력 신호는 일정한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교류 전압 신호로서, 다양한 주파수를 가지는 주파수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는 주파수를 가변하면서 연속적으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압전 센서(20)를 진동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가 생성하여 상기 압전 센서(20)에 인가하는 입력 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면서 인가되는 주파수 신호이다.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만든 임의 파형을 아날로그 시그널 형태로 변환시켜 입력신호를 인가해주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원하는 형태의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주파수 대역 또한 연속적으로 생성이 가능하다.
만약 주파수 해상도(Frequency Resolution)를 1Hz로 하고 500Hz에서 5k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의 입력신호를 생성한다면,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는 500Hz, 501Hz, 502Hz, ... , 4998Hz, 4999Hz, 5000Hz의 주파수 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압전 센서(20)에 인가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는 주파수 대역의 최소 주파수와 최대 주파수를 입력받는 기능이 있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입력받으면, 최소 주파수를 가지는 파형 신호부터 시작하여 주파수 해상도(Frequency Resolution)에 따라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최대 주파수를 가지는 파형 신호까지 생성한다.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로부터 변화되는 주파수 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압전 센서(20)는 진동을 통해 정지파 형태의 파동을 만들어 내고, 이 정지파 형태의 파동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가하게 된다. 즉, 상기 압전 센서(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액츄에이터(actuator) 역할을 한다.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대하여 파동을 가하게 되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은 미세한 진동을 발생할 것이고, 이 진동에 대하여 상기 압전 센서(20)는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압전 센서(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가해지는 정지파 형태의 파동 신호에 대한 파동 응답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전 센서(20)는 엑츄에이터 역할 및 센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가진되는 상기 압전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 입력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는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가진되는 상기 압전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가 생성하는 입력신호는 주파수가 변화되면서 연속적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압전 센서(20)의 가진 주파수,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가하는 파동 주파수, 상기 압전 센서(20)가 출력하는 파동에 대한 응답신호의 주파수는 모두 변화될 것이고, 결국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서 측정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 값도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측정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압전 센서(20)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압전 센서(20)에 임의파형 생성기(30)가 연속적으로 주파수가 변화되는 입력 신호를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진동되는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대하여 반응한 응답 신호를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 출력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전 센서(20)의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r)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되는 압전 센서(20) 및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는 하나의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는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에서 인가하는 입력 신호(입력 전압 Vi)와 상기 커패시터(Cr)의 양단에 걸리는 출력 전압(Vo) 및 상기 커패시터(Cr)의 캐패시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는 아래 (수식 1)과 같이 입력 전압(Vi)과 출력 전압(Vo), 그리고 커패시터(Cr)의 캐패시턴스 값을 통해 어드미턴스(Admittance(Ycp)) 값을 먼저 계산하고, 계산된 어드미턴스(Admittance) 값을 역수를 취하여 임피던스 값을 계산한다.
Figure 112010026806265-pat00002
(수식 1)
여기서, Ycp(jw)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어드미턴스이고, Vi(jw)는 입력신호의 전압이고, Vo(jw)는 상기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며, Cr은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이다.
결국,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는 상기 어드미턴스를 계산하는 (수식 1)의 역수에 해당하는 아래 (수식 2)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Figure 112010026806265-pat00003
(수식 2)
여기서, Z(jw)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이고, Vi(jw)는 입력신호의 전압이고, Vo(jw)는 상기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며, Cr은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이다.
상기와 같은 수식에 의하여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전압 신호를 사전에 알고 있거나 측정할 수 있는 수단(기능)을 구비해야 하고, 상기 커패시터의 양단에 걸리는 출력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기능)을 구비해야 하며,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한다.
한편,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을 위하여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은 상기 압전 센서의 커패시턴스 값과 동일하거나 근사한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는 상기 입력 신호의 변화하는 각각의 주파수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는 각각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측정된 임피던스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로 전송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는 센서 노드에 해당될 수 있고, 상기 센서 노드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수신기가 구비된 상기 모니터링 장치(50)에 전송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를 입력받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진주파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공진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송되는 각각의 임피던스의 주파수를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가 상기 임피던스 값을 연속적으로 전송할 때 포함되는 각 임피던스의 주파수를 참조하여 해당 임피던스 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알 수도 있고,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되는 임피던스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알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주파수 결정부(51), 제1 매칭테이블(53), 제2 매칭테이블(55) 및 강도발현 판단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51)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로부터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진주파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50)의 공진주파수 결정부(51)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피크 값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진주파수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양생 일자마다 측정된 임피던스 대 주파수 매칭 그래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고 하자.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양생일자가 3일째 되는날 측정된 임피던스 대 주파수 매칭 그래프는 빨간색 점선으로 그려진 그래프이다.
상기 빨간색 점선 그래프를 보면, 주파수 대역 35kHz ~ 40kHz 사이의 주파수로 입력 신호 주파수가 변화되면서 인가되는 경우, 측정된 임피던스 값들은 일정한 형태의 그래프를 보이지만, 특정 주파수에서 피크점을 가지고 있다. 즉, 주파수가 약 36.2kHz에서 피크 값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51)는 상기 임피던스 피크 값에 해당하는 주파수 36.2kHz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진주파수로 결정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하면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발현 적정성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50)의 강도발현 판단부(57)가 수행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50)의 강도발현 판단부(57)는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 및 제2 매칭테이블(55)을 참조한다.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은 양생 과정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사전에 많은 실험 및 시행착오를 거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와 이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 범위를 매칭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은 아래 [표 1]과 같이 공진주파수 범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매칭한 데이터베이스이다.
공진주파수 범위 35kHZ
~ 36kHz
36kHZ
~ 37kHz
37kHZ
~ 38kHz
38kHZ
~ 39kHz
39kHZ
~ 40kHz
강도 60MPa 70MPa 80MPa 90MPa 100MPa
상기 [표1]을 보면, 공진주파수 범위 35kHz ~ 36kHz에 매칭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는 60MPa이고, 공진주파수 범위 36kHz ~ 37kHz에 매칭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는 70MPa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매칭테이블(53)을 참조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50)의 강도발현 판단부(57)는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51)에서 결정된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현강도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양생일자가 3일째 되는날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결정된 공진주파수가 36.2kHz라고 가정할 때, 이 결정된 공진주파수는 상기 제1 매칭테이블의 공진주파수 범위 중에, 36kHz ~ 37kHz 사이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강도발현 판단부(57)는 상기 36.2kHz의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70MPa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의 데이터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일정한 범위를 가지는 공진주파수 범위에 매칭시킨 이유는 콘크리트 구조물마다 공진주파수 대 강도의 매칭 특성이 조금씩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와 매칭되는 상기 공진주파수 범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 제1 매칭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하여 실험한 횟수, 시행착오 횟수, 입력신호의 주파수 대역 등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장치(50)의 강도발현 판단부(57)가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51)에서 결정된 공진주파수와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을 참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를 추출한 후에는, 추출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와 상기 제2 매칭테이블(55)를 참조하여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한다.
상기 제2 매칭테이블(55)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일자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준 강도가 매칭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상기 양생일자는 양생을 시작한 날부터 상기 공진주파수를 결정하는 날까지의 차이를 의미하고, 상기 기준 강도는 사전에 수많은 실험 또는 연구 또는 시행착오를 거쳐 결정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 강도의 최소 강도를 의미한다. 즉, 사전에 수많은 실험 또는 연구 또는 시행착오를 거친 결과, 양생일자가 3일인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 강도가 55MPa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양생이 잘 이루어졌고, 붕괴 염려가 없는 안전한 강도라고 결정된 때에는 상기 기준 강도는 55MPa가 된다.
상기 제2 매칭테이블(55)은 아래 [표 2]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일자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준 강도가 매칭되어 구성될 수 있다.
양생 일자 3 5 ............ 30
기준 강도 65MPa 75MPa ............ 150MPa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매칭테이블(55)는 양생일자가 3일인 경우 기준 강도는 65MPa이고, 5일인 경우 75MPa이며, 30일인 경우 150MPa로 데이터베이스화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 매칭테이블(55)을 상기 강도발현 판단부(57)가 참조하여 상기 양생일자에 매칭된 기준강도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추출된 기준 강도와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과 결정된 공진주파수를 참조하여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강도발현 판단부(57)가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과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를 참조하여 양생일자가 3일 일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현강도가 70MPa가 되는 것으로 추출했다고 가정하면(표 1 참조), 상기 강도발현 판단부(57)는 상기 추출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현강도인 70MPa와 상기 제2 매칭테이블(55)을 참조하여 추출한 상기 양생일자 3일에 매칭된 기준강도인 65MPa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한다.
이 경우, 측정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현강도(70MPa)가 상기 양생일자 3일에 매칭된 기준강도(65MPa)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강도발현 판단부(57)는 양생일자 3일에서는 발현강도가 적정하고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만약, 측정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현강도가 상기 양생일자 3일에 매칭된 기준강도(65MPa)보다 더 작은 경우, 즉 상기 평가 대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현 강도가 기준강도인 65MPa 미만인 경우에는 안전 강도의 최소값에 해당하는 기준강도보다 작기 때문에, 평가대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은 적정하지 않고 붕괴 염려가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평가 대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모니터링하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공진주파수 범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1 매칭테이블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일자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준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2 매칭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50)에 포함되는 상기 강도발현 판단부(57)는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을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가 포함되는 상기 공진주파수 범위에 매칭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를 추출하고, 상기 제2 매칭테이블(55)을 참조하여 상기 양생 일자에 매칭된 기준 강도와 상기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를 비교하여 강도 발현 적정성을 판단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일자가 증가할수록, 임피던스 피크점에 해당하는 공진주파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양생을 시작한 이후로 날이 지날수록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는 커지고, 그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주파수도 증가함을 의미한다.
다음은 상술한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절차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임의파형 생성기(30)가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입력 신호를 연속적으로 압전 센서에 인가하는 입력신호 인가 단계가 진행된다(s10). 즉, 도 2에 도시된 파형을 가지는 입력신호가 상기 임의파형 발생기(30)로부터 생성되어 상기 압전 센서(20)에 인가하여 가진시킨다.
상기 압전 센서(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진동에 따른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압전 센서(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순간 접착제나 또는 에폭시를 통하여 단단히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되지 않는다면, 상기 압전 센서(20)에서 출력되는 임피던스 값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 값이 아니라 상기 압전 센서 자체의 임피던스 값만 출력되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 값을 측정해야 하는 본 발명의 목적과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압전 센서(20)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압전 센서(20)의 가진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이 진동을 발생하고, 이 진동에 반응하여 상기 압전 센서(20)가 응답 신호를 출력해야 한다.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진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진되어야 한다(진동이 가해져야 한다). 상기 압전 센서(20)의 가진은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에서 생성한 입력 신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는 상기 압전 센서(20)에 사전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가진한다. 상기 입력 신호는 일정한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교류 전압 신호로서, 다양한 주파수를 가지는 주파수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는 주파수를 가변하면서 연속적으로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압전 센서(20)를 진동시킨다.
상기 입력신호 인가 단계(s10)를 통해 입력 신호가 상기 압전 센서(20)에 인가되면, 상기 압전 센서(20)가 가진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0)에 진동을 가하고, 상기 진동에 따른 응답 신호를 상기 압전 센서(20)가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응답신호 출력 단계가 수행된다(s2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로부터 변화되는 주파수 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압전 센서(20)는 진동을 통해 정지파 형태의 파동을 만들어 내고, 이 정지파 형태의 파동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가하게 된다. 즉, 상기 압전 센서(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액츄에이터(actuator) 역할을 한다.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대하여 파동을 가하게 되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은 미세한 진동을 발생할 것이고, 이 진동에 대하여 상기 압전 센서(20)는 반응하여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압전 센서(2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가해지는 정지파 형태의 파동 신호에 대한 파동 응답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압전 센서(20)는 엑츄에이터 역할 및 센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응답신호 출력 단계(s20)에 의하여, 상기 압전 센서(20)가 연속적으로 응답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응답신호를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가 입력받아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임피던스 측정 단계가 수행된다(s3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가진되는 상기 압전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는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가진되는 상기 압전 센서(2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상기 임의파형 생성기(30)가 생성하는 입력신호는 주파수가 변화되면서 연속적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압전 센서(20)의 가진 주파수, 상기 압전 센서(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에 가하는 파동 주파수, 상기 압전 센서(20)가 출력하는 파동에 대한 응답신호의 주파수는 모두 변화될 것이고, 결국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서 측정하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 값도 연속적으로 변화되어 측정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 단계(s30)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임피던스가 연속적으로 측정되어 출력되면,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입력받은 모니터링 장치(5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진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가 수행된다(s40).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와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는 센서 노드에 해당될 수 있고, 상기 센서 노드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수신기가 구비된 상기 모니터링 장치(50)에 전송된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를 입력받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진주파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50)는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에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공진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송되는 각각의 임피던스의 주파수를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가 상기 임피던스 값을 연속적으로 전송할 때 포함되는 각 임피던스의 주파수를 참조하여 해당 임피던스 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알 수도 있고,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전송되는 임피던스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알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s40)는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51)에 의하여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40)로부터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진주파수가 결정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공진주파수 결정부(51)에 의하여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피크 값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공진주파수로 결정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 단계(s40)는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하면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발현 적정성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50)의 강도발현 판단부(57)가 수행한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s40)에서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 및 제2 매칭테이블(55)을 참조한다.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을 참조하여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51)가 결정된 공진주파수를 가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현강도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51)에서 결정된 공진주파수와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을 참조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를 추출한 후에는, 추출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강도와 상기 제2 매칭테이블(55)를 참조하여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한다.
즉, 제2 매칭테이블(55)을 상기 강도발현 판단부(57)가 참조하여 상기 양생일자에 매칭된 기준강도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추출된 기준 강도와 상기 제1 매칭테이블(53)과 결정된 공진주파수를 참조하여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강도발현 적정성을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평가 대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모니터링하는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공진주파수 범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1 매칭테이블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일자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준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2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강도발현의 적정성을 판단한다.
즉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공진주파수 범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1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가 포함되는 상기 공진주파수 범위에 매칭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추출하는 과정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일자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준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2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양생 일자에 매칭된 기준 강도와 상기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비교하여 강도 발현 적정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양생 일자에 매칭된 기준 강도와 상기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비교한 결과, 상기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상기 기준강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이 적정하고 붕괴 염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상기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상기 기준강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이 부적정하고 붕괴 염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10 : 콘크리트 구조물 20 : 압전 센서
30 : 임의파형 생성기 40 : 임피던스 측정기
50 : 모니터링 장치 51 : 공진주파수 결정부
53 : 제1 매칭 테이블 55 : 제2 매칭테이블
57 : 강도발현 판단부

Claims (7)

  1. 콘트리트 구조물에 고정 부착되는 압전 센서;
    상기 압전 센서에 사전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입력신호를 인가하여 가진하되, 주파수를 가변하면서 연속적으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임의파형 생성기;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하여 가진되는 상기 압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응답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기;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를 입력받아 공진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콘트리트 구조물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임피던스 측정기는,
    상기 압전 센서의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되,
    Figure 112012029522276-pat00004
    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여기서, Z(jw)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이고, Vi(jw)는 입력신호의 전압이고, Vo(jw)는 상기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며, Cr은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피크 값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진 주파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공진주파수 범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1 매칭테이블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일자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준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2 매칭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가 포함되는 상기 공진주파수 범위에 매칭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추출하고, 상기 제2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양생 일자에 매칭된 기준 강도와 상기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비교하여 강도 발현 적정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5. 임의파형 생성기가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입력 신호를 연속적으로 압전 센서에 인가하는 입력신호 인가 단계;
    상기 압전 센서가 가진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진동을 가하고, 상기 진동에 따른 응답 신호를 상기 압전 센서가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응답신호 출력 단계;
    상기 응답 신호를 임피던스 측정기가 입력받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임피던스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출력하는 임피던스 측정 단계;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를 입력받은 모니터링 장치가 공진주파수를 결정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발현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의 피크 값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상기 콘트리트 구조물의 공진 주파수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공진주파수 범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1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공진주파수가 포함되는 상기 공진주파수 범위에 매칭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추출하는 과정,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일자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준 강도가 매칭되어 있는 제2 매칭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양생 일자에 매칭된 기준 강도와 상기 추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비교하여 강도 발현 적정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방법.
KR1020100038488A 2010-04-26 2010-04-26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488A KR101225234B1 (ko) 2010-04-26 2010-04-26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488A KR101225234B1 (ko) 2010-04-26 2010-04-26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025A KR20110119025A (ko) 2011-11-02
KR101225234B1 true KR101225234B1 (ko) 2013-01-22

Family

ID=4539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488A KR101225234B1 (ko) 2010-04-26 2010-04-26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2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446B1 (ko) 2014-10-30 2015-09-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전성 섬유를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5622B1 (ko) 2015-03-23 2016-08-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경화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56047B1 (ko) 2020-09-28 2021-05-25 주식회사 비엘 수화반응물질 구조체의 강도 모니터링을 위한 강도신호 측정 방법 및 강도신호 측정 장치
KR20240010772A (ko) 2022-07-15 2024-01-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양생제 살포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0771A (ko) 2022-07-15 2024-01-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양생제 살포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048B1 (ko) * 2011-12-28 2012-09-27 (주)대우건설 임피던스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기 강도 추정 장치 및 방법
DE102019133275A1 (de) * 2019-12-06 2021-06-10 Fischerwerke Gmbh & Co. Kg Verfahren zum Messen eines Aushärtevorgangs einer aushärtbaren Masse
KR102409861B1 (ko) * 2021-11-11 2022-06-17 에코엔텍 주식회사 수화반응물질 구조체의 강도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도 모니터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9752A (ja) * 1986-12-24 1988-07-02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コンクリ−ト建造物表面の仕上層の浮き検知方法
JP2003194615A (ja) * 2001-12-27 2003-07-09 Akebono Brake Ind Co Ltd 充填物検知方法及び装置
KR100937095B1 (ko) * 2007-08-09 2010-01-15 현대건설주식회사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9752A (ja) * 1986-12-24 1988-07-02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コンクリ−ト建造物表面の仕上層の浮き検知方法
JP2003194615A (ja) * 2001-12-27 2003-07-09 Akebono Brake Ind Co Ltd 充填物検知方法及び装置
KR100937095B1 (ko) * 2007-08-09 2010-01-15 현대건설주식회사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446B1 (ko) 2014-10-30 2015-09-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전성 섬유를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5622B1 (ko) 2015-03-23 2016-08-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경화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56047B1 (ko) 2020-09-28 2021-05-25 주식회사 비엘 수화반응물질 구조체의 강도 모니터링을 위한 강도신호 측정 방법 및 강도신호 측정 장치
KR20240010772A (ko) 2022-07-15 2024-01-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양생제 살포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0771A (ko) 2022-07-15 2024-01-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양생제 살포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025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2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Lim et al. Non-destructive concrete strength evaluation using smart piezoelectric transducer—A comparative study
US7987728B2 (en) Piezoceramic-based smart aggregate for unified performance monitoring of concrete structures
KR2014010907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발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Sabato Pedestrian bridge vibration monitoring using a wireless MEMS accelerometer board
Granja et al. Towards a robust and versatile method for monitoring E‐modulus of concrete since casting: Enhancements and extensions of EMM‐ARM
Narayanan et al. PZT sensor array for local and distributed measurements of localized cracking in concrete
KR101154587B1 (ko) 압전센서를 이용한 임피던스 및 유도초음파 기반의 배관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EP2090886A2 (de) Verfahren zur Optimierung der Spannungsverteilung bei Anwendungen akustischer Thermographie
JP4699108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検査装置
KR102256047B1 (ko) 수화반응물질 구조체의 강도 모니터링을 위한 강도신호 측정 방법 및 강도신호 측정 장치
KR101184048B1 (ko) 임피던스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기 강도 추정 장치 및 방법
Providakis et al. An innovative active sensing platform for wireless damage monitoring of concrete structures
Parisi et al. Time and Frequency Domain Assessment of Low-Power MEMS Accelerometer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RU2524743C2 (ru) Способ бездемонтажной поверки пьезо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ибро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на месте эксплуатации
Kang et al. Electrical impedance-based crack detection of SFRC under varying environmental conditions
KR101006971B1 (ko) 유도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강도 발현 측정 장치 및 방법
Wang et al. Strength monitoring of concrete based on embedded PZT transducer and the resonant frequency
CN116106371A (zh) 水合反应物质结构体的强度监测装置及强度监测方法
CN108152127A (zh) 一种混凝土结构的工作应力监测装置和方法
CN117501116A (zh) 使用嵌入的超声波感测元件监测物理介质随时间推移的变化的系统和方法
RU2160893C1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готов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изделия
Trung Application of Hilbert Huang transform to identify the natural frequencies of steel frame
Vega et al. System based on piezoelectric sensors for deflection measurement in concrete beams
RU2458334C1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с продольным статическим сжатием и динамическим изгибающим момент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