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453B1 -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 Google Patents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453B1
KR101223453B1 KR1020100094714A KR20100094714A KR101223453B1 KR 101223453 B1 KR101223453 B1 KR 101223453B1 KR 1020100094714 A KR1020100094714 A KR 1020100094714A KR 20100094714 A KR20100094714 A KR 20100094714A KR 101223453 B1 KR101223453 B1 KR 10122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ounting
area
plate memb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112A (ko
Inventor
도창규
최대성
최상복
Original Assignee
(주)동부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부로봇 filed Critical (주)동부로봇
Priority to KR102010009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4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4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은 일면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영역이 구획되고, 타면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영역이 구획된 플레이트부재;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일정각도로 연장절곡된 연장부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에 결합되는 다수의 마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플레이트부재의 양면에 각각 분리형성된 마운트부재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조립체를 컴팩트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체의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Bracket having detachable mount}
본 발명은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을 구성하는 플레이트부재와 마운트부재를 분리형성하고, 플레이트부재의 양면에 마운트부재가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브라켓 간의 체결 또는 브라켓과 다른 구성들과의 조립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된 구성이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립체 혹은 부품 고정에 사용되는 브라켓은 체결구조의 용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며, 제조사에서는 다양한 브라켓을 제조하기에는 해당 브라켓마다 금형이 필요하게 되어 원가절감을 위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사용되는 브라켓은 규격화되어 제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브라켓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브라켓(100,200)은 플레이트부분(110,210)과 플레이트부분(110,210)의 양단으로부터 절곡형성된 체결부분(120,2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관절 로봇에 사용되는 서보모터(300)의 상호 결합에 종래 브라켓(100,200)을 사용시에는 각 브라켓의 체결부분(120,220)을 각각의 서보모터(300)에 결합하고, 플레이트부분(110,210)을 상호 결합하여 두 서보모터(300)를 결합해야만 했다.
즉, 복합조립체를 구성하기 위한 다수 체결구조를 위해서는 브라켓 대 브라켓의 체결시 두 플레이트부분이 상호 맞닿아 체결됨으로써 조립체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호 분리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체결시 두 브라켓을 이용하여 나사결합 등의 방법으로 결합해야만 하는데, 나사결합 시에는 체결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되면 조립완료된 복합조립체의 체결된 부분에서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플레이트부재의 양면에 각각 분리형성된 마운트부재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조립체의 조립완료시 종래 두 플레이트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비해 컴팩트하게 조립될 수 있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재의 양면에 마운트부재가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종래보다 조립체의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마운트부재가 플레이트부재로부터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복수개의 플레이트부재 및 마운트부재를 이용하여 브라켓 용도 외에 다양한 형태의 기구체를 구성할 수 있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일면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영역이 구획된 플레이트부재;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일정각도로 연장절곡된 연장부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에 결합되는 다수의 마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플레이트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측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은 상기 돌출벽의 모서리방향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안착시 일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플레이트면 중 측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함몰되어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은 상기 장착영역으로 구획된 함몰부분의 측벽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안착시 일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부가 일 플레이트부재의 결합영역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는 다른 플레이트부재의 결합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기 장착영역은 상기 결합영역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획되며, 상기 결합영역과 상기 장착영역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영역과 상기 장착영역에 안착되는 두 마운트부재가 동시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은 가장자리 중 모서리부분과 두 모서리의 사이에 구획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중앙영역에는 다관절 로봇용 서보모터의 종동축에 결합되는 혼이 체결되는 혼결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플레이트부재의 양면에 각각 분리형성된 마운트부재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조립체의 조립완료시 종래 두 플레이트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비해 컴팩트하게 조립될 수 있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플레이트부재의 양면에 마운트부재가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종래보다 조립체의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이 제공된다.
또한, 마운트부재가 플레이트부재로부터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복수개의 플레이트부재 및 마운트부재를 이용하여 브라켓 용도 외에 다양한 형태의 기구체를 구성할 수 있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브라켓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의 다양한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의 개략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의 응용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1)은 플레이트부재(10)와 마운트부재(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재(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는 사각형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부재(10)의 일면에는 결합영역(11)이 구획되고, 타면에는 장착영역(13)이 구획되어 있다.
상기 결합영역(11)은 플레이트부재(10)의 일면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 구획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면의 측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구획형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면의 각 모서리부분에 구획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영역(11)은 각 모서리부분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벽(12)에 의해 구획되어 후술할 마운트부재(20)의 결합부(21)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벽(12)의 모서리방향 측면(12a)은 안착되는 결합부(21)의 외측면(21a)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안착된 결합부(21)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회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영역(11)은 두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결합영역(11)의 사이에 플레이트부재(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돌출벽(12)의 내측면(12a)은 후술할 마운트부재(20)의 결합부(21)의 전체 외측면(21a)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마운트부재(20)가 안착결합시 회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장착영역(13)은 플레이트부재(10)의 타면의 가장자리에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함몰되어 구획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면의 측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함몰되어 구획형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면의 각 모서리부분에 구획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영역(12)은 결합영역(11)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획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영역(12)은 각 모서리부분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함몰되되, 결합영역(11)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획형성되어 후술할 마운트부재(20)의 결합부(21)가 안착될 수 있다.
아울러, 장착영역(13)을 형성하는 함몰부분의 측벽(13a)은 안착되는 상기 결합부(21)의 외측면(21a)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안착된 결합부(21)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회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영역(11)과 장착영역(13)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영역(11)과 장착영역(13)에 안착되는 두 마운트부재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장착영역(11)은 두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장착영역(11)의 사이에 플레이트부재(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함몰부분의 측벽(13a)은 후술할 마운트부재(20)의 결합부(21)의 전체 외측면(21a)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마운트부재(20)의 결합부(21)가 안착결합시 회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부재(10)의 중앙영역에는 다관절 로봇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서보모터(도 1의 300)의 말단 구동축에 결합되는 혼(도 1의 301)이 체결될 수 있는 혼체결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혼체결부(15)는 혼(301)이 안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나사 등으로 체결되도록 혼의 일부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혼수용부와, 혼수용부에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는 결합영역(11)이 돌출벽(12)에 의해 구획되고, 장착영역(13)이 함몰되도록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결합영역(11)이 함몰형성될 수도 있고, 장착영역(13)이 돌출벽에 의해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마운트부재(20)는 결합부(21)와 연장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1)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술한 결합영역(11)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안착시 그 외측면(21a)이 결합영역(11)을 구획하는 돌출벽(12)의 모서리방향 측면(12a)의 일부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결합영역(11)에 안착된 결합부(11)는 일 방향으로 회동이 방지될 수 있어 결합 후 외력에 의해 결합이 쉽게 풀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결합부(21)의 두께는 돌출벽(12)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체결구조를 더욱 단단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결합부(21)에는 상술한 나사홀(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21b)가 형성되어, 결합영역(11)에 결합부(21)가 안착된 후 나사홀(14)과 체결홀(21b)을 통해 소정의 나사수단을 삽입하여 완전히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1)는 장착영역(13)에도 안착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는 결합부(21)의 외측면(21a)이 장착영역(13)으로 구획된 함몰부분의 측벽(13a)과 맞닿도록 안착되어 나사결합됨으로써, 안착된 결합부(13)의 일 방향으로 회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2)는 결합부(21)로부터 일정각도로 연장절곡형성된다. 즉, 결합부(21)와 일정각도를 형성하면서 연장되며, 그 형상은 결합부(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결합되는 부분의 구성에 적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는, 결합부(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부(21)로부터 연장되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연장부(22)도 결합부(21)와 같이 결합영역(11)과 장착영역(13)에 안착결합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의 제1실시예의 결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와 도 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의 다양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플레이트부재(10)의 결합영역(11)에 네 개의 마운트부재(20)의 결합부(21)를 나사를 이용해 결합하고, 플레이트부재(10)의 혼체결부(15)를 통해 제1서보모터(30)에 나사결합하고, 제2서보모터(40)에 마운트부재(20)의 연장부(22)를 각각 나사를 이용해 결합하고 있다.
도 6은 플레이트부재(10)의 결합영역(11)과 장착영역(13)에 각각 마운트부재(20)의 결합부(21)를 나사결합시키고, 두 서보모터에 마운트부재(20)의 연장부(22)를 각각 나사를 이용해 결합하고 있다.
결국, 하나의 플레이트부재(10)의 양면에 두 서보모터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플레이트부재(10)가 중복되는 것과 비교하여 현격히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복합조립체의 제조비용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는 별도의 나사수단 등으로 두 브라켓의 결합을 해야만 했으므로, 상호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두 브라켓이 맞닿는 부분에서 외력에 의해 쉽게 조립이 해체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외력에 더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조립체를 조립시에도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을 적용하면 컴팩트한 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의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변형예에서는 마운트부재(20)의 연장부가 결합부로부터 둔각을 형성하면서 연장절곡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외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마운트부재를 다수 개 마련하고, 상술한 플레이트부재를 다수 개 마련하여 상호 체결을 통해 도 8과 같은 다수의 서보모터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의 응용으로서, 다수 개의 플레이트부재와 마운트 부재를 상호 결합하여 도 9 내지 도 11과 같은 8각형, 12각형 등의 다각형과, 큐브(cube) 형태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과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스퀘어빔(square beam)과 블레이드(blade)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은 단순히 두 구성을 상호 결합하는 브라켓의 용도 이외에도 다양한 기구적 형태로 조립도 가능하여, 만약 학업용 교보재로 다양한 구조물을 만들 때에는 학생의 창의력 또는 공간지각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10 : 플레이트부재 11 : 결합영역 12 : 돌출벽
13 : 장착영역 14 : 나사홀 15 : 혼체결부
20 : 마운트부재 21 : 결합부 22 : 연장부

Claims (9)

  1. 일면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영역이 구획되고, 타면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영역이 구획된 플레이트부재;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일정각도로 연장절곡된 연장부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에 결합되는 다수의 마운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은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플레이트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측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벽에 의해 구획되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플레이트면 중 측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이 함몰되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은 상기 돌출벽의 모서리방향 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안착시 일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은 상기 장착영역으로 구획된 함몰부분의 측벽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안착시 일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부가 일 플레이트부재의 결합영역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는 다른 플레이트부재의 결합영역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상기 장착영역은 상기 결합영역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획되며, 상기 결합영역과 상기 장착영역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영역과 상기 장착영역에 안착되는 두 마운트부재가 동시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영역 또는 상기 장착영역은 가장자리 중 모서리부분과 두 모서리의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중앙영역에는 다관절 로봇용 서보모터의 종동축에 결합되는 혼이 체결되는 혼체결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KR1020100094714A 2010-09-29 2010-09-29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KR10122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14A KR101223453B1 (ko) 2010-09-29 2010-09-29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714A KR101223453B1 (ko) 2010-09-29 2010-09-29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12A KR20120033112A (ko) 2012-04-06
KR101223453B1 true KR101223453B1 (ko) 2013-01-23

Family

ID=4613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714A KR101223453B1 (ko) 2010-09-29 2010-09-29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94B1 (ko) * 2014-11-11 2016-08-18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서보모터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63A (ko) * 1999-08-27 2000-01-15 신대섭 서보모터 자유연결부재를 사용한 로보블록의 연결장치
KR200269892Y1 (ko) * 2001-07-26 2002-03-27 강신부 다용도 교육용 로봇
JP2009255194A (ja) * 2008-04-14 2009-11-05 Murata Mach Ltd パラレルメカニズム
KR100935514B1 (ko) * 2006-05-15 2010-01-06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로봇용 연결부재의 결합 기구와 보행용 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63A (ko) * 1999-08-27 2000-01-15 신대섭 서보모터 자유연결부재를 사용한 로보블록의 연결장치
KR200269892Y1 (ko) * 2001-07-26 2002-03-27 강신부 다용도 교육용 로봇
KR100935514B1 (ko) * 2006-05-15 2010-01-06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로봇용 연결부재의 결합 기구와 보행용 로봇
JP2009255194A (ja) * 2008-04-14 2009-11-05 Murata Mach Ltd パラレルメカニズ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12A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710B1 (ko) 장난감 조립 세트
JP4864908B2 (ja) 弾性締結具及びこ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モジュール
US10561958B2 (en) Modular frame connectors and system utilizing same
JP2007160067A (ja) 幾何構造システム
JP2009144848A (ja) フレーム構造体
US20150240848A1 (en) Joining apparatus of module actuator
KR101223453B1 (ko) 마운트 분리형 브라켓
KR20100123175A (ko) 다축 연결형 액추에이터 모듈
KR20110101739A (ko) 학습용 블록완구 키트
KR100906699B1 (ko) 다기능 연결구
KR200469966Y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60120122A (ko) 볼 조인트를 갖는 커넥터 허브 분할형 돔 커넥터
EP2547234B1 (en) Modularly assemblable furniture system
US20220251824A1 (en) Coupling device for the modular construction of structures or objects
KR200404976Y1 (ko) 놀이용 판재 연결장치
KR100722114B1 (ko) 조립식 전시상자
JP2011149233A (ja) ジョイント、これを用いた骨組組立体及びモジュール構造物
JP2018146034A (ja) 組立構造体および什器
KR200256678Y1 (ko) 기하학적 조립 시스템
JP3049490U (ja) 垣、柵、外構用等の構成材
JP6668547B1 (ja) ラックシステム
JP2006068188A (ja) 組立材、組立材セット及び骨組み構造体
JP6279016B2 (ja) 部品の取付構造
OA20484A (en) Coupling device for the modular construction of structures or objects
KR101716257B1 (ko) 조립이 용이한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