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578B1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578B1
KR101222578B1 KR1020080011879A KR20080011879A KR101222578B1 KR 101222578 B1 KR101222578 B1 KR 101222578B1 KR 1020080011879 A KR1020080011879 A KR 1020080011879A KR 20080011879 A KR20080011879 A KR 20080011879A KR 101222578 B1 KR101222578 B1 KR 101222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front panel
closing means
photo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5942A (en
Inventor
김용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578B1/en
Publication of KR20090085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구의 폐쇄 동작 시 손가락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prevent the pinching phenomenon i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본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출구 개폐 수단과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정도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동작 시 상기 포토센서의 출력 신호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요구가 있으면 상기 학습된 포토센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o this end,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movably installed at one side of a main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a discharge opening, and a photo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A control method, comprising: learning an output signal of the photosensor during opening operation of a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And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by u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learned photo sensor when the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is closed.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구의 폐쇄 동작시 손가락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venting finger pinching i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간에 냉매를 순환시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액화할 때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하여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수행하게 되며, 공기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작용은 그 냉매의 순환방향에 따라 결정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used to perform cooling or heating of a room, and circulates a refrigerant between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to absorb ambient heat when the liquid refrigerant evaporates and release the heat when liquefied. The cooling or heating action is perform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cooling or heating ac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가 실내기 본체(이하 '본체'라 한다)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와,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가 본체 외부에 마련되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n inlet for allowing indoor air to be sucked into an indoor unit bo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dy'), and an outlet for allowing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to be heat-exchanged and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are provided outside the main body.

그러나 이처럼 흡입구 또는 토출구가 본체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근래에는 전면패널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토출구를 개폐하는 공기조화기나, 본체의 양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출구를 개폐함과 동시에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토출 블레이드를 갖춘 공기조화기 등이 개발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어 왔다.However, when the suction port or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quality is poo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an air conditioner for opening and closing a discharge port while the front panel moves up and down, or discharge po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rotatably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rt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and discharge the discharge port at the same time. The development of air conditioners and the like with discharge blade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air to be improved has improved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air conditioners.

특히 최근에는 토출구 또는 흡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본체 전면에 전면패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면패널 이동방식의 공기조화기가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a front panel moving air conditioner has been developed to install the front pane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or the suction port so that the appearance can be enhanced and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그러나, 상술한 토출 블레이드 또는 전면패널(이하, '토출구 개폐 수단'이라 한다)의 이동(또는 개폐)에 따라 토출구가 개폐되는 방식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토출구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토출구에 사람의 손가락이나 기타 물체 등의 장애물(이하 '장애물'이라 한다)이 끼어 토출구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거나 장애물이 낀 상태로 토출구가 폐쇄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discharge opening is opened or closed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blade or front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a human finger is placed on the discharge opening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ischarge opening. The discharge port is not completely closed because of obsta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bstacles") or other objects, or the discharge port may be closed with an obstac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 끼임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토출구의 폐쇄(또는 개방)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즉, 기존에는 토출구의 폐쇄 동작 시 일정 시간(폐쇄 제한 시간: 토출구의 전체 폐쇄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음) 내에 포토센서로부터 출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타임 아웃, Time Out) 토출구에 장애물이 끼인 것으로 판단하고, 다시 토출구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ventional method uses a photo sensor to detect whether an obstacle is jammed and controls the closing (or open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at is, conventionally, when the output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photosens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closing time limit: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which is set in advance)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time out), the discharge port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is caught in, the control to perform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again.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의해 토출구(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경우에, 토출구의 폐쇄 동작 시 폐쇄 제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즉, 타임 아웃이 될 때까지는 계속적으로 폐쇄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끼어 있는 상태에서도 폐쇄 동작이 진행되어 상해를 입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by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continuously closed until the closing time limit elapses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that is, the time-out occurs. Since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re is a fear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injury occurs due to the closing operation even when the finger is in the pinched stat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구의 폐쇄 동작시 손가락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venting a pinching phenomenon during a closing operation of a discharge po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본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출구 개폐 수단과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정도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동작 시 상기 포토센서의 출력 신호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요구가 있으면 상기 학습된 포토센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ischarge port opening and closing means that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and a photo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learning an output signal of the photosensor when opening a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And 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by u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learned photo sensor when the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is closed.

또한 상기 학습 단계에서는 상기 포토센서 출력신호의 하이 및 로우 구간별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측정된 하 이 및 로우 구간별 시간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저장한다.In addition, in the learning step, the time for each of the high and low sections of the photosensor output signal is measured, and when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outlet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completed, the measured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time for each of the high and row sections are stored.

또한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 시 폐쇄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폐쇄 동작을 즉시 중단하고,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Further, whe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not completed within the closing time limit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e closing operation is immediately stopped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controlled.

또한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 시 토출구 개폐 수단이 손가락 끼임 방지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 구간에 진입하였으면 상기 포토센서의 출력신호의 하이 구간과 로우 구간이 상기 학습 단계에서 측정된 하이 및 로우 구간별 시간의 최대값 및 최소값의 범위 내에 속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폐쇄 동작을 즉시 중단하고,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determines whether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entered the finger pinching prevention section, and when entering the finger pinching prevention section, the high section and the low sec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photosensor are in the learning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within the range of the measured maximum and minimum time periods for each of the high and low intervals, and if it is not within the range, the closing operation is immediately stopped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is performed.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토출구의 폐쇄 동작시 손가락 끼임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reliably prevent the pinching phenomenon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port.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제품(공기조화기) 사용 시간의 증가나 부착물에 의한 무게 증가에 따른 토출구 개폐 수단의 이동 속도의 변화 시에도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 시 발생할 수 있는 손가락 끼임 현상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오감지 감소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pinch phenomenon that can occur during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even when the movement speed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use time of the product (air conditioner) or the weight increase due to the attachment There is a detectable effect (reduction of false sens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 본체(10, 이하 '본체'라 한다)와 본체(10)의 전면을 덮는 전면패널(20)을 포함하며, 본체(10) 내부에는 본체(10) 내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 흡입력 및 송풍력을 발생시켜 실내공기가 본체(10) 내로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한 후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실내팬 모터(도 4의 72) 및 실내팬(도 4의 74), 전면패널(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면패널 구동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unit main body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ody”) and a front panel 20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form an exterior thereof. Includ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e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for heat exchange with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generates a suction force and a blowing force so that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and sucked air After the heat exchange, the indoor fan motor (72 of FIG. 4) and the indoor fan (74 of FIG. 4) and the front panel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front panel 2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installed. have.

또한 본체(10)의 후면 하부에는 실내공기가 본체(10) 내로 흡입될 수 있도록 후면 흡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ar suction port 11 is formed at the lower rear of the main body 10 so that indoor air can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본 실시예에서 전면패널(20)은 본체(10)의 전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진 이동시 형성되는 본체(10)와 전면패널(20)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통과하여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anel 2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allow air to flow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front panel 20 formed during the forward movement. The flow path is formed.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와 전면패널(20)의 상부 사이의 공간은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구(21)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전면패널(20)의 하부 양단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측면 흡입구(22)가 마련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20 forms a discharge port 21 through which heat-exchang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At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side air inlets 22 are provided to allow indoor air to be sucked.

따라서 실내공기는 후면 흡입구(11) 및 측면 흡입구(22)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를 통해 열교환한 후 본체(10)와 전면패널(2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토출구(21)를 통해 본체(10)의 양측 전방과 상측 전방을 향하여 토출된다.Therefore,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rear suction port 11 and the side suction port 22, and the introduced air is heat-exchanged through an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and then the main body 10 and the front panel ( It is discharged toward both front and upper front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 formed in the space between.

본 실시예에서는 후면 흡입구(11) 및 측면 흡입구(22)가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후면 흡입구(11) 및 측면 흡입구(22) 중 어느 하나만을 형성하는 경우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both the rear suction port 11 and the side suction port 22 are formed is described, but only one of the rear suction port 11 and the side suction port 22 may be form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전면패널 닫힘(폐쇄) 상태를, (b)는 전면패널의 열림(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기구물(23)은 전면패널(20)의 배면에 설치되어 전면패널(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동반 이동하게 된다. 이 기구물(23)에는 각각 전면패널(20)의 개폐 여부 및 개방(폐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폐 감지 부재(24)와 개방 정도 감지 부재(2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10) 측에는 각각 전면패널(20)의 개폐 및 개방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포토센서(26) 및 제 2 포토센서(27)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ront panel open and closed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the front panel closed (closed) state, (b) is open (open) of the front panel ) Indicates the status. The mechanism 23 shown in FIG. 2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to move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front panel 20. The mechanism 23 is equipped with an opening / closing detecting member 24 and an opening degree detecting member 25 used to detect whether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or closed and the degree of opening (clos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photosensor 26 and the second photosensor 27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front panel 2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side, respectively.

여기서, 전면패널(20)이 앞으로(전진) 이동시 열리는 것(개방)으로, 전면패널(20)이 뒤로(후퇴) 이동(원위치로 복귀)시 닫히는 것(폐쇄)으로 정의하도록 한다.Here, the front panel 20 is defined as being opened (opened) when moving forward (forward), and being closed (closed) when the front panel 20 is moved backward (retracte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2의 (a)가 전면패널(2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낸다고 했을 때, 전면패널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전면패널(20)이 전진 이동(도 2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전진 방향으로 본다고 가정)하게 되면 전면패널(20)의 배면에 설치된 기구물(23)도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구물(23)에 장착된 개폐 감지 부재(24) 및 개방 정도 감지 부재(25) 역시 전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면패널(20)의 전진 이동이 완료되면 즉, 전면패널(20)이 최대로(완전히) 개방되면 도 2의 (b)에 도시 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20)의 폐쇄 및 개방(이동)에 따라 제 1 포토센서(26) 및 제 2 포토센서(27)를 통과하는 개폐 감지 부재(24) 및 개방 정도 감지 부재(25)의 부위가 변경된다.When (a) of FIG. 2 shows the closed state of the front panel 20, the front panel 20 moves forward by the drive of the front panel drive device (the movement to the left direction in FIG. 2 is seen as the forward direction). Assume that the mechanism 23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20 also moves forward.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mber 24 and the opening degree detection member 25 mounted on the mechanism 23 also move forward. Therefore, whe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ront panel 20 is completed, that is, when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to the maximum (completely), the state as shown in FIG. As shown in (a) and (b) of FIG. 2, the opening / closing sensing memb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hotosensor 26 and the second photosensor 27 according to the closing and opening (moving) of the front panel 20. The part of the 24 and the opening degree sensing member 25 are changed.

도 3의 (a), (b)는 각각 개방 정도 감지 부재 및 개폐 감지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종단면도)이고, 도 4의 (a), (b)는 각각 도 3의 개방 정도 감지 부재 및 개폐 감지 부재가 포토센서를 통과할 때(전면패널의 이동 시) 포토센서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A) and (b) of FIG. 3 are views (vertic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hapes of the opening degree detecting memb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ng member, respectively, and FIGS. 4a and 4b respectively show the opening degree detecting member of FIG. And an output waveform of the photosensor when the opening / closing sens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photosensor (when the front panel moves).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정도 감지 부재(25)는 복수 개의 돌출부(①, ③, ⑤, ⑦, ⑨. ⑪)와 홈 형성부(②, ④, ⑥, ⑧, ⑩, ⑫)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감지 부재(24)는 2개의 돌출부(⑬, ⑮)와 하나의 큰 홈 형성부(⑭)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opening degree detecting member 25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①, ③, ⑤, ⑦, ⑨. ⑪ and groove forming portions ②, ④, ⑥, ⑧, ⑩, And (b),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member 24 is composed of two protrusions and one large groove forming portion, as shown in FIG.

도 3의 (a)에서 전면패널(20)의 개방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포토센서(27)에 개방 정도 감지 부재(25)의 돌출부인 ⓛ 부분이 놓여질 때를 전면패널(20)의 폐쇄 상태라고 본다면, 전면패널(20)의 전진 이동(개방 동작)에 따라 개방 정도 감지 부재(25)의 홈 형성부(도 3의 ②, ④, ⑥, ⑧, ⑩, ⑫ 부분)와 돌출부(도 3의 ③, ⑤, ⑦, ⑨. ⑪)가 번갈아 가면서 제 2 포토센서(27)를 통과하게 된다. The closing of the front panel 20 when the ⓛ portion of the protrusion of the opening degree detecting member 25 is placed on the second photosensor 27 for detec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front panel 20 in FIG. In view of the state,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the groove forming portions (2, 4, 6, 8, 8, 8 and 6) of the opening degree detecting member 25 and the protrusions (Fig. 3). 3, ⑤, ⑦ and ⑨) of 3 are alternately passed through the second photo sensor 27.

이 때, 개방 정도 감지 부재(25)의 돌출부(①, ③, ⑤, ⑦, ⑨. ⑪)가 제 2 포토센서(27)를 통과할 때 로우(Low) 신호(0)를 출력하고, 홈 형성부(②, ④, ⑥, ⑧, ⑩, ⑫)가 통과할 때 하이(High) 신호(1)를 출력한다고 하면, 전면패널(20)의 전진 이동(개방 동작)에 따라 제 2 포토센서(27)는 도 4의 (a)에 도시한 형태의 펄스 파형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T1은 하이 신호 구간의 시간을 나타내며, T2는 로우 신호 구간의 시간을 나타낸다.At this time, when the protrusions ①, ③, ⑤, ⑦, ⑨ of the opening degree detecting member 25 pass through the second photosensor 27, a low signal 0 is outputted, and the groove If the high signal 1 is output when the forming portions ②, ④, ⑥, ⑧, ⑩, ⑫ pass, the second photosensor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Numeral 27 outputs a pulse waveform of the form shown in Fig. 4A. Here, T1 represents the time of the high signal section, T2 represents the time of the low signal section.

또한 도 3의 (b)에서 전면패널(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포토센서(26)에 개폐 감지 부재(24)의 돌출부인 ⑬ 부분이 놓여질 때를 전면패널(20)의 폐쇄 상태라고 본다면, 전면패널(20)의 전진 이동(개방 동작)에 따라 개폐 감지 부재(24)의 홈 형성부(도 3의 ⑭ 부분)와 돌출부(도 3의 ⑮)가 차례로 제 1 포토센서(26)를 통과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losing of the front panel 20 when the 때 portion, which is a protrusion of the opening / closing sensing member 24, is placed on the first photosensor 26 for detecting whether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or closed in FIG. 3B. In the state of view,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the groove forming part (the part of Fig. 3) and the protrusion (Fig. 3) of the opening / closing sensing member 24 are sequentially turned on by the first photosensor ( 26).

이 때, 개폐 감지 부재(24)의 돌출부(⑬, ⑮)가 제 1 포토센서(26)를 통과할 때 로우(Low) 신호(0)를 출력하고, 홈 형성부(⑭)가 통과할 때 하이(High) 신호(1)를 출력한다고 하면, 전면패널(20)의 전진 이동(개방 동작)에 따라 제 1 포토센서(26)는 도 4의 (b)에 도시한 형태의 펄스 파형을 출력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protrusion of the opening / closing detecting member 24 passes through the first photosensor 26, the low signal 0 is outputted and when the groove forming portion passes. When the high signal 1 is outputted, the first photosensor 26 outputs the pulse waveform shown in FIG. 4B according to the forward movement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Don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패널(20), 전원부(30), 입력부(40), 실내온도 감지부(50), 제 1 포토센서(26), 제 2 포토센서(27), 제어부(60), 실내팬 모터 구동부(70), 기어드 모터 구동부(80), 표시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anel 20, a power supply unit 30, an input unit 40, an indoor temperature sensing unit 50, The first photosensor 26, the second photosensor 27, the controller 60, the indoor fan motor driver 70, the geared motor driver 80, and the display unit 90 are configured to be included.

전면패널(20)은 토출구(21) 및 측면 흡입구(22)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본체(10)의 전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ront panel 2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port 21 and the side suction port 22.

전원부(30)는 교류전원단(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실내기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power supply unit 30 converts a commercial AC voltage supplied from an AC power supply terminal (not shown) into a predetermined DC voltag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nd outputs it.

입력부(40)는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와 운전의 시작/정지, 희망온도, 토출공기의 설정풍량 및 설정풍향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20) 또는 리모컨에 다수의 키를 포함한다.Input unit 40 allows the user to input the desired operation mode (automatic, cooling, dehumidification, blowing, heating, etc.) of the air conditioner, the start / stop of operation, the desired temperature, the set air volume and the set wi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he front panel 20 or the remote control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실내온도 감지부(50)는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50 detects the temperature of indoor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제 1 포토센서(26) 및 제 2 포토센서(27)는 각각 전면패널(20)의 개폐 여부 및 개방(폐쇄) 정도를 감지한다.The first photosensor 26 and the second photosensor 27 detect whether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or closed and the degree of opening (closed), respectively.

제어부(60)는 전원부(3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실내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입력부(40)를 통해 선택된 운전모드 및 운전 시작/정지 신호에 따라 실내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운전 여부 또는제 1 포토센서(26) 및 제 2 포토센서(27)의 감지결과에 따라 전면패널(20)의 개폐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60 is a microcomputer that initializes the indoor unit by receiving the DC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the operation start / stop signal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40.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ront panel 20 is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or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photosensor 26 and the second photosensor 27.

실내팬 모터 구동부(70)는 입력부(40)를 통해 선택된 풍량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냉풍, 온풍)를 실내로 송풍하기 위해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실내팬 모터(72) 및 실내팬(74)을 구동시킨다. The indoor fan motor driving unit 70 receives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60 to blow the heat exchanged air (cold and warm air) into the room according to the selected air volume through the input unit 40. And the indoor fan 74 is driven.

기어드 모터 구동부(80)는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기어드 모터(82)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전면패널(20)을 (본체(10)의 전면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20)을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기어드 모터(82)를 이용하였으나, 이외에도 스테핑 모터 등 전면패널(20)을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동력장치라도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The geared motor driving unit 80 moves the front panel 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relativ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geared motor 8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6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ared motor 82 is used as a device for driving the front panel 20. However, any power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drive the front panel 20 such as a stepping motor.

표시부(90)는 사용자가 입력부(40)를 통해 입력한 운전모드(자동, 냉방, 제습, 송풍, 난방 등), 희망온도, 실내온도 및 전면패널(20)의 폐쇄 동작시 본체(10)와 전면패널(20) 사이의 공간 내에 장애물의 존재가 감지될 경우 "장애물 감지"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90 and the main body 10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e (automatic, cooling, dehumidification, blowing, heating, etc.), desired temperature, room temperature, and the front panel 20 input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40. When the presence of an obstacle is detect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anel 20, an "obstacle detection" message is displayed.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사용자에 의해 본체(10)에 전원이 투입되면(105) 제어부(60)는 제 1 및 제 2 포토센서(26, 27)로부터 감지 데이터(출력신호)를 읽어 들여 전면패널(20)이 닫혀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110).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이 닫힘 상태이면(단계 110에서의 '예') 제어부(60)는 다시 입력부(40)로부터 운전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115) 운전 시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단계 115에서의 '아니오') 운전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전면패널(20)이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Firs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10 by the user 105, the control unit 60 reads the sensing data (output signal) from the first and second photosensors 26 and 27 so that the front panel 20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closed (11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front panel 20 is in the closed state (YES in step 110),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whether an operation start signal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40 again (115) and an operation start signal is not input. If not (NO in step 115), the front panel 20 is kept closed until the operation start signal is input.

반면 단계 110에서의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이 닫힘 상태가 아니거나(단계 110에서의 '아니오'), 단계 115에서의 판단결과 운전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115에서의 '예') 제어부(60)는 기어드 모터 구동부(8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전면패널(20)이 앞으로 이동(전진)하여 열리도록 제어한다(120). 이 때, 제어부(60)는 전면패널(20)이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 2 포토센서(27)로부터 출력신호(펄스 파형의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신호의 각 하이(High) 구간 시간(T1, 도 4의 ②, ④, ⑥, ⑧, ⑩, ⑫ 구간 시간) 및 로우(Low) 구간 시간(T2, 도 4의 ①, ③, ⑤, ⑦, ⑨, ⑪ 구간 시간)을 측정한다(125).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110 is that the front panel 20 is not closed (No in step 110) or the operation start signal is input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step 115 (YES in step 115),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6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geared motor driving unit 80 and controls the front panel 20 to move forward (forward) to ope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ront panel 20 to be opened and at the same time receives an output signal (a signal of a pulse waveform) from the second photosensor 27 and outputs each high section time of the output signal ( T1, ②, ④, ⑥, ⑧, ⑩, ⑫ section time of Fig. 4 and Low section time (T2, ①, ③, ⑤, ⑦, ⑨, ⑪ section time of Fig. 4) is measured ( 125).

이후 제어부(60)는 전면패널(20)이 최대로(완전히) 열렸는가 여부를 판단한다(130).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의 최대 열림 상태가 아니면(단계 130에서의 '아니오')제어부(60)는 다시 개방 제한 시간(전면패널(20)의 전체 개방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음)이 도과(타임 아웃, Time Out)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135). 판단결과 아직 개방 제한 시간이 도과되지 않았으면(단계 135에서의 '아니오') 제어부(60)는 단계 120으로 돌아가 계속적으로 전면패널(20)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whether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at maximum (completely) (1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panel 20 is not in the maximum open state (No in step 130), the control unit 60 is preset to the opening time limit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n step 13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me has elapsed (Time Ou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ning time limit has not yet passed (NO in step 135), the control unit 60 returns to step 120 to control to continuously open the front panel 20.

여기서, 타임 아웃 여부의 판단은 개방 제한 시간 내에 제 1 포토센서(26)의 출력신호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 즉, 개방 제한 시간 내에 제 1 포토센서(26)의 출력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도 4를 기준으로 했을 때)로 변화하지 않으면 타임 아웃으로 판단하게 된다. Here,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o time out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sensor 26 within the opening time limit. That is, i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photosensor 26 does not change from high to low (when referring to FIG. 4) within the open time limit, it is determined as time out.

단계 135의 판단결과 개방 제한 시간 도과(타임 아웃)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면패널(20)이 최대 열림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 즉, 개방 제한 시간 내에 전면패널(20)의 개방 동작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라면(단계 135에서의 '예') 제어부(60)는 개방 동작 중에 에러가 발생(예: 전면패널(20)의 전진 방향에 커다란 장애물이 위치하여 전면패널(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황 등)한 것으로 판단하여 전면패널(20)을 여는 동작을 즉시 중단시키고(140), 전면패널(20)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장애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에러 발생을 알람이나 램프, 표시부(9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145). If the front panel 20 does not reach the maximum open state even though the open timeout has elapsed (timed o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35,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s not completed within the open time limit. (YES in step 135) The controller 60 generates an error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for example, a situation in which a large obstacle is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front panel 2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ront panel 20).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front panel 20 is stopped immediately (140), and the alarm is generated through an alarm or a lamp, the display unit 90, etc. so that the obstacle located on the front panel 20 movement path can be removed. Notify the user (145).

다시 단계 130으로 돌아가서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이 최대로(완전히) 열렸으면 즉, 개방 제한 시간 내에 전면패널(20)의 개방 동작이 완료되었으면(단계 130에서의 '예') 제어부(60)는 단계 125에서 측정한 값으로 하이 구간 및 로우 구간 각각에 대한 최대/최소 시간값(TMAX_HIGH, TMIN_HIGH, TMAX_LOW, TMIN_LOW)을 업데이트한다(150). TMAX _ HIGH, TMIN _ HIGH, TMAX _ LOW, TMIN _ LOW는 제품이 출시될 때 초기 설정되어 있으며, 전면패널(20)의 개방 동작이 수행될 때마다 그 값이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제품 사용 시간의 증가(기구물의 마찰 증가)나 (전면패널(20)에의) 부착물에 의한 무게 증가에 따른 전면패널(20) 이동 속도의 변화 시에도 전면패널(20)의 개방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하이 구간 및 로우 구간 각각에 대한 최대/최소 시간값이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여 손가락 끼임의 오감지를 줄일 수 있게 된다.Returning to step 130 agai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to the maximum (completely), that i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s completed within the opening time limit (YES in step 130), the controller 60 Is the value measured in step 125, and the maximum and minimum time values (T MAX_HIGH , T MIN_HIGH , T MAX_LOW , T MIN_LOW ) is updated (150). T MAX _ HIGH , T MIN _ HIGH , T MAX _ LOW , T _ MIN LOW has been initially set when the product is released, each tim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s carried out is updated, its value. Therefor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s performed even when the moving speed of the front panel 20 changes due to an increase in product use time (increased friction of the device) or an increase in weight due to an attachment (to the front panel 20). Each time the maximum and minimum time values for each of the high and low sections are updated, a flexible response is possible, thereby reducing the erroneous detection of finger pinching.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20)의 개방 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하이 구간 및 로우 구간 각각에 대한 최대/최소 시간값을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이용하였지만, 설정 횟수의 개방시 그 평균값으로 업데이트(예: 10회 개방에 따른 평균값으로 1회 갱신)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updating the maximum / minimum time values for each of the high and low sections is used whenever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s performed. It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one-time update to the average value of 10 openings.

다음으로 제어부(60)는 입력부(40)로부터 운전 시작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155) 운전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155에서의 '예') 전면패널(20)이 열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60)는 단계 115에서 운전 시작 신호의 입력에 의해 전면패널(20)의 개방 동작으로 이행된 경우에는 공조 운전 상태가 지속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Next,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whether an operation start signal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40 (155), and when the operation start signal is input (YES in step 155), the front panel 20 maintains an open state. To control. 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unit 60 is shifted to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by the input of the operation start signal in step 11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r conditioning operation state is continued.

반면 판단결과 입력부(40)로부터 운전 정지(OFF)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155에서의 '아니오') 제어부(60)는 다시 전면패널(20)의 최대 열림 상태인가 여부를 판단한다(160).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의 최대 열림 상태가 아니면(단계 160에서의 '아니오') 제어부(60)는 단계 120으로 돌아가 전면패널(20)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On the contrary, if the driving stop signal (OFF)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40 (NO in step 155),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the front panel 20 is in the maximum open state (1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panel 20 is not in the maximum open state (NO in step 160), the control unit 60 returns to step 120 and controls to perform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반면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의 최대 열림 상태이면(단계 160에서의 '예') 제어부(60)는 기어드 모터 구동부(8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전면패널(20)이 뒤로 이동(후진)하여 닫히도록 제어한다(165).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hat the front panel 20 is in the maximum open state (YES in step 160), the control unit 60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geared motor driving unit 80 so that the front panel 20 moves backward (backward). It is controlled to close (165).

이후 제어부(60)는 전면패널(20)이 완전히 닫혔는가 여부를 판단한다(170).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이 완전히 닫혔으면(단계 170에서의 '예') 제어부(60)는 운전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전면패널(20)이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whether the front panel 20 is completely closed (17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panel 20 is completely closed (YES in step 170),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front panel 20 to remain closed until an operation start signal is input.

반면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이 완전히 닫히지 않았으면(단계 170에서의 '아니오') 제어부(60)는 다시 폐쇄 제한 시간(전면패널(20)의 전체 폐쇄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음)이 도과(타임 아웃, Time Out)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175). 판단결과 폐쇄 제한 시간 도과(타임 아웃)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면패널(20)이 완전 닫힘 상태로 되지 않는 경우 즉, 폐쇄 제한 시간 내에 전면패널(20)의 폐쇄 동작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라면(단계 175에서의 '예') 제어부(60)는 폐쇄 동작 중에 본체(10)와 전면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끼인 것으로 판단하여 전면패널(20)을 닫는 동작을 즉시 중단시키고(180), 본체(10)와 전면패널(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장애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장애물의 존재를 알람이나 램프, 표시부(90)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 후(185),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 내에 끼인 장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20)이 다시 개방시킨다(19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panel 20 is not completely closed (NO in step 170), the control unit 60 is again set to the closing time limit (the time required for the entire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n step 175, it is determined whether elapsed time has elapsed (Time Ou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panel 20 is still not completely closed even though the closing time limit has elapsed (timed out), that is,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s not completed within the closing time limit (step 175). 'Yes') the control unit 60 stops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front panel 20 immediately by determining that an obstacle is caught in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front panel 20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180), After the presence of the obstacle is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an alarm, a lamp, a display unit 90, etc. so that the obstacl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front panel 20 can be removed (185), the user is caught in the space. The front panel 20 is opened again so as to remove the obstacle (190).

단계 175의 판단결과 아직 폐쇄 제한 시간이 도과되지 않았으면(단계 175에서의 '아니오') 제어부(60)는 전면패널(20)의 현재 위치가 손가락 끼임 방지 구간(전면패널(20)이 대략 0~15㎜ 정도 개방된 상태, 도 3의 ①~⑤ 구간) 내로 진입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195).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이 손가락 끼임 방지 구간 내로 진입하지 않았다면(단계 195에서의 '아니오') 제어부(60)는 단계 165로 돌아가 계속적으로 전면패널(20)의 폐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75 that the closing time limit has not yet passed (NO in step 175),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ront panel 20 is a pinch prevention interval (the front panel 20 is approximately 0). In step 19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has entered the open state of about 15 mm and entered into the sections 1 to 5 of FIG. 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panel 20 has not entered the finger pinching prevention section (NO in step 195), the control unit 60 returns to step 165 to control to continuously close the front panel 20.

반면 판단결과 전면패널(20)이 손가락 끼임 방지 구간 내로 진입하였다면(단계 195에서의 '예') 제어부(60)는 제 2 포토센서(27) 출력신호가 단계 150에서 업데이트된 하이 구간의 최소~최대 시간 범위(TMIN_HIGH~TMAX_HIGH, 대략 240msec~560msec) 및 로우 구간의 최소~최대 시간 범위(TMIN_LOW~TMAX_LOW, 대략 380msec~730msec, 이하 이 범위들(하이/로우)을 '정상 범위'라 한다)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00). 판단결과 제 2 포토센서(27) 출력신호의 하이 구간과 로우 구간이 각각 정상 범위 내에 속하면(단계 200에서의 '예') 제어부(60)는 단계 165로 돌아가 계속적으로 전면패널(20)의 폐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panel 20 enters the finger pinching prevention section (YES in step 195),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that the second photo sensor 27 output signal is updated to the minimum of the high section in step 150. Maximum time range (T MIN_HIGH to T MAX_HIGH , approximately 240 msec to 560 msec) And whether it is present in the minimum to maximum time range (T MIN_LOW to T MAX_LOW , approximately 380 msec to 730 msec, hereinafter these ranges (high / low) is referred to as a 'normal range') of the low interval (2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igh and low sections of the second photosensor 27 output signal are within the normal ranges (YES in step 200), the control unit 60 returns to step 165 and continuously the front panel 20 is moved. Control to perform the closing operation.

반면 판단결과 제 2 포토센서(27) 출력신호의 하이 구간과 로우 구간이 각각 정상 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즉, 정상 범위를 벗어난 출력신호가 입력되면(단계 200에서의 '아니오') 제어부(60)는 손가락 방지 구간 내에 손가락 등의 작은 장애 물이 끼인 것으로 판단하여 폐쇄 제한 시간 내에 전면패널(20)의 폐쇄 동작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타임 아웃)에서와 마찬가지로 단계 180 내지 단계 190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패널(20)의 개방 동작 과정에서 제 2 포토센서(27) 출력신호의 변화를 학습(센서 출력신호의 하이 및 로우 구간별 시간을 측정하고, 이 값으로 하이 구간 및 로우 구간 각각에 대한 최대/최소 시간값(정상 범위) 업데이트)하여 전면패널(20)의 폐쇄 동작 시 이를 적용함으로써 폐쇄 동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가락 끼임 현상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high and low sections of the second photosensor 27 output signal do not belong to the normal range, that is, if the output signal outside the normal range is input (No in step 200), the controller 60 If it is determined that a small obstacle such as a finger is caught in the finger prevention section, control is performed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steps 180 to 190 as in the case wher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is not completed (time out) within the closing time limit. do. As described above, the chang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photo sensor 27 is learned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measuring the time for each high and low period of the sensor output signal, and using this value, the high and low intervals are measured. By updating the maximum / minimum time value (normal range) for each of the front panel 20, the application may be applied to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panel 20, thereby more accurately detecting a pinching phenomenon that may occur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20)이 본체(10) 전면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구를 개폐하는 공기조화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패널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토출구를 개폐하거나, 토출 블레이드의 회전(또는 개폐)에 따라 토출구가 개폐되는 모든 사양의 공기조화기에 적용이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anel 20 is move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to describe the case of the air condition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s an exampl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front panel is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while moving up and down, or can be a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of any specification that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bl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닫힘(폐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b)는 전면패널의 열림(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a)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ront panel closed (closed)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n (opened) state of the front panel to be.

도 3의 (a), (b)는 각각 전면패널의 배면에 설치되는 개방 정도 감지 부재 및 개폐 감지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종단면도)이다.3 (a) and 3 (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hapes of the opening degree sensing memb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ensing member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vertical cross sectional view).

도 4는 (a), (b)는 각각 도 3의 개방 정도 감지 부재 및 개폐 감지 부재가 포토센서를 통과할 때(전면패널의 이동 시) 포토센서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4A and 4B illustrate output waveforms of the photosensors when the opening degree sensing member and the opening / closing sensing member of FIG. 3 pass through the photosensors (when the front panel move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록도이다.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 본체 20 : 전면패널10: main body 20: front panel

24 : 개폐 감지 부재 25 : 개방 정도 감지 부재24: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member 25: opening degree detection member

26 : 제 1 포토센서 27 : 제 2 포토센서26: first photosensor 27: second photosensor

60 : 제어부 80 : 기어드 모터 구동부 60: control unit 80: geared motor drive unit

82 : 기어드 모터 90 : 표시부82: geared motor 90: display unit

Claims (4)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본체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출구 개폐 수단과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정도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and a photo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동작 시 상기 포토센서의 출력 신호를 학습하는 단계;Learning the output signal of the photosensor during opening operation of the outlet opening / closing means;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요구가 있으면 상기 학습된 포토센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Controll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by u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learned photosensor if the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reques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 단계에서는 상기 포토센서 출력신호의 하이 및 로우 구간별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측정된 하이 및 로우 구간별 시간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저장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In the learning step, an air conditioner for measuring the time for each of the high and low sections of the photosensor output signal, and storing the measured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time for each of the high and low sections when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outlet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completed.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 시 폐쇄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폐쇄 동작을 즉시 중단하고,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If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not completed within the closing time limit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the closing operation is immediately stopped,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clos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폐쇄 동작 시 토출구 개폐 수단이 손가락 끼임 방지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손가락 끼임 방지 구간에 진입하였으면 상기 포토센서의 출력신호의 하이 구간과 로우 구간이 상기 학습 단계에서 측정된 하이 및 로우 구간별 시간의 최대값 및 최소값의 범위 내에 속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범위 내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폐쇄 동작을 즉시 중단하고, 상기 토출구 개폐 수단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I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outlet opening and closing mean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let opening and closing means enters the finger pinching prevention section, and when the finger pinching preventing section is entered, the high section and the low section of the output signal of the photosensor are measured in the learning step. Determining whether it is within a range of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time for each of the high and low intervals, and if not within the range, stop the closing operation immediately and control to perform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 closing means. Control method
KR1020080011879A 2008-02-05 2008-02-05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101222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879A KR101222578B1 (en) 2008-02-05 2008-02-05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879A KR101222578B1 (en) 2008-02-05 2008-02-05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942A KR20090085942A (en) 2009-08-10
KR101222578B1 true KR101222578B1 (en) 2013-01-16

Family

ID=4120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879A KR101222578B1 (en) 2008-02-05 2008-02-05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5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9768B (en) * 2013-12-03 2016-03-23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Ground heating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78319B2 (en) * 2015-10-01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527662B1 (en) * 2016-01-07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110966708B (en) * 2018-09-29 2021-04-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nitial opening degree of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112556144B (en) * 2020-12-03 2022-05-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Door body structure, control method thereof and air conditio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73B1 (en) 1996-06-22 1999-05-01 김광호 Device and method of air flow control for airconditioner
KR20010068829A (en) * 2000-01-10 2001-07-23 구자홍 Sensing method of door's open/close for air-conditioner
KR20060077398A (en)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80001315A (en) * 2006-06-29 2008-01-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uto shutter for position control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273B1 (en) 1996-06-22 1999-05-01 김광호 Device and method of air flow control for airconditioner
KR20010068829A (en) * 2000-01-10 2001-07-23 구자홍 Sensing method of door's open/close for air-conditioner
KR20060077398A (en)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80001315A (en) * 2006-06-29 2008-01-0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uto shutter for position control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942A (en)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000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22578B1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JPH0755230A (en) Emitting orifice switchgear of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EP2508812B1 (en) Air conditioner
JPH09196442A (en)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suction port and discharging por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r closing device
US5787717A (en) Suction inlet/discharge outlet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n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for
KR20090129536A (en) Air conditioner
JP3607689B2 (en) Air conditioner controlled based on amount of infrared ray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12619110U (en) Dehumidifier
KR0149185B1 (en) Device and method with controlling the air flow louver
KR100197683B1 (en) Exit open-close device of airconditioner
KR20090055071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100187273B1 (en) Device and method of air flow control for airconditioner
JPH09178253A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554281B1 (en) A air conditioner and a louver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KR100551965B1 (en) Air conditioner and its control method
KR0125754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outlet in air-conditioner and the method therefor
KR100231025B1 (en) Airconditioner operating control device and its method
KR20060134542A (en) The method of control closing error for auto-shutter in air conditioner
KR200494093Y1 (en)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090066592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82576B1 (en)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r opening and closing air inlet of airconditioner
KR100244316B1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KR20090002304U (en) Air Conditioner
KR100461654B1 (en) A van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