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743B1 - 강황 잎을 활용한 기능성 염색직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황 잎을 활용한 기능성 염색직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743B1
KR101220743B1 KR1020110090712A KR20110090712A KR101220743B1 KR 101220743 B1 KR101220743 B1 KR 101220743B1 KR 1020110090712 A KR1020110090712 A KR 1020110090712A KR 20110090712 A KR20110090712 A KR 20110090712A KR 101220743 B1 KR101220743 B1 KR 101220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yeing
turmeric
washing
mo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민실
최소라
송은주
서상영
최민경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전라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90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mordant dyes ; using metallisable d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강황잎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황잎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은 채취된 강황잎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자연건조된 강황잎으로부터 염액을 얻는 단계;직물을 구리 또는 철 매염제로 매염하는 단계; 상기 매염된 직물을 제 1 수세하는 단계; 상기 매염된 직물을 상기 염액에 담근 후, 다시 꺼내어 상기 직물을 염색하는 단계; 및 상기 염색된 직물을 제 2 수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대부분 버려지는 강황 잎으로부터 염액을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황 재배 농가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강황-추출 염액으로 직물을 염색시킨 직물은 항균활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친환경적인 섬유 염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강황 잎을 활용한 기능성 염색직물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functional dye-fabric using leaf of curcuma aromatica}
본 발명은 강황잎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새로운 강황잎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황(薑黃)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宿根)초본인 커쿠마 롱가 엘.(Curcuma longa L.)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성미(性味)가 신고(辛苦), 온(溫)하여 파혈행기(破血行氣), 통경지통(通經止痛)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주성분인 커큐민(curcumin)은 강황이 노란색을 띠게 하는 물질로 소염작용과 항산화작용을 비롯한 항암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지면서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하지만, 기존의 강황 활용 연구는 모두 약물이나, 건강식품 등에 국한되어 왔으므로, 보다 다양한 강황의 활용 기술에 관한 연구, 개발이 절실하다. 또한, 강황잎은 열매 수확 후 대부분 버려지는 상황이므로, 강황잎 자체를 활용하는 기술의 연구, 개발 또한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강황을 이용한 새로운 염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채취된 강황 잎을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자연 건조된 강황 잎을 물에 200g/L로 넣고, 상기 물을 1시간 동안 제 1 온도로 끓인 후, 다시 상기 제 1 온도보다 낮은 제 2 온도로 4~5시간 끓여 염액을 얻는 단계; 직물을 구리 또는 철 매염제로 매염하는 단계; 상기 매염된 직물을 제 1 수세하는 단계; 상기 매염된 직물을 상기 염액에 담근 후, 다시 꺼내어 상기 직물을 염색하는 단계; 및 상기 염색된 직물을 제 2 수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연건조는 7일간 진행되며, 상기 매염-제 1 수세-염색-제 2 수세는 5 회 반복하여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직물은 구리 또는 철 매염제에 의하여 20분간 매염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부분 버려지는 강황 잎으로부터 염액을 추출한다. 이로써, 강황 재배 농가의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강황-추출 염액으로 직물을 염색시킨 직물은 항균활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친환경적인 섬유 염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황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의 단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표시되는 약어는 본 명세서 내에서 별도의 다른 지칭이 없다면 당업계에서 통용되어, 이해되는 수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황잎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색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채취된 강황 잎을 자연 건조시킨다. 즉, 본 발명은 강황 수확 후 부산물로서 30~40톤/10a 가량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버려지는 강황 잎을 염액 제조 원료로 활용한다. 따라서, 강황 재배 농가의 수익 증대와 함께 자연식물로부터의 친환경 염액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연건조는 강황 잎을 7일간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자연 건조된 강황 잎으로부터 염액을 얻는데, 상기 강황 잎을 200g/L 수준으로 넣고 초기 1시간 정도 강한 불(90℃)에 끓인 후 4~5시간 약한 불(60℃)에 끓여 염액을 얻었다. 즉, 본 발명은 강황 잎으로부터 염액을 얻는 단계를 2 단계의 열수 추출 방식으로 진행하며, 제 1 단계 온도는 제 2 단계 온도보다 높게 구성한다.
이후, 직물을 상기 염액에 담근 후, 다시 꺼내는 방식의 염색 단계가 진행되는데, 이때 상기 직물은 염액에 담그기 전, 미리 구리 또는 철과 같은 매염제에 의하여 20분간 매염된 후 제 1 수세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 염색된 직물을 제 2 수세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염-제 1 수세-염색- 제 2 수세는 복수 회(5회) 반복하여 진행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최종 염색된 직물을 얻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강황 잎 추출물로 염색된 직물은 아래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실험예 1
항균활성
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염제를 4종류(명반, 구리, 철, 식초)로 한 후, 강황잎 추출물로 염색시켰으며, 그 과정은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다. 이후,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KCCM 12256과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에 대한 항균활성을 평가하여, 이를 하기 표 1에 도시하였다.
[표 1]
Figure 112011069970737-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황 잎 추출물-염색 견직물은 특히 구리, 철로 먼저 매염시킨 후, 염색시킴에 따라 세균감소율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매염-제 1 수세-염색-제 2 수세를 5회 이상 반복하는 본 발명에 따라 직물을 염색하는 경우, 염색된 직물의 항균활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염색견뢰도
하기 표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리나 철로 선매염한 후, 염색시킨 직물과 그렇지 않은 직물의 염색견뢰도를 비교한 결과표이다.
[표 2]
매염제: 명반
Figure 112011069970737-pat00002
[표 3]
매염제:구리
Figure 112011069970737-pat00003
[표 4]
매염제: 철
Figure 112011069970737-pat00004
[표 5]
매염제: 식초
Figure 112011069970737-pat00005
상기 결과에서 염색견뢰도 정도는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것으로, 1< 1-2< 2< 2-3< 3< 3-4< 4< 4-5< 5의 정량적인 기준을 갖는다.
상기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리나 철로 선매염한 후, 염색된 직물은 견뢰도가 명반이나, 식초로 매염시킨 경우와 동일하거나, 더 우수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90℃),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채취된 강황 잎을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자연 건조된 강황 잎을 물에 200g/L로 넣고, 상기 물을 1시간 동안 제 1 온도로 끓인 후, 다시 상기 제 1 온도보다 낮은 제 2 온도로 4~5시간 끓여 염액을 얻는 단계;
    직물을 구리 또는 철 매염제로 매염하는 단계;
    상기 매염된 직물을 제 1 수세하는 단계;
    상기 매염된 직물을 상기 염액에 담근 후, 다시 꺼내어 상기 직물을 염색하는 단계; 및
    상기 염색된 직물을 제 2 수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건조는 7일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잎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염-제 1 수세-염색-제 2 수세는 5 회 반복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잎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구리 또는 철 매염제에 의하여 20분간 매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황 잎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 방법.
KR1020110090712A 2011-09-07 2011-09-07 강황 잎을 활용한 기능성 염색직물 제조방법 KR101220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12A KR101220743B1 (ko) 2011-09-07 2011-09-07 강황 잎을 활용한 기능성 염색직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12A KR101220743B1 (ko) 2011-09-07 2011-09-07 강황 잎을 활용한 기능성 염색직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743B1 true KR101220743B1 (ko) 2013-01-21

Family

ID=4784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712A KR101220743B1 (ko) 2011-09-07 2011-09-07 강황 잎을 활용한 기능성 염색직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723A (ko) 2021-12-16 2023-06-23 (주)은호섬유 연속식 직물 원단 염색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961A (ko) * 2003-12-31 2005-07-07 계명문화대학 산학협력단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이용한 섬유의 천연 염색 방법
KR20050078618A (ko) * 2004-02-02 2005-08-05 주식회사 세이안코리아리미트 기능성 생약 가공 섬유 및 제조 방법
KR20060101564A (ko) * 2005-03-21 2006-09-26 (주)주경 직물의 천연 염색방법
KR101017868B1 (ko) 2010-09-06 2011-03-04 최종호 착색 및 착향이 우수한 천연 염색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961A (ko) * 2003-12-31 2005-07-07 계명문화대학 산학협력단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이용한 섬유의 천연 염색 방법
KR20050078618A (ko) * 2004-02-02 2005-08-05 주식회사 세이안코리아리미트 기능성 생약 가공 섬유 및 제조 방법
KR20060101564A (ko) * 2005-03-21 2006-09-26 (주)주경 직물의 천연 염색방법
KR101017868B1 (ko) 2010-09-06 2011-03-04 최종호 착색 및 착향이 우수한 천연 염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723A (ko) 2021-12-16 2023-06-23 (주)은호섬유 연속식 직물 원단 염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26309B (zh) 一种竹子软化改性工艺
Yılmaz et al. Antibacterial finishing of cotton fabrics by dyeing with olive tree leaves fallen during olive harvesting
CN106192395B (zh) 改性棉织物表面增强纳米银抗菌棉织物耐洗性能的方法
Shakyawar et al. Antimoth finishing treatment for woollens using tannin containing natural dyes
CN104328651A (zh) 一种防臭除菌保健功能布料的制备方法
CN105881685A (zh) 一种竹子软/碳化改性工艺
CN108437141A (zh) 一种抗菌防霉原竹工艺品的制备方法
CO7121346A2 (es) Mezcla que mejora el crecimiento de la planta
KR101220743B1 (ko) 강황 잎을 활용한 기능성 염색직물 제조방법
CN105231933A (zh) 一种抗菌混合纤维毛巾制作工艺
KR101045353B1 (ko) 천연재 염료를 이용한 염색 방법
CN104514169A (zh) 一种制备睡莲纤维的方法
CN104605073A (zh) 一种用牡丹花蕊制备花茶的方法
CN104308926A (zh) 一种藤条处理剂
KR101993088B1 (ko) 병풀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직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직물
Silva et al. Copaifera langsdorffii Desf. bark extract: optimisation of dyeing conditions to wool and colour fastness properties
CN105166015A (zh) 干制香椿芽的方法
KR20120076959A (ko) 쪽을 이용한 천연염료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alirajan et al. Utilization of Bougainvillea glabra for prepared natural colouring agent and biopesticides
Saravanan et al. A study on extraction and application of eco-friendly natural dye extracted from leaves of Acalypha indica Linn on silk fabric
KR100673586B1 (ko) 항식중독 기능을 가진 수건 또는 행주로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는 이질풀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성 헝겊 및 이의제조 방법
KR100918726B1 (ko) 녹나무천연염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03081956B (zh) 一种由植物制成的防治柿子树虫害的农药
Flax et al. Natural dyes from three invasive plant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CN103609616A (zh) 一种植物源杀菌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