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481B1 -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481B1
KR101224481B1 KR1020120131376A KR20120131376A KR101224481B1 KR 101224481 B1 KR101224481 B1 KR 101224481B1 KR 1020120131376 A KR1020120131376 A KR 1020120131376A KR 20120131376 A KR20120131376 A KR 20120131376A KR 101224481 B1 KR101224481 B1 KR 101224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able terminal
antenna
intenna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민
Original Assignee
정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민 filed Critical 정종민
Priority to KR1020120131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커버케이스는 인서트 성형되는 안테나와 그 지지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인테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휴대 단말기의 커버케이스(7)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박판 형태가 되도록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지지체(5); 프레스로 성형된 도전체로서 상기 지지체(5)를 사출 성형할 때 금형에 인서트되어 함께 성형되는 인테나 본체(3)를 포함하되; 상기 인테나 본체(3)에는 그의 가장자리를 따라 곳곳에 상기 지지체(5)에 삽입되는 걸림돌기(9)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9)는 절곡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Inner Antenna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체 및 그에 인서트 성형되는 안테나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인테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스마트폰, 피디에이(PDA)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는 1개 이상의 내장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다. 내장 안테나는 외부 통신망을 이용한 원거리 통신만이 아니라 적외선 통신 등 기기 자체에서 근거리 통신용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보통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형식의 내장 안테나를 '인테나'라 칭하므로 이하에서는 '인테나'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휴대 단말기 내부에 인테나를 설치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근래 제안된 방식중 하나는 국내 특허출원 제10-2009-002758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안테나의 실체인 안테나방사체를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제조함으로써 안테나방사체가 외면으로 노출되지 않아 안테나모듈의 미관성이 향상되고, 안테나방사체가 인서트 수용 구성되어 안테나모듈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수작업이 최소화되어 생산원가가 절감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경박 단소화로 인해 안테나모듈의 두께가 갈수록 얇아지도록 요구받고 있는 실정에서 안테나모듈과 안테나방사체 간의 결합력을 높이는데 한계가 따르게 된다. 즉 배터리 교환을 위해 커버케이스를 열고 닫는 중에 안테나모듈이 비틀리거나 접히는 경우 인서트성형에 의해 합체되어 있는 금속 재질의 안테나방사체와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체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안테나방사체가 접히거나 단락이 생길 우려가 있게 된다. 이는 이종(異種)의 소재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 접합 강도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인테나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된 지지체와 금속으로 된 인테나 본체 간의 결합력을 제고하고, 나아가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인테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단자에 접속하도록 휴대 단말기의 커버케이스의 내면에 부착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에 있어서;
상기 커버케이스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박판 형태가 되도록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지지체; 사전에 프레스로 성형된 도전체로서 상기 지지체를 사출성형할 때 금형에 인서트되어 함께 성형되는 인테나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인테나 본체는 그의 가장자리를 따라 곳곳에 상기 지지체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돌기의 높이는 상기 지지체의 두께보다 작게 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상기 지지체에 매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절곡부는 엘(L)자, 씨(C)자, 지(Z)자 또는 유(U)자 형태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절곡부가 상기 지지체에 인서트됨으로써 상기 지지체가 뒤틀리는 등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상기 인테나 본체가 상기 지지체로부터 빠지거나 벌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걸림돌기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지지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결국 휴대 단말기의 경박단소화에 기여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인테나의 사시도로서 설치상태를 함께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인테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테나의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3에 준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커버케이스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커버케이스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1)는 휴대 단말기(P)의 내부에 내장되는 형식의 내장 안테나이다. 인테나 본체(3)는 통신대역이나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감안하여 실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배경기술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인테나 본체(3)는 얇고 복잡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체(5)가 사용된다. 지지체(5)는 인테나 본체(3)의 형상을 온전히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휴대 단말기(미도시됨)의 케이스의 역할을 분담하기도 한다. 지지체(5)에 의해 인테나(1)의 설치작업이 훨씬 용이하며 단자 간의 접속을 양호하게 한다. 지지체(5)는 통상 휴대 단말기의 커버케이스(7)의 내면에 부착된다.
지지체(5)는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박판 형태가 되도록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지지체(5)의 형상 역시 휴대 단말기의 구조라든가 인테나 본체(3)의 구체적 형상에 종속되어 결정된다.
지지체(5)와 인테나 본체(3)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다. 인서트 성형이라 함은 인테나 본체(3)를 금형에 끼워 넣은 다음 사출 성형함으로써 용융 수지와 인테나 본체(3)가 일체화되도록 하는 성형방법을 말한다. 용융 수지는 경화되어 지지체(5)가 된다. 인테나 본체(3)와 지지체(5)의 결합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인테나 본체(3)에는 그의 가장자리를 따라 여러 곳에 걸림돌기(9)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돌기(9)는 인테나 본체(3)를 성형할 때 함께 성형됨으로써 인테나 본체(3)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인테나 본체(3)는 통상 프레스에 의해 타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접속 단자(11) 부위는 부분적으로 금도금이 시행되기도 한다.
걸림돌기(9)는 인테나 본체(3)의 가장자리를 따라 곳곳에 형성된다. 인테나 본체(3)는 통상 띠(band) 형태로 되어 있는데 걸림돌기(9)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띠의 양쪽 모두에 마련되고 있다. 걸림돌기(9)의 형성 위치는 인테나 본체(3)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구조상 취약한 부분에는 좀 더 조밀하게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9)는 예를 들어 인테나 본체(3)의 연장방향을 따라 5 ~8mm 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커버케이스의 특징에 의하면 걸림돌기(9)는 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L)자 형태의 절곡부(13)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인서트 성형시 걸림돌기(9)는 후크 형태로 지지체(5) 내부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지지체(5)와 인테나 본체(3)의 결합력은 크게 향상되며, 지지체(5)가 외력에 의해 뒤틀리거나 지지체(5)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걸림돌기(9)는 적어도 엘(L)자 형태의 절곡부(13)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이보다 더 복잡한 형태로 성형하여 지지체(5)와 결합시키는 것도 본 커버케이스의 권리범위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렇게 엘(L)자 형태의 절곡부(13)를 포함함으로써 걸림돌기(9)의 높이(h)을 줄일 수 있게 되며, 결국 지지체(5)의 두께(H)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절곡부(13)는 엘(L)자 형태 이외에도 씨(C)자 또는 유(U)자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걸림돌기(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Z)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절곡부(13)는 예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걸림돌기(9)의 단부(9a)는 인테나 본체의 끝단(3a)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걸림돌기의 높이(h)를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걸림돌기(9)의 높이(h)는 상기 지지체(5)의 두께(H)보다 작게 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9)는 상기 지지체(5)에 매립된다 이로써 걸림돌기(9)는 지지체(5)의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커버케이스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커버케이스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위에 설명된 각각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얼마든지 조합될 수 있으며, 이들 조합 역시 본 커버케이스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 : 인테나 3 : 인테나 본체
5 : 지지체 7 : (휴대 단말기의) 커버케이스
9 : 걸림돌기 11 : 접속단자
13 : 절곡부

Claims (3)

  1. 휴대 단말기의 커버케이스(7)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박판 형태가 되도록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지지체(5);
    프레스로 성형된 도전체로서 상기 지지체(5)를 사출 성형할 때 금형에 인서트되어 함께 성형되는 인테나 본체(3)를 포함하되;
    상기 인테나 본체(3)에는 그의 가장자리를 따라 곳곳에 상기 지지체(5)에 삽입되는 걸림돌기(9)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9)는 절곡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9)의 높이(h)는 상기 지지체(5)의 두께(H)보다 작게 되어 있어 상기 걸림돌기(9)는 상기 지지체(5)에 매립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3)는 엘(L)자, 씨(C)자, 지(Z)자 또는 유(U)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KR1020120131376A 2012-11-20 2012-11-20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KR101224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376A KR101224481B1 (ko) 2012-11-20 2012-11-20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376A KR101224481B1 (ko) 2012-11-20 2012-11-20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481B1 true KR101224481B1 (ko) 2013-01-21

Family

ID=4784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376A KR101224481B1 (ko) 2012-11-20 2012-11-20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4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00B1 (ko) 2013-02-18 2015-03-30 대산전자(주) 케이스와 안테나 방사체가 모듈화 된 휴대단말기용 안테나 모듈 및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531386B1 (ko) * 2013-12-06 2015-06-24 문기전 인테나 제조방법
KR101573886B1 (ko) 2014-10-16 2015-12-02 문기전 인테나 제조방법, 인테나 프레스물 및 인테나 사출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59B1 (ko) 2010-02-02 2010-08-02 마상영 안테나가 내장된 무선 휴대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98106B1 (ko) 2009-07-13 2011-12-26 마상영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 안테나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102703B1 (ko) 2009-07-13 2012-01-05 마상영 열융착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모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106B1 (ko) 2009-07-13 2011-12-26 마상영 휴대 단말기용 인서트 안테나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102703B1 (ko) 2009-07-13 2012-01-05 마상영 열융착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973659B1 (ko) 2010-02-02 2010-08-02 마상영 안테나가 내장된 무선 휴대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00B1 (ko) 2013-02-18 2015-03-30 대산전자(주) 케이스와 안테나 방사체가 모듈화 된 휴대단말기용 안테나 모듈 및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531386B1 (ko) * 2013-12-06 2015-06-24 문기전 인테나 제조방법
KR101573886B1 (ko) 2014-10-16 2015-12-02 문기전 인테나 제조방법, 인테나 프레스물 및 인테나 사출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8163B2 (en) Mobile terminal
US20120056789A1 (en) Antenna booster case for enhancing transmission/reception sensibility of mobile device
JP2014207140A (ja)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4481B1 (ko) 휴대 단말기용 인테나
WO2011076080A1 (zh) 移动终端
CN107833775A (zh) 防水组件、移动终端、以及防水组件的装配方法
US11804648B2 (en) Back cover with an antenna element
CN105554191B (zh) 一种移动终端的前壳结构及移动终端
WO2016165404A1 (zh) 一种支持nfc功能和指纹识别功能的装置和终端
KR101030408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보스 보강 장치
US7006854B2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coupling mechanism
CN105592647A (zh) 电子装置
KR20130105562A (ko) 안테나가 내장된 무선휴대단말기 케이스 또는 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금형
US8411424B2 (en) Strap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208369663U (zh) 手机保护壳
CN204180128U (zh) 一种手机用防水结构及手机
US10924148B2 (en) Bumperband and clamshell assembly for protecting a cell phone subhousing
CN206098674U (zh) 天线安装结构及通信设备
KR20160067829A (ko) 금속 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전화
KR101585224B1 (ko) 휴대폰 케이스
CN209134421U (zh) 一种具有屏蔽功能的红外线接收器
US2009031688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N208210077U (zh) 手机侧按键安装结构
CN202353984U (zh) 一种装饰圈的固定结构
CN205004436U (zh) 一种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