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481B1 -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 - Google Patents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481B1
KR101222481B1 KR1020100103771A KR20100103771A KR101222481B1 KR 101222481 B1 KR101222481 B1 KR 101222481B1 KR 1020100103771 A KR1020100103771 A KR 1020100103771A KR 20100103771 A KR20100103771 A KR 20100103771A KR 101222481 B1 KR101222481 B1 KR 10122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ishing line
bait
m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2202A (ko
Inventor
손윤호
Original Assignee
손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윤호 filed Critical 손윤호
Priority to KR102010010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4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01K91/065Jiggling devices, i.e. devices for moving the l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미끼를 이동시킬 수 있고 낚시채비 회수가 용이하며 낚시줄만으로 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미끼 이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낚시줄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방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에 뜨는 함체; 상기 함체를 동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수단; 양측에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나사홈이 형성된 로크부재; 회전축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는 릴리즈모터; 상기 동력수단에 전원을 연결 혹은 차단하기 위한 제1 스위치; 상기 릴리즈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함체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목적지에 도달하여 낚시줄이 당겨지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스위치를 일시 온시켜 상기 릴리즈 모터를 일시 동작시키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는 바늘과 추를 회수할 때, 함체 아래에 형성된 깔대기 모양의 스위치 하우징이 물의 저항을 크게 하여 함체보다 추와 잡은 고기가 먼저 수직으로 올라온 후 수면에 뜬 상태에서 함체가 이동하여 바늘과 추가 물속 바닥의 해초나 다른 장애물에 걸릴 염려가 적어 물속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A MOTOR 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미끼를 이동시킬 수 있고 낚시채비 회수가 용이하며 낚시줄만으로 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미끼 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히고, 낚싯줄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지형이나 물고기의 먹이 취이 특성에 따라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수심을 잴 때는 자의 구실도 하는데 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수초나 장애물에 걸렸는지의 여부를 판별케 한다.
또한 바닥의 생김새나 수초의 유무도 판별할 수 있고, 물 흐름의 여부, 방향, 속도도 알 수 있으며, 찌의 성능은 낚시를 던졌을 때 물속으로 천천히 잠겨야 하고 찌올림은 빠른 것이 좋다. 구조는 크게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상단에 가느다란 눈금이 표시된 부분이 찌톱이며, 부력을 좌우하는 중간부분의 몸통, 그리고 낚싯줄과 연결하기 위하여 유연한 줄로 연결된 날라리가 있다. 찌에 따라서 날라리가 없는 것도 있고, 몸통의 형태가 다양한 것들도 많으며, 최근에는 2중 부력으로 미끼의 바닥위치를 유리하게 만들어주는 찌와 입질이 오면 빛을 발산하는 찌 등 특수한 기능의 찌도 사용되고 있다.
바다낚시에서 사용되는 찌는 사용되는 곳에 따라 그 크기와 모양새가 각각 다르게 선택되지만 색깔이 선명하여 어떠한 조건에서라도 곧장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색깔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찌의 모양새가 길고 몸통이 갸름한 것은 바다가 조용하거나 물고기의 입질이 미세하여 채비의 예민성이 요구될 때 많이 사용되는 타입이고, 찌의 모양새가 짧고 몸통이 넓은 것은 바람이 다소 불어오거나 아니면 파도가 높은 곳에서 물고기의 취이활동이 활발할 때, 혹은 파도가 부서지거나 포말이 형성되는 곳에 많이 사용된다.
낚시질에서 훌륭한 성과를 얻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미끼를 어류의 서식지 근처로 정확히 던지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낚시터에서 어류의 서식지는 낚시꾼이 서 있는 위치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미끼를 멀리 던지는 기술이 필요한데, 숙련된 낚시꾼이 아니고는 멀리 던지는 것이 어려워 초보자나 여성조사의 경우 좋은 성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바늘과 추를 회수하기 위해 낚시줄을 당기면 당겨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올라오다가 물속 바닥의 해초나 다른 장애물에 바늘과 추가 걸려서 줄이 끊어져 물속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을 이용하여 미끼를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시키되 별도의 무선제어장치나 유선제어장치가 필요없이 낚시줄만으로 동력을 제어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미끼 이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늘과 추를 회수할 때 함체 아래에 형성된 깔대기 모양의 스위치 하우징이 물의 저항을 크게 하여 함체보다 추와 잡은 고기가 먼저 올라온 후 수면에 뜬 상태에서 함체가 이동하여 바늘과 추가 물속 바닥의 해초나 다른 장애물에 걸릴 염려가 적어 물속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낚시줄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방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에 뜨는 함체; 양측에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나사홈이 형성된 로크부재와, 회전축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는 릴리즈모터로 구성되어 이동중에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로크부재가 나사결합을 유지하다가 목적지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로크부재가 이탈되어 추의 무게에 의해 낚시줄이 수중으로 하강하게 하는 낚시줄 로킹부; 상기 동력수단에 전원을 연결 혹은 차단하기 위한 제1 스위치; 상기 릴리즈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함체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목적지에 도달하여 낚시줄이 당겨지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스위치를 일시 온시켜 상기 릴리즈모터를 일시 동작시키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는 동력을 이용하여 미끼를 원하는 위치까지 먼거리를 이동시킬 수 있고, 특히 이동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무선제어장치나 유선제어장치가 필요없이 낚시줄로 간단히 제어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조작이 간단하여 초보자라도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는 바늘과 추를 회수할 때 함체 아래에 형성된 깔대기 모양의 스위치 하우징이 물의 저항을 크게 하여 함체보다 추와 잡은 고기가 먼저 수직으로 올라온 후 수면 위에 떠 있는 미끼 이동기를 향해 수직으로 올라온 후 미끼 이동기와 함께 수면에 뜬 상태에서 회수되므로 바늘과 추가 물속 바닥의 해초나 다른 장애물에 걸려서 줄이 끊어져 물속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의 전기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의 작동 스위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의 낚시줄 로킹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줄(2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112)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방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에 뜨는 함체(110)와, 축(152)에 연결된 스크류(154)를 회전시켜 함체(110)를 동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추진모터(150)와, 건전지(140)와, 목적지로 이송중에는 낚시줄(20)을 고정하고, 목적지에 도달하면 낚시줄(20)을 릴리즈시키기 위한 낚시줄 로킹부(130)와, 추진모터(150)에 건전지(140)의 전원을 연결 혹은 차단하기 위한 제1 스위치(101)와, 낚시줄 로킹부(130)를 릴리즈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102)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1 스위치(101)를 온시켜 함체(11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목적지에 도달하여 낚시줄(20)이 당겨지면 제1 스위치(101)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제2 스위치(102)를 일시 온시켜 낚시줄(20)을 릴리즈시키는 작동 스위치(12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함체(110)는 내부에 건전지(140), 추진모터(150), 릴리즈모터(133) 등을 수용하기 위한 방수공간과 낚시줄(2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112)을 구비하고 있으며, 관(112)의 후미는 낚시줄(20)이 스크류(154)에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함체(110)에는 추의 무게에 따라 균형을 맞추기 위해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력연장수단이 부가될 수 있으며, 함체(110)에는 수면을 이동할 때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날개나 키 등이 부가될 수도 있다. 또한 함체(101)의 내부에는 추진모터(150)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1 스위치(101)와, 릴리즈모터(133)를 온/오프하기 위한 제2 스위치(102)가 있으며, 제1 스위치(101)와 제2 스위치(102)는 영구자석에 의해 동작하는 리드 스위치로 구현된다.
작동 스위치(120)는 함체(110)의 저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고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하측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가이드 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 나팔(깔대기) 형상의 관이 형성된 스위치 하우징(121)과, 스위치 하우징(121)의 가이드 홈(122)에 손잡이(124)가 노출되어 가이드 홈(122)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며 영구자석으로 되어 있는 스위치 몸체(123)와, 스위치 몸체(123)를 스위치 하우징(121)의 전방에 안착시키기 위한 제1 안착편(125)과 스위치 몸체(123)를 제1 스위치(101)측에 일시 안착시키기 위한 제2 안착편(126)과 스위치 몸체(123)를 릴리즈 위치에서 일시 홀딩하기 위한 제3 안착편(127)으로 구성된다. 제1 안착편(125) 내지 제3 안착편(127)은 스위치 몸체(123)와 인력이 작용하는 철편이다.
낚시줄 로킹부(130)는 양측에 낚시줄(20)을 연결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나사홈(131a)이 형성된 로크부재(131)와, 회전축(132)의 단부에 나사산(132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스위치(102)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는 릴리즈모터(133)와, 회전축(132)에 삽입되어 수동으로 회전축(132)을 회전시켜 로크부재(131)와 회전축(132)을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노브(134)로 구성된다.
건전지(140)는 추진모터(150)나 릴리즈모터(133)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이고, 추진모터(150)는 회전축(152)에 연결된 스크류(154)를 회전시켜 미끼이동기(100)가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며, 스크류(154)를 회전시키기 위한 축(152)에는 방수를 위한 방수부재(156)가 부가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의 전기 회로도로서, (가)는 낚시줄 로킹부의 릴리즈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 회로도이고, (나)는 추진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낚시줄 로킹부(130)의 릴리즈모터(133)는 스위치 몸체(123)에 의해 제2 리드 스위치(102)가 온되면, 건전지(140)의 전원이 릴리즈모터(133)에 인가되어 회전축(132)이 회전되면서 로크부재(131)와 회전축(132)의 나사결합을 해제하게 되고, 이에 따라 낚시줄(20)이 추(21)의 무게로 수중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추진모터(150)는 스위치 몸체(123)에 의해 제1 리드 스위치(101)가 온되면, 건전지(140)의 전원이 제1 리드 스위치(101)를 통해 인가되어 동작되고, 이에 따라 스크류(154)가 회전하면서 미끼 이동기(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의 작동 스위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가)는 낚시를 종료하거나 이동 중에 스위치 몸체(123)를 가이드홈(122)의 로크부(122a)측에 기구적으로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나)는 낚시를 시작하기 위해 스위치 몸체(123)를 로크부(122a)에서 릴리즈시켜 릴리즈 위치에서 제3 안착편에 의해 일시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다)는 미끼 이동기(100)를 수중에 투입한 후 일차로 낚시줄을 당겨 작동스위치가 릴리즈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안착편에 의해 제1 스위치 위치에 일시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때 영구자석으로 된 스위치 몸체(123)에 의해 제1 스위치(101)가 온된 상태가 된다. 도 3의 (라)는 미끼 이동기(100)가 목적지에 도달하여 조사가 낚시줄(20)을 낚아 챌 경우에 물저항에 의해 영구자석으로 된 스위치 몸체(123)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제2 스위치(102)를 온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마)는 물저항에 의해 영구자석으로 된 스위치 몸체(123)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다른 영구자석이나 철편으로 된 제1 안착편(125)과 밀착되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낚시를 하지 않을 때는 미끼 이동기의 작동 스위치 손잡이(124)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가)와 같이 스위치 몸체(123)를 로크부(122a)에 고정시켜 놓는다. 이에 따라 이동중에나 보간중에 스위치 몸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나)와 같이 영구자석으로 된 스위치 몸체(123)를 로크부(122a)에서 해제시켜 놓고, 이에 따라 스위치 몸체(123)는 제3 안착편(127)에 의해 릴리즈 위치에서 일시 홀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미끼 이동기(100)를 수중에 투입한 후 낚시줄(20)을 살짝 잡아 당기면 영구자석으로 된 스위치 몸체(123)가 제2 안착편(126)에 끌려 일시적으로 제1 스위치(101) 근처에 안착되며, 이에 따라 제1 스위치(101)를 온시키게 된다. 제1 스위치(101)가 온되면, 추진모터(150)가 동작하게 되고, 미끼 이동기(1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미끼 이동기(100)가 목적지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는 낚시줄(20)을 잡아채고, 이에 따라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스위치 몸체(123)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 스위치(101)는 오프되고 제2 스위치(102) 부근을 통과하면서 제2 스위치(102)를 일시 온시키게 된다. 제2 스위치(102)가 일시 온되면 낚시줄 로킹부(130)의 릴리즈 모터(133)가 동작되어 릴리즈 모터의 회전축(132)에서 로크부재(131)가 이탈되어 추(21)의 무게로 낚시줄(20)이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 스위치 몸체(123)가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전방의 단부 상측에 부착된 제1 안착편(125)과 스위치 몸체(123)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스위치 몸체(123)를 제1 안착편(125) 위치에 안착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의 낚시줄 로킹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가)는 낚시줄이 로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나)는 낚시줄이 릴리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낚시줄(20)을 로크부재(131)의 양측 홀에 연결한 후 로크부재(131)의 나사홈(131a)과 회전축(132)의 나사산(132a)을 일치시킨 후 노브(134)를 손으로 돌려 로크부재(131)와 회전축(132)을 나사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추(21)의 무게에도 불구하고 낚시줄(20)은 고정된다.
만일, 사용자가 낚시줄(20)을 잡아채면, 도 3의 (라)에서와 같이 작동 스위치 몸체(123)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스위치(102)를 일시 온시키게 되고, 제2 스위치(102)가 온되면 릴리즈모터(133)가 순간적으로 온되어 회전축(132)이 회전하면서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부재(131)가 회전축(132)에서 이탈되면서 추(21)의 무게에 의해 낚시줄(20)이 수중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를 이용하여 낚시하는 절차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낚시줄(20)의 끝을 본 발명에 따른 미끼 이동기(100)의 관(112)으로 관통시켜 낚시줄의 끝을 로크부재(131)의 일측 홀에 묶은 다음 로크부재(131)의 다른 쪽 홀에 추(21)가 달린 낚시채비를 묶어 낚시줄(20)을 준비한다. 그리고 로크부재(131)의 나사홈(131a)과 회전축(132)의 나사산(132a)을 일치시킨 후 노브(134)를 손으로 돌려 로크부재(131)와 회전축(132)을 나사결합시킨다(S1).
이어 미끼 이동기의 작동 스위치 손잡이(124)로 스위치 몸체(123)를 로크부(122a)에서 전방으로 옮겨 릴리즈시키고, 이에 따라 영구자석으로 된 스위치 몸체(123)는 릴리즈 위치의 제3 안착편(127)과 인력이 작용하여 일시 정지하게 된다(S2).
이후 미끼 이동기(100)를 수중으로 투입한 후 낚시줄(20)을 잡아당기면 영구자석으로 된 스위치 몸체(123)가 제2 안착편(126) 위치에서 일시 홀딩되면서 제1 리드스위치(101)가 온되고, 이에 따라 추진모터(150)가 동작하면서 미끼 이동기(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S3~S5). 즉, 추진모터(150)가 회전되면, 축(152)에 연결된 스크류(156)가 회전하면서 미끼 이동기(10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함체(110)에 부착된 날개나 키가 함체의 이동 방향을 안정화시킨다.
미끼 이동기(100)가 목적지에 도달하게 되면, 사용자는 낚시줄(20)을 잡아채고, 이에 따라 작동 스위치의 몸체(123)가 물저항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작동 스위치 몸체(123)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 스위치(101)는 오프되고 제2 스위치(102) 부근을 통과면서 제2 스위치(102)를 일시 온시키게 된다(S6~S9).
제2 스위치(102)가 온되면 릴리즈모터(133)가 동작되어 회전축(132)에 체결된 로크부재(131)가 나사결합이 해제되면서 로크부재(131)는 회전축(132)에서 이탈되면서 추(21)의 무게에 의해 낚시줄(20)이 수중으로 낙하된다(S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낚시를 하다가 낚시를 종료하면 낚시줄(20)을 당겨 미끼 이동기(100)를 회수하게 된다(S11,S12). 이때 함체(110) 아래에 형성된 깔대기 모양의 스위치 하우징(121)이 물의 저항을 크게 하여 함체(110)보다 추와 바늘에 걸린 고기가 먼저 수직으로 올라온 후 함체(110)가 이동하게 되므로 추와 바늘이 미끼 이동기(100)와 함께 수면에 뜬 상태에서 회수되어 바늘과 추가 물속 바닥의 해초나 다른 장애물에 걸려서 줄이 끊어져 물속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미끼 이동기 101: 제1 스위치
102: 제2 스위치 110: 함체
112: 관 120: 작동 스위치
121: 스우치 하우징 122: 가이드 홈
123: 스위치 몸체 124: 손잡이
130: 낚시줄 로킹부 131: 로크부재
132: 회전축 133: 릴리즈모터
134: 노브 140: 건전지
150: 모터 152: 축
154: 스크류 156: 방수부재

Claims (4)

  1. 낚시줄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방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에 뜨는 함체;
    상기 함체를 동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수단;
    양측에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나사홈이 형성된 로크부재와, 회전축의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동작하는 릴리즈모터로 구성되어 이동중에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로크부재가 나사결합을 유지하다가 목적지에 도달하면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로크부재가 이탈되어 추의 무게에 의해 낚시줄이 수중으로 하강하게 하는 낚시줄 로킹부;
    상기 동력수단에 전원을 연결 혹은 차단하기 위한 제1 스위치;
    상기 릴리즈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를 온시켜 상기 함체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목적지에 도달하여 낚시줄이 당겨지면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스위치를 일시 온시켜 상기 릴리즈모터를 일시 동작시키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이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로킹부는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수동으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로크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노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이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는
    내부가 비어 있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 나팔형상의 관이 형성된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가이드 홈에 손잡이가 노출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며 영구자석으로 되어 있는 스위치 몸체와, 상기 스위치 몸체를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전방에 안착시키기 위한 제1 안착편과, 상기 스위치 몸체를 상기 제1 스위치측에 일시 안착시키기 위한 제2 안착편과, 상기 스위치 몸체를 릴리즈 위치에 일시 안착시키기 위한 제3 안착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이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 이동기는
    추의 무게에 따라 균형을 맞추기 위해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력연장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이동기.
KR1020100103771A 2010-10-25 2010-10-25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 KR101222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71A KR101222481B1 (ko) 2010-10-25 2010-10-25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71A KR101222481B1 (ko) 2010-10-25 2010-10-25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202A KR20120042202A (ko) 2012-05-03
KR101222481B1 true KR101222481B1 (ko) 2013-01-15

Family

ID=4626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771A KR101222481B1 (ko) 2010-10-25 2010-10-25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4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79U (ja) * 1991-02-19 1993-02-09 豊 金井 釣糸移動用浮動子
JPH0595750A (ja) * 1991-10-07 1993-04-20 Koyo Seiko Co Ltd 釣り用モ−タ浮き
KR100709037B1 (ko) 2006-01-18 2007-05-02 차오남 낚시용 무인 소형보트
KR100945276B1 (ko) 2009-09-15 2010-03-03 김종문 낚시용 무선 조종 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79U (ja) * 1991-02-19 1993-02-09 豊 金井 釣糸移動用浮動子
JPH0595750A (ja) * 1991-10-07 1993-04-20 Koyo Seiko Co Ltd 釣り用モ−タ浮き
KR100709037B1 (ko) 2006-01-18 2007-05-02 차오남 낚시용 무인 소형보트
KR100945276B1 (ko) 2009-09-15 2010-03-03 김종문 낚시용 무선 조종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202A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2194A (en) Bob for cast fishing
US7854087B1 (en) Remotely operable bait deploy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20050257418A1 (en) Controllable fishing lure
US4442621A (en) Self-propelled troller
KR101129759B1 (ko)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
KR101222481B1 (ko) 낚시줄만으로 동력이 제어되는 미끼 이동기
US6822927B1 (en) Submersible ice fishing troller system
US10327427B2 (en) Fishing lure including line eyelet providing improved lure movement
JP2012217406A (ja) 遠投用コマセ籠
JP2017104024A (ja) 多機能ウキ
KR101019809B1 (ko) 낚시 장치
CN206061907U (zh) 全自动、高灵敏度、高可靠性的底钓装置
KR100794235B1 (ko) 낚시찌 무선동력장치
CN203692252U (zh) 一种海竿
US4182066A (en) Driven device for dislodging fish hook
EP3662323B1 (en) A fishing camera assembly
CN111771828A (zh) 一种智能无竿钓鱼的仿生鱼饵
JP4926438B2 (ja) ルアー
CN207784059U (zh) 钓鱼船
KR102602077B1 (ko) 낚시용 인조 미끼
KR101753967B1 (ko) 다기능 낚시찌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KR200442560Y1 (ko) 낚시용 탑찌
KR20170044960A (ko) 다기능 낚시찌
JP3750107B2 (ja) バイブレーションルア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