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122B1 -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 - Google Patents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3122B1 KR101223122B1 KR1020120097856A KR20120097856A KR101223122B1 KR 101223122 B1 KR101223122 B1 KR 101223122B1 KR 1020120097856 A KR1020120097856 A KR 1020120097856A KR 20120097856 A KR20120097856 A KR 20120097856A KR 101223122 B1 KR101223122 B1 KR 1012231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frame
- window frame
- stopper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vertically-sliding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in the guid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arms fixed on the wing pivoting about an axis outside of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41—Tilt-and-turn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퍼의 자유로운 위치변경을 통해 사용자가 창문의 개방각도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면서도 스토퍼의 손상시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즉시 알려 신속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내·외부를 구획하는 아파트의 벽체(W)에 설치되며 내부가 전후방으로 개구된 사각형상의 창틀(100)과: 링크(400)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 측면 상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핀(211)을 갖추고서, 창틀(100)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가 전후방으로 개구된 창틀프레임(210)과; 창틀프레임(210)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유리창(220)과; 창틀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틀프레임(210)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용손잡이(230)를 갖춘 창문(200)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311a)을 구비하며 내측을 향해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는 가이드판(311)을 갖추고서, 창틀(100)의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되는 내부가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프레임(310)과; 가이드프레임(310)의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20)와; 링크(400)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210)을 향해 돌출된 핀(331)을 갖추고서, 링크(40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프레임(310)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승강블록(330)과; 가이드프레임(310)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승강블록(3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블록(341)과, 스토퍼블록(341)과 가이드판(311) 사이에 설치되어 스토퍼블록(341)을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342)과, 스토퍼블록(341)과 상호 결합되며 결합공(3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토퍼블록(341)의 승강을 제한하는 후크(343)로 구성된 스토퍼뭉치(340)를 갖춘 한 쌍의 가이드장치(300)와: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창틀프레임(210)의 핀(211)과 승강블록(330)의 핀(3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틀(100)과 창문(200)을 상호 연결하는 링크(400)와: 커버(320)에 설치되어 승강블록(330)에 의해 동작되는 승강블록감지센서(500)와: 창틀(100)에 노출되게 내설되며, 승강블록감지센서(500)에 의해 동작되어 주변으로 불빛과 음향을 방출하는 알림유닛(600)과: 승강블록감지센서(500)와 알림유닛(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된 스토퍼뭉치의 위치이동을 통해 링크를 매개로 개방되는 창문의 개방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창문을 개방한 상태로 방치하더라도 유아의 머리보다 작게 설정한 경우에는 유아가 창문을 통해 빠져나 갈 수 없기 때문에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출을 하더라도 사용자 이외에는 스토퍼뭉치의 조작방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보안에도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된 스토퍼뭉치의 위치이동을 통해 링크를 매개로 개방되는 창문의 개방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창문을 개방한 상태로 방치하더라도 유아의 머리보다 작게 설정한 경우에는 유아가 창문을 통해 빠져나 갈 수 없기 때문에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출을 하더라도 사용자 이외에는 스토퍼뭉치의 조작방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보안에도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닫이 창의 열림 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시스템 창호의 일종으로 틸트 앤드 턴(Tilt and Turn)방식의 창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틸트 앤드 턴 방식의 창호는 창틀에 장착된 윗부분 또는 아랫부분을 반개폐 상태로 여는 틸트기능과 더불어 창문을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하는 턴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064162호가 있으며, 이를 종래 기술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10을 참조하면, 수평창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회동축(22)에 창문(20)이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창문(20)의 회동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스테이바(30)가 창틀(10)과 창문(20) 사이에 결합된다.
이 스테이바(30)는 창틀(10)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홀더(32)와, 창문(20)의 저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바(36) 및 힌지축(34,35)에 의해 이들 홀더(32)와 가이드바(3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이드바(36)에 결합되는 힌지축(35)은 가이드바(36)이 레일(39)을 따라 미끄러지는 슬라이더(38)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바(36)의 양단부에는 스토퍼(40)가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미도시된 손잡이를 쥐고 창문(20)을 회동시키면, 링크(33)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슬라이더(38)가 가이드바(36)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창문(20)이 개방되거나 닫히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바(36) 상의 스토퍼(4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슬라이더(38)의 이동범위를 규제하여 창문(20의 개방각도를 규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창호 구조는 창문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매번 상기 스토퍼(40)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40)의 분해 및 장착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신속하게 원하는 개방각도로 창문을 개방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으며, 나아가 스토퍼(40)의 파손시 이를 확인 및 알려주는 수단을 전혀 갖추고 있지 않아 신속한 대응이 어려웠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토퍼의 자유로운 위치변경을 통해 사용자가 창문의 개방각도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면서도 스토퍼의 손상시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즉시 알려 신속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외부를 구획하는 아파트의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가 전후방으로 개구된 사각형상의 창틀과:
링크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 측면 상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핀을 갖추고서, 창틀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가 전후방으로 개구된 창틀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유리창과; 창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틀프레임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용손잡이를 갖춘 창문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을 구비하며 내측을 향해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는 가이드판을 갖추고서, 창틀의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되는 내부가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프레임과; 가이드프레임의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와; 링크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을 향해 돌출된 핀을 갖추고서, 링크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승강블록과; 가이드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승강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블록과, 스토퍼블록과 가이드판 사이에 설치되어 스토퍼블록을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과, 스토퍼블록과 상호 결합되며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토퍼블록의 승강을 제한하는 후크로 구성된 스토퍼뭉치를 갖춘 한 쌍의 가이드장치와: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창틀프레임의 핀과 승강블록의 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틀과 창문을 상호 연결하는 링크와:
커버에 설치되어 승강블록에 의해 동작되는 승강블록감지센서와:
창틀에 노출되게 내설되며, 승강블록감지센서에 의해 동작되어 주변으로 불빛과 음향을 방출하는 알림유닛과:
승강블록감지센서와 알림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된 스토퍼뭉치의 위치이동을 통해 링크를 매개로 개방되는 창문의 개방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창문을 개방한 상태로 방치하더라도 유아의 머리보다 작게 설정한 경우에는 유아가 창문을 통해 빠져나 갈 수 없기 때문에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출을 하더라도 사용자 이외에는 스토퍼뭉치의 조작방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보안에도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창문을 반복적으로 열고 닫는 과정에 승강블록과 스토퍼블록 간의 반복인 충돌로 인하여 후크에는 피로응력이 쌓이게 되면서 최종적으로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후크가 부러질 경우 스토퍼블록은 승강블록과 함께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되는 스토퍼블록에 의해 하 방향으로 돌출된 승강블록감지센서가 눌려지면서 배터리에 의한 통전이 이루어 지게 되며, 이때 전원을 공급받은 알림유닛은 실내로 경과불빛과 음향을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며, 관리사무실로는 전선을 통해 배터리의 전기가 공급되면서 관리사무소에 상주는 관리가 이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의 개폐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에서 가이드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에서 가이드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의 개폐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에서 가이드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에서 가이드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은, 창틀(100)과 창문(200), 한 쌍의 가이드장치(300), 링크(400), 승강블록감지센서(500), 알림유닛(600) 및 배터리(700)로 구성되며, 아파트의 벽체(W)에 설치되어 내부와 외부를 단절시키거나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환기를 하는데 이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창틀(100)은 아파트의 벽체(W)에 설치되어 전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후면은 실내로 노출된다.
특히, 상기 창틀(100)은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태를 이루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의 바(bar)를 이용해 상호 조립한 것으로서, 중앙에는 이후에 설명될 창문(200)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창틀(100)의 후면 상부에는 내설된 배터리(700)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배터리커버(11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로 음향 및 경광 불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알림유닛(600)이 노출되게 내설된다.
또한, 상기 창틀(100)의 내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되어 창문(200)의 밀착편(212)과 상호 맞대어 지는 밀착편(1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편(120,212) 중 어느 하나에는 기밀상태의 유지를 위해 공지의 실링부재(121)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창틀(100)의 밀착편(120)에 실링부재(121)가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창틀(100)의 내부 양 측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가이드장치(300)가 체결수단(미도시)을 매개로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창문(200)은 창틀프레임(210)과 유리창(220) 및 개폐용손잡이(230)로 구성되어 창틀(10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창틀프레임(210)은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태를 이루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의 바(bar)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한 것으로서, 중앙에는 개구부가 마련되며, 개구부에는 유리창(220)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창틀프레임(210)의 둘레면에는 외향으로 연장되는 밀착편(212)이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밀착편(212)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창틀(100)의 밀착편(120) 및 실링부재(121)과 상호 밀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개폐용손잡이(230)는 창틀프레임(210)의 후면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00)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수평상태로 놓여 있다가 창문(200)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창문(200)을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용손잡이(230)을 이용하여 개폐하는 방식의 경우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장치(300)는 가이드프레임(310)과 한 쌍의 커버(320), 승강블록(330) 및 스토퍼뭉치(340)로 구성되어 창틀(100)의 내부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은 내부 및 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관으로서, 내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내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판(311)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판(311)에는 후크(343)가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311a)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판(31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승강블록(330)과 스토퍼블록(341)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후크(343)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320)는 가이드프레임(3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승강블록(330)과 스토퍼블록(34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320)에는 이후에 설명될 승강블록감지센서(50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블록(330)은 가이드프레임(3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록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링크(400)에 의해 승강되어 창틀(200)이 설정된 개폐각을 유지토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승강블록(330)의 일측에는 링크(400)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외향으로 연장되는 핀(331)이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뭉치(340)는 스토퍼블록(314)과 스프링(342) 및 후크(343)로 구성되며, 가이드프레임(3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블록(330)의 승강을 제한함으로서 창틀(200)의 개방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토퍼블록(314)은 일측 내부가 외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개구된 내주면에는 후크(343)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탭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블록(341)은 승강블록(330)과 상호 맞대어져 승강블록(330)의 승강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프링(342)은 공지의 탄발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후크(343)에 끼워져 가이드판(311)과 스토퍼블록(341) 사이에 설치되어 스토퍼블록(341)을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후크(343)는 스토퍼블록(341)을 가이드프레임(3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스프링(342)을 억류한 상태에서 스토퍼블록(341)과 상호 체결되어 양단부에 형성된 고리를 매개로 가이드판(311)의 결합공(311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뭉치(34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토퍼블록(341)을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스토퍼블록(341)에 연결된 후크(343)가 가이드판(311)의 결합공(311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위치까지 스토퍼뭉치(340)를 이동시켜 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토퍼뭉치(340)가 위치되면 가압상태를 서서히 해제시켜 주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42)이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스토퍼블록(341)을 수평하게 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스토퍼블록(341)에 의해 상호 연결된 후크(343) 역시 함께 이동되어 가이드판(311)의 결합공(311a)에 상호 결합됨으로서 스토퍼블록(341)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에 설치된 스토퍼뭉치(340)의 위치이동을 통해 링크(400)를 매개로 개방되는 창문(200)의 개방각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창문(200)을 개방한 상태로 방치하더라도 유아의 머리보다 작게 설정한 경우에는 유아가 창문(200)을 통해 빠져나 갈 수 없기 때문에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문(200)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출을 하더라도 사용자 이외에는 스토퍼뭉치(340)의 조작방법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보안에도 상당히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링크(4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편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창틀프레임(210)의 핀(211)과 승강블록(330)의 핀(3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틀(100)과 창문(200)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창문(200)을 회동시키게 되면 창문(200)의 핀(211)에 결합된 링크(40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링크(400)의 타단부에 결합된 승강블록(330)은 가이드프레임(310)의 내부를 따라 승강하게 되면서 스토퍼블록(33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승강블록감지센서(500)와 알림유닛(600) 및 배터리커버(700)를 설명한다.
상기 승강블록감지센서(500)는 공지의 푸쉬스위치(push switch)로서, 가이드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320)에 설치되어 승강블록(330)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공지의 푸쉬스위치를 적용실시 하였지만,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공지 기술이 적용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알림유닛(600)은 경광등과 스피커가 구비된 공지의 PCB기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창틀(100)의 상부에 내설되며 배터리(700)와 전선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블록감지센서(500)에 의한 통전 시 외부로 불빛과 음향을 방출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터리(700)는 공지의 건전지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창틀(100)의 상부에 내설되며 전선을 매개로 승강블록감지센서(500)와 알림유닛(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배터리(70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창틀(100)의 상부에 설치된 배터리커버(11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한 다음 배터리커버(110)를 닫아 주면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창문(200)을 반복적으로 열고 닫는 사이에 승강블록(330)과 스토퍼블록(341) 간의 반복인 충돌로 인하여 후크(343)에는 피로응력이 쌓이게 되면서 최종적으로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후크(343)가 부러질 경우 스토퍼블록(341)은 승강블록(341)과 함께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되는 스토퍼블록(341)에 의해 하 방향으로 돌출된 승강블록감지센서(500)가 눌려지면서 배터리(700)에 의한 통전이 이루어 지게 되며, 이때 전원을 공급받은 알림유닛(600)은 실내로 경과불빛과 음향을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며, 관리사무실(800)로는 전선을 통해 배터리(700)의 전기가 공급되면서 관리사무소(800)에 상주는 관리가 이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6a를 참조하면, 가이드장치(300)의 스토퍼뭉치(340)에 간단한 조작을 통해 창문(200)의 열림 정도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창문(200)의 개방각도를 최대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스토퍼블록(341)을 가압한 상태에서 가이드프레임(310)을 따라 상승시켜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블록(341)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가압하고 있던 상태를 해제시켜 주게 되면, 가압상태에 있던 스프링(342)이 복원되면서 스토퍼블록(341) 및 후크(343)를 밀게 되고, 이때 후크(343)의 양단부에 위치한 돌기는 가이드프레임(310)의 결합공(311a)에 삽입되면서 스토퍼뭉치(340)의 자연스럽게 해당위치에 고정된다.
반대로, 창문(200)의 개방각도를 최저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토퍼블록(341)을 가압한 상태에서 가이드프레임(310)을 따라 하강시켜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주며, 나머지 작용은 앞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해 스토퍼뭉치(34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해 줌으로서 창문(200)의 개방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한편, 사용자가 창문(200)을 반복해서 열고 닫다 보면 링크(400)와 상호 연결된 승강블록(330)이 가이드프레임(31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스토퍼블록(341)과 반복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충돌로 인해 후크(343)에는 반복응력에 따른 피로가 쌓이게 되고, 이러한 피로는 파손(부러짐)으로 연결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와 같이 후크(343)가 부러질 경우 스토퍼블록(341)은 승강블록(341)과 함께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되는 스토퍼블록(341)에 의해 하 방향으로 돌출된 승강블록감지센서(500)가 눌려지면서 배터리(700)에 의한 통전이 이루어 지게 되며, 이때 전원을 공급받은 알림유닛(600)은 실내로 경과불빛과 음향을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며, 관리사무실(800)로는 전선을 통해 배터리(700)의 전기가 공급되면서 관리사무소(800)에 상주는 관리가 이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창틀 110: 배터리커버 200: 창문
210: 창틀프레임 220: 유리창 230: 개폐용 손잡이
300: 가이드장치 310: 가이드프레임 320: 커버
330: 승강블록 340: 스토퍼뭉치 341: 스토퍼블록
342: 스프링 343: 후크 400: 링크
500: 승강블록감지센서 600: 알림유닛 700: 배터리
800: 관리사무소
210: 창틀프레임 220: 유리창 230: 개폐용 손잡이
300: 가이드장치 310: 가이드프레임 320: 커버
330: 승강블록 340: 스토퍼뭉치 341: 스토퍼블록
342: 스프링 343: 후크 400: 링크
500: 승강블록감지센서 600: 알림유닛 700: 배터리
800: 관리사무소
Claims (1)
- 내·외부를 구획하는 아파트의 벽체(W)에 설치되며 내부가 전후방으로 개구된 사각형상의 창틀(100)과:
링크(400)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 측면 상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핀(211)을 갖추고서, 창틀(100)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가 전후방으로 개구된 창틀프레임(210)과; 창틀프레임(210)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유리창(220)과; 창틀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틀프레임(210)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용손잡이(230)를 갖춘 창문(200)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결합공(311a)을 구비하며 내측을 향해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는 가이드판(311)을 갖추고서, 창틀(100)의 내부 양 측면에 설치되는 내부가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프레임(310)과; 가이드프레임(310)의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20)와; 링크(400)의 타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210)을 향해 돌출된 핀(331)을 갖추고서, 링크(40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프레임(310)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승강블록(330)과; 가이드프레임(310)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승강블록(3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블록(341)과, 스토퍼블록(341)과 가이드판(311) 사이에 설치되어 스토퍼블록(341)을 일 방향으로 탄발하는 스프링(342)과, 스토퍼블록(341)과 상호 결합되며 결합공(3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토퍼블록(341)의 승강을 제한하는 후크(343)로 구성된 스토퍼뭉치(340)를 갖춘 한 쌍의 가이드장치(300)와: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창틀프레임(210)의 핀(211)과 승강블록(330)의 핀(3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창틀(100)과 창문(200)을 상호 연결하는 링크(400)와:
커버(320)에 설치되며 승강블록(330)에 의해 동작되는 승강블록감지센서(500)와:
창틀(100)에 노출되게 내설되며, 승강블록감지센서(500)에 의해 동작되어 주변으로 불빛과 음향을 방출하는 알림유닛(600)과:
승강블록감지센서(500)와 알림유닛(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7856A KR101223122B1 (ko) | 2012-09-04 | 2012-09-04 |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7856A KR101223122B1 (ko) | 2012-09-04 | 2012-09-04 |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3122B1 true KR101223122B1 (ko) | 2013-02-04 |
Family
ID=4789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7856A KR101223122B1 (ko) | 2012-09-04 | 2012-09-04 |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312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90724A (zh) * | 2013-10-28 | 2014-02-19 |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 暗藏五金转轴检修门 |
WO2018048455A1 (en) * | 2016-09-12 | 2018-03-1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Door assembly for serviceable machine |
KR101905931B1 (ko) * | 2014-01-10 | 2018-10-08 | (주)엘지하우시스 | 환기창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2227A (ja) * | 1994-07-28 | 1996-02-13 | Yamada Fusaya:Kk | 扉用スライド錠 |
KR100513252B1 (ko) * | 2005-02-15 | 2005-09-07 | (주)포텍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창문 비상 확인시스템 |
KR20080004017U (ko) * | 2007-03-16 | 2008-09-19 | 주식회사 대현상공 |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창문 스테이 |
KR20110001169U (ko) * | 2009-07-27 | 2011-02-08 |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
-
2012
- 2012-09-04 KR KR1020120097856A patent/KR1012231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2227A (ja) * | 1994-07-28 | 1996-02-13 | Yamada Fusaya:Kk | 扉用スライド錠 |
KR100513252B1 (ko) * | 2005-02-15 | 2005-09-07 | (주)포텍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창문 비상 확인시스템 |
KR20080004017U (ko) * | 2007-03-16 | 2008-09-19 | 주식회사 대현상공 |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창문 스테이 |
KR20110001169U (ko) * | 2009-07-27 | 2011-02-08 |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590724A (zh) * | 2013-10-28 | 2014-02-19 |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 暗藏五金转轴检修门 |
CN103590724B (zh) * | 2013-10-28 | 2015-11-04 |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 暗藏五金转轴检修门 |
KR101905931B1 (ko) * | 2014-01-10 | 2018-10-08 | (주)엘지하우시스 | 환기창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
WO2018048455A1 (en) * | 2016-09-12 | 2018-03-1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Door assembly for serviceable machine |
CN109689388A (zh) * | 2016-09-12 | 2019-04-26 |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 用于可维护机器的门组件 |
CN109689388B (zh) * | 2016-09-12 | 2020-11-27 |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 用于可维护机器的门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3122B1 (ko) |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아파트의 창 구조물 | |
CN1329275C (zh) | 具有电梯设备控制装置的竖井门框和接触控制单元的方法 | |
US4164095A (en) | Emergency escape wall structure | |
CN206458219U (zh) | 一种防火门联动闭门器 | |
US10030419B2 (en) | Fire door lock | |
ITPD20130147A1 (it) | Gruppo di comando per un'apparecchiatura elettrica | |
KR200487221Y1 (ko) | 창문 자동 개폐장치 | |
KR101894668B1 (ko) | 엘리베이터용 비상구 개폐 시스템 | |
CN104150300B (zh) | 一种电梯控制柜 | |
US20190338570A1 (en) |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building | |
KR102349413B1 (ko) |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 |
CN113963312A (zh) | 工地安全帽佩戴识别装置 | |
CN209838247U (zh) | 一种新型防火卷帘门的报警控制系统 | |
CN208605115U (zh) | 一种防火卷帘门的智能组合控制开关装置 | |
JP7066501B2 (ja) | 防水シャッター | |
KR101034384B1 (ko) | 비상용 방화 셔터 | |
JP6039319B2 (ja) | 開き窓の開度規制装置 | |
EP3445929B1 (en) | A door provided with at least one latch | |
CN212752845U (zh) | 机柜 | |
KR102593019B1 (ko) |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 |
CN220651863U (zh) | 一种防误触的消防栓按钮 | |
CN212206141U (zh) | 一种建筑施工进度监测系统 | |
CN210038707U (zh) | 一种便于移动和散热的工控机 | |
CN214665914U (zh) | 一种用于网带式烘干机的触摸屏控制系统 | |
CN211656653U (zh) | 一种基于多火焰图像与组合判据的火灾识别报警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