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154B1 -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 - Google Patents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1154B1 KR101221154B1 KR1020110047423A KR20110047423A KR101221154B1 KR 101221154 B1 KR101221154 B1 KR 101221154B1 KR 1020110047423 A KR1020110047423 A KR 1020110047423A KR 20110047423 A KR20110047423 A KR 20110047423A KR 101221154 B1 KR101221154 B1 KR 101221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ye
- solar cell
- negative electrode
- sensitized solar
- electrod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Hybrid Cel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시계를 구동시키는 시계제어부를 포함하는 시계에 있어서, 상기 염료 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단위전지들의 양전극과 음전극의 전극 연결부는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는 인접하여 형성되며,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형성된 위치의 양극기판 또는 음극기판에는 전극단자를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 단자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에 형성된 전원출력 단자와 시계제어부의 축전지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축전지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데 별도의 외부배선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에 형성된 전원출력 단자와 시계제어부의 축전지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축전지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데 별도의 외부배선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를 인접하게 형성한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기에 축전시키기 위하여 외부 배선이 필요없는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에 관한 것이다.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는 스위스 연방 기술원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이 개발한 태양전지로써,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낮고, 단가 대비 에너지 변화효율이 높으며, 투명성과 구부림이 가능한 셀을 제조할 수 있어 다양한 응용분야에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전자-홀 쌍을 생성하는 염료분자와 생성된 전자를 전달하는 반도체층이 포함된 광전극과, 염료분자로 전자를 보충해주는 전해질과, 전해질 용액의 산화환원반응의 촉매 역할을 하는 백금층이 코팅된 상대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빛이 입사되면 빛을 흡수한 염료가 여기상태(excited state)로 되어 전자를 반도체층의 전도대로 보내고, 전도된 전자는 전극을 따라 외부 회로로 흘러가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고, 전기에너지를 전달한 만큼 낮은 에너지 상태가 되어 상대전극으로 이동한다. 염료는 반도체층에 전달한 전자 개수만큼 전해질 용액으로부터 전자를 공급받아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해질은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상대전극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염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지의 음전극 역할을 하는 광전극은 이산화티타늄(TiO2)과 같은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이 표면에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을 생성하는 염료가 흡착되어 있다. 염료에 전자를 공급하는 전해질은 I-/I3 - 와 같이 산화-환원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I- 이온의 공급원으로 LiI, NaI, 알킬암모니움 요오드, 이미다졸리움 요오드 등이 사용되고, I3 - 이온은 I2를 용매에 녹여 생성시킨다. 상대전극은 백금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온 산화환원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여 표면에서의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하여 전해질 속의 이온에 전자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단위전지라 불리는 최소 단위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패키징하여 모듈을 만들고, 이들 모듈을 조합하여 어레이를 만드는 제조공정을 거친다. 이는 단위전지만으로는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만큼 충분한 전류와 전압을 생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위전지를 연결하여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은 Z-타입 모듈(Z-serial module), 모노리식-타입 모듈(Monolithic-serial module), W-타입 모듈(W-serial module) 등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다.
도 1a는 Z-타입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Z-타입 모듈(100)은 음극기판(120) 위에 투명 음전극(123)이 코팅되고, 투명 음전극(123) 위에 반도체층(121)이 형성된다. 각각의 단위전지들은 전극 연결부(122)에 의하여 직렬연결되는데, 전극 연결부(122)의 양측에는 전해질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124)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층(124)은 양극기판(110)과 음극기판(120) 사이에 게재되어서, 각각의 단위전지에 충진되는 전해질을 밀봉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도 1b는 도 1a에서 A-A'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식각부의 위치를 수정하였습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음극기판(120)과 양극기판(110) 사이의 공간에 보호층(124)으로 구분된 단위전지들이 형성되어 있다. 음극기판(120) 위에는 투명 음전극(123)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단위전지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투명 음전극 식각부(123a)가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명 음전극(123) 위에는 반도체층(121)이 형성되어 있고, 양극기판(110)에는 투명 양전극(111)과 백금층(112)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전해질(125)이 충진되어 있다. 투명 양전극(111)의 중간 중간에도 전기적 분리를 위한 투명 양전극 식각부(1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웃한 단위전지의 투명 양전극(111)과 투명 음전극(123)은 전극 연결부(12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전극 연결부(122)의 양 측부에는 보호층(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의 양 끝에 양전극 단자(116)와 음전극 단자(126)가 각각 양극기판(110)과 음극기판(120)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Z-타입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서로 다른 방향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어서, 축전지 등의 단자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전원선이 길게 연장되어야 하는 등 전지의 이용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를 인접하게 형성한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을 축전기에 축전시키기 위하여 외부 배선이 필요없는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시계를 구동시키는 시계제어부를 포함하는 시계에 있어서, 상기 염료 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단위전지들의 양전극과 음전극의 전극 연결부는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는 인접하여 형성되며,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형성된 위치의 양극기판 또는 음극기판에는 전극단자를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 단자 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음전극은 투명 음전극, 그리드 전극 및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리드 전극은 방사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전원 출력단자는 시계제어부의 축전지와 커넥터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는 인접하여 형성되므로 양극기판 또는 음극기판에 전극 단자 홀을 형성하고, 모듈의 내부로 출력단자를 형성하여 양극기판 또는 음극기판의 중앙부에서 전원출력 단자를 뽑아낼 수 있다.
또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에 형성된 전원출력 단자와 시계제어부의 축전지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축전지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하는데 별도의 외부배선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구비한 독립적인 시계제어부를 생산하여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에 형성된 전원출력단자에 간편하게 삽입함으로써 시계를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Z-타입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와 전자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전극이 적용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출력단자와 시계제어부의 축전지와 커넥터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와 전자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전극이 적용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출력단자와 시계제어부의 축전지와 커넥터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먼저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은 대향한 양극기판(210)과 음극기판(220)이 합착되어 이루어진다. 음극기판(220)에는 부채꼴 형태로 패터닝된 투명 음전극(223)과 투명 음전극 위에 도포된 반도체층(221)이 적층되어 하나의 단위전지를 이루고 있고, 단위전지들은 이웃한 경계에서 전극 연결부(222)에 의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단위전지에는 전극 연결부(222)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224)이 형성되어 있다. 음극기판(220) 위에는 양극기판(210)이 합착되어 있다. 음극기판과 양극기판의 합착은 보호층(224)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전극 연결부(222)는 이웃한 단위전지의 양전극과 음전극을 연결하여 직렬연결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루게 된다. 도면에서는 전해질 주입을 위한 전해질 주입구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양전극 단자(216)와 음전극 단자(226)는 모듈에서 생성된 전기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자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전극 단자(216)와 음전극 단자(226)는 인접하여 모듈의 외곽부에 형성될 수 있다.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를 인접하여 형성하는 것은 출력단자를 모듈 외부로 뽑아내는 것을 유리하게 한다. 즉, 종래의 Z-타입 모듈에서는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므로 단자를 외부 축전지 등에 연결하기 위해서 전선을 한 부위에서 연결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므로 커넥터 등을 연결하여 외부 전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음극기판(220) 위에 투명 음전극(223)이 형성되어 있고, 투명 음전극(223)의 중간 중간에는 투명 음전극 식각부(223a)가 형성되어 있다. 투명 음전극은 전자를 전달하면서 동시에 빛을 단위전지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성질과 전기 전도성을 함께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투명 음전극은 산화 인듐주석(Indium Tin Oxide, ITO)이나 불소함유 산화주석(Fluoride-doped Tin Oxide, FTO)과 같은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음전극(233) 위에는 이산화티타늄(TiO2)과 같은 반도체 산화물 입자가 도포되어 반도체층(221)을 형성하고, 반도체 산화물 입자의 표면에는 염료(미도시라는 표현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적으로 기재한 것입니다)가 흡착되어 있다. 음극기판(220) 위에는 양극기판(210)이 결합되어 있는데, 양극기판(210)의 하부면에는 산화 인듐주석(Indium Tin Oxide, ITO)이나 불소함유 산화주석(Fluoride-doped Tin Oxide, FTO)과 같은 투명 양전극(211)이 형성되어 있고, 투명 양전극(211) 하부면에는 백금층(212)이 형성되어 있다. 백금층(212)과 반도체층(221) 사이의 공간에는 전해질(225)이 충진되어 있는데, 전해질은 요오드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이거나 전도성 고분자 또는 겔 타입의 전해질일 수 있다. 양극기판(210)의 양전극과 음극기판(220)의 음전극은 전극 연결부(2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데, 투명 전극 식각부(223a, 211a)에 의하여 분리된 이웃한 단위전지의 양전극과 음전극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전극 연결부(222)는 도 2a의 양전극 단자(216) 및 음전극 단자(226)와 동일층에 형성될 수 있고, 스크린 프린팅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은(Ag)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 연결부(222)의 주변은 보호층(224)에 코팅되어서 전해질에 의한 산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층은 설린(surly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글라스 프릿(glass frit)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c는 도 2a의 B-B' 단면에서 전자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화살표가 표시된 점선은 전자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전자는 반도체층에서 발생되어 투명 음전극, 전극 연결부 및 투명 양전극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단위전지들을 통과하게 된다. 양전극 단자(216)와 음전극 단자(226)는 직렬연결된 단위전지들로 이루어진 모듈의 전력 출력단자로써 각각 전자가 유입되고 방출되는 단자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공간상에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력을 축전지로 공급하기 위한 외부 도선 연결이 편리하다.
상기 설명에서는 Z-타입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단위전지들의 양전극과 음전극의 전극 연결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는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으로서, 이러한 기술적 사상이 구현될 수 있다면, W-타입 모듈, 모놀리식-타입 모듈 등과 같이 단위전지간의 직렬연결이 포함된 모든 모듈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 전극이 적용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평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부분의 구성은 도 2a와 동일하지만, 전극 연결부에 그리드 전극(227a, 227b)이 연결되어 있고, 반도체층도 2개의 부분으로 패터닝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그리드 전극(227a, 227b)도 전극 연결부와 같은 은(Ag)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전해질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드 전극의 표면을 보호층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그리드 전극의 형성 위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층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리드 전극(227a, 227b)은 전극의 내부저항(shunt Resistance)을 낮추어 전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필 팩터(Fill Factor) 값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고, 결과적으로 태양전지의 광전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명 음전극의 물질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산화 인듐주석이나 불소함유 산화주석은 금속에 비하여 전기저항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음전극의 저항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그리드 전극이 이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는 시계침(300), 중앙에 상기 시계침의 중심축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전력 출력단자(260)가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 및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축전하는 축전지(410) 및 상기 시계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20)로 이루어진 시계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이하 중앙부에 전원 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간편하게 시계제어부(400)의 축전지(410)에 공급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의 정면도이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양전극 단자(216)와 음전극 단자(226)(이하 '전력 출력단자'라 한다)는 양극기판 또는 음극기판에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가 양극기판 및 음극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음극기판 아래에 양극기판이 접착되어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는 시계침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이 양극기판 및 음극기판에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반도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음극기판에 직경(a)를 갖는 제1관통홀(219)과 양극기판에 상기 제1관통홀의 직경보다 큰 직경(b)를 갖는 제2관통홀(2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력 출력단자(216,226)는 음극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시계제어부의 축전지)로 전력 출력단자를 유출시킴에 있어 축전지에 전력을 공급하기 편리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는 직경을 달리하는(a,b)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력 출력단자(216,226)는 음극기판(2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빛이 들어오는 음극기판의 하부로 전력 출력단자를 뽑는 것이 양극기판(210) 아래에 있는 시계제어부(400)의 축전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편리하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출력단자와 시계제어부의 축전지와 커넥터로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전원 출력단자(216,226)는 시계제어부(400)의 축전지(410)와 커넥터(500)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연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전원 출력단자(216,226)는 직선으로 외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축전지(410)의 전원 단자(431)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500)가 양극기판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500)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전력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앙부에 전원 출력단자(216,226)가 커넥터(5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시계제어부(400)는 전원 단자(431)를 구비하여 상기 커넥터(500)에 삽입시킴으로써 별도의 전기적인 배선없이 간편하게 축전지(4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210: 양극기판
211: 투명 양전극 211a: 투명 음전극 식각부
212: 백금층 216: 양전극 단자
219: 전극 단자 홀
220: 음극기판 221: 반도체층
222: 전극 연결부 223: 투명 음전극
223a: 투명 음전극 식각부 224: 보호층
225: 전해질 226: 음전극 단자
227a 227b : 그리드 전극
300 : 시계침 400 : 시계제어부
410 : 축전지 420 : 구동부
431 : 전원 단자 500 : 커넥터
211: 투명 양전극 211a: 투명 음전극 식각부
212: 백금층 216: 양전극 단자
219: 전극 단자 홀
220: 음극기판 221: 반도체층
222: 전극 연결부 223: 투명 음전극
223a: 투명 음전극 식각부 224: 보호층
225: 전해질 226: 음전극 단자
227a 227b : 그리드 전극
300 : 시계침 400 : 시계제어부
410 : 축전지 420 : 구동부
431 : 전원 단자 500 : 커넥터
Claims (3)
-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공급받아 시계를 구동시키는 시계제어부를 포함하는 시계에 있어서,
상기 염료 감응 태양전지 모듈은
단위전지들의 양전극과 음전극의 전극 연결부는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는 인접하여 형성되며,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형성된 위치의 양극기판 또는 음극기판에는 전극단자를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 단자 홀이 구비되고, 상기 음전극은 투명 음전극, 그리드 전극 및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리드 전극은 방사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전원 출력단자는 시계제어부의 축전지와 커넥터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7423A KR101221154B1 (ko) | 2011-05-19 | 2011-05-19 |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7423A KR101221154B1 (ko) | 2011-05-19 | 2011-05-19 |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9269A KR20120129269A (ko) | 2012-11-28 |
KR101221154B1 true KR101221154B1 (ko) | 2013-01-21 |
Family
ID=4751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7423A KR101221154B1 (ko) | 2011-05-19 | 2011-05-19 |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115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28968A (en) * | 1987-07-24 | 1989-01-31 | Fuji Electric Co Ltd | Solar cell |
JPH0392175A (ja) * | 1989-09-04 | 1991-04-17 | Shoichi Kojima | 健康器 |
WO2007015346A1 (ja) | 2005-08-02 | 2007-02-08 | Honda Motor Co., Ltd. | 太陽光発電装置 |
KR101030014B1 (ko) | 2009-11-09 | 2011-04-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광전변환소자 |
-
2011
- 2011-05-19 KR KR1020110047423A patent/KR1012211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28968A (en) * | 1987-07-24 | 1989-01-31 | Fuji Electric Co Ltd | Solar cell |
JPH0392175A (ja) * | 1989-09-04 | 1991-04-17 | Shoichi Kojima | 健康器 |
WO2007015346A1 (ja) | 2005-08-02 | 2007-02-08 | Honda Motor Co., Ltd. | 太陽光発電装置 |
KR101030014B1 (ko) | 2009-11-09 | 2011-04-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광전변환소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9269A (ko) | 2012-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124163A (ja) | 太陽電池モジュール | |
KR20080067586A (ko) | 분리막을 구비하고 있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0384893B1 (ko) | 나노입자 산화물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한태양전지 모듈 및 투명 전기창 | |
US20130000703A1 (en) | Complex dye-sensitized photovoltaic apparatus | |
US10147554B2 (en) | Energy storage dye-sensitized solar cell | |
JP5134867B2 (ja) | 光電変換素子 | |
US20150357123A1 (en) | Series/parallel mixed module structure of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8742248B2 (en) |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5324147B2 (ja) | 光電変換素子モジュール | |
KR20130023929A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해질 실링 구조 | |
JPWO2009148181A1 (ja) | 光電変換素子 | |
KR101221154B1 (ko) |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시계 | |
JP2011060663A (ja) | 色素増感型光電変換素子 | |
KR101221260B1 (ko) | 양전극 단자와 음전극 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 |
KR20130006088A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 단위 모듈을 이용한 타일 | |
KR20130083709A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그리드 전극 구조 | |
KR20130083711A (ko) | 염료감응 태양전지 | |
KR101214694B1 (ko) | 서브 모듈간의 전극이 수직으로 배치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 |
JP5398498B2 (ja) | 色素増感型光電変換素子 | |
JP2023107206A (ja) | 色素増感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 | |
JP2010080216A (ja) | 光電変換素子 | |
KR20090006907A (ko) | 이중구조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 |
JP2023166208A (ja) | 色素増感太陽電池 | |
TW201324815A (zh) | 染料敏化太陽能電池模組,用於一染料敏化太陽能電池模組之元件及其製造方法 | |
JP2023089661A (ja) | 色素増感太陽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