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897B1 -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 Google Patents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897B1
KR101224897B1 KR1020110021858A KR20110021858A KR101224897B1 KR 101224897 B1 KR101224897 B1 KR 101224897B1 KR 1020110021858 A KR1020110021858 A KR 1020110021858A KR 20110021858 A KR20110021858 A KR 20110021858A KR 101224897 B1 KR101224897 B1 KR 10122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head
roller
leg
pl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907A (ko
Inventor
오성진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89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3/00Nail straight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3/00Portable devices for holding and guiding nails; Nail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못을 보관함에 보관하였다가 간편하게 꺼내 쓸 수 있으며, 못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한 채, 직접적으로 못을 박을 수 있기 때문에 힘이 제대로 전달되고, 못을 박는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못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못을 더욱 원활하게 박을 수 있는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못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 몸체의 머리부에 설치되며, 못을 지지하는 못고정부; 및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못을 파지하는 펜치부;가 포함되어, 못을 보관함에 보관하였다가 간편하게 꺼내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못의 상부측은 못고정부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측은 펜치부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못을 직접적으로 망치로 타격하여 박을 수 있기 때문에, 못에 망치의 힘이 제대로 전달되고, 못을 빠른 속도로 박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못이 타격되었을 때, 못의 외주연이 롤러부의 롤러와 접촉되고, 롤러는 못의 박힘에 따라 수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못이 파지되었을 때 작용하는 못의 외주연에 대한 마찰력이 적어져, 못의 박힘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Nail Holding Device With Having Convenient Hammer Nail}
본 발명은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못을 보관함에 보관하였다가 간편하게 꺼내 쓸 수 있으며, 못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한 채, 직접적으로 못을 박을 수 있기 때문에 힘이 제대로 전달되고, 못을 박는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못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못을 더욱 원활하게 박을 수 있는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못을 박을 때, 못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박거나, 박는 과정에서 못이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가락으로 못을 파지한 채 박는다.
못을 손가락으로 파지한 채 박을 경우, 손을 다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못을 손가락 대신 파지할 수 있는 보조 기구를 사용한다.
주로 사용되는 못 파지 보조 기구는 펜치와 탱크팡망치가 있는데, 펜치는 못의 일부만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못을 박는 과정에서 못이 삐뚤어지거나, 못이 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탱크팡망치의 경우에는 못을 고정할 수 있는 공간에 못을 넣고, 간접적으로 힘을 전달하여 못을 박기 때문에, 못박는 힘이 제대로 전달이 안 되고, 못을 박는 속도가 더디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펜치나 탱크팡망치가 못을 파지할 경우, 못의 외주연을 꽉 조이게 되어, 못의 외주연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못에 가해지는 힘이 상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못을 보관함에 보관하였다가 간편하게 꺼내 쓸 수 있으며, 못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한 채, 직접적으로 못을 박을 수 있기 때문에 힘이 제대로 전달되고, 못을 박는 속도가 빠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못을 파지하는 펜치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못을 더욱 원활하게 박을 수 있는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머리부(110)가 형성되고, 후방에 못(30)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120)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설치되며, 못(30)을 지지하는 못고정부(20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못(30)을 파지하는 펜치부(300);가 포함되고, 상기 못고정부(200)는, 자기력을 가진 자성체(210)와, 연질로 중심에 못고정홈(222)이 관통형성된 고무부재(220)가 포함되되, 상기 자성체(210)는 상기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설치되고, 상기 고무부재(220)는 상기 자성체(210)의 중심에 설치되며, 못(30)이 상기 못고정홈(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성체(210)의 자력으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펜치부(300)는, 내측에 제1파지부(311)가 형성된 날 형태의 제1머리(312)와, 상기 제1머리(312)에서 연장되는 제1다리(316)가 일체로 형성된 제1집게(310); 및 내측에 제2파지부(321)가 형성된 날 형태의 제2머리(322)와, 상기 제2머리(322)에서 연장되는 제2다리(326)가 일체로 형성된 제2집게(320)가 포함되되, 상기 제1머리(312)와 상기 제2머리(322)는 서로 교차되어 상기 못고정부(2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다리(316) 및 상기 제2다리(326)를 오므리거나, 핌에 따라 상기 제1머리(312)와 상기 제2머리(322)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져서 못(30)이 파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펜치부(300)에는, 상기 제1집게(310)의 제1머리(312)에 형성된 제1파지부(311)와, 상기 제2집게(320)의 제2머리(322)에 형성된 제2파지부(321)에 롤러부(400)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롤러부(400)는 상기 제1파지부(311) 및 제2파지부(321)에 각각 형성되는 롤러고정홈(410)과, 상기 롤러고정홈(4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420)가 포함되고, 상기 제1다리(316) 및 상기 제2다리(326)를 오므리거나, 핌에 따라 상기 롤러부(400)의 롤러(420)로 못(30)이 파지되며, 못(30)이 박힐 때 상기 롤러(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못(30)의 외주연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못(30)을 보관함(120)에 보관하였다가 간편하게 꺼내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못(30)의 상부측은 못고정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측은 펜치부(300)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못(30)을 직접적으로 망치(40)로 타격하여 박을 수 있기 때문에, 못(30)에 망치(40)의 힘이 제대로 전달되고, 못(30)을 빠른 속도로 박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못(30)이 타격되었을 때, 못(30)의 외주연이 롤러부(400)의 롤러(420)와 접촉되고, 롤러(420)는 못(30)의 박힘에 따라 수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못(30)이 파지되었을 때 작용하는 못(30)의 외주연에 대한 마찰력이 적어져, 못(30)의 박힘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에 못이 파지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에 못이 파지된 상태에서 못을 박는 것을 나타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무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절단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는, 머리부(110)와 보관함(120)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설치되는 못고정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펜치부(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못고정부(200)는 자성체(210)와, 고무부재(220)가 포함되고, 못(30)은 자성체(210)의 자력으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펜치부(300)는 내측에 제1파지부(311)가 형성된 제1머리(312) 및 제1다리(316)가 일체로 형성된 제1집게(310)와, 내측에 제2파지부(321)가 형성된 제2머리(322) 및 제2다리(326)가 일체로 형성된 제2집게(320)가 포함되고, 상기 제1머리(312)와 상기 제2머리(322)는 상기 못고정부(2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머리(312) 및 상기 제2머리가 오므려짐에 따라 못(30)이 파지된다.
그리고 상기 못고정부(200)에 의해 못(30)의 상부측이 지지되고, 상기 펜치부(300)에 의해 못(30)의 하부측이 파지된다.
상기 몸체(100)는 전방에 반원 형상의 머리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못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보관함(120)의 수직 단면은 'T'자형을 이루며, 상기 보관함(120)의 양측이 절개되어 다리수용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110)의 중심에는 원형의 자성체고정홈(112)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자성체고정홈(112)은 못이 원활하게 출입될 수 있도록 어느 한쪽이 절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머리부(110)의 중심에서 전방측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절개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부(110)에서 후방측으로 이격되어 축부재고정홈(114)이 관통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보관함(120)은 상기 몸체(100)의 후방에 공간부(122)가 형성되어 못을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보관함(120)에는 덮개(13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진다. 상기 덮개(130)의 후방측 표면에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파지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132)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자성체고정홈(112)의 절개되는 부분은 못의 직경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보관함(120)의 공간부(122) 크기도 설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못고정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못이 삽입되고, 그 위치가 변하지 아니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못고정부(200)에는 자성체(210)와, 고무부재(220)가 포함된다.
상기 자성체(210)는 링 형상의 자기력을 가지는 자석으로 상기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형성된 자성체고정홈(1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자성체(210)는 본드로 접착하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자성체고정홈(112)에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210)의 중심에는 고무부재고정홈(212)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무부재고정홈(212)의 일측에도 상기 자성체고정홈(1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된다.
상기 고무부재(2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질의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상기 자성체(210)의 고무부재고정홈(212)에 접착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견고하게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부재(220)의 중심에는 못이 삽입될 수 있는 못고정홈(222)이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못고정홈(222)의 일측도 못이 출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며, 이때 절개되는 크기는 상기 자성체(210)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고무부재(220)가 연질로 형성되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못은 상기 고무부재(220)의 못고정홈(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1차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고무부재(220)의 외측에 둘러싸인 자성체(210)의 자력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고무부재(220)는 도9와 같이 자성체(21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부터 사용자가 못을 박을 시 실수로 자성체(210)에 가해지는 타격으로부터 자성체(210)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고무부재(220)는 도면과 같이 자성체(210)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자성체(210) 끝단부터 중심까지 점점 두꺼워지도록 테이퍼( 도 9c)지게 하여 파지시나 이동시에 고무부재(220)가 상처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펜치부(300)는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날 형태의 제1머리(312) 및 상기 제1머리(312)에서 연장되는 제1다리(316)가 일체로 형성된 제1집게(310)와, 날 형태의 제2머리(322) 및 상기 제2머리(322)에서 연장되는 제2다리(326)가 일체로 형성된 제2집게(320)가 포함된다.
상기 제1머리(312)는 링 형상의 제1교차부(313)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펜치 날 형태로 내측에 요철형상의 제1파지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교차부(313)의 중심에는 축부재고정홈(314)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머리(31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다리 형상의 제1다리(3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집게(310)를 이룬다.
상기 제2집게(320)는 상기 제1집게(3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집게(31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2머리(322)는 링 형상의 제2교차부(323)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펜치 날 형태로 내측에 요철형상의 제2파지부(3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교차부(323)의 중심에는 축부재고정홈(324)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머리(32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다리 형상의 제2다리(326)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집게(310)와 상기 제2집게(320)는 서로 겹쳐져서,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형성된 축부재고정홈(114)과, 상기 제1집게(310)의 제1교차부(313)와 상기 제2집게(320)의 제2교차부(323)에 각각 형성된 축부재고정홈(314, 324)이 일직선상으로 놓여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고정홈(114, 314, 324)에 축부재(10)가 끼워져 상기 몸체(100)와, 상기 제1집게(310) 및 상기 제2집게(320)는 하나로 겹쳐져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축부재(10)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집게(310)의 제1머리(312)와, 상기 제2집게(310)의 제2머리(322)는 서로 교차되고, 제1다리(316) 및 제2다리(326)를 오므리거나, 핌에 따라 상기 제1머리(312)와 상기 제2머리(322)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져서 못이 상기 제1머리(312)의 제1파지부(311)와 상기 제2머리(322)의 제2파지부(321)에 접촉되어 파지된다.
이때 상기 제1파지부(311) 및 제2파지부(321)에는 못이 삽입되는 반호형상의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다리(316) 및 제2다리(326)의 내측 전방에는 제1고정돌기(318)와 제2고정돌기(328)가 각각 돌출되고, 그 사이에는 탄성체(20)가 설치되어, 상기 탄성체(20)의 탄성력으로 상기 제1다리(316) 및 제2다리(326)의 오므림 또는 펴짐을 보조해준다. 이때 상기 탄성체(20)는 압축코일스프링 또는 인장코일스프링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제1다리(316) 및 제2다리(326)에는 다리캡(330)이 끼움설치된다. 상기 다리캡(330)은 고무재질로 겉면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다리(316) 및 제2다리(326)를 파지하였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제1다리(316) 및 제2다리(326)는 오므려졌을 때 상기 몸체(100)의 보관함(120)의 양측에 형성된 다리수용부(124)에 수용되며, 완전히 오므려졌을 때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제1다리(316) 및 제2다리(326)가 상기 보관함(120)에 수용된 채, 오므림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함(120)과 상기 제1다리(316) 및 제2다리(326)에는 걸림홈(미도시)과 걸림턱(미도시)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다리(316) 및 제2다리(326)를 오므린 상태에서 상기 보관함(120)의 후단에 끼울 수 있는 고정캡(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력을 가지는 물체를 임시 고정하는 방법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에 못이 파지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에 못이 파지된 상태에서 못을 박는 것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덮개(130)를 돌기(132)와 함께 파지하고, 몸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방시키며, 보관함(120)의 공간부(122)에 수용된 못(30)을 꺼내고, 상기 덮개(130)를 폐쇄한다.
펜치부(300)의 제1집게(310) 및 제2집게(320)를 파지하여 상기 제1집게(310) 및 제2집게(320)를 벌린다. 그러면 상기 제1집게(310)의 제1머리와, 상기 제2집게(320)의 간격이 벌어져 못(30)이 들어갈 수 있는 틈이 생긴다.
그리고 상기 못(30)을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설치된 못고정부(200)에 끼움설치한다. 이때 상기 못(30)을 상기 못고정부(200)의 고무부재(220)에 형성된 못고정홈(222)에 수직방향으로 곧바로 끼워 설치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못(30)을 전방에서 후방방향으로 머리부(110)의 자성체고정홈(112)와, 자성체(210)의 고무부재고정홈(212) 및 상기 못고정홈(222)을 차례로 통과시켜 상기 못고정홈(222)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못(30)은 상기 고무부재(220)의 탄력에 의하여 조여지면서 1차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자성체(210)의 자력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된다. 즉 상기 자성체(210)의 자력이 상기 고무부재(220)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못(30)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못(30)의 상부측은 상기 못고정부(2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벌어져 있는 상기 제1집게(310) 및 제2집게(320)를 오므린다.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못(30)의 하부는 상기 제1집게(310)의 제1머리(312)에 형성된 제1파지부(311) 및 상기 제2집게(320)의 제2머리(322)에 형성된 제2파지부(321)에 의해 파지된다.
결국 상기 못(30)의 상부측은 상기 못고정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측은 상기 펜치부(300)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못(30)의 전 길이가 곧게 세워진 상태로 있게 되고, 못(30)을 박는 과정에서 못(30)이 휘거나 튀는 것이 방지된다.
그와 동시에 사용자는 못(30)을 박고자하는 위치에 본 발명의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를 이동시켜 망치(40)로 상기 못(30)를 직접 타격하여 못(30)을 박는다. 이때 못(30)이 망치(40)에 의해 직접 타격되기 때문에 망치(40)의 타격하는 힘이 못(30)에 제대로 전달된다.
그리고 못(30)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때는, 덮개(130)를 다시 개폐하여 상기 보관함(120)의 공간부(122)에 수용된 못(30)을 꺼내쓰고, 못박기를 반복하여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못(30)을 보관함(120)에 보관하였다가 간편하게 꺼내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못(30)의 상부측은 못고정부(200)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측은 펜치부(300)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못(30)을 직접적으로 망치(40)로 타격하여 박을 수 있기 때문에, 못(30)에 망치(40)의 힘이 제대로 전달되고, 못(30)을 빠른 속도로 박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는, 머리부(110)와 보관함(120)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설치되는 못고정부(2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펜치부(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못고정부(200)는 자성체(210)와, 고무부재(220)가 포함되고, 못(30)은 자성체(210)의 자력으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펜치부(300)는 내측에 제1파지부(311)가 형성된 제1머리(312) 및 제1다리(316)가 일체로 형성된 제1집게(310)와, 내측에 제2파지부(321)가 형성된 제2머리(322) 및 제2다리(326)가 일체로 형성된 제2집게(320)가 포함되고, 상기 제1파지부(311)와, 상기 제2파지부(321)에 롤러부(40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롤러부(400)는 상기 제1파지부(311) 및 제2파지부(321)에 각각 형성되는 롤러고정홈(410)과, 상기 롤러고정홈(410)에 설치되는 롤러(420)가 포함되고, 상기 제1머리(312)와 상기 제2머리(322)는 상기 못고정부(2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머리(312) 및 상기 제2머리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롤러부(400)로 못(30)이 파지된다.
그리고 상기 못고정부(200)에 의해 못(30)의 상부측이 지지되고, 상기 펜치부(300)에 의해 못(30)의 하부측이 파지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비해 상기 펜치부(300)의 제1집게(310)와, 제2집게(320)에서, 제1집게(310)의 제1머리(312)에 형성된 제1파지부(311)와, 제2집게(320)의 제2머리(322)에 형성된 제2파지부(321)에 각각 롤러부(400)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롤러부(400)는 상기 제1파지부(311) 및 제2파지부(321)에 각각 형성되는 반호형상의 롤러고정홈(410)과, 상기 롤러고정홈(4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420)가 포함된다.
상기 롤러고정홈(410)은 길이가 긴 반호형상으로 상기 제1파지부(311) 및 제2파지부(321)의 수직 길이 전체에 걸쳐 각각 다수가 균등하게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롤러고정홈(410)의 양측에는 원형의 결합홈(412)이 상기 롤러고정홈(41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420)는 상기 롤러고정홈(4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고정홈(410)에 대응되는 크기의 원형 막대 형상이며, 못이 박힐 때 수직으로 회전되어 못의 외주연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롤러(420)는 양측에 결합구(42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구(422)가 상기 롤러고정홈(410)의 결합홈(412)에 끼워짐으로써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420)는 결합구(422)를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한편, 롤러부(400)는 못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면 베어링(미도시)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420)에도 못이 삽입되는 반호형상의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비해 못(30)의 하부측 파지 방식이 달라진 것이다. 못(30)의 하부는 제1집게(310)의 제1머리(312)에 형성된 제1파지부(311) 및 상기 제2집게(320)의 제2머리(322)에 형성된 제2파지부(321)에 각각 설치된 롤러부(400)에 의해 파지된다.
못(30)이 망치(미도시)에 의해 타격되었을 때, 상기 못(30)의 외주연이 상기 롤러부(400)의 롤러(420)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롤러(420)는 못(30)의 박힘에 따라 수직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420)가 회전되므로 상기 못(30)이 파지되었을 때 작용하는 못(30)의 외주연에 대한 마찰력이 적어져, 못(30)의 박힘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아니하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축부재 20 : 탄성체 30 : 못 40 : 망치
100 : 몸체
110 : 머리부 112 : 자성체고정홈 114 : 축부재고정홈
120 : 못보관함 122 : 공간부 124 : 다리수용부
130 : 덮개 132 : 돌기
200 : 못고정부
210 : 자성체 212 : 고무부재고정홈
220 : 고무부재 222 : 못고정홈
300 : 펜치부
310 : 제1집게 311 : 제1파지부 312 : 제1머리
313 : 제1교차부 314 : 축부재고정홈 316 : 제1다리
318 : 제1고정돌기
320 : 제2집게 321 : 제2파지부 322 : 제2머리
323 : 제2교차부 324 : 축부재고정홈 326 : 제2다리
328 : 제2고정돌기 330 : 다리캡
400 : 롤러부
410 : 롤러고정홈 412 : 결합홈
420 : 롤러 422 : 결합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전방에 머리부(110)가 형성되고, 후방에 못(30)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120)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설치되며, 못(30)을 지지하는 못고정부(200); 및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못(30)을 파지하는 펜치부(300);가 포함되고,
    상기 못고정부(200)는, 자기력을 가진 자성체(210)와, 연질로 중심에 못고정홈(222)이 관통형성된 고무부재(220)가 포함되되,
    상기 자성체(210)는 상기 몸체(100)의 머리부(110)에 설치되고, 상기 고무부재(220)는 상기 자성체(210)의 중심에 설치되며, 못(30)이 상기 못고정홈(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성체(210)의 자력으로 지지되며,
    상기 펜치부(300)는, 내측에 제1파지부(311)가 형성된 날 형태의 제1머리(312)와, 상기 제1머리(312)에서 연장되는 제1다리(316)가 일체로 형성된 제1집게(310); 및
    내측에 제2파지부(321)가 형성된 날 형태의 제2머리(322)와, 상기 제2머리(322)에서 연장되는 제2다리(326)가 일체로 형성된 제2집게(320)가 포함되되,
    상기 제1머리(312)와 상기 제2머리(322)는 서로 교차되어 상기 못고정부(2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다리(316) 및 상기 제2다리(326)를 오므리거나, 핌에 따라 상기 제1머리(312)와 상기 제2머리(322)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져서 못(30)이 파지되고,
    상기 펜치부(300)에는, 상기 제1집게(310)의 제1머리(312)에 형성된 제1파지부(311)와, 상기 제2집게(320)의 제2머리(322)에 형성된 제2파지부(321)에 롤러부(400)가 각각 설치되되,
    상기 롤러부(400)는 상기 제1파지부(311) 및 제2파지부(321)에 각각 형성되는 롤러고정홈(410)과, 상기 롤러고정홈(4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420)가 포함되고,
    상기 제1다리(316) 및 상기 제2다리(326)를 오므리거나, 핌에 따라 상기 롤러부(400)의 롤러(420)로 못(30)이 파지되며, 못(30)이 박힐 때 상기 롤러(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못(30)의 외주연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됨을 특징으로 하는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못고정부(200)에 의해 상기 못(30)의 상부측이 지지되고, 상기 펜치부(300)에 의해 상기 못(30)의 하부측이 파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부재(220)는 상기 자성체(210) 상부를 덮도록 수직 또는 테이퍼 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KR1020110021858A 2011-03-11 2011-03-11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KR10122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858A KR101224897B1 (ko) 2011-03-11 2011-03-11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858A KR101224897B1 (ko) 2011-03-11 2011-03-11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907A KR20120103907A (ko) 2012-09-20
KR101224897B1 true KR101224897B1 (ko) 2013-01-22

Family

ID=4711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858A KR101224897B1 (ko) 2011-03-11 2011-03-11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71Y1 (ko) * 2019-02-21 2019-05-13 이승준 자동 그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16B1 (ko) 2021-01-19 2022-04-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프링을 이용한 타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1677U (ko) * 1977-09-19 1979-04-10
JPS6344784U (ko) * 1986-09-05 1988-03-25
KR100883627B1 (ko) * 2007-11-29 2009-02-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못 고정 겸용 망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1677U (ko) * 1977-09-19 1979-04-10
JPS6344784U (ko) * 1986-09-05 1988-03-25
KR100883627B1 (ko) * 2007-11-29 2009-02-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못 고정 겸용 망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71Y1 (ko) * 2019-02-21 2019-05-13 이승준 자동 그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907A (ko)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61867A1 (ja) 医療用把持装置
KR101224897B1 (ko) 못박기가 편리한 못 파지 장치
KR102569368B1 (ko) 와이어 그리퍼
US20170297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wire
JP2010526639A (ja) 脱毛装置
JP2019190053A (ja) 大型鉄筋篭を結束する結束線の結束装置
JP2019171529A (ja) ガイド冶具
US8661944B2 (en) Nail placement device
JP2011251077A (ja) 胡桃割り補助器具
JP2018098883A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
JP2018076675A (ja) 大型鉄筋篭を結束する結束線の結束装置
US20060254390A1 (en) Stopper removing tool
JPH07107636A (ja) 線材挿入治具
US20040040417A1 (en) Nail starter tool
US651896A (en) Wireworking-tool.
KR101781470B1 (ko) 말뚝 박기 장치
JP2018117421A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
JP3221748U (ja) 卓球ラケット
US1739658A (en) Wire-stretching tool
JP2014121159A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
US4072303A (en) Spring clamp for paper logs
JP4276495B2 (ja) プライヤー
CN207055526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安全卵圆钳
DK181503B1 (en) Bottle stop remover
US2895357A (en) Cork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