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786B1 - 혈액 샘플의 자동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혈액 샘플의 자동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786B1
KR101221786B1 KR1020077000701A KR20077000701A KR101221786B1 KR 101221786 B1 KR101221786 B1 KR 101221786B1 KR 1020077000701 A KR1020077000701 A KR 1020077000701A KR 20077000701 A KR20077000701 A KR 20077000701A KR 101221786 B1 KR101221786 B1 KR 101221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tation
measuring
openin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487A (ko
Inventor
미카엘 크라처
폴커 프라이헤르 폰 데어 골츠
Original Assignee
미카엘 크라처
파우데게-폰 데어 골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카엘 크라처, 파우데게-폰 데어 골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미카엘 크라처
Publication of KR20070037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05Determining clotting time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25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having a carousel or turntable for reaction cells or cuvet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E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샘플의 자동 분석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추출 장치(15)를 통해 저장 용기(40)에서 혈액을 추출할 수 있는 추출 스테이션(I), 측정부(9)가 헤드부(9)와 결합되어 있으며 헤드부(46)를 통해 추출된 혈액이 측정부(9)에 배치된 개구부 홀더(30)를 관통하여 안내될 수 있는 측정 스테이션(II), 일회용 부품으로서 형성된 측정부(9)를 준비할 수 있고 헤드부(46)와 결합 가능한 수용 스테이션(III) 및 추출 스테이션(I)과 측정 스테이션(II) 및 수용 스테이션(III) 사이에서 헤드부(46) 및 추출 장치(15)를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혈액 샘플의 자동 분석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ALYSING BLOOD SAMPLES}
본 발명은 혈액 샘플의 자동 분석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유럽 특허 공보 EP 0 522 256 B1에 공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매거진 장치에서 혈액이 포함된 저장 용기 및 다른 매거진 장치에서 개구부 홀더가 동시에 테스트 헤드로 이송된다. 테스트 헤드는 모세관 홀더를 포함하는데, 이 모세관 홀더에는 저장 용기에 삽입 가능한 모세관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테스트 헤드는 헤드부를 포함하는데, 모세관 홀더에 대한 상대적 동작을 통해 헤드부는 개구부 홀더가 모세관 홀더에 배치되는 제1 위치와 개구부 홀더가 모세관 홀더와 헤드부 사이의 제2 위치 사이에서 고정되므로, 저장 용기에 삽입된 모세관을 통해 혈액이 저장 용기에서부터 개구부 홀더의 개구부와 모세관을 관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측정을 실시한 후에 사용된 개구부 홀더 및 사용된 저장 용기는 헤드부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테스트 헤드에서부터 제거한다. 그 후에 테스트 헤드가 다른 장치를 통해 세척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의 자동 분석을 위한 이러한 유형의 장치를 현저하게 개선하여 비용적 측면에서 저렴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분석의 실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의 특징을 포함하는 혈액 자동 분석 장치 및 특허 청구항 33의 특징을 포함하는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은 유럽 특허 공보 EP 0 522 256 B1에 설명된 유사한 장치에 비해 본 장치가 매우 간단하게 설계되어 있고 따라서 더욱 경제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저비용의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주요 원인은 매거진 장치에서 일회용 부품 또는 소모품으로서 형성된 측정부만 개구부 홀더와 함께 이송하는 것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다른 매거진 장치에서부터의 혈액 저장 용기의 이송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 및 측정부의 특수한 형상으로 인해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복수의 스테이션, 즉 혈액 추출 스테이션, 측정 스테이션 및 경우에 따라서는 혈소판 형성 또는 응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예를 들어 ADP)을 위한 공급 스테이션, 세척 스테이션 및 폐기 스테이션으로 규정된 순서에 따라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매우 복잡하게 설계된 알려진 장치에 있는 헤드부 및 테스트 헤드가 필요치 않다. 또한 이러한 부품의 복잡한 구동 및 동작이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항에 설명된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통해 본 발명 및 그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를 위에서 관찰한 도면이다.
도 3은 개구부 홀더가 포함된 측정부 및 측정부에 삽입된 헤드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다른 바람직한 측정부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는 측정 장소의 작업판(1)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에서 회전축(2)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스테이션(I, II, III) 사이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스테이션(IV, V) 사이에서 선회 가능한 회전 아암(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스테이션(I)은 저장 용기(40)에서 혈액을 추출하는 혈액 추출 스테이션이다.
스테이션(II)은 측정 스테이션으로서, 이 스테이션에서는 저장 용기(40)에서 추출한 혈액이 차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측정 실시 방법에 따라 헤드부(46)를 통해 측정부(9)의 개구부 홀더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안내되며(도 3), 측정부(9)와 헤드부(46)가 이 측정 스테이션(II)에서 서로 밀착되게 결합된다.
수용 스테이션(III)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매거진(7)에서부터 일회용 부품 또는 소모품으로서 형성되며 각각 개구부 홀더(5)를 포함하는 측정부(9)가 측정 헤드(46)에 연결되도록 상하로 배치된 상태로 준비된다(도 3).
또한 혈소판 형성 또는 응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위한 공급 스테이션 및 차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세척 스테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아암(3)은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동 장치(4)를 통해 회전된다. 바람직하게도 구동 장치(4)는 각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을 위해 정밀하게 구동 가능한 스텝 모터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따른 전술한 스테이션은 바람직하게도 하나의 원호에 배치된다. 하지만 이 스테이션들이 예를 들어 직선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회전 아암(3)이 직선 또는 x-y 방향에서 이동된다.
도 1에 도시한 방법에서 구동 장치(11)는 회전 아암(3)의 브레킷부(31)에 고정되는데,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도 이 구동 장치를 통해 고정부(13)가 작업판(1)의 면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구동 장치(11)는 알려진 메커니즘으로서, 이 메커니즘을 통해 나사봉(12)이 화살표(P)의 방향에서 이동가능하며, 고정부(13)가 이 나사봉에 고정된다.
구동 장치(11)를 통해 화살표(P) 방향에서 왕복 운동이 가능한 고정부(13)가 니들부(15)를 포함하는데, 이 니들부는 작업판(1)의 대향측에 배치되며 작업판(1)에 대응하는 그 단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사행형 또는 나선형으로 진행하고 고정부(13)에 고정된 파이프 라인(16)에 결합하고, 이 파이프 라인은 그 니들부(15)에 대응측에서 바람직하게도 호스에 해당하는 라인(14)과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도 파이프 라인(16) 및 니들부(15)는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에서 소수성으로 형성되므로, 흡입된 혈액 구성요소가 해당하는 내측 및/또는 외측 측벽에 침착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도 파이프 라인(16) 및/또는 니들부(15)는 내측면에 소수성 또 는 소유성 코팅이 형성된 재료, 특히 금속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전술한 코팅은 졸 겔 나노 복합 코팅이거나 또는 테플론 형태의 플루오르 코팅이다. 니들부(15)에는 이러한 유형의 코팅이 외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에는 바람직하게도 니들부(15)와 이격되게 헤드부(46)가 배치되는데, 이 헤드부는 측정부(9)와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이 내용은 차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니들부(15)와 헤드부(46)는 밸브 부재(10)와 결합되며, 밸브 부재는 제어 장치(17)를 통해 구동되고 선택적으로 니들부(15)와 파이프 라인(16) 사이 또는 헤드부(46)와 파이프 라인(16)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라인(14)은 제어 장치(17)를 통해 구동 가능한 밸브(18)로 안내되며, 이 밸브는 수용 용기,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실린더 유닛(50)과 결합된 라인(141)에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실린더 유닛(50)은 다시 제어 장치(17)를 통해 구동되는 구동 장치(51)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밸브(18)는 펌프(19)와 결합된 라인(142)과 라인(14)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펌프는 라인(43)을 통해 바람직하게도 NaCl인 세정액에 존재하는 용기(42)로 안내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도 스테이션(III)에서는 매거진 장치(7)에서 상하로 배치된 측정부(9)가 회전 아암(3)의 이송 트랙으로 이송된다.
고정부(13)는 도 1에 설명한 방식으로 니들부(15)와 결합된 파이프 라인(16) 측면에서 특히 금속성 히팅 코어의 형태를 갖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가열 장치(33)를 포함하는데, 그에서 파이프 라인(16)이 사행형으로 진행하거나 그에서 나선형으 로 감겨 있다. 도 1에 도시한 사행형 배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포함한다. 상하로 배치된 루프에서 벤딩부(161)를 통해 결합된 각 구역(162)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각각 역전되며, 따라서 혈액이 이 구역을 진행할 때 거의 역전 또는 뒤집힌다. 따라서 혈액의 침전이 거의 억제되거나 또는 완전히 억제된다. 차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가열 장치가 측정부(46) 및/또는 니들부(15)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3을 근거로 하여 측정부(9) 및 헤드부(46)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헤드부(46)는 측정부(9)의 홈(21)에 밀착되게 삽입될 수 있는 하단 부분(23)을 포함한다. 헤드부(46)와 측정부(9) 사이의 밀봉은 바람직하게도 O링을 통해 구현되는데, 이것은 하단 부분(23)의 어깨부(47)에 배치되며 하단 부분(23)이 홈(21)으로 삽입될 때 홈(21)의 가장자리 부분의 면(48)에 밀착되게 접하게 된다.
헤드부(46)에는 모세관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단측에서 밸브 부재(10)를 통해 파이프 라인(16)과 결합된 관통구(24)가 진행한다. 관통구(24)는 부분(23)의 하단부에서 전실(27)을 형성하는 공간에까지 도달한다. 홈(21)의 하단 바닥면(49)에는 알려진 방식에 따라 관통구(24)를 향하는 개구부(26)와 함께 개구부 홀더(30)가 배치된다. 측정부(9)의 헤드부(25)에는 개구부 홀더(30) 뒤에 공간이 존재하는데, 이 공간은 후실(28)을 형성하며 아래의 혈액 배출 공간(31)으로 연결된다. 헤드부(46)와 측정부(9)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잠금 메카니즘을 통해 상하 접근 동작에 의해 서로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하 이격 동작을 통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파이프 라인(16)에서 헤드부(46) 및 측정부(9)로 혈액이 유입될 때 혈액은 관통구(24)에서부터 전실(27)을 거쳐 개구부 홀더(30)의 개구부(26)에 도달하고 그 후에 후실(28) 및 혈액 배출 공간(31)으로 도달한다. 이때 스테이션(II)에서는 혈액 배출 공간(31)에서부터 유출되는 혈액이 수집 용기(47)에 모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혈액과 접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모든 부품 또는 부재가 세척된 상태여야 한다.
먼저 회전 아암(3)이 구동 장치(4)를 통해 스테이션(I)으로 이송되며 고정부(13)의 하강을 위한 구동 장치(11)가 작동된다[화살표 (P)]. 니들부(15)가 저장 용기(40)의 밀폐부(41)를 관통하고 그에 포함된 혈액을 방출하면, 피스톤/실린더 유닛(50)의 피스톤(53)이 구동 장치(51)에 의해 작동한다. 바람직하게도 밀폐부(41)는 바람직하게도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플러그이다.
저장 용기(40)에서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저장 용기(40)를 지속적으로 동작시키며, 역전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키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 라인(16) 또는 라인(14, 141, 142, 43) 시스템에는 이미 중성 액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액체는 예를 들어 라인(43)을 통해 용기(42)에서 추출한 세정액, 즉 예를 들어 생리적 NaCl 용액일 수 있다. 흡입된 혈액과 전술한 액체 사이에는 도 1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기포(44)가 분리 매체로서 바람직하게도 밸브(18)와 파이프 라인(33) 사이의 구역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도 펌프(19)를 작동시키면 흡입된 혈액이 측정을 실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되므로, 혈액은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침전되지 않는다. 사행형으로 진행하는 파이프 라인(16)이 갖는 이점은 이미 설명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혈액을 흡입하기 위해 밸브(18)가 파이프 라인(16)과 라인(141) 사이를 연결한다. 혈액의 왕복운동을 위해 밸브(18)의 이 위치에서 피스톤(53)이 실린더 공간(52) 내에서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혈액은 가열 장치(33)를 통해 예를 들어 37℃의 요구되는 온도로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회전 아암(3)은 이제 스테이션(III)으로 이동하며 매거진 장치(7)가 측정부(9)를 추출한다. 이 목적을 위해 우선 회전 아암(3)이 매거진 장치(7)를 통해 동작할 수 있도록 구동 장치(4)가 작동된다. 그 다음 구동 장치(11)가 작동되며 전술한 방식으로 헤드부가 이미 준비된 측정부(9)에 밀착되게 접할 때까지 헤드부(46)가 하강한다. 측정부(9)의 고정 후에 구동 장치(11)가 다시 작동되므로, 헤드부(46) 및 여기에 연결된 측정부(9)가 위로 올려지고 매거진 장치(7)에서부터 제거된다. 또한 매거진 장치(7)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거진 장치는 지속적으로 측정부(9)를 위치(III)로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장치는 이 위치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헤드부(46)와 결합한다.
이어서 회전 아암(3)이 구동 장치(4)를 통해 스테이션(II)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본래의 측정이 실시된다. 이때 혈액이 측정부(9)의 개구부(26)를 통해 지속적으로 흐르고 혈액 배출 공간(31)을 통해 방출되도록 피스톤/실린더 유닛(50)의 피스톤(53)이 동작한다. 이때 밸브 부재(10)가 헤드부(46)를 파이프 라인(16)과 연 결한다. 측정부(9)에서부터 점적되는 혈액은 수집 용기(47)에 모인다. 이러한 측정 과정 중에 혈액의 체적 흐름이 압력 센서(48)를 이용한 압력 측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측정되며 특정한 압력 체적 흐름 특성곡선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스톤(53)의 동작이 알려진 방식에 따라 상응하게 제어된다. 이때 개구부(26)에 혈전이 형성된다. 이어서 헤드부(46)가 구동 장치(11)의 작동을 통해 전술한 방식에 따라 측정부(9)에서부터 당겨 분리되고 측정부(9)가 예를 들어 수집 용기(47)에서 방출된다.
라인(16, 14) 및 니들부(15)를 세척하기 위해 측정을 실시한 후 및 그에 포함된 혈액을 방출한 후에 바람직하게도 펌프(19)의 작동을 통해 용기(42)에서 추출되는 세척액이 전술한 라인 또는 라인 구간 및 니들부(15)를 통해 펌핑되며 밸브 부재(10)가 상응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소수성 또는 소유성 코팅으로 인해 신속한 세척 효과가 달성된다. 니들부(15)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해 니들부가 구동 장치(4)의 작동을 통해 자체 세척 스테이션(IV)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헹굼제 또는 세척제를 포함하는 용기(54)에 삽입되고 구동 장치(11)가 작동된다(도 3).
측정 헤드(46)의 세척을 위해 밸브 부재(10)의 상응하는 위치에서 헹굼제가 측정 헤드(46)를 통해 펌핑된다. 측정 헤드(46)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해 측정 헤드가 스테이션(IV)에서 바람직하게도 니들부(15)와 함께 다른 용기(55)의 세척제 또는 헹굼제에 삽입될 수 있다(도 2).
바람직하게도 다른 스테이션(V)에서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측정부(9)의 매거진 장치(7) 중 하나가 예를 들어 ADP 또는 다른 액체성 매체를 포함하는 용기(56)(도 2)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런 액체성 매체는 삽입 시 개구부 홀 더(30)의 다공성 재료 및 개구부(26)의 측벽에 도달한다. 이 매체는 개구부(26)를 통과하는 혈액의 응고 또는 응집 거동에 영향을 미친다.
피스톤/실린더 유닛(50)이 포함된 구동 장치(51) 및 용기(42)는 바람직하게도 고정 장치(58)를 통해 비틀리지 않게 아암(3)에 결합된다.
도 1에서 바람직하게도 고정부(33)에 배치되며 니들부(15)를 가열할 수 있는 다른 가열 장치(60)가 제공될 수 있다.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이 가열 장치(60)는 바람직하게도 니들부(15) 둘레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가열 소자 또는 온풍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응하는 가열 장치가 헤드부(46)를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도 4를 근거로 하여, 니들부(15)와 직접 연결 가능한 측정부(90)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드부(46) 및 밸브(10)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측정부(90)는 바디부(91)에서 중앙 개구(92)를 포함하는데, 구동 장치(11)의 작동 시 이 개구로 또는 이 개구에서부터 니들부(15)가 삽입되거나 방출될 수 있다. 바디부(91)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관통구, 바람직하게는 보어(92)에는 개구(92)와 바디부(91)에서 그에 연결되는 전실(95) 사이에 있는 하단 어깨부(93')에까지 진행하는 작은 관(93)이 존재한다. 전실(95)은 바디부(91)의 확장된 공간으로 연결되며 이 공간은 다시 혈액 배출 공간으로 작용하는 바디부(91)의 후실(96)로 개방된다. 개구부 홀더가 전실(95)과 후실(96) 사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개구부 홀더(98)가 전실(95)과 확장된 공간(94) 사이의 어깨부(97)에 접한다. 따라서 개구부 홀더(98)의 개구부(99)가 전실(95)과 후실(96)을 연결한다. 개구부 홀더(98)는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니들부(15)는 그 보어(92) 대향측에서 원추형 단부(104)를 포함하는데, 이 단부에서 보어(92)에 밀착되게 삽입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보어(92)는 그 상단부에서 링 형태의 실링(105)을 포함하는데, 이 실링은 실링 에지 또는 O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니들부(15) 대향측 보어(92) 단부가 원추부(104)에 상응하게 밀착 고정부에 대해 동일하게 원추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밀봉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도 작은 관(93)은 비교적 큰 내경(D)을 갖는 원호 형태의 횡단면 또는 모세관을 재현하기 위해 상응하게 작은 내경(d)을 갖는 횡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작은 관의 외경은 0.8 내지 2.0 mm이고 내경은 150 내지 500 ㎛이다.
바람직하게도 일회용 부품 또는 소모품으로서 형성된 측정부(90)의 바디부(91)는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개구부 홀더(98)는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을 통해 어깨부(97)에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작은 관(93)은 스테인레스 강 또는 플루오르 플라스틱(예를 들어 Tefzel®)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도 작은 관은 접착제(101)를 통해 개구(92)의 내측 둘레에 고정되며, 접착제(101)는 바디부(91)의 회방향으로 진행하는 채널(102)을 통해 접착제 공간으로서 작용하며 개구(92)의 내측벽에 존재하는 함몰부(103)로 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함몰부는 특히 견고하고 균일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링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접착 대신 작은 관(93)은 표면 압착을 통해 보어(9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측정을 실시할 때 우선 니들부(15)를 통해 전술한 방식에 따라 혈액이 용기(40)에서부터 흡입된다(스테이션 I). 수용 스테이션(III)으로 회전 아암(3)이 이동한 후에 니들부(15)가 매거진 장치(7)의 측정부(90)로 직접 삽입되며 그와 밀착되게 결합한다. 측정 스테이션(II)으로 아암(3)이 이동한 후에 이전에 흡입된 혈액이 니들부(15)에서부터 관통구 또는 보어(92)로 운반되거나 또는 그에서부터 작은 관(93) 또는 보어(92)로 운반된다. 그 후에 혈액은 전실(95) 및 개구부(99)를 통과하여 흐르고 그에서부터 후실(96)에 도달한다.
니들부(15) 및 개구부(99) 및 측정 시 그로 인한 혈액 흐름의 방향은 도시한 방향 대신 위에서부터 아래로 또는 그 반대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다른 방향도 가능하다.
대안적 실시 형태에서는 작은 관(93)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보어(92)가 200 내지 1000㎛의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다.
본 발명은 혈액 샘플의 자동 분석 장치 및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5)

  1. 혈액 샘플을 자동 분석하기 위한 장치로서,
    - 추출 장치에 의해 저장 용기로부터 혈액을 추출하는 추출 스테이션,
    - 추출된 혈액이 추출 장치에 연결되는 측정부 내에 배치되는 개구부 홀더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는 측정 스테이션;
    - 일회용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측정부가 내부에 제공되는 수용 스테이션;
    - 추출 스테이션, 측정 스테이션 그리고 수용 스테이션 사이에서 추출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
    를 조합하여 포함하고,
    추출 장치는,
    - 수용 스테이션 내에 제공되는 측정부에 연결될 수 있는 니들부;
    - 수용 스테이션 내에 제공되는 측정부에 연결될 수 있는 헤드부로서, 추출 스테이션에서 혈액이 저장 용기로부터 니들부로 흡입될 수 있고, 측정 스테이션에서 혈액이 헤드부를 통해 측정부로 운반될 수 있는, 헤드부;
    - 니들부 및 헤드부로의 택일적 연결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밸브; 및
    - 니들부로부터 파이프 라인으로 흡입된 혈액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를 구비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추출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제1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가능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아암은 스텝 모터에 의해 추출 스테이션, 측정 스테이션 및 수용 스테이션으로 운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아암은 제1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추출 스테이션의 저장 용기 및 수용 스테이션 내의 측정부를 위한 매거진 장치는 회전축의 제1 및 제2 반경 사이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니들부와 헤드부는 저장 용기와 매거진 장치 사이의 간격에 따라 회전축에 대해 서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되어 아암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추출 스테이션, 측정 스테이션 및 수용 스테이션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아암이 제1 구동 장치에 의해 추출 스테이션, 측정 스테이션 및 수용 스테이션으로 운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 구동 장치는 아암을 추출 스테이션, 측정 스테이션 및 수용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위해 작동되는 스텝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고정부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을 위한 제2 구동 장치가 아암 상에 배치되고, 고정부는 추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구동 장치는 나사 및 너트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니들부는 저장 용기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에서, 고정부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는 파이프 라인에 부착되고, 상기 파이프 라인은 니들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에서 제1 밸브를 통해 혈액 수용 용기에 연결되며; 혈액을 저장 용기로부터 수용 용기로 흡입하기 위한 또는 혈액을 수용 용기로부터 측정부로 방출하기 위한 제3 구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수용 용기는 제3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파이프 라인 및 니들부는 내측 소수성 코팅 및 외측 소수성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파이프 라인 및 니들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내측 소수성 코팅 및 내측 소유성 코팅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코팅은 졸 겔 나노 복합 코팅 및 테플론 형태의 플루오르폴리머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가열 장치는 금속성 히팅 코어의 형태를 갖고, 파이프 라인은 가열 장치 내에서 사행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파이프 라인은 흡입된 혈액이 사행형 구역을 통과할 때 혈액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측정 스테이션에서 혈액이 제3 구동 장치에 의한 수용 용기의 작동에 의해 파이프 라인으로부터 측정부를 통해 측정부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운반되고, 그 후 측정부로부터 방출되는 혈액이 수집 용기 내에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헤드부는 측정부의 홈 내에 삽입가능한 부분을 포함하고, 헤드부는 파이프 라인에 연결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구는 측정부의 홈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부분에서 전실로 통하고, 상기 부분이 홈 내로 이동한 후에 전실이 개구부 홀더의 개구부와 연결되도록 개구부 홀더가 바닥면 상에 위치되므로, 관통구를 통해 전실 내로 이동된 혈액이 전실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혈액 배출 공간 내로 운반되며, 혈액 배출 공간은 측정부 내에서 전실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개구부 측을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전실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부분 측에 위치되는 그리고 상기 부분이 측정부의 홈 내로 이동될 때 홈의 가장자리를 따른 부분에 근접하여 종단되는 어깨부에 O링을 적용함으로써 헤드부와 측정부 사이의 밀봉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측정부는 바디부 내에 바디부의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보어를 포함하고, 바디부 내의 보어는 전실로 연결되며, 전실은 다시 확장된 공간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간과 전실 사이에는 개구부 홀더가 밀착되게 부착되는 어깨부가 위치되며, 바디부의 타측을 향해 개방되는 후실이 상기 공간에 인접하게 놓이고, 전실 및 후실은 개구부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연결되며, 니들부는 보어 내로 밀착되게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니들부는 보어를 향하는 측을 따라, 안내 경사면으로 작용하는 원추형 부분을 포함하고, 보어는 니들부를 향하는 측을 따라, 보어와 그 내부에 삽입된 니들부 사이의 밀봉 연결을 형성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실링 부재는 O링 및 실링 에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개구부 홀더는 초음파 용접 및 접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어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보어로부터 개구부로 혈액을 운반하는 작은 관이 보어에 밀착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관은 보어의 내벽에 접착되거나 표면 압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관의 외경은 0.8 내지 2.0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관의 내경은 150 내지 50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30. 제1항에 있어서,
    관은 스테인레스 강 및 플루오르 플라스틱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헹굼제를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아암에 의해 접근가능한 세척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헹굼제는 파이프 라인의 부분을 통해 파이프 라인 및 추출 장치로 펌핑되고 운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아암에 의해 접근가능한 다른 세척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하고, 니들부 및 측정 헤드는 외측면의 세척을 위해 제2 구동 장치의 작동에 의해 헹굼제 및 세척제 중 적어도 하나로 충전되는 용기 내로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33. 삭제
  34. 삭제
  35. 제1항에 있어서,
    측정부는 바디부 내에 바디부의 일측을 향해 개방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바디부 내의 개구는 전실로 연결되며, 전실은 다시 확장된 공간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간과 전실 사이에는 개구부 홀더가 밀착되게 부착되는 어깨부가 위치되며, 바디부의 타측을 향해 개방되는 후실이 상기 공간에 인접하게 놓이고, 전실 및 후실은 개구부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연결되며, 니들부는 개구 내로 밀착되게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샘플 자동 분석 장치.
KR1020077000701A 2004-07-12 2005-07-12 혈액 샘플의 자동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221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3654.7 2004-07-12
DE102004033654 2004-07-12
PCT/DE2005/001228 WO2006005326A1 (de) 2004-07-12 2005-07-12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untersuchung von blutprob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487A KR20070037487A (ko) 2007-04-04
KR101221786B1 true KR101221786B1 (ko) 2013-01-14

Family

ID=3505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701A KR101221786B1 (ko) 2004-07-12 2005-07-12 혈액 샘플의 자동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951328B2 (ko)
EP (1) EP1766420B1 (ko)
JP (1) JP5090908B2 (ko)
KR (1) KR101221786B1 (ko)
CN (1) CN101002100B (ko)
AT (1) ATE500515T1 (ko)
AU (1) AU2005262060B2 (ko)
BR (1) BRPI0513323A (ko)
CA (1) CA2573183A1 (ko)
DE (2) DE502005011039D1 (ko)
ES (1) ES2365243T3 (ko)
IL (1) IL180644A0 (ko)
RU (1) RU2352939C2 (ko)
WO (1) WO2006005326A1 (ko)
ZA (1) ZA2007004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9000162D1 (de) * 2009-01-16 2010-10-14 Casyso Ag C A Messeinheit zum Messen der Eigenschaften einer Probenflüssigkeit, insbesondere der viskoelastischen Eigenschaften einer Blutprobe
CN102809535A (zh) * 2012-08-14 2012-12-05 江苏奥迪康医学科技有限公司 糖化血红蛋白分析仪比色光度计气泡检测消除方法
CN104224202B (zh) * 2014-08-30 2016-07-20 吕文 检验科自动验血脂装置
ES2846863T3 (es) 2015-12-11 2021-07-29 Babson Diagnostics Inc Recipiente para muestras y método para separar suero o plasma de la sangre completa
US20190331703A1 (en) * 2016-11-14 2019-10-31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Sample preparation device
CN111151314B (zh) * 2020-01-15 2021-07-27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仿蚂蚁口器功能结构的微液滴制备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4318A (en) * 1986-10-01 1992-11-17 Hitachi, Ltd. Automatic enzyme immunoassay analyzer
US5460779A (en) * 1991-05-28 1995-10-24 Dade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the automatic examination of blood sampl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1423A1 (de) * 1970-07-09 1972-01-13 Dr Med Elevitch Franklin Ray Automatisches Analysen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Durchfuehrung
DE4244931C2 (de) * 1991-05-28 1998-07-30 Dade Int Inc Einrichtung zur automatischen Untersuchung von Blutproben und Verwendung derselben
US5550059A (en) * 1994-02-23 1996-08-27 Bayer Corporation Fluid sensing pipette
SE9602298D0 (sv) * 1996-06-11 1996-06-11 Siemens Elema Ab Arrangement for analysing body fluids
CA2244397A1 (en) * 1997-08-01 1999-02-01 Mykola Myroslaw Yaremko An automated blood analysis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4318A (en) * 1986-10-01 1992-11-17 Hitachi, Ltd. Automatic enzyme immunoassay analyzer
US5460779A (en) * 1991-05-28 1995-10-24 Dade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the automatic examination of blood samp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00515T1 (de) 2011-03-15
CN101002100A (zh) 2007-07-18
IL180644A0 (en) 2007-06-03
US7951328B2 (en) 2011-05-31
EP1766420B1 (de) 2011-03-02
JP5090908B2 (ja) 2012-12-05
DE102005032905A1 (de) 2006-02-16
BRPI0513323A (pt) 2008-05-06
JP2008506128A (ja) 2008-02-28
US20070258859A1 (en) 2007-11-08
KR20070037487A (ko) 2007-04-04
CA2573183A1 (en) 2006-01-19
RU2007105094A (ru) 2008-08-20
EP1766420A1 (de) 2007-03-28
ES2365243T3 (es) 2011-09-27
RU2352939C2 (ru) 2009-04-20
AU2005262060B2 (en) 2011-06-09
CN101002100B (zh) 2011-06-08
ZA200700467B (en) 2008-04-30
DE502005011039D1 (de) 2011-04-14
AU2005262060A1 (en) 2006-01-19
WO2006005326A1 (de)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786B1 (ko) 혈액 샘플의 자동 분석 장치 및 방법
JPS61169736A (ja) 液体ピペツト装置及びピペツト方法
US2804075A (en) Non-clogging surgical aspirator
EP03604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s of particles contained in a liquid sample
US5408891A (en) Fluid probe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8574372B2 (en) Nozzle cleaning method, nozzle cleaning device, and automatic analyzer
US7621282B2 (en) Probe washing cups and methods
JP2000506979A (ja) ピペットプローブまたはスターラーの洗浄装置
JP2003525454A (ja) 各種体液の取扱い方法及びその装置
US9927342B2 (en) Two station sample and washing system
US8449687B2 (en) Wash r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JPH07229905A (ja) ピペット洗浄装置
JP2001504749A (ja) ピペットプローブ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4003916A (ja) 液体吸排ノズルおよび液体吸排装置
JPH076997B2 (ja) 試料採取装置および方法
CN109201640A (zh) 清洗池、清洗装置及样本针清洗方法
JP3717859B2 (ja) 化学分析装置
JPS5983031A (ja) 採液・転輸装置
CN109201641A (zh) 用于清洗装置的防溢装置
JP2007278887A (ja) 分注装置及び分注プローブユニット
JPH01219670A (ja) 自動化学分析装置
JPS5985935A (ja) 採液・転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