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630B1 -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630B1
KR101220630B1 KR1020060122178A KR20060122178A KR101220630B1 KR 101220630 B1 KR101220630 B1 KR 101220630B1 KR 1020060122178 A KR1020060122178 A KR 1020060122178A KR 20060122178 A KR20060122178 A KR 20060122178A KR 101220630 B1 KR101220630 B1 KR 101220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bar
torsion
trailing arm
elastic wing
torsi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323A (ko
Inventor
장대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6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5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21Trailing arms connected by a torsional beam, i.e. twist-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Abstract

본 발명은 토션바의 강성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U형이나 V형으로 구성되는 토션빔(10) 양측에 트레일링암(20)을 결합하고, 상기 토션빔(10) 내측으로는 강성보강을 위한 토션바(30)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일링암(20) 내측으로 연장 결합되는 토션바(30) 단부에는 비틀림 강성을 가변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탄성윙(40)이 트레일링암(20) 내측에서 결합 고정되는 현가장치용 토션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성윙(40)이 " X" 자 형태를 갖고 트레일링암(20) 내측에서 용접 고정되므로, 휠 스트록에 의해 토션바(30)가 회전할 때 탄성윙(40)의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해서 가변적으로 비틀림 강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torsion bar rigidity control device}
도 1은 종래 차량용 토션빔과 트레일링암 결합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트레일링암과 토션빔 및 토션바 결합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틀레일링암과 토션바 결합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인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가 적용된 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토션빔 20 - 트레일링암
30 - 토션바 40 - 탄성윙
41 - 용접라인
본 발명은 토션바의 강성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토션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자체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션바는 스프링강의 막대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서, 단위 무게에 대한 에너지 흡수율이 다른 스프링에 비해 크고 경량의 간단한 구조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차량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일종으로서, 주행중 발생되는 로어암의 움직임을 프레임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토션바의 일단은 로어암에 고정되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지만 타단은 프레임에 지지된 상태에서 토션바의 비틀림 정도 즉 강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토션바의 구성은 앵커암에 결합되고, 앵커암은 앵커암브라켓에 걸림쇠와 조임샤프트 및 조임너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앵커암은 상기 앵커암브라켓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임너트를 돌려 앵커암이 회전되면서 앵커암브라켓쪽으로 밀착될 수록 토션바의 강성은 가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재 차량의 후륜에 CTBA(Coupled Torsion Axie)가 다른 스시템에 비해 중량 및 원가 측면에서 유리하여 소형 플랫폼을 비롯하여 다른 플랫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토션빔(2)은 기하학적 및 컴플라이언스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좌우 트레일링암(3)과 단순한 형태의 토션빔(2)을 용접으로 강결합하게 됨으로 이 부위에서 내구성을 확보한다.
상기 내구성을 위해 보강재의 형상 및 배치를 검토하여야 하며 토션빔(2)의 일반적인 형상은 U 및 V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배치에 따라 롤 토션바(1)를 설치하여 추가적인 롤 강성을 확보하여 횡 및 전후 방향에 대한 조종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차량의 토션바 구성에서 비틀림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즉, 단순한 형태의 토션빔을 좌우 트레일링 암과 단순 용접으로 고정되므로, 비틀림 강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션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자체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토션바의 강성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토션바의 강성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면이 U형이나 V형으로 구성되는 토션빔(10) 양측에 트레일링암(20)을 결합하고, 상기 토션빔(10) 내측으로는 강성보강을 위한 토션바(30)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일링암(20) 내측으로 연장 결합되는 토션바(30) 단부에는 비틀림 강성을 가변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탄성윙(40)이 트레일링암(20) 내측에서 결합 고정되는 현가장치용 토션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성윙(40)이 " X" 자 형태를 갖고 트레일링암(20) 내측에서 용접 고정되는 것이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인 토션바의 강성 조절장치는 토션빔(10)의 내측에 위치되는 토션바(30) 단부로 트레일링암(20)의 내측면과 고정되는 탄성윙(40)을 설치되므로, 휠 스트록에 의해 토션바(30)가 회전할 때 탄성윙(40)의 탄성 및 복원력에 의해서 가변적으로 비틀림 강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토션빔과 트레일링암 결합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트레일링암과 토션빔 및 토션바 결합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틀레일링암과 토션바 결합구성을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가 적용된 구성을 요부확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토션바의 강성 조절장치는 토션빔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토션바 단부로 트레일링암 내측과 고정되는 탄성윙을 설치하여 휠스트록에 의해 토션바가 회전될때 발생되는 비틀림 강성을 가변시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구성에서 단면이 U형이나 V형으로 구성되는 토션빔(10) 양측에는 트레일링암(20)을 결합하고, 상기 토션빔(10) 내측으로는 강성보강을 위한 토션바(30)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트레일링암(20) 내측으로 연장 결합되는 토션바(30) 단부에는 본 발명 구성으로 비틀림 강성을 가변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탄성윙(40)이 트레일링암(20) 내측에서 결합 고정된다.
상기 탄성윙(4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 X " 형으로 토션바(30)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트레일링암(20) 내측면에 용점고정된다.
즉, 상기 탄성윙(40)의 단부측에는 트레일링암(20) 내측면과 고정될 수 있도록 용접라인(41)이 형성되므로, 견고하게 고정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트레일링암(20) 내부와 토션바(30)는 양단에 홀을 두어 볼트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는 방식이다.
따라서, 휠스트록에 의해 토션바(30)가 회전할 때 상기 토션바(30)의 단부에 설치되어 트레일링암(20) 내측에 고정된 탄성윙(40)을 통해서 비틀림 변형이 적게 발생될 경우에는 소트프한 특성을 보이다가 비틀림이 크게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탄성윙(40)을 통해서 토션바(30)로 가해지는 비틀림 강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윙(40)의 구성이 " X "자 형태로 토션바(30)의 단부로 형성되므로, 좌,우 양측 상,하에서 비틀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토션바(30)의 단부에 탄성윙(40)을 설치하여 트레일링암(20) 내측에 용접 고정되므로, 휠스트록에 의해 토션바(30)가 회전할 때 발생되는 변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토션빔 구성과는 달리 토션바 단부로 탄성윙이 설치되어 틀레일링암 내측에 고정되므로, 휠 스트록에 의한 토션바의 회전시 발생되는 가변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단면이 U형이나 V형으로 구성되는 토션빔(10) 양측에 트레일링암(20)을 결합하고, 상기 토션빔(10) 내측으로는 강성보강을 위한 토션바(30)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일링암(20) 내측으로 연장 결합되는 토션바(30) 단부에는 비틀림 강성을 가변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탄성윙(40)이 트레일링암(20) 내측에서 결합 고정되는 현가장치용 토션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성윙(40)이 " X" 자 형태를 갖고 트레일링암(20) 내측에서 용접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바의 강성 조절장치.
  2. 삭제
KR1020060122178A 2006-12-05 2006-12-05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 KR101220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178A KR101220630B1 (ko) 2006-12-05 2006-12-05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2178A KR101220630B1 (ko) 2006-12-05 2006-12-05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323A KR20080051323A (ko) 2008-06-11
KR101220630B1 true KR101220630B1 (ko) 2013-01-10

Family

ID=3980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178A KR101220630B1 (ko) 2006-12-05 2006-12-05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6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7A (ja) * 1994-06-22 1996-01-09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50100176A (ko) * 2004-04-13 2005-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7A (ja) * 1994-06-22 1996-01-09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50100176A (ko) * 2004-04-13 2005-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323A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54935A (ja) 車両用スタビライザ―
US20090026724A1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JP2006056500A (ja) 車輪懸架装置
US8967645B2 (en) Front leaf spring
US5507516A (en) Vehicle suspension
US20060170175A1 (en) Pivoting shackle plate with angled connection to steering axle
KR101220630B1 (ko) 토션바 강성 조절장치
KR101491181B1 (ko) 차량용 부시장착구조
JP5056366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52973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JP4109601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H0126600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70094086A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보강구조
KR100829299B1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져바
KR100962200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KR100908174B1 (ko) 엮임 판형 ctba
JPH11245639A (ja) トーションバによる衝撃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20220108599A (ko)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KR100369037B1 (ko) 리프 스프링 식 현가장치의 스프링지지구조
EP1348580B1 (en) Independent suspension for a wheel of a commercial vehicle
KR100391607B1 (ko) 버스의 현가장치
KR20080023842A (ko)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KR20090060818A (ko)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바아 장착구조
KR20230077136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2108809B1 (ko) 차량의 ctb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