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181B1 -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 Google Patents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181B1
KR101222181B1 KR1020120121987A KR20120121987A KR101222181B1 KR 101222181 B1 KR101222181 B1 KR 101222181B1 KR 1020120121987 A KR1020120121987 A KR 1020120121987A KR 20120121987 A KR20120121987 A KR 20120121987A KR 101222181 B1 KR101222181 B1 KR 10122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pad
cylinder housing
ceramic
ceramic friction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웅
김도현
김주연
박재근
김지영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2012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양단에 인입구가 형성되고, 저면 양측에 고정판이 돌출 형성되는 실린더 하우징과;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 중앙부에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세라믹 마찰 패드; 및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인입구로 각각 삽입되어 각각의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와 면접되고,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연결 고리가 일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동 공간부 내에 위치하여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타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반영구적 재료와 균일한 품질을 제공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한 마찰 댐퍼를 제작함으로써 제작 단가와 유지 보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변형 변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고, 세라믹 마찰 패드와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진동 흡수와 마찰에 의해 변위 억제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TWO WAY FRICTION TYPE DAMPER USING CERAMIC FRICTION PAD}
본 발명은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반영구적 재료와 균일한 품질을 제공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한 마찰 댐퍼를 제작하고, 세라믹 마찰 패드와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진동 흡수와 마찰에 의해 변위 억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에 관한 것이다.
지진은 지상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재앙중의 하나이며, 역사적으로 인류에게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일으켜 왔다. 지질학적으로 거시적인 지진발생분포는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하지만, 아직도 특정 지역, 시간대의 지진 예측은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며, 최근 중국 쓰촨성 지진, 아이티 지진에서 볼 수 있듯이 큰 지반의 진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시설물, 구조물의 파괴는 지진의 심각성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다. 매 10년 단위 평균 약 200여개의 큰 지진이 발생하는데 이 중 10~20%는 심해에서 발생하며, 나머지도 주로 인간의 주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극히 일부이긴 하지만 인구 고밀도 거주 지역에도 지진이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로 인구가 이동하는 현대의 도시 인구 밀집 현상은 과거보다도 지진에 의한 인명, 재산 피해가 더욱 확산될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지진하중은 중저층 구조물의 설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하중으로, 그간 많은 연구를 통해 지진에 의해 구조물에 발생하는 전단력, 동적거동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거동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내진설계에 대한 필요성을 보다 명확하게 자각하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 내진설계기준을 채택, 제정하여 실무에 적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내진설계는 기본적으로 지반 가속도의 크기나 구조물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일부 허용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진의 규모, 크기에 따라 지진 발생 후 손상된 구조물의 보수, 보강을 위하여 많은 비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내진설계 적용 대상 구조물의 확대, 등급 상향에 의해 기존 구조물에 대한 내진 보강이 필요하며, 학교 시설물, 병원 등과 같이 응급 시 대피 장소로 사용되거나 지진 시에도 기능이 온전히 지속되어야 하는 주요 시설물에 대한 내진설계 외에 별도의 강화된 구조 및 내진 보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구조물을 지진으로부터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내진설계와 더불어 진동제어기법이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진동제어기법은 그간 구조물의 부재요소가 부담했던 지진하중을 에너지 소산 능력이 우수한 별도의 부재를 통해 흡수함으로써 구조부재를 보호하고, 전체 구조물의 건전도를 확보하는 기법으로 그 종류로는 지반격리시스템(isolation system), 수동제어시스템, 능동제어시스템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수동제어시스템은 지반격리시스템에 비하여 경제적이고, 능동제어시스템에 비해서는 별도의 에너지 공급 없이도 안정적으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며, 그 성능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구조, 내진 보강에 매우 유망한 기법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수동제어시스템의 한 종류로서 재료의 에너지 흡수 능력을 활용한 댐퍼(damper)가 있는데, 통상적으로 에너지 흡수 메커니즘에 따라 점성 댐퍼, 점탄성 댐퍼, 금속 댐퍼, 마찰 댐퍼 등으로 분류된다.
이중 마찰 댐퍼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9-0025326호(마찰 댐퍼)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 댐퍼(1)는 축 방향(X)으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실린더(2) 및 로드(축)(3)과, 실린더(2) 내에서, 압력 지지관(4) 및 고정관(5)에 의해 축 방향에 고정된 3개의 실린더 하우징(원통 부재)(6)과, 실린더 하우징(6)의 각각의 내주면에 압입된 3개의 미끄럼 베어링)(7)과, 건축 구조물의 구조 부재 등으로의 부착부(8, 9) 등으로 구성된다.
실린더(2)는, 우단부에서 나사결합에 의해 부착부(9)의 좌단부에 일체화되고, 양자의 접합부에는,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킹제가 충전된다. 부착부(9)에는,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10)가 끼워져 설치된다.
실린더(2)의 내부에는, 부착부(9)의 좌측면에 맞닿도록 통 형상의 압력 지지관(4)이 설치된다. 이 압력 지지관(4)과, 실린더(2)의 좌단부에 나사결합된 고정관(5)과의 사이에, 3세트의 실린더 하우징(6)과 베어링(7)이 개재된다.
실린더 하우징(6)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실린더 하우징(6)에 압입된 베어링(7)의 내경은 로드(3)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로드(3)를 항상 조이도록 구성된다.
베어링(7)은, 원통 형상의 베어링부(7a)에 더불어, 베어링부(7a)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7b)를 구비하고, 베어링부(7a)에는, 베어링(7)을 돌려 감아서 제작한 것으로 인한 슬릿이 존재한다. 이 플랜지부(7b)는, 인접하는 실린더 하우징(6)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사이에 삽입되고, 베어링(7) 전체가 실린더(2)에 대한 로드(3)의 축 방향(X)의 상대적인 이동에 대하여 부동으로 고정된다.
또, 베어링(7)은, 구리 도금이 시행된 금속(백 메탈) 층과, 금속층의 한쪽표면에 청동분을 살포하고 소결시켜 형성 한, 공극을 갖는 다공질 청동 소결층(접합층)과, 다공질 청동 소결층 내의 공극, 및 다공질 청동 소결층 상에, 충전재를 함유하는 4불화에틸렌 수지 재료를 충전 피복한 피복층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전체를 소성하고, 압연 롤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압연가공함으로써 복층재를 생성하고, 복층재의 피복층측의 면을 내경측으로 금속층측의 면을 외경측으로 하여 돌려 감고, 또한축 방향으로의 빠짐 방지를 위한 플랜지부(7b)를 부속시켜서 제작된다.
또한, 베어링(7)의 피복층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조성물은 충전재를 함유한 4불화에틸렌 수지 이외에,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조성물이어도 된다. 또, 베어링(7)의 피복층에 사용되는 충전재는, 내열 수지, 강화섬유, 인산염, 고체 윤활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면, 내열 수지로서는 폴리이미드 수지를, 강화섬유로서는 탄소 섬유를, 인산염으로서는 인산 칼슘을, 고체 윤활제로서는 흑연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찰 댐퍼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단가가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9-00253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영구적 재료와 균일한 품질을 제공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한 마찰 댐퍼를 제작함으로써 제작 단가와 유지 보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변형 변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고, 세라믹 마찰 패드와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진동 흡수와 마찰에 의해 변위 억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양단에 인입구가 형성되고, 저면 양측에 고정판이 돌출 형성되는 실린더 하우징과;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 중앙부에 이동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세라믹 마찰 패드; 및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인입구로 각각 삽입되어 각각의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와 면접되고,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연결 고리가 일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동 공간부 내에 위치하여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타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는 상기 이동 공간부 내측에 위치하고, 양단이 각각의 상기 강봉의 스토퍼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은 반원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가 결합되도록 제 1고정 볼트홀이 형성되며, 양단에 체결홀을 구비하는 제 1체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인입구를 형성하도록 제 1요홈이 형성되는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케이스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하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가 결합되도록 제 2고정 볼트홀이 형성되며, 양단에 체결홀을 구비하는 제 2체결판이 구비되고, 상기 인입구를 형성하도록 제 2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이 구비되는 제 2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는 반원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제 1고정 볼트홀과 대응되는 제 3고정 볼트홀이 형성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몸체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하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제 2고정 볼트홀과 대응되는 제 4고정 볼트홀이 형성되는 제 2몸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 상기 강봉은 표면에 사선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과 접착 본드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에 따르면, 반영구적 재료와 균일한 품질을 제공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한 마찰 댐퍼를 제작함으로써 제작 단가와 유지 보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변형 변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고, 세라믹 마찰 패드와 고강성 코일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진동 흡수와 마찰에 의해 변위 억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찰 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100)는, 실린더 하우징(110)과, 세라믹 마찰 패드(120)와, 강봉(130)과, 고강성 코일 스프링(1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실린더 하우징(110)은 금속 재질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양단에 인입구(111)가 형성되고, 저면 양측에 체결홀을 구비하는 고정판(115)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실린더 하우징(110)은 반원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세라믹 마찰 패드(120)가 결합되도록 제 1고정 볼트홀(117a)이 형성되며, 양단에 체결홀을 구비하는 제 1체결판(117b)이 구비되고, 인입구(111)를 형성하도록 제 1요홈(117c)이 형성되는 제 1케이스(117)와, 제 1케이스(117)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하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세라믹 마찰 패드(120)가 결합되도록 제 2고정 볼트홀(119a)이 형성되며, 양단에 체결홀을 구비하는 제 2체결판(119b)이 구비되고, 인입구(111)를 형성하도록 제 2요홈(119c)이 형성되며, 고정판(115)이 구비되는 제 2케이스(119)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세라믹 마찰 패드(120)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과 같은 세라믹 재질로 실린더 하우징(110) 내부 중앙부에 이동 공간부(121)를 형성하도록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도록 실린더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여기에서, 세라믹 마찰 패드(120)는 반원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110)의 제 1케이스(117)에 형성된 제 1고정 볼트홀(117a)과 대응되는 제 3고정 볼트홀(123a)이 형성되는 제 1몸체(123)와, 제 1몸체(123)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하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110)의 제 2케이스(119)에 형성된 제 2고정 볼트홀(119a)과 대응되는 제 4고정 볼트홀(125a)이 형성되는 제 2몸체(125)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세라믹 마찰 패드(120)는 실린더 하우징(110)과 접착 본드((127)에 의해 접착된다. 이때, 세라믹 마찰 패드(120)의 지름은 강봉(130)에 압력을 가한 상태로 접촉할 수 있는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봉(130)은 강재 재질로 한쌍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실린더 하우징(110)의 각각의 인입구(111)로 삽입되어 세라믹 마찰 패드(120)와 면접되고,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각각의 일단에 연결 고리(131)가 형성되며, 이동 공간부(121) 내에 위치하여 이동을 제한하도록 각각의 타단에 스토퍼(133)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강봉(130)은 마찰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표면에 사선 방향으로 홈(1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강성 코일 스프링(140)은 실린더 하우징(110) 내부의 이동 공간부(121)에 위치하고, 양단이 강봉(130)의 스토퍼(133)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가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에 설치하여 가새형 댐퍼로 적용할 수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A)에 설치하여 토글형 댐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떠한 방식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A)에 설치된 상태에서 진동에 의해 구조물(A)에 변위가 발생하면, 변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100)는 신장 또는 압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100)가 신장하는 과정은 각각의 세라믹 마찰 패드(120)가 각각의 강봉(130)에 압력을 가한 상태로 접촉한 상태이고, 고강성 코일 스프링(140)이 강봉(130)을 고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어느 한계값 미만의 변위에서는 강봉(130)이 세라믹 마찰 패드(120)의 마찰력과 고강성 코일 스프링(140)의 압축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느 한계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강봉(130)이 각각의 세라믹 마찰 패드(120)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는 데, 이때 세라믹 마찰 패드(120)의 마찰력과 고강성 코일 스프링(140)의 탄발력에 의해 그 변위 발생이 억제된다.
계속해서, 각각의 강봉(130)이 이동되다가 스토퍼(133)가 이동 공간부(121) 내에서 세라믹 마찰 패드(120)에 의해 형성된 턱에 걸리게 되면 더 이상의 이동이 멈추고,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100)가 구조물(A)과 함께 변위에 저항한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100)가 압축하는 과정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세라믹 마찰 패드(120)가 각각의 강봉(130)에 압력을 가한 상태로 접촉한 상태이고, 고강성 코일 스프링(140)이 강봉(130)을 고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어느 한계값 미만의 변위에서는 각각의 강봉(130)이 각각의 세라믹 마찰 패드(120)의 마찰력과 고강성 코일 스프링(140)의 압축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느 한계값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면 각각의 강봉(130)이 각각의 세라믹 마찰 패드(120)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는 데, 이때 세라믹 마찰 패드(120)의 마찰력과 고강성 코일 스프링(140)의 압축력에 의해 그 변위 발생이 억제된다.
계속해서, 강봉(130)이 이동되다가 스토퍼(133)가 이동 공간부(121) 내에서 하우징(110)에 면접하게 되면 더 이상의 이동이 멈추고,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100)가 구조물(A)과 함께 변위에 저항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실린더 하우징 120 : 세라믹 마찰 패드
130 : 강봉 140 : 고강성 코일 스프링

Claims (6)

  1.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양단에 인입구(111)가 형성되고, 저면 양측에 고정판(115)이 돌출 형성되는 실린더 하우징(110)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 내부 중앙부에 이동 공간부(121)를 형성하도록 한쌍이 상호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세라믹 마찰 패드(120); 및
    한쌍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의 각각의 인입구(111)로 삽입되어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120)와 면접되고, 구조물(A)에 고정되도록 연결 고리(131)가 각각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공간부(121) 내에 위치하여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133)가 각각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강봉(!30)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은,
    반원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120)가 결합되도록 제 1고정 볼트홀(117a)이 형성되며, 양단에 체결홀을 구비하는 제 1체결판(117b)이 구비되고, 상기 인입구(111)를 형성하도록 제 1요홈(117c)이 형성되는 제 1케이스(117)와;
    상기 제 1케이스(117)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하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120)가 결합되도록 제 2고정 볼트홀(119a)이 형성되며, 양단에 체결홀을 구비하는 제 2체결판(119b)이 구비되고, 상기 인입구(111)를 형성하도록 제 2요홈(119c)이 형성되며, 고정판(115)이 구비되는 제 2케이스(11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100)는,
    상기 이동 공간부(121) 내측에 위치하고, 양단이 각각의 상기 강봉(130)의 스토퍼(133)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강성 코일 스프링(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120)는,
    반원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의 제 1케이스(117)에 형성된 제 1고정 볼트홀(117a)과 대응되는 제 3고정 볼트홀(123a)이 형성되는 제 1몸체(123)와;
    상기 제 1몸체(123)와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하단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의 제 2케이스(119)에 형성된 제 2고정 볼트홀(119a)과 대응되는 제 4고정 볼트홀(125a)이 형성되는 제 2몸체(1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봉(130)은,
    표면에 사선 형태의 홈(1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마찰 패드(120)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과 접착 본드((127)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KR1020120121987A 2012-10-31 2012-10-31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KR10122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87A KR101222181B1 (ko) 2012-10-31 2012-10-31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987A KR101222181B1 (ko) 2012-10-31 2012-10-31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181B1 true KR101222181B1 (ko) 2013-01-15

Family

ID=4784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987A KR101222181B1 (ko) 2012-10-31 2012-10-31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704A (zh) * 2019-01-09 2019-04-16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耦合地震作用下复位型半主动控制阻尼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3070A (ja) * 1995-04-13 1996-10-29 Nippon Steel Corp 摺動部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30591A (ja) 2005-02-23 2006-09-07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20070020073A (ko) * 2004-06-15 2007-02-1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드럼식 세탁기
KR101176374B1 (ko) 2012-04-25 2012-08-23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제진형 가새장치 및 이 가새장치를 이용한 브레이싱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3070A (ja) * 1995-04-13 1996-10-29 Nippon Steel Corp 摺動部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20073A (ko) * 2004-06-15 2007-02-1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드럼식 세탁기
JP2006230591A (ja) 2005-02-23 2006-09-07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1176374B1 (ko) 2012-04-25 2012-08-23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제진형 가새장치 및 이 가새장치를 이용한 브레이싱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9704A (zh) * 2019-01-09 2019-04-16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耦合地震作用下复位型半主动控制阻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952934U (zh) 装有铝板摩擦材料的摩擦阻尼器
JP5172672B2 (ja) 免震装置
KR100692956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기구
WO1997025550A2 (en) Energy absorber
CA2616750A1 (en) Constant contact side bearing for railroad freight cars
CN112161018A (zh) 基础设施大承载多方向隔减振装置及其防灾方法
JP7365708B2 (ja) 免震アイソレータ及び減衰デバイス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101222180B1 (ko)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단방향 마찰형 댐퍼
WO2014152555A1 (en) Disc and spring isolation bearing
CN103352521B (zh) 一种单向耗能支撑构件
CN110173533B (zh) 预应力阻尼弹簧
KR101222181B1 (ko) 세라믹 마찰 패드를 이용한 양방향 마찰형 댐퍼
WO2002084030A1 (en) Combination-type earthquake-proof apparatus
KR20090033673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CN111173155A (zh) 一种剪切-弯曲并联型分级消能阻尼器
KR102033825B1 (ko) 기계구조물용 내진장치
JP2007063844A (ja) 建築物の免震構造
JPH09242379A (ja) 軽荷重用免震装置
KR102230710B1 (ko) 다층마찰 코어 탄성받침
JP2002340085A (ja) 制振ダンパー装置
CN105507443A (zh) 一种土木工程减震装置和减震方法
KR20110047948A (ko) 면진성능이 향상된 납 면진 받침장치
CN219060440U (zh) 一种弹簧-橡胶自复位摩擦耗能装置
CN217079219U (zh) 一种软钢屈曲约束支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