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985B1 -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985B1
KR101221985B1 KR1020110032706A KR20110032706A KR101221985B1 KR 101221985 B1 KR101221985 B1 KR 101221985B1 KR 1020110032706 A KR1020110032706 A KR 1020110032706A KR 20110032706 A KR20110032706 A KR 20110032706A KR 101221985 B1 KR101221985 B1 KR 101221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cod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7538A (ko
Inventor
김성필
이신욱
허존
홍경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10032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98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98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MO(mobile originated 또는 message originated)서비스를 이용하여, 쿠폰 구매 및 쿠폰 사용시 쿠폰인증 및 구매자인증을 수행하는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을 이용한 쿠폰이용방법은, MO서비스를 이용하여,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쿠폰이 인증된 경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대응되는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여 각각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및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SE OF COUPON}
본 발명은,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MO(mobile originated 또는 message originated)서비스를 이용하여, 쿠폰 구매 및 쿠폰 사용시 쿠폰인증 및 구매자인증을 수행하는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가 새로운 기술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인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ial)가 새로운 유형의 거래방식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이러한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상거래는 주로 인터넷망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용이 제한될 뿐 아니라, 가상의 전자쿠폰을 이용하기 때문에 거래의 안전성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도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쿠폰을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개인용컴퓨터나 POS단말기(point of sale terminal)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없이도 판매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쿠폰을 인증할 수 있는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소셜커머스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쿠폰 사용시 구매자가 정당한 구매자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별도의 카드나 결제수단 없이 자유로이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액방식의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을 이용한 쿠폰이용방법은, MO서비스를 이용하여,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쿠폰이 인증된 경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대응되는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여 각각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및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을 이용한 쿠폰이용방법은, MO서비스를 이용하여,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송된, 쿠폰구매를 요청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MO서비스를 이용하여,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송된,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쿠폰이 인증된 경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대응되는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여 각각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및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을 이용한 쿠폰이용방법은,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쿠폰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도용방지코드를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을 이용한 쿠폰이용방법은,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쿠폰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도용방지코드를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용방지코드는, 제1코드 및 제1코드에 대응되는 제2코드를 포함하고, 도용방지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코드를 제1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2코드를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여기서, 쿠폰이용방법은,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2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2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제1코드 및 제2코드에 근거하여 구매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쿠폰이용방법은,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제1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제1코드 및 제2코드에 근거하여 구매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도용방지코드의 송수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의해 수행되되,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태깅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을 이용한 정액쿠폰에 대한 쿠폰이용방법은,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정액쿠폰의 쿠폰번호 및 정액쿠폰의 잔액정보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쿠폰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도용방지코드를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정액쿠폰이 사용된 경우, 정액쿠폰의 잔액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은,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쿠폰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중계시스템 및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고, 쿠폰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도용방지코드를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쿠폰관리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용방지코드는, 제1코드 및 제1코드에 대응되는 제2코드를 포함하고, 쿠폰관리시스템은, 쿠폰이 유효한 경우,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여, 제1코드 및 제2코드를 각각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중계시스템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획득된 중계시스템의 네트워크주소로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사시스템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쿠폰이 정액쿠폰인 경우, 쿠폰관리시스템은, 정액쿠폰의 잔액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하고, 정액쿠폰이 사용된 경우, 정액쿠폰의 잔액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쿠폰관리시스템은, 기 구매된 쿠폰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MO서비스를 이용하여,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조회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대응되는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각각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및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는,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수신하여,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근거하여 구매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쿠폰관리시스템은, 구매한 쿠폰의 쿠폰번호를 쿠폰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한,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획득하는 통신부, 기 구매된 쿠폰번호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쿠폰번호를 조회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대응되는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각각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및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도 MO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간편하게 쿠폰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용컴퓨터나 POS단말기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가 없이도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쿠폰을 인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용방지번호를 구매자 및 판매자 양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쿠폰 사용시 구매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액쿠폰을 이용하여 별도의 카드나 결제수단 없이 자유로이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효과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시스템이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소테이블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정보에 관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MO서비스를 이용한 쿠폰의 구매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작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에게 쿠폰번호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의 인증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용방지번호를 이용한 정당 구매자 확인에 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3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쿠폰이용시스템으로 발송되는 문자메시지에 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접속”이나 “연결”은 반드시 직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모듈” 또는 “부”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므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기능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할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은 쿠폰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쿠폰을 구매한 구매자에게 쿠폰번호를 부여하고, 이후 구매자가 판매업소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쿠폰 사용할 때에 쿠폰번호에 따라 쿠폰을 인증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쿠폰이용시스템(100)은, MO서비스를 이용하여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획득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쿠폰은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권,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숙박권이나 식권 등과 같은 서비스이용권, 복권, 경품교환권, 주유할인권 등과 같은 할인권 등을 전부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쿠폰에는 정해진 금액에 한하여 불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액쿠폰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사시스템(200)을 통해 구매자 또는 판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0)와 쿠폰관리시스템(120)을 연결하는 중계시스템(110) 및 쿠폰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구매된 쿠폰을 관리하고, 쿠폰 사용시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쿠폰관리시스템(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이 중계시스템(110)과 쿠폰관리시스템(120)을 반드시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쿠폰이용시스템(100)은 중계시스템(110) 또는 쿠폰관리시스템(120) 중 어느 하나의 시스템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쿠폰이용시스템(100)에 있어서, 중계시스템(110)과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둘 다 동일한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도 있으며, 각각 다른 사업자에 의해 별도로 운영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의 구성요소에 관하여 중계시스템(110) 및 쿠폰관리시스템(120)의 순서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시스템(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시스템(110)은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쿠폰관리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계시스템(110)은 MO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쿠폰이용시스템(100)에는 이동통신망 주소, 즉 전화번호가 할당될 수 있는데, 중계시스템(110)은 통신사시스템(200)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300)에서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메시지는 문자와 숫자로 구성되는 단문메시지(short message)는 물론 비디오정보 및 오디오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메시지(multimedia message)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중계시스템(110)이 MO서비스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에 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시스템(110)이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소테이블에 관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에 관한 도면이다.
통신사시스템(200)에는 MO서비스를 위한 주소테이블이 가지고 있을 수 있다(S110).
이러한 주소테이블에는 이동통신망 주소와 다른 네트워크 주소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 주소는 전화번호일 수 있으며, 다른 네트워크 주소는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도메인네임, 이메일주소 등 일 수 있다. 여기서, IP주소는 IPv4는 물론, IPv6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은 각각 이러한 주소테이블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주소테이블에는 전화번호와 그에 대응되는 IP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주소테이블의 경우에는 하나의 전화번호에 하나의 IP주소가 할당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전화번호는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이고, IP주소는 중계시스템(110)의 IP주소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주소테이블에는 하나의 전화번호에 복수의 IP주소가 할당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전화번호는 역시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이고, 첫번째 IP주소는 중계시스템(110)의 IP주소이고, 두번째 IP주소는 쿠폰관리시스템(120)의 IP주소일 수 있다.
통신사시스템(200)은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20).
통신사시스템(200)은 이동통신단말기(300)에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기지국을 거쳐 메시지서비스센터(MSC: message service center)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문메시지인 경우에는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를 경유하고, 멀티미디어메시지인 경우에는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센터(MMSC: 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를 경유하게 된다.
통신사시스템(200)은 문자메시지를 주소테이블을 참조하여 중계시스템(110)로 전송할 수 있다(S130).
통신사시스템(200)이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문자메시지의 목적지의 이동통신망 주소, 즉 문자메시지의 수신전화번호가 주소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주소테이블에 수신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신사시스템(200)은 수신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주소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300)가 “080-568-1363”을 수신전화번호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발송한 경우, 통신사시스템(200)은 기지국과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를 거쳐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IP주소 “143.248.221.119”을 가지는 쿠폰이용시스템(100)에는 전화번호 “080-568-1363”이 할당되어 있어, 주소테이블에는 전화번호 “080-568-1363”이 IP주소 “143.248.221.119”에 대응되어 있다. 통신사시스템(200)은 이를 참조하여 IP주소 “143.248.221.119”로 문자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로써, 중계시스템(110)은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수신전화번호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40).
이때, 중계시스템(110)은 통신사시스템(200)으로부터 문자메시지와 함께 문자메시지를 발신한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이동통신망 주소, 즉 발신자전화번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중계시스템(110)은 이와 같이 획득한 문자메시지 및 발신자전화번호를 쿠폰관리시스템(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관리시스템(120)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구매된 쿠폰을 관리하고, 쿠폰 사용시 쿠폰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쿠폰관리시스템(120)은 구매자에게 쿠폰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을 구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정보에 관한 도면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사이트로 구현될 수 있다.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매자로부터 구매자의 이름(P1), 아이디(P2),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P3), 주소, 이메일주소 등과 같은 구매자에 관한 정보, 즉 구매자정보(P)를 입력받아 획득할 수 있다.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의 목록을 제공하고, 구매자로부터 이 중 특정 상품이나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는 입력받아, 특정 상품이나 특정 서비스 등을 반영하는 상품정보(C)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품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특정 상품이나 특정 서비스에 대응되는 상품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쿠폰관리시스템(120)은 구매된 쿠폰을 관리할 수 있다. 쿠폰이 구매되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22)를 작성하여 쿠폰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22)에 관한 도면이다.
데이터베이스(12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번호, 상품정보, 구매자정보, 판매자정보, 구매시점정보, 사용시점정보, 만료시점정보, 사용여부정보, 기간만료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쿠폰번호는 특정 구매자가 구매한 쿠폰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상품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쿠폰에 따라 구매한 특정 상품이나 특정 서비스 등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구매자정보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의 인적사항이나 연락처 등과 같이 구매자를 식별하거나 구매자에게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정보이다.
판매자정보는 판매자의 이름 또는 업체명, 판매자코드, 아이디, 상호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주소 등과 같이 판매자를 식별하거나 판매자에게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러한 판매자정보는 경우에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정보를 포함하거나 매장정보와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프랜차이즈업체와 같이 복수의 매장을 운영하는 자인 경우에는, 판매자정보에는 복수의 매장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복수의 매장의 연락처, 예를 들어, 매장 전화번호 등이 포함되거나 연계될 수 있다.
또, 구매시점정보는 쿠폰을 구매한 시점에 관한 정보이고, 사용시점정보는 쿠폰을 사용한 시점에 관한 정보이고, 만료시점정보는 쿠폰의 사용기간이 정해진 경우, 그 만료시점에 관한 정보이고, 사용여부정보는 구매한 쿠폰을 사용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이고, 기간만료정보는, 사용기간이 정해진 쿠폰의 사용기간이 도과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쿠폰에는 정해진 금액에 한하여 불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액쿠폰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122)의 상품정보에는 정액쿠폰임을 나타내는 상품코드나 상품명을 가지게 되며, 총금액정보, 사용액정보, 잔액정보 등을 포함하는 금액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이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데이터베이스(122)는 이 중 일부의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21), 상술한 바와 같이 쿠폰에 관한 데이터베이스(122) 및 쿠폰관리시스템(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중계시스템(110)을 포함한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1)는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그 밖의 다양한 통신규격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22)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에스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자기메모리, 자기디스크(magnetic disc), 씨디나 블루레이 등의 광디스크(optical disc), 에스디카드(SD card) 등의 카드타입메모리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저장매체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3)는 쿠폰관리시스템(12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쿠폰관리시스템(12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3)는 쿠폰인증을 수행하거나,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3)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수단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 제어부(123)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코드 또는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시스템(100) 이외에도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1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구매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는 단계(S220) 및 쿠폰번호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이용시스템(100)은 쿠폰구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0). 본 단계에 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MO서비스를 이용한 쿠폰의 구매에 관한 도면이다.
여기서, 쿠폰구매정보는 쿠폰의 구매를 요청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쿠폰구매정보에는 상품정보와 구매자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쿠폰이용시스템(100)은 다양한 방법으로 쿠폰구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사이트를 통해 쿠폰의 구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는 이러한 인터넷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구매자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인터넷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상품이나 서비스 등의 목록에서 구매를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선택하여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인터넷사이트에 접속 시에 반드시 구매자정보를 입력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구매자는 쿠폰을 구매할 때 구매자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로써,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구매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MO서비스를 이용하여 쿠폰구매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는 이동통신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상품코드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쿠폰관리시스템(120)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할 수 있다. 통신사시스템(200)은 이러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주소테이블을 조회하여 중계시스템(110)의 네트워크 주소로 문자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중계시스템(110)은 이러한 문자메시지를 쿠폰관리시스템(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중계시스템(110)은 통신사시스템(200)으로부터 문자메시지의 발신전화번호를 획득하여 문자메시지와 함께 쿠폰관리시스템(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상품코드에 따라 상품정보를 획득하고, 발신자전화번호에 따라 구매자정보를 획득하여 쿠폰구매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쿠폰이용시스템(100)은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할 수 있다(S220). 본 단계에 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22)의 작성에 관한 도면이다.
쿠폰구매정보가 획득되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쿠폰번호란 구매자가 구매한 쿠폰의 고유번호로써, 예를 들어, 일련의 숫자,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구매정보가 획득되면 구매자에게 대금의 결제를 요청하고, 구매자가 이를 결제하면, 쿠폰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금의 결제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통신료에서 결제 대금이 과금되는 방식, 온라인 뱅킹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대금의 결제가 반드시 쿠폰관리시스템(120)에 의해서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대금의 결제의 요청 및 결제는 별도의 외부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고, 쿠폰관리시스템(120)은 그 외부시스템으로부터 대금의 결제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가 된 경우에 쿠폰번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쿠폰번호가 생성되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이러한 쿠폰번호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그 쿠폰번호에 대하여 상품정보, 구매자정보, 판매자정보, 구매시점정보, 사용시점정보, 만료시점정보, 사용여부정보, 기간만료정보 중 일부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매장정보, 금액정보 등도 쿠폰번호에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구매정보로부터 상품정보 및 구매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판매자정보는 상품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쿠폰관리시스템(120)의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쿠폰이용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등에 대하여 그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판매자정보가 연계되어 있어서,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상품정보에 따라 판매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만료시점, 금액정보 등도 상품정보와 연계되어 있어, 쿠폰관리시스템(120)이 상품정보에 따라 이들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매장정보는 판매자정보와 연계되어 있으므로,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상품정보로부터 획득한 판매자정보에 따라 매장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매장정보가 판매자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매장정보를 획득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번호 “7568212”를 생성하여 이를 쿠폰구매정보에 포함된 상품정보인 상품코드 “56E2”과 상품명 “아웃백런치메뉴” 및 구매자정보인 구매자의 이름 “홍길동”, 구매자 전화번호 “010-2375-2608”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할 수 있다. 또,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상품명 “아웃백런치메뉴” 또는 상품코드 “56E2”에 따라 이를 판매하는 판매자정보인 업체명 “아웃백스테이크”, 판매자코드 “46”, 판매자 전화번호 “011-9876-5132”을 획득하여 쿠폰번호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업체명 “아웃백스테이크”, 판매자코드 “46”, 판매자 전화번호 “011-9876-5132”를 이용하여 이와 연계된 매장정보로서, 제1매장에 대하여 매장코드 “01”, 매장명칭 “강남점”, 매장 전화번호 “016-908-7970”, 제2매장에 대하여 매장코드 “02”, 매장명칭 “종로점”, 매장 전화번호 “017-358-5522”를 획득하여 이를 쿠폰번호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러한 정보가 모두 쿠폰번호와 연계되어 저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쿠폰번호, 상품정보 및 구매자정보만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을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다른 정보는 쿠폰번호에 연계된 상품정보와 구매자정보를 이용하여 쿠폰번호와 간접적으로 연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쿠폰이용시스템(100)은 쿠폰번호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30). 본 단계에 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에게 쿠폰번호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쿠폰번호가 생성되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번호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구매정보에 포함된 쿠폰구매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구매자 전화번호로 발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구매자는 쿠폰번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4는 이러한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쿠폰번호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것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쿠폰관리시스템(120)은 구매자 전화번호인 “010-2375-2608”로 문자메시지 “홍길동 고객님, 아웃백스테이크의 아웃백런치메뉴를 구매하셨습니다. 쿠폰번호는 5678212입니다.”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데이터베이스(122)의 쿠폰번호 및 그와 연계된 상품정보, 구매자정보, 판매자정보 등을 이용하여 작성된 것이다. 물론, 이때 판매자정보 등은 쿠폰번호와 직접 연계되지 않을 수 있지만, 상품정보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가 상기 문자메시지를 표시하게 됨으로써, 쿠폰번호가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2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부터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310), 쿠폰번호를 인증하는 단계(S320), 인증결과에 따라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330) 및 도용방지코드를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 및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 송신하는 단계(S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이용시스템(100)은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부터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310).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는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수신전화번호로 하여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가 프랜차이즈 업체와 같이 다수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에는 각 매장의 이동통신단말기(300)가 포함될 수 있다.
구매자가 매장을 방문하면, 판매자는 구매자에게 쿠폰번호를 요청하여, 판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쿠폰번호를 발송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라 쿠폰번호를 제공받은 구매자일 수 있다.
또는,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라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한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부터 쿠폰번호를 획득하여, 이에 따라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는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부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쿠폰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가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 쿠폰번호를 문자메시지로 발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300)에는 각각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모듈이 탑재되어 있어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 쿠폰번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근거리무선통신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직비(ZigBee), NFC(near filed communication) 및 그 밖의 근거리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 중 NFC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와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가 서로 태깅(tagging)하여 쿠폰번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계시스템(110)은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수신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MO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지국, 통신사시스템(200)을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중계시스템(110)은 통신사시스템(200)으로부터 문자메시지와 함께 발신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중계시스템(110)이 MO서비스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중계시스템(110)에 관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상술한 바 있다.
중계시스템(110)은 이처럼 수신한 문자메시지와 발신전화번호를 쿠폰관리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쿠폰이용시스템(100)은 쿠폰번호를 인증할 수 있다(S320). 본 단계에 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의 인증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중계시스템(110)으로부터 문자메시지를 획득하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쿠폰인증이란, 그 쿠폰이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쿠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이용시스템(100)에 등록된, 즉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판매자 전화번호 또는 매장 전화번호로부터 발신된 문자메시지를 획득한 경우, 쿠폰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21).
먼저,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문자메시지에 쿠폰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322). 만약, 쿠폰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인증오류를 의미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자번호로 발송할 수 있다(S329).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문자메시지에 쿠폰번호가 포함된 경우, 문자메시지로부터 쿠폰번호를 획득하여, 그 쿠폰번호와 그 쿠폰번호와 연계되어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 그리고 발신전화번호, 즉 판매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이러한 인증절차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 쿠폰인증을 위해 도시된 모든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의 절차만을 선택적으로 밟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번호가 데이터베이스(122)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23).
다른 예를 들어, 쿠폰번호와 연계된 사용여부정보를 참조하여 이미 사용된 쿠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4).
또 다른 예를 들어, 쿠폰번호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계된 판매자정보 및 매장정보 등에 의한 판매자 전화번호와 매장 전화번호가 발신전화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5).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기간에 제한이 있는 쿠폰인 경우, 쿠폰번호에 직접 또는 상품정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계된 만료시점정보 또는 기간만료정보 등을 이용하여 쿠폰의 사용기간이 도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6).
한편, 정액쿠폰인 경우에는, 쿠폰번호에 연계된 금액정보에 근거하여 사용가능한 금액의 한도가 구매하려는 상품이나 이용하려는 서비스 등의 대금보다 많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27). 이때,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번호에 연계된 상품정보가 정액쿠폰에 대응되는 상품코드를 가졌는지에 근거하여 정액쿠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쿠폰번호에 연계된 상품번호에 정액쿠폰의 상품코드인 경우에 정액번호가 쿠폰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쿠폰인증 절차에 따라 쿠폰이 유효하게 사용가능한 쿠폰인 것으로 판단되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쿠폰이 사용된 것으로 처리하고, 쿠폰번호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또는 사용시점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328).
이때도, 정액쿠폰인 경우에는, 이용한 대금에 따라 정액쿠폰의 잔액이 차감되도록 쿠폰번호에 연계된 금액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이러한 대금 차감에 앞서서 정액쿠폰의 잔액, 이용하려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대금을 송신하고, 사용자로부터 결제요청신호가 접수되는 경우에 한해서 대금 차감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쿠폰이 유효하지 않은 쿠폰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발신자전화번호, 쿠폰번호에 대한 구매자 전화번호 및 판매자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로 인증오류를 의미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S329).
쿠폰이용시스템(100)은 인증결과에 따라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330).
인증결과에 따라 쿠폰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용방지코드는 정당한 구매자가 아닌 자가 쿠폰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당 구매자 및 정당 판매자에게 제공되는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도용방지코드는 구매자용 코드와 판매자용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용 코드는 제1코드이고, 판매자용 코드는 제2코드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코드 및 제2코드는 서로 대응되거나 상보적인 관계를 가진다. 또한 도용방지코드인 제1코드와 제2코드는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제1코드와 제2코드의 합이 미리 정해진 수가 되도록 제1코드와 제2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값이 100이면, 제1코드로 45, 제2코드로 55가 생성되거나 또는 제1코드로 31, 제2코드로 69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런 제1코드 및 제2코드는 랜덤하게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는 도용방지코드의 제1코드 및 제2코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도용방지코드에 있어서, 제1코드 및 제2코드의 관계가 이러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코드와 제2코드는 서로 대응되거나 상보적인 관계를 가지는 코드로써,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제1코드 또는 제2코드로부터 제2코드 또는 제1코드가 도출될 수 있는 관계라면 모두 도용방지코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코드와 제2코드의 관계가 수학적 관계로만 국한되는 것도 아니므로, 도용방지코드가 반드시 숫자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한편, 쿠폰관리시스템(120)은 구매자용 코드와 판매자용 코드가 반드시 각각 하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매자용 코드는 제1코드이고, 판매자용 코드는 제2코드 및 제3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코드, 제2코드 및 제3코드는 미리 정해진 관계를 가지는 값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코드와 제3코드에 특정 수학적 연산을 수행한 값이 제1코드가 될 수 있다. 즉, 제1코드는 제2코드 및 제3코드의 합일 수 있다.
쿠폰이용시스템(100)은 도용방지코드를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 및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 송신할 수 있다(S340). 본 단계에 관해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용방지번호를 이용한 정당 구매자 확인, 즉 구매자인증에 관한 도면이다.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생성된 도용방지코드를 구매자와 판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제1코드, 즉 구매자용 코드를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데이터베이스(122)를 참조하여 쿠폰번호에 연계된 구매자정보로부터 구매자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제1코드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구매자 전화번호로 발송할 수 있다.
또,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제2코드, 즉 판매자용 코드를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에는, 쿠폰관리시스템(120)은, 중계시스템(110)로부터 전송받은 발신전화번호를 수신전화번호로 하여 제2코드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물론,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데이터베이스(122)를 참조하여 쿠폰번호에 연계된 판매자정보 또는 매장정보로부터 판매자 전화번호 또는 매장 전화번호를 획득한 뒤, 이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발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구매자용 코드 및 판매자용 코드 중 하나가 복수의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복수의 코드를 하나의 문자메시지로 송신하거나 복수의 문자메시지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홍길동”이 “아웃백스테이크”에서 판매하는 “아웃백런치메뉴”에 대한 쿠폰을 구매하여 쿠폰번호 “7568212”를 부여받은 뒤, “강남점”을 방문하여 이를 제시한 경우, 매장 전화번호인 “016-908-7970”로부터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인 “080-568-1363”로 쿠폰번호 “7568212”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가 발송되면, 쿠폰이용시스템(100)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인증한 뒤, 제1코드 “47”과 제2코드 “53”을 생성하여 각각 구매자 “홍길동”의 전화번호인 “010-2375-2608”와 매장 전화번호인 “016-908-797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도용방지코드가 각각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와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 제공되면, 판매자는 구매자에게 도용방지코드를 요청하여 이를 확인 후 제1코드와 제2코드가 서로 미리 정해진 관계에 있는 경우, 구매자가 정당 구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도용방지코드의 확인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와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가 각각 도용방지코드를 획득하면,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는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부터 구매자용 코드를 수신하여, 쿠폰관리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한 판매자용 코드와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부터 수신한 구매자용 코드를 비교하여 구매자가 정당 구매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와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는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도용방지코드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NFC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서로 태깅하는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는 도용방지코드의 비교결과, 구매자가 정당 구매자로 판단되면,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 또는 매장은 구매자가 정당 구매자인지 여부를 알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3실시예에 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3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3실시예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부터 쿠폰번호와 판매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S410), 쿠폰번호를 인증하는 단계(S420), 인증결과에 따라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430) 및 도용방지코드를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 및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 송신하는 단계(S4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쿠폰이용시스템(100)은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부터 쿠폰번호와 판매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410). 본 단계에 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부터 쿠폰이용시스템(100)으로 발송되는 문자메시지에 관한 도면이다.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는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수신전화번호로 하여 쿠폰번호 및 판매자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가 프랜차이즈 업체와 같이 다수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판매자정보 대신 구매자가 방문한 매장의 매장정보가 문자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판매자정보 또는 매장정보는, 판매자코드, 매장코드, 판매자 전화번호, 매장 전화번호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는 매장을 방문하여, 판매자에게 판매자코드 또는 매장코드를 요청하여, 구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쿠폰번호 및 판매자코드 또는 매장코드를 발송할 수 있다. 이때, 구매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라 쿠폰번호를 제공받은 구매자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는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부터 판매자코드, 매장코드 등의 판매자정보 또는 매장정보를 획득하여, 이에 따라 쿠폰번호와 판매자정보 내지는 매장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300) 간의 정보 교환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무선통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이러한 문자메시지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구매자가 “아웃백스테이크”의 “종로점”을 방문한 경우,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는 쿠폰번호인 “7568216”과 판매자코드인 “46”로 구성된 문자메시지 또는 쿠폰번호인 “7568216”과 매장코드인 “02”로 구성된 문자메시지 또는 쿠폰번호, 판매자코드, 매장코드로 구성된 문자메시지를 쿠폰이용시스템(100)에 할당된 전화번호인 “080-568-1363”로 발송할 수 있다. 이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정보 사이에는 “#”과 같은 특수문자를 삽입하여 각각의 정보가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중계시스템(110)이 MO서비스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2실시예에서 상술한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중계시스템(110)은 이와 같이,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고, 발신전화번호, 즉 구매자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이를 쿠폰관리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쿠폰이용시스템(100)은 쿠폰번호를 인증하고(S420), 인증결과에 따라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고(S430), 도용방지코드를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 및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 송신할 수 있다(S440). 본 단계들은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쿠폰번호를 인증하는 단계(S420)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3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의 제2실시예와 달리 쿠폰이용시스템(100)이 발신전화번호로서 판매자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대신 구매자 전화번호를 획득하며, 문자메시지에 쿠폰번호 이외에 판매자코드나 매장코드와 같은 판매자정보 또는 매장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따라서, 쿠폰번호를 인증하는 단계(S420)에서 쿠폰관리시스템(120)은 발신전화번호가 쿠폰번호에 연계된 구매자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쿠폰인증을 수행하거나 쿠폰번호에 연계된 판매자정보 또는 매장정보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판매자정보 또는 매장정보와 일치하는 여부에 근거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용방지코드를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 및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 송신하는 단계(S440)에 있어서는, 쿠폰관리시스템(120)이 구매자용 코드를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310)로 송신할 때, 쿠폰번호에 연계된 구매자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발신자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고, 쿠폰관리시스템(120)이 판매자용 코드를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320)로 송신할 때에는,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판매자정보 내지 매장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판매자 전화번호 또는 매장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그 전화번호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에 따르면, 기 구매한 쿠폰을 사용할 시에 별도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필요없이 MO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300)를 통해 간편하게 쿠폰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에 쿠폰인증을 위한 개인용컴퓨터나 POS단말기(point of sale terminal)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에 따르면, 도용방지코드를 이용하여 쿠폰을 제시한 자가 정당 구매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판매자는 쿠폰을 이용한 거래를 안전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에서, 정액쿠폰을 사용하면, 별도의 카드나 결제수단 없이 MO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300)를 사용하여 기 구매한 쿠폰의 정액한도 내에서 자유로이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각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반드시 설명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들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폰이용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쿠폰이용시스템 110: 중계시스템 120: 쿠폰관리시스템:
121: 통신부 122: 데이터베이스 123: 제어부
200: 통신사시스템 300: 이동통신단말기
310: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 320: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Claims (21)

  1. 쿠폰이용시스템을 이용한 쿠폰이용방법에 있어서,
    MO(mobile originated 또는 message originated)서비스를 이용하여,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쿠폰이 인증된 경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대응되는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여 각각 상기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및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와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와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의 합은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이용방법.
  2. 쿠폰이용시스템을 이용한 쿠폰이용방법에 있어서,
    MO서비스를 이용하여,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송된, 쿠폰구매를 요청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MO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송된, 상기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쿠폰이 인증된 경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대응되는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여 각각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와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와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의 합은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이용방법.
  3. 쿠폰이용시스템을 이용한 쿠폰이용방법에 있어서,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쿠폰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도용방지코드를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용방지코드는 제1코드와 상기 제1코드에 대응되는 제2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드와 상기 제2코드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드와 상기 제2코드의 합은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이용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용방지코드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코드를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코드를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이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코드 및 상기 제2코드에 근거하여 구매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이용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1코드 및 상기 제2코드에 근거하여 구매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이용방법.
  7.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간의 상기 도용방지코드의 송수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의해 수행되되,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태깅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쿠폰이용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MO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이용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메시지의 발신전화번호를 더 이용하여 수행되는
    쿠폰이용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쿠폰이 정액쿠폰인 경우, 상기 쿠폰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정액쿠폰의 잔액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정액쿠폰이 사용된 경우, 상기 정액쿠폰의 잔액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이용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쿠폰구매를 요청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쿠폰이용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구매를 요청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MO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폰이용방법.
  13.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쿠폰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중계시스템; 및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쿠폰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도용방지코드를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쿠폰관리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도용방지코드는 제1코드와 상기 제1코드에 대응되는 제2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드와 상기 제2코드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코드와 상기 제2코드의 합은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이용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관리시스템은, 쿠폰이 유효한 경우, 상기 도용방지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제1코드 및 상기 제2코드를 각각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쿠폰이용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시스템은, 상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중계시스템의 네트워크주소로 상기 문자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사시스템을 통해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쿠폰이용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쿠폰이 정액쿠폰인 경우, 상기 쿠폰관리시스템은, 상기 정액쿠폰의 잔액정보를 더 이용하여 수행하고, 상기 정액쿠폰이 사용된 경우, 상기 정액쿠폰의 잔액정보를 갱신하는
    쿠폰이용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시스템은,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쿠폰구매를 요청하는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쿠폰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상기 쿠폰관리시스템은, 상기 쿠폰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쿠폰이용시스템.
  18. 기 구매된 쿠폰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MO서비스를 이용하여,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쿠폰이용시스템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쿠폰번호를 조회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대응되는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각각 상기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및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와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와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의 합은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관리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판매자의 전화번호 및 쿠폰부가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메시지의 발신전화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쿠폰번호, 상기 판매자 전화번호 및 상기 쿠폰부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되,
    상기 쿠폰부가정보는 쿠폰의 기사용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정보, 쿠폰사용만료기간을 나타내는 기간정보 및 쿠폰사용금액을 나타내는 금액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관리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근거하여 구매자인증을 수행하는
    쿠폰관리시스템.
  21. 구매한 쿠폰의 쿠폰번호를 쿠폰관리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한, 상기 쿠폰번호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획득하는 통신부;
    기 구매된 쿠폰번호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쿠폰번호를 조회하여 쿠폰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결과에 따라 생성된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 및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에 대응되는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를 각각 판매자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구매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와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매자용 도용방지코드와 상기 구매자용 도용방지코드의 합은 미리 정해진 값이 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폰관리시스템.
KR1020110032706A 2011-04-08 2011-04-08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221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06A KR101221985B1 (ko) 2011-04-08 2011-04-08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706A KR101221985B1 (ko) 2011-04-08 2011-04-08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538A KR20120137538A (ko) 2012-12-24
KR101221985B1 true KR101221985B1 (ko) 2013-01-15

Family

ID=4790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706A KR101221985B1 (ko) 2011-04-08 2011-04-08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616B1 (ko) * 2014-11-07 2016-04-22 주식회사 카카오 이벤트 권리의 승인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576A (ko) * 2000-12-22 2002-06-29 박태형 명령어 코드로 입력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80083783A (ko) * 2007-03-13 2008-09-19 주식회사 다날 난수표를 이용한 온라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03935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쉐어링크 수신용특정번호를 이용한 모바일단말기의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26195A (ko) *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핑거 전화번호 안내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쿠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576A (ko) * 2000-12-22 2002-06-29 박태형 명령어 코드로 입력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80083783A (ko) * 2007-03-13 2008-09-19 주식회사 다날 난수표를 이용한 온라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03935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쉐어링크 수신용특정번호를 이용한 모바일단말기의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26195A (ko) * 2009-09-07 2011-03-15 주식회사 핑거 전화번호 안내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쿠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616B1 (ko) * 2014-11-07 2016-04-22 주식회사 카카오 이벤트 권리의 승인 방법 및 시스템
WO2016072731A1 (ko) * 2014-11-07 2016-05-12 주식회사 카카오 이벤트 권리의 승인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538A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59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cure self payment transactions of retail goods
US201402226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lfilling purchases
CN109564661B (zh) 被连接装置交易代码系统
US201401492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CN108702609A (zh) 中程读取器交互
JP6608152B2 (ja) 移動通信端末、情報送信方法、及び情報送信システム
KR101221985B1 (ko) 쿠폰이용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732370B1 (ko)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JP2010055316A (ja) 顧客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7034980A (ja) 通信端末、決済サーバ、決済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08364421B (zh) 商品销售数据处理装置、信息处理装置及方法、系统
KR101136507B1 (ko) 카드결제 중계 시스템
KR20210045616A (ko) 안전한 중고 상품권 거래를 제공하는 중고 상품권 거래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76521A (ko) 사용권한 설정이 가능한 직불카드를 기반으로 한 결제대행 중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81066A (ko) 판매 시점 관리 장치를 이용한 메타버스 시스템의 상품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54225B1 (ko) 상품 비용 결제 서버의 운영 방법
KR101018020B1 (ko) 모바일 메시지 전송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304306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KR20210045615A (ko) 안전한 중고 상품권 거래를 제공하는 상품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012276B1 (ko) 전자상품권 관리 방법 및 전자상품권 시스템
KR20210045620A (ko) 안전한 중고 상품권 구매 거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45619A (ko) 안전한 중고 상품권 판매 거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20485A (ko) 모바일 상품권 운영 시스템
KR20130139385A (ko) 결제 회원 등록 방법
AU2013231011A1 (en) Calling Card Replenish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