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901B1 -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901B1
KR101222901B1 KR1020110069674A KR20110069674A KR101222901B1 KR 101222901 B1 KR101222901 B1 KR 101222901B1 KR 1020110069674 A KR1020110069674 A KR 1020110069674A KR 20110069674 A KR20110069674 A KR 20110069674A KR 101222901 B1 KR101222901 B1 KR 101222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image
scene
cartoon content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찬의
정구희
류영형
이주한
Original Assignee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단말장치에 적합한 만화콘텐츠를 저작하고 표현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핸드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는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가 컴퓨터에 비해 제한적인데, 이러한 이동단말기는 문자가 포함된 콘텐츠를 제공하였을 때 가독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오스크나 비행기 좌석 디스플레이와 같은 여러 단말장치는 사용자가 몰입해서 콘텐츠를 감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만화콘텐츠의 한 페이지를 구성하는 씬 이미지를 독자 시선의 이동을 따라서 확대 씬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혹은 씬 이미지 단위로 개별적인 확대를 제공하는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의 단말장치에서 만화콘텐츠에 대한 가독성과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어 만화콘텐츠에 대한 수요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of authoring and representing cartoon contents for terminal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f storing a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단말장치에 적합한 만화콘텐츠를 저작하고 표현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핸드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는 콘텐츠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저인터페이스가 컴퓨터에 비해 제한적인데, 이러한 이동단말기는 문자가 포함된 콘텐츠를 제공하였을 때 가독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오스크나 비행기 좌석 디스플레이와 같은 여러 단말장치는 사용자가 몰입해서 콘텐츠를 감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만화콘텐츠의 한 페이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독자 시선의 이동을 따라서 확대 씬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혹은 씬 이미지 단위로 개별적인 확대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을 개시한다.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핸드폰이나 스마트폰(예: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스마트패드(예: 아이패드), 태블릿 단말기(예: 태블릿PC)와 같은 이동단말기가 전세계적으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들 이동단말기에서 소비할 수 있는 각종의 디지털콘텐츠에 대해서도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콘텐츠로는 E-북, 영화, 음악, 게임, 만화콘텐츠 등이 존재하는데, 점차로 다양화되고 있다.
이중에서 만화콘텐츠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다수의 인터넷 포털에서 웹툰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디지털콘텐츠로서 만화를 저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차로 인쇄출판의 목적으로 아날로그 방식으로 만화를 저작한 후 다시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예: 스캐닝)하여 제공되고 있다. 다른 디지털콘텐츠들이 처음부터 디지털 시장을 타켓으로 삼아서 저작되는 것과는 달리 만화콘텐츠는 아직까지는 책자 형태의 만화시장이 훨씬더 크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의 저작형태를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인쇄출판 방식으로 저작한 후에 다시 스캐닝하여 생성한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경우에는 책자 크기의 이미지를 이동단말기의 화면으로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어서, 독자의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가독성이 많이 감소하여 불편함을 느끼기 마련이다. 특히, 대사와 같이 크기가 작은 텍스트 이미지는 제대로 읽기가 힘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단말기의 사용자는 화면을 수시로 확대하고 다시 축소하는 작업을 번거롭게 해야한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만화콘텐츠는 인쇄책자를 단순 스캐닝한 수준에 불과하여 콘텐츠 제공 기술로서 디지털 장치의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며, 그에 따라 독자의 몰입감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키오스크나 비행기 좌석 디스플레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독자들이 콘텐츠 내용에 몰입하기 어려운 상황이 가중되는데, 디지털 기술의 장점을 살려서 독자들이 좀더 몰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디지털 만화콘텐츠 저작 및 표현 분야에서는 단말장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만화콘텐츠의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씬 이미지를 씬 단위로 임의로 손쉽게 편집하여 만화콘텐츠의 이용자에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만화콘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들이 시각적으로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작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화콘텐츠의 한 페이지를 구성하는 씬 이미지 단위를 독자의 시선 이동에 따라 확대 씬 이미지를 저작하여 제공함으로써 만화콘텐츠에 포함된 작은 텍스트에 대해서도 가독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씬 이미지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서도 씬 이미지의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은,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를 구비하는 만화콘텐츠를 제공받는 제 1 단계; 만화콘텐츠의 특정 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편집페이지 이미지로 선택 입력을 제공받는 제 2 단계; 선택된 편집페이지 이미지 상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형상을 정의하는 입력을 제공받는 제 3 단계; 정의된 형상에 대응하여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씬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제 4 단계;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별로 하나 이상의 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제 5 단계; 획득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 각각에 대해 씬 이미지를 정의하는 형상에 관한 좌표위치값 및 씬 이미지의 표현 순서를 정의하는 출력 순서를 포함시켜 만화콘텐츠에 대응되는 XML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단말장치에서 만화콘텐츠와 XML데이터를 제공받는 제 7 단계; 만화콘텐츠와 XML데이터를 결합하여, 만화콘텐츠에 대해 정의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에 대해 만화콘텐츠 재생 시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씬 이미지의 순서를 정의하는 제 8 단계;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3 단계의 형상은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한 다각형 형상의 포인트 입력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XML 데이터는 다각형 형상을 정의하는 일련의 좌표위치값의 배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6 단계는 만화콘텐츠의 페이지 별로 페이지 넘버, 페이지를 위한 이미지 파일명, 페이지에 포함된 씬 이미지의 갯수, 각 씬 이미지에 대한 형상의 종류, 각 씬 이미지에 대한 형상을 정의하는 일련의 포인트 좌표 정보를 포함하여 XML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 8 단계는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별로 XML데이터를 적용하여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정의하고 XML데이터에 기록된 페이지 넘버와 씬 이미지의 상대적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씬 이미지에 대한 순차적인 표시 순서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은,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를 포함하는 만화콘텐츠 및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의 좌표위치값 및 복수 개의 씬 이미지의 출력 순서를 포함하는 XML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중 편집페이지 이미지의 XML 파싱을 수행하여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해당하는 XML데이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와 각 좌표위치값 및 출력 순서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추출된 좌표위치값과 매칭되는 추출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출력 순서에 따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3 단계는 편집페이지 이미지 상에 포함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편집페이지 이미지의 XML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프로그램은,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를 구비하는 만화콘텐츠를 제공받는 절차; 만화콘텐츠의 특정 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편집페이지 이미지로 선택 입력을 제공받는 절차; 선택된 편집페이지 이미지 상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형상을 정의하는 입력을 제공받는 절차; 정의된 형상에 대응하여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씬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절차;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별로 하나 이상의 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절차; 기 획득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 각각에 대해 씬 이미지를 정의하는 형상에 관한 좌표위치값 및 씬 이미지의 표현 순서를 정의하는 출력 순서를 포함시켜 만화콘텐츠에 대응되는 XML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차; 단말장치에서 만화콘텐츠와 XML데이터를 제공받는 절차; 만화콘텐츠와 XML데이터를 결합하여, 만화콘텐츠에 대해 정의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에 대해 만화콘텐츠 재생 시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씬 이미지의 순서를 정의하는 절차;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프로그램은,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를 구비하는 만화콘텐츠를 제공받는 절차; 만화콘텐츠의 특정 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편집페이지 이미지로 선택 입력을 제공받는 절차; 선택된 편집페이지 이미지 상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형상을 정의하는 입력을 제공받는 절차; 정의된 형상에 대응하여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씬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절차;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별로 하나 이상의 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절차; 획득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반영하여, 만화콘텐츠의 페이지 별로 페이지 넘버, 페이지를 위한 이미지 파일명, 페이지에 포함된 씬 이미지의 갯수, 각 씬 이미지에 대한 형상의 종류, 각 씬 이미지에 대한 형상을 정의하는 일련의 포인트 좌표 정보를 포함하여 만화콘텐츠에 대응되는 XML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차; 단말장치에서 만화콘텐츠와 XML데이터를 제공받는 절차; 만화콘텐츠와 XML데이터를 결합하여,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별로 XML데이터를 적용하여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정의하고 XML데이터에 기록된 페이지 넘버와 씬 이미지의 상대적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씬 이미지에 대한 순차적인 표시 순서를 정의하는 절차;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순서대로 표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프로그램은,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를 포함하는 만화콘텐츠 및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의 좌표위치값과 복수 개의 씬 이미지의 출력 순서를 포함하는 XML데이터를 수신하는 절차;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중 편집페이지 이미지의 XML 파싱을 수행하여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해당하는 XML데이터에 포함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와 각 좌표위치값 및 출력 순서를 추출하는 절차; 추출된 좌표위치값과 매칭되는 추출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편집페이지 이미지와 동기화하여 표시하거나 출력 순서에 따라 그 추출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동기화하여 표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기의 일반적인 협소한 디스플레이 여건을 감안하여 만화콘텐츠의 한 페이지 이미지를 구성하는 씬 이미지 단위로 확대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만화콘텐츠 상에서 시선의 이동에 따른 확대 씬 이미지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단말장치 사용자가 용이하게 만화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의 단말장치에서 만화콘텐츠를 감상할 때 콘텐츠에 대한 독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화콘텐츠 감상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하여 핸드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단말기, 키오스크, 비행기 좌석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장치가 전세계적에 급속도로 보급됨에 따라 이들 단말장치에서 소비할 수 있는 디지털 만화콘텐츠의 시장도 그에 연동되어 크게 확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만화콘텐츠 저작 과정에서 한국이나 일본 방식의 인쇄출판 형식의 만화콘텐츠에서 애용되고 있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스타형, 그리고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씬 이미지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서도 디지털로 씬 이미지의 추출이 가능하여 인쇄출판 형태의 만화독자를 그대로 디지털 만화콘텐츠에서도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표현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만화콘텐츠가 다수의 페이지 이미지로 이루어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저작도구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도 5]는 만화콘텐츠에 대해 특정의 페이지 이미지를 선택한 모습을 나타내는 저작도구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도 6]은 특정의 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정의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북미 지역 만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과 [도 9]는 한국과 일본 지역 만화의 특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스마트폰에 만화콘텐츠의 페이지 이미지 전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7]은 스마트폰에 만화콘텐츠의 씬 이미지 단위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에 의해 생성된 XML 파일의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이하,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장치'라 함 : 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과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표현 방법을 각각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서 만화콘텐츠의 세부 구성의 개념을 나타내고, [도 7] 내지 [도 9]는 지역별로 만화콘텐츠의 특징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장치(스마트폰)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에 의해 생성된 XML 파일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장치(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I/O 인터페이스 : 11), 입력부(12), 출력부(13), 제어부(14), 저장부(15)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4)는 만화콘텐츠에서 씬 이미지의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사각형 지정모듈(14a), 다각형 지정모듈(14b), 영역설정모듈(14c)를 구비하고, 만화콘텐츠 저작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XML데이터 생성모듈(14d)을 구비한다.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기술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방법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로부터 만화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일반적으로 만화책은 다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어부(14)가 제공받는 만화콘텐츠는 그에 따라 다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져 있다. 제어부(14)는 이러한 만화콘텐츠를 페이지 단위의 이미지로 분류하여 출력부(14)를 통해 저작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한다(S11). 그에 따라,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페이지 이미지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는 각종의 입력장치(예: 마우스, 키보드)를 통해 만화콘텐츠 저작 장치(10)에 조작을 입력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4)는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여러 페이지 이미지 중에서 편집페이지 이미지를 선택하고(S12), 그 선택된 편집페이지 이미지를 저장부(15)로 제공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만화콘텐츠의 특성상 편집페이지 이미지에는 여러 씬(scene) 이미지가 포함되기 마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특정의 페이지 이미지가 편집페이지로 설정되었으며, 당해 편집페이지에는 대략 6 개의 씬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4)는 입력부(12)로부터 편집페이지 이미지 상에서 영역지정을 대기한다(S13).
출력부(13)에 출력된 편집페이지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를 통하여 포인트 이동에 따른 대각선의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4)는 사각형 지정모듈(14a)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사각형 지정모듈(14a)이 사용자가 저작 장치(10)를 통해 입력하는 사각형 형상의 영역 지정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된다(S14). 이때, 사각형은 드래그 입력에 따른 포인트의 시작 좌표위치값과 최종 좌표위치값이 상호 대각선의 꼭지점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의미하며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단계(S14)에 따라, 사각형 지정모듈(14a)이 사각형 형상의 영역 지정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2)로 입력되는 대각선의 드래그 입력을 식별하고, 그에 따라 대각선 드래그의 시작 좌표위치값과 최종 좌표위치값을 추출하여 영역설정모듈(14c)로 제공한다(S15).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출력부(13)에 표시된 포인터(예: 마우스포인터)를 보면서 입력부(12)를 조작하여 대각선의 드래그를 다수의 씬 이미지에 대해 순차적 또는 특정의 씬 이미지에 대해서 제공할 수 있다. 즉, 만화콘텐츠를 감상하고 있는 독자가 일반적으로 시선을 이동시키는 순서를 감안하여 순차적 드래그 입력에 따라 표시영역을 순차적으로 지정한다.
이때, 단계(S15)와 [도 6]에서와 같이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을 위하여 만화 페이지 상에서 대각선 드래그 입력과 순차적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만화콘텐츠의 한 페이지 이미지는 여러 개의 씬 이미지로 구성되어 각각의 상황을 묘사함으로써 스토리를 진행하는데, 보통 씬 이미지의 대부분은 다각형, 특히 사각형(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페이지 이미지 단위로 분리된 각 페이지 이미지마다 씬 이미지의 모양을 따라 순차적으로 대각선으로 드래그하면 사각형의 테두리가 생성되고 각 씬 이미지에 대한 사각형의 영역을 최소의 동작으로 지정이 가능하다.
이때 각 사각형의 중심은 이후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에서는 표시의 중심점이 되며, 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만화콘텐츠 저작 단계에서 영역을 지정한 순서([도 6]에서 ① 내지 ⑥으로 표시된 순서 참조)에 따라서 각 사각형을 따라 하나의 씬 이미지에서 다른 씬 이미지로 이동하면서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계(S15) 이후, 영역설정모듈(14c)은 단계(S15)에서의 시작 좌표위치값과 최종 좌표위치값에 따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씬 이미지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씬 이미지"를 따로 분리하여 저장부(15)에 저장한다. 또한, 각 씬 이미지에 대한 "시작 좌표위치값"과 "최종 좌표위치값", 그리고 다수의 씬 이미지가 추출된 경우라면 그 추출된 순서인 "출력 순서"를 XML데이터 생성모듈(14d)로 제공한다(S16). 이때, 출력 순서는 기본적으로는 페이지 이미지로부터 씬 이미지가 추출된 순서에 대응되나, 입력부(12)의 사용자 조작을 통해 변경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계(S15)와 단계(S16)는 페이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씬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나아가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페이지에 대해서도 연속적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6) 이후에, XML데이터 생성모듈(14d)은 단계(S15)에서 영역설정모듈(14c)에 의해 인식된 "씬 이미지"와 매칭하여 저장부(15)에 "시작 좌표위치값"과 "최종 좌표위치값", 그리고 다수의 씬 이미지가 추출된 경우라면 "출력 순서"를 XML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S17).
[도 18]은 단계(S17)에서 생성된 XML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는 특정의 만화콘텐츠에서 26 페이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26 페이지에 해당하는 만화 이미지 파일은 "026.jpg" 파일이다. 이 "026.jpg" 이미지 파일은 총 7 개의 씬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중에서 첫번째 씬을 살펴보면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사각형을 정의하기 위한 포인트(점) 4개의 좌표가 배열(PointArray)로 특정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페이지에 대하여 이미지 파일은 하나(026.jpg)를 공통으로 정의하고, 씬 이미지들은 그 이미지 파일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정의한다.
한편, 단계(S14)에서 제어부(14)는 사각형 영역 지정 선택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출력부(13)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편집페이지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를 통해 자유선 입력 수신을 할 수 있도록 다각형 지정모듈(14b)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다각형 지정모듈(14b)이 다각형(polygon) 형상의 영역 지정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18).
본 발명에 따른 만화콘텐츠 저작 기술에서 단계(S18) 이하의 과정을 수행하는 이유를 살펴본다. [도 7]과 같은 형식의 북미 지역 만화의 경우에는 페이지 이미지를 나누는 씬 이미지의 형태가 대부분 네 각이 모두 직각을 이루는 사각형 형상을 보이므로 단계(S14) 내지 단계(S17)로 충분하다. 하지만 [도 8]과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국내에서 많이 서비스되는 한국과 일본풍의 만화콘텐츠들은 개별 씬 이미지의 네 각이 고정적이지 않으며 때로는 등장인물이 컷의 테두리를 벗어나거나([도 7]의 경우) 대사를 표시한 말 풍선이 컷을 벗어나 임의의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한국과 일본풍의 만화콘텐츠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씬 이미지의 형태 중 컷을 구분하는 라인이 반듯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표현되거나 등장인물이 칸 밖으로 튀어나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등장인물의 대사를 표시한 말 풍선이 컷의 테두리를 벗어나 임의의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만화콘텐츠 저작 기술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영역지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타원형 형상의 영역지정, 그리고 임의 형상의 영역지정을 가능하도록 다각형 영역지정을 위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은 프로세스가 추가된다.
단계(S18)에 따라, 다각형 지정모듈(14b)이 다각형 영역 지정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로부터 각종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부(12)로 제공되는 자유선 입력을 받는다. 다각형 지정모듈(14b)이러한 자유선 입력의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추출된 "시작 좌표위치값"부터 "최종 좌표위치값", 그리고 상술한 "출력 순서"를 영역설정모듈(14c)로 전송한다(S19).
이에 따라, 영역설정모듈(14c)은 단계(S19)에서의 시작 좌표위치값부터 최종 좌표위치값에 따라 다각형 내지는 원형, 타원형의 씬 이미지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씬 이미지를 분리하여 저장부(15)에 저장한다. 또한, "시작 좌표위치값" 내지 "최종 좌표위치값", 그리고 다수의 씬 이미지가 추출된 경우라면 그 추출된 순서를 나타내는 "출력 순서"를 XML데이터 생성모듈(14d)로 전송한다(S20). 한편, 단계(S19)와 단계(S20)는 연속적으로 다수의 씬이나 다수의 페이지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0) 이후에, XML데이터 생성모듈(14d)은 단계(S19)에서 영역설정모듈(14c)에 의해 인식된 씬 이미지와 매칭하여 저장부(15)에 "시작 좌표위치값" 내지 "좌표위치값", 그리고 다수의 씬 이미지가 추출된 경우 "출력 순서"를 XML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S21).
[도 19]는 단계(S21)에서 생성된 XML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는 특정의 만화콘텐츠에서 109 페이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109 페이지에 해당하는 만화 이미지 파일은 "109.jpg" 파일이다. 이 "109.jpg" 이미지 파일은 1 개의 씬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씬을 살펴보면 다각형(polygon)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다각형을 정의하기 위한 포인트(점) 20개의 좌표가 배열(PointArray)로 특정되어 있다.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표현 기술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표현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편이상 만화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를 핸드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을 전개한다. 그러나, 단말장치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스마트패드, 태블릿 단말, 키오스크, 비행기 좌석 디스플레이, 퍼스널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는 앞서 살펴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장치(10)에서 생성한 만화콘텐츠를 제공받는다(S31). 이러한 만화콘텐츠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여러 페이지로 이루어져 있기에 다수의 페이지 이미지를 구비하며, 여기에 추가로 앞서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보았던 각 페이지 이미지에 대한 XML데이터를 구비한다.
그리고 나서, 이동단말기는 각 페이지 이미지에 대한 XML 파싱(XML Parsing)을 수행한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이러한 XML데이터를 파싱함으로써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다수의 페이지와 그 이미지 파일, 그리고 개별 페이지를 구성하는 다수의 씬 이미지와 각 씬의 경계를 정의하는 복수 개의 좌표위치값, 그리고 이들 씬 이미지의 출력 순서를 얻는다(S32). 즉, 각 페이지에 대해서 당해 페이지 이미지 파일(예: 026.jpg, 109.jpg)에 대해 XML데이터로부터 어느 영역을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면 씬 이미지의 표시화면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다수의 페이지가 나열되는 형태의 만화콘텐츠를 다수의 씬 이미지가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로 변형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계(S32)와 이후에 기술하는 좌표위치값은 [도 2]의 단계(S15)와 같이 대각선 드래그의 시작 좌표위치값과 최종 좌표위치값에 따른 사각형 영역 내의 임의의 점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의 단계(S19)와 같이 입력된 자유선의 시작 좌표위치값부터 최종 좌표위치값에 따른 다각형 영역 내의 임의의 점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어서, 이동단말기는 단계(S32)에서 추출된 각종의 정보, 즉 씬 이미지, 좌표위치값, 출력순서를 페이지 이미지와 동기화한다(S33).
이후, 사용자가 이동단말기에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함에 따라 플레이 모드에 대한 선택을 제공받는다(S34).
만일. 단계(S34)에서 '페이지 이미지 단위 플레이 모드'가 선택되었다면 이동단말기는 페이지 단위로 만화콘텐츠를 플레이한다(S35). [도 10]은 [도 5]와 동일한 페이지 이미지가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것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것이 페이지 이미지 단위의 플레이 모드에서의 표시이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특정 좌표위치를 선택하면, 바람직하게는 그 선택된 좌표위치 부근의 씬 이미지를 확대하여 표시한다(S36).
한편, 단계(S34)에서 '씬 이미지 단위 플레이 모드'가 선택되었다면 이동단말기는 씬 단위로 만화콘텐츠를 플레이한다(S37). [도 11] 내지 [도 17]은 씬 이미지 단위의 플레이 모드에서의 표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6]을 서로 비교해서 살펴보면, [도 11] 내지 [도 16]은 [도 10]에 표시된 페이지 이미지를 구성하는 6 개의 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스마트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처럼 씬 이미지 단위 플레이 모드에서는 개별 페이지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씬 이미지를 각각 순차적으로 표시하며, 이를 통해 스마트폰의 제한된 디스플레이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만화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에서 [도 16]까지 순차적으로 표시된 씬 이미지 화면은 사용자의 조작(클릭 또는 터치)에 의해 다음(혹은 이전) 컷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살펴보면, 임의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씬 이미지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것이다. [도 19]에 예시한 것과 같은 XML데이터를 통해 [도 17]과 같은 씬 이미지 생성하고 이동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에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 입출력 인터페이스 12: 입력부
13: 출력부 14: 제어부
14a: 사각형 지정모듈 14b: 다각형 지정모듈
14c: 영역설정모듈 14d: XML데이터 생성모듈
15: 저장부

Claims (8)

  1.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를 구비하는 만화콘텐츠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만화콘텐츠의 특정 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편집페이지 이미지로 선택 입력을 제공받는 제 2 단계;
    상기 선택된 편집페이지 이미지 상에서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형상을 정의하는 입력을 제공받는 제 3 단계;
    상기 정의된 형상에 대응하여 영역설정모듈이 상기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씬 이미지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택된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제 4 단계;
    상기 영역설정모듈이 상기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별로 하나 이상의 씬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제 5 단계;
    XML데이터 생성모듈이 상기 만화콘텐츠의 페이지 별로 페이지 넘버, 상기 페이지를 위한 이미지 파일명,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씬 이미지의 갯수, 각 씬 이미지에 대한 형상의 종류, 각 씬 이미지에 대한 형상을 정의하는 일련의 포인트 좌표 정보(좌표위치값), 상기 각 씬 이미지의 표현 순서를 정의하는 출력 순서를 포함시켜 상기 만화콘텐츠에 대응되는 XML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단말장치가 상기 만화콘텐츠와 상기 XML데이터를 제공받는 제 7 단계;
    상기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별로 상기 XML데이터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정의하고 상기 XML데이터에 기록된 페이지 넘버와 씬 이미지의 상대적 순서에 따라서 만화콘텐츠 재생 시에 상기 복수 개의 씬 이미지에 대한 순차적인 표시 순서를 정의하는 제 8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형상은 상기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한 다각형(polygon) 형상의 포인트 입력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XML 데이터는 상기 다각형 형상을 정의하는 일련의 좌표위치값의 배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3. 삭제
  4. 삭제
  5. 단말장치가 외부로부터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를 포함하는 만화콘텐츠 및 상기 만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의 좌표위치값과 상기 복수 개의 씬 이미지의 출력 순서를 포함하는 XML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복수 개의 페이지 이미지 중 각각의 편집페이지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XML데이터 중 상기 편집페이지에 대응되는 부분을 파싱하여 상기 편집페이지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씬 이미지에 대한 좌표위치값 및 이들 복수 개의 씬 이미지 간의 출력 순서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편집페이지 이미지 상에 포함된 복수 개의 씬 이미지를 상기 편집페이지 이미지의 XML데이터에 포함된 출력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좌표위치값과 매칭되도록 표시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 2,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8. 삭제
KR1020110069674A 2011-07-14 2011-07-14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222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74A KR101222901B1 (ko) 2011-07-14 2011-07-14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74A KR101222901B1 (ko) 2011-07-14 2011-07-14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901B1 true KR101222901B1 (ko) 2013-01-17

Family

ID=4784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674A KR101222901B1 (ko) 2011-07-14 2011-07-14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536A1 (ko) * 2019-08-07 2021-02-11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만화 컨텐츠의 재배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079A (ko) * 2003-02-08 200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사각형 영역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78100A (ko) * 2004-01-30 2005-08-04 (주)시스튜디오 동영상 카툰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프로그램을수록한 기록 매체
KR20060028205A (ko) * 2004-09-24 2006-03-29 (주)넥스큐브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만화 애니메이션 구현방법
KR20060065218A (ko) * 2004-12-10 2006-06-14 브이케이 주식회사 원본이미지를 분할하여 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079A (ko) * 2003-02-08 200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사각형 영역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78100A (ko) * 2004-01-30 2005-08-04 (주)시스튜디오 동영상 카툰 제작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프로그램을수록한 기록 매체
KR20060028205A (ko) * 2004-09-24 2006-03-29 (주)넥스큐브 모바일 단말기에 의한 만화 애니메이션 구현방법
KR20060065218A (ko) * 2004-12-10 2006-06-14 브이케이 주식회사 원본이미지를 분할하여 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536A1 (ko) * 2019-08-07 2021-02-11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만화 컨텐츠의 재배치 방법
KR20210017295A (ko) * 2019-08-07 2021-02-17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만화 컨텐츠의 재배치 방법
KR102227523B1 (ko) 2019-08-07 2021-03-15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만화 컨텐츠의 재배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36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ugmented reality to printed books
US201603288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ersonalized dynamic emoticon
JP5437340B2 (ja) ビューワ装置、サーバ装置、表示制御方法、電子コミック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811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universal resident scalable navigation and content display system compatible with any digital device using scalable transparent adaptable resident interface design and picto-overlay interface enhanced trans -snip technology
US201402589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viewing comic book electronic publications
JP2006331393A (ja) アルバム作成装置、アルバム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1326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3차원 영상 메시지 제작 방법 및 장치
US20180143741A1 (en) Intelligent graphical feature generation for user content
WO2021157595A1 (ja) コンテンツ作成支援システム
CN110688506A (zh) 一种模板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1205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user interface
KR20240051898A (ko) 컬러 폰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403516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or browsing digital comics
Clifton Android user interface design: turning ideas and sketches into beautifully designed apps
KR102159326B1 (ko) 작가체학습단말기 및 시스템
KR101222901B1 (ko) 단말장치용 만화콘텐츠 저작 표현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048128A (ko) 증강현실 기반의 컬러링북 제공 시스템
KR102405324B1 (ko) 단말기에서 그림을 학습하는 방법
EP2869271A1 (en) Method for composing image and mobile terminal programmed to perform the method
JPH10240915A (ja) コンピュ−タを用いた漫画の製作方法及びその方法で作られたモニタ画面で見る漫画
JP2007241942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26844B1 (ko) 만화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5528410B2 (ja) ビューワ装置、サーバ装置、表示制御方法、電子コミック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61071A (ja) コンテンツ作成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テンツ作成及び再生システム
JP6815054B1 (ja) コンテンツ作成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