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154B1 -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철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철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154B1
KR101220154B1 KR1020120059922A KR20120059922A KR101220154B1 KR 101220154 B1 KR101220154 B1 KR 101220154B1 KR 1020120059922 A KR1020120059922 A KR 1020120059922A KR 20120059922 A KR20120059922 A KR 20120059922A KR 101220154 B1 KR101220154 B1 KR 10122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fecl
mmol
add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연
이필호
엄다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45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36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38Nitrogen atoms
    • C07D215/42Nitro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 C07D22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21/04Ortho- or peri-condensed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2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even-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8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elevant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4608706-pat00039

상기 화학식 1에서, X, R1 내지 R4 및 n은 각각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제조방법은 철 촉매 존재 하에 다양한 아렌-알카인 화합물로부터 이성질화 반응을 통해 높은 수율로 다이하이드로 나프탈렌, 크로멘, 다이하이드로 퀴놀린 유도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철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Novel heterocyclic compound derivatives catalyzed by iron and its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 촉매를 이용하여 아렌-알카인 화합물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통하여 상기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테로고리 화합물 중 크로멘 유도체, 다이하이드로 퀴놀린 유도체 그리고 다이하이드로 나프탈렌 유도체는 천연물을 합성하는데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고 있으며, 의약품의 기본골격이 되는 중요한 구조가 되므로 많은 합성법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 다이하이드로 나프탈렌 유도체의 현재까지 알려진 합성 방법 중에서 Birch 환원반응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Birch 환원반응에는 여러 가지 제한적 요소가 있다. 이 반응의 조건에서는 여러 가지 작용기들의 도입이 불가능하며, 위치 선택성이 좋지 않고, 반응의 원활한 종결(over-reaction이 일어남)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Tetrahedron 1984, 40, 1145; J. Am . Chem . Soc . 1998, 120, 7835; Tetrahedron Lett. 1984, 25, 5649; J. Org . Chem . 1997, 62, 7497; Tetrahedron Lett. 1999, 40, 2271; Org . React. 1992, 42, 1; Tetrahedron 1989, 45, 1579; Chem . Commum. 1992, 79; Tetrahedron Lett . 1987, 28, 2481).
최근에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해 금속 촉매를 이용한 분자내 고리화 반응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에서 사용된 금속 촉매들은 금, 백금, 로듐, 팔라듐, 루세늄과 같이 값비싼 촉매를 다룬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철과 같이 경제적으로 저렴한 효율적인 금속 촉매를 사용한 반응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기질에 다양한 치환체의 도입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Science 2000, 287, 1992; Org . Lett. 2003, 5, 1055; Org . Lett . 2004, 6, 581; J. Org . Chem . 2009, 74, 8901; Chem . Commun . 2010, 1748).
또한 아렌-알카인 화합물들과, 철 촉매를 이용하여 설파이드기와 N-토실설폰일아민기가 치환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들을 제조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문헌에 보고된 바가 없다.
Tetrahedron 1984, 40, 1145 J. Am. Chem. Soc. 1998, 120, 7835 Tetrahedron Lett. 1984, 25, 5649 J. Org. Chem. 1997, 62, 7497 Tetrahedron Lett. 1999, 40, 2271 Org. React. 1992, 42, 1 Tetrahedron 1989, 45, 1579 Chem. Commum. 1992, 79 Tetrahedron Lett. 1987, 28, 2481 Science 2000, 287, 1992 Org. Lett. 2003, 5, 1055 Org. Lett. 2004, 6, 581 J. Org. Chem. 2009, 74, 8901 Chem. Commun. 2010, 1748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 촉매를 이용하여 아렌-알카인 유도체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통해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철 촉매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렌-알카인 유도체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통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4608706-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44608706-pat00002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4608706-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겐 또는 시아노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 (C1-C7)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6-C20)아르(C1-C7)알킬이고;
상기 R1과 R2는 -L-CR11R12-CR13=CR14-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2와 R3는 (C1-C7)알킬렌 또는 (C2-C7)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L은 O 또는 S이고;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 또는 (C1-C7)알콕시이고;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티오 또는 (C6-C20)아릴티오이고;
R4는 SR15 또는 NR16Ts이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7)알킬, (C6-C20)아릴 또는 (C6-C20)아르(C1-C7)알킬이고;
X는 CR17R18, NTs 또는 O이고;
R17 및 R1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알콕시카보닐이고;
Ts는 (4-메틸페닐)설포닐이고;
n은 0 또는 1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알킬'은 직쇄상 또는 분쇄상의 탄소사슬을 모두 포함하며, 상기 '아릴'은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안트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메틸, 메톡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시아노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프로필, 메톡시,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또는 벤질이고; 상기 R1과 R2
Figure 112012044608706-pat00004
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2와 R3
Figure 112012044608706-pat00005
으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페닐, 나프틸 또는 바이페닐이고; R4는 SR15 또는 NR16Ts이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또는 벤질이고; X는 CR17R18, NTs 또는 O이고; R17 및 R1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카보닐 또는 에톡시카보닐이고; Ts는 (4-메틸페닐)설포닐이고; n은 0 또는 1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는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12044608706-pat00006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철 촉매 하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렌-알카인 유도체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통하여 하기 화학식 1의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4608706-pat00007
[화학식 2]
Figure 112012044608706-pat00008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수소, (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겐 또는 시아노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 (C1-C7)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6-C20)아르(C1-C7)알킬이고;
상기 R1과 R2는 -L-CR11R12-CR13=CR14-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2와 R3는 (C1-C7)알킬렌 또는 (C2-C7)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L은 O 또는 S이고;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 또는 (C1-C7)알콕시이고;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티오 또는 (C6-C20)아릴티오이고;
R4는 SR15 또는 NR16Ts이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7)알킬, (C6-C20)아릴 또는 (C6-C20)아르(C1-C7)알킬이고;
X는 CR17R18, NTs 또는 O이고;
R17 및 R1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알콕시카보닐이고;
Ts는 (4-메틸페닐)설포닐이고;
n은 0 또는 1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철 촉매는 2가 또는 3가의 철 화합물로, FeBr2, FeBr3, FeCl2, FeCl3, Fe(OTf)3, Fe(acac)3, Fe(CO)6, FeCl3·6H2O, FeCl3·4H2O, Fe2O3, Fe(NO)3·9H2O 및 FeSO4·7H2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FeCl3 또는 Fe(OTf)3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철 촉매의 양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렌-알카인 유도체에 대해 1 내지 10 mo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mol%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철 촉매 외에 은(Ag) 촉매를 병용하여 철 촉매의 루이스 산도를 높임으로써 반응의 선택성 및 수율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은(Ag) 촉매의 경우 AgOTf(OTf= trifluoromethane sulfonate), AgNTf2, AgSbF6, AgBF4, AgAsF6, AgPF6 및 AgN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AgOTf를 철 촉매와 병용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은(Ag) 촉매는 3가의 철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은(Ag) 촉매는 철 촉매에 대해 2~4당량, 보다 좋게는 3당량을 사용한다. 또한 2가의 철 촉매의 경우 은(Ag) 촉매는 철 촉매에 대해 1~3당량, 보다 좋게는 2당량을 사용하도록 하며, 은 촉매는 철 촉매에 대하여 통상 1 내지 15 mol%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5 mol%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이며 다이클로로메탄 (DCM), 다이클로로에탄 (DCE), 톨루엔 (Toluene), 아세토나이트릴 (MeCN), 나이트로메탄 (Nitrometh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HF),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DMF) 및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D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산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이클로로에탄 (DCE)를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25 내지 80℃에서 상기 반응을 수행하고, 반응시간은 반응물질, 촉매의 종류 및 용매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TLC 등을 통하여 출발물질인 화학식 2의 아렌-알카인 유도체가 완전히 소모됨을 확인한 후 반응을 완결시키도록 한다. 반응이 완결되면 추출과정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시킨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목적물을 분리 정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는 천연물의 기본골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신약 개발 및 다양한 의약품의 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 촉매 또는 철 촉매와 은촉매의 혼합촉매를 이용한 아렌-알카인 유도체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통해 높은 수율로 다이하이드로 나프탈렌, 크로멘, 다이하이드로 퀴놀린 유도체 등의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4-다이하이드로나프타렌-1-일)(페닐)설페인 [(3,4-dihydronaphthalen-1-yl)(phenyl)sulfa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09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페닐(4-페닐부트-1-이닐)설페인 (phenyl(4-phenylbut-1-ynyl)sulfane, 71.5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3,4-다이하이드로나프타렌-1-일)(페닐)설페인 (60.8 mg, 8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2 (d, J = 8.3, 2H), 7.34-7.31 (m, 3H), 7.29-7.25 (m, 4H), 7.23-7.14 (m, 5H), 4.68 (s, 2H), 2.35 (s, 3H)
[실시예 2] (5-메틸-3,4-다이하이드로나프탈렌-1-일)(페닐)설페인 [(5-methyl-3,4-dihydronaphthalen-1-yl)(phenyl)sulfa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0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페닐(4-o-톨릴부트-1-이닐)설페인 (phenyl(4-o-tolylbut-1-ynyl)sulfane, 75.7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5-메틸-3,4-다이하이드로나프탈렌-1-일)(페닐)설페인 (63.6 mg, 84%)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8 (dd, J = 6.8, 1.9 Hz, 1H), 7.24-7.16 (m, 4H), 7.10-7.06 (m, 1H), 7.03-6.97 (m, 2H), 6.55 (t, J = 4.8 Hz, 1H), 2.80 (t, J = 8.0 Hz, 2H), 2.42 (td, J = 8.0, 4.8 Hz, 2H), 2.29 (s, 3H)
[실시예 3] (7-메틸-3,4-다이하이드로나프타렌-1-일)(페닐)설페인 [(7-methyl-3,4-dihydronaphthalen-1-yl)(phenyl)sulfa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1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페닐(4-p-톨릴부트-1-이닐)설페인 (phenyl(4-p-tolylbut-1-ynyl)sulfane, 75.7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7-메틸-3,4-다이하이드로나프탈렌-1-일)(페닐)설페인 (62.8 mg, 8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1 (s, 1H), 7.27-7.24 (m, 2H), 7.19 (t, J = 7.6 Hz, 2H), 7.12-7.07 (m, 1H), 7.02 (d, J = 7.5 Hz, 1H), 6.94 (d, J = 7.5 Hz, 1H), 6.48 (t, J = 4.7 Hz, 1H), 2.80 (t, J = 8.0 Hz, 2H), 2.41-2.36 (m, 2H), 2.21 (s, 3H)
[실시예 4] (6,7-다이하이드로-5H-벤조[7]안눌렌-9-일)(페닐)설페인 [(6,7-dihydro-5H-benzo[7]annulen-9-yl)(phenyl)sulfa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2
플라스크에 Fe(OTf)3 (15.1 mg, 0.03 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페닐(5-페닐펜트-1-이닐)설페인 (phenyl(5-phenylpent-1-ynyl)sulfane, 75.7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6,7-다이하이드로-5H-벤조[7]안눌렌-9-일)(페닐)설페인 (58.3 mg, 77%)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5-7.63 (m, 1H), 7.26-7.04 (m, 8H), 6.61 (t, J = 7.3, 1H), 2.70 (t, J = 7.0, 2H), 1.98-1.93 (m, 2H)
[실시예 5] 다이에틸 4-(페닐싸이오)나프탈렌-1,1(2H)-다이카복실레이트 [Diethyl 4-(phenylthio)naphthalene-1,1(2H)-di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3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다이에틸 2-페닐-2-(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말로네이트 (diethyl 2-phenyl-2-(3-(phenylthio)prop-2-ynyl)malonate, 114.7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6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다이에틸 4-(페닐싸이오)나프탈렌-1,1(2H)-다이카복실레이트 (90.6 mg, 79%)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7-7.65 (m, 1H), 7.25-7.10 (m, 8H), 6.50 (t, J = 4.7 Hz, 1H), 4.32-4.22 (m, 4H), 3.15 (d, J = 4.7 Hz, 2H), 1.27 (t, J = 7.1 Hz, 6H)
[실시예 6] 다이에틸 6-메톡시-4-(페닐싸이오)나프탈렌-1,1(2H)-다이카복실레이트 [Diethyl 6-methoxy-4-(phenylthio)naphthalene-1,1(2H) -di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4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다이에틸 2-(4-메톡시페닐)-2-(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말로네이트 (diethyl 2-(4-methoxyphenyl)-2-(3-(phenylthio)prop-2-ynyl)malonate, 123.7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다이에틸 6-메톡시-4-(페닐싸이오)나프탈렌-1,1(2H)-다이카복실레이트 (87.9 mg, 7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23 (d, J = 2.6 Hz, 1H), 7.21-7.15 (m, 4H), 7.13-7.08 (m, 2H), 6.77 (dd, J = 8.5, 2.7 Hz, 1H), 6.55 (t, J = 4.5 Hz, 1H), 4.31-4.21 (m, 4H), 3.67 (s, 3H), 3.14 (d, J = 3.2 Hz, 2H), 1.26 (t, J = 7.1 Hz, 6H)
[실시예 7] 다이에틸 2-메틸-9-(페닐싸이오)-5H-벤조[7]안눌렌-6,6(7H)-다이카복실레이트 [Diethyl 2-methyl-9-(phenylthio)-5H-benzo[7]annulene-6,6(7H)-dicarboxylat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5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다이에틸 2-(4-메틸벤질)-2-(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말로네이트 (diethyl 2-(4-methylbenzyl)-2-(3-(phenylthio)prop-2-ynyl)malonate, 123.2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다이에틸 2-메틸-9-(페닐싸이오)-5H-벤조[7]안눌렌-6,6(7H)-다이카복실레이트 (97.3 mg, 79%)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5 (s, 1H), 7.29-7.27 (m, 2H), 7.22-7.14 (m, 4H), 6.97 (dd, J = 7.7, 1.2, 1H), 6.39 (t, J = 7.3, 1H), 4.23-4.16 (m, 4H), 3.16 (s, 2H), 2.40 (d, J = 7.3, 2H) 2.27 (s, 3H), 1.26 (t, J = 7.1, 6H)
[실시예 8] 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 [4-(phenylthio)-1-tosyl-1,2-dihydroquinoli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6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4-메틸-N-페닐-N-(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4-methyl-N-phenyl-N-(3-(phenylthio)prop-2-ynyl)-benzenesulfonamide, 118.1 mg, 0.3 mmol)을 첨가하여 80℃에서 6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 (75.6 mg, 64%)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7 (dd, J = 8.0, 1.1, 1H), 7.42-7.38 (m, 3H), 7.34-7.30 (m, 1H), 7.21-7.14 (m, 6H), 6.87-6.84 (m, 2H) 5.60 (t, J = 4.5, 1H), 4.48 (d, J = 4.5, 2H), 2.41 (s, 3H)
[실시예 9] 8-아이소프로필-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 [8-isopropyl-4-(phenylthio)-1-tosyl-1,2-dihydroquinoli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7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2-아이소프로필페닐)-4-메틸-N-(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 벤젠설폰아마이드 (N-(2-isopropylphenyl)-4-methyl-N-(3-(phenylthio)prop-2-ynyl)-benzenesulfonamide, 130.7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8-아이소프로필-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 (124.1 mg, 9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0 (dd, J = 7.8, 1.6, 1H), 7.34-7.24 (m, 7H), 7.19 (d, J = 8.2, 2H), 7.07 (m, 2H), 5.17 (dd, J = 18.2, 6.0, 1H) 3.97-3.90 (m, 2H), 2.46 (s, 3H), 1.44 (d, J = 6.9, 3H), 1.11 (d, J = 6.9, 3H)
[실시예 10] 7-메톡시-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 [7-methoxy-4-(phenylthio)-1-tosyl-1,2-dihydroquinoli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8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3-메톡시페닐)-4-메틸-N-(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벤젠설 폰아마이드 (127.1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6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7-메톡시-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 (82.6 mg, 6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3 (d, J = 8.3, 2H), 7.36 (d, J = 2.6, 1H), 7.29 (d, J = 8.6, 1H), 7.20-7.14 (m, 5H), 6.83-6.80 (m, 2H), 6.69 (dd, J = 8.8, 2.7, 1H), 5.55 (t, J = 4.5, 1H), 4.47 (d, J = 4.5, 2H), 3.85 (s, 3H), 2.41 (s, 3H)
[실시예 11] 6-브로모-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 [6-bromo-4-(phenylthio)-1-tosyl-1,2-dihydroquinoli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19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4-브로모페닐)-4-메틸-N-(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N-(4-bromophenyl)-4-methyl-N-(3-(phenylthio)prop-2-ynyl)-benzenesulfonamide, 141.7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6-브로모-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 (121.9 mg, 86%)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3 (d, J = 8.6, 1H), 7.55 (d, J = 2.3, 1H), 7.43-7.37 (m, 3H), 7.23-7.17 (m, 5H), 6.89-6.86 (m, 2H), 5.55 (t, J = 4.5, 1H), 4.43 (d, J = 4.5, 2H), 2.42 (s, 3H)
[실시예 12] 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6-카보나이트릴 [4-(phenylthio)-1-tosyl-1,2-dihydroquinoline-6-carbonitrile] 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0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4-시아노페닐)-4-메틸-N-(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N-(4-cyanophenyl)-4-methyl-N-(3-(phenylthio)prop-2-ynyl)-benzenesulfonamide, 125.6 mg, 0.3 mmol)을 첨가하여 80℃에서 6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4-(페닐싸이오)-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6-카보나이트릴 (89.1 mg, 71%)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8 (d, J = 8.4, 1H), 7.70 (d, J = 1.9, 1H), 7.56 (dd, J = 8.4, 1.9, 1H), 7.44 (d, J = 8.3, 2H), 7.27-7.16 (m, 5H), 6.85-6.83 (m, 2H), 5.81 (t, J = 4.5, 1H), 4.53 (d, J = 4.5, 2H), 2.44 (s, 3H)
[실시예 13] 5-(페닐싸이오)-2-토실-2,3-다이하이드로-1H-벤조[c]아제핀 [5-(phenylthio)-2-tosyl-2,3-dihydro-1H-benzo[c]azepi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1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벤질-4-메틸-N-(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N-benzyl-4-methyl-N-(3-(phenylthio)prop-2-ynyl)-benzenesulfonamide, 122.3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5-(페닐싸이오)-2-토실-2,3-다이하이드로-1H-벤조[c]아제핀 (55 mg, 4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9 (d, J = 8.3, 2H), 7.65 (d, J = 7.6, 1H), 7.31-7.26 (m, 3H), 7.24-7.15 (m, 7H), 5.77 (t, J = 7.4, 1H), 4.19 (s, 2H), 3.60 (d, J = 7.4, 2H), 2.44 (s, 3H)
[실시예 14] 4-(페닐싸이오)-2H-크로멘 [4-(phenylthio)-2H-chrom e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2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3-(펜옥시프로프-1-이닐)(페닐)설페인 ((3-phenoxyprop-1-ynyl)(phenyl)sulfane, 72.1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4-(페닐싸이오)-2H-크로멘 (50.5 mg, 70%)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3-7.34 (m, 3H), 7.30-7.20 (m, 4H), 7.12 (m, 1H), 6.84-6.81 (m, 2H), 5.89 (t, J = 4.1 Hz, 1H), 4.79 (d, J = 4.1 Hz, 2H)
[실시예 15] 4,9-비스(페닐싸이오)-2,7-다이하이드로피라노[2,3-g]크로멘 [4,9-bis(phenylthio)-2,7-dihydropyrano[2,3-g]chromen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3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1,4-비스(3-(페닐싸이오)프로프-2-이닐옥시)벤젠 (1,4-bis(3-(phenylthio)prop-2-ynyloxy)benzene, 120.8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1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4,9-비스(페닐싸이오)-2,7-다이하이드로피라노[2,3-g]크로멘 (87 mg, 7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8-7.25 (m, 10H), 6.72 (s, 2H), 6.22 (t, J = 3.9, 2H), 4.72 (d, J = 3.9, 4H)
[실시예 16] N-(2H-크로멘-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2H-chromen-4-yl)-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4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4-메틸-N-(3-펜옥시프로프-1-이닐)-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4-methyl-N-(3-phenoxyprop-1-ynyl)-N-phenylbenzenesulfonamide, 11 3.2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N-(2H-크로멘-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98.5 mg, 87%)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3 (d, J = 8.7 Hz, 2H), 7.44-7.42 (m, 2H), 7.38-7.36 (m, 1H), 7.31-7.22 (m, 5H), 7.10-7.06 (m, 1H), 6.86-6.82 (m, 1H), 6.74 (d, J = 8.2 Hz, 1H), 5.75 (t, J = 4.1 Hz, 1H), 4.84 (d, J = 4.1 Hz, 2H), 2.41 (s, 3H)
[실시예 17] N-(3,4-다이하이드로나프탈렌-1-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3,4-dihydronaphthalen-1-yl)-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5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4-메틸-N-페닐-N-(4-페닐부트-1-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4-methyl-N-phenyl-N-(4-phenylbut-1-ynyl)benzenesulfonamide, 112.6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N-(3,4-다이하이드로나프탈렌-1-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95.7 mg, 8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3 (d, J = 8.2 Hz, 2H), 7.56 (d, J = 7.4 Hz, 1H), 7.47-7.45 (m, 2H), 7.30-7.05 (m, 8H), 5.98 (t, J = 4.6 Hz, 1H), 2.76 (t, J = 8.2 Hz, 2H), 2.43-2.38 (m, 5H)
[실시예 18] N-(2H-벤조[h]크로멘-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2H-benzo[h]chromen-4-yl)-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6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4-메틸-N-페닐-N-(3-(나프탈렌-1-일옥시)프로프-1-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4-methyl-N-phenyl-N-(3-(naphthalen-1-yloxy)prop-1-ynyl)benzenesulfonamide, 128.3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N-(2H-벤조[h]크로멘-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110.3 mg, 86%)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6 (t, J = 4.8 Hz, 1H), 7.68-7.66 (m, 3H), 7.50-7.45 (m, 3H), 7.41-7.38 (m, 2H), 7.32-7.18 (m, 6H), 5.80 (t, J = 4.1 Hz, 1H), 5.02 (d, J = 4.1 Hz, 2H), 2.41 (s, 3H)
[실시예 19] N-(7-메톡시-2H-크로멘-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7-methoxy-2H-chromen-4-yl)-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7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3-(3-메톡시펜옥시)프로프-1-이닐)-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3-(3-methoxyphenoxy)prop-1-ynyl)-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 122.2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N-(7-메톡시-2H-크로멘-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91.7 mg, 7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3 (d, J = 8.3 Hz, 2H), 7.43 (d, J = 7.1 Hz, 2H), 7.32-7.20 (m, 6H), 6.40 (dd, J = 8.6, 2.5 Hz, 1H), 6.32 (d, J = 2.5 Hz, 1H), 5.60 (t, J = 7.9 Hz, 1H), 4.83 (d, J = 8.5 Hz, 2H), 3.72 (s, 3H)
[실시예 20] 4-메틸-N-페닐-N-(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벤젠설폰아마이드 [4-methyl-N-phenyl-N-(1-tosyl-1,2-dihydroquinolin-4-yl)benzenesulfon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8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 N'-(프로프-1-아인-1,3-다이일)비스(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N'-(prop-1-yn-1,3-diyl)bis(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 159.2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3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4-메틸-N-페닐-N-(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벤젠설폰아마이드 (121 mg, 76%)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72 (dd, J = 8.0, 1.2 Hz, 1H), 7.53 (dd, J = 7.7, 1.7 Hz, 1H), 7.43 (d, J = 8.3 Hz, 2H), 7.30-7.15 (m, 9H), 6.97-6.89 (m, 4H), 5.73 (t, J = 8.8 Hz, 1H), 4.61 (s, 2H), 2.42 (s, 3H), 2.25 (s, 3H)
[실시예 21] N-(8-아이소프로필-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8-isopropyl-1-tosyl-1,2-dihydroquinolin-4-yl)-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29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2-아이소프로필페닐)-4-메틸-N-(3-(4-메틸-N-페닐페닐설폰아미도)프로프-2-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N-(2-isopropylphenyl)-4-methyl-N-(3-(4-methyl-N-phenylphenylsulfonamido)prop-2-ynyl)benzenesulfonamide, 171.7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N-(8-아이소프로필-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157.9 mg, 92%)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55-7.53 (m, 1H), 7.41 (d, J = 8.2 Hz, 2H), 7.36-7.30 (m, 4H), 7.28-7.18 (m, 5H), 7.07 (d, J = 7.3 Hz, 2H), 6.86 (d, J = 7.8 Hz, 2H), 5.73-5.71 (m, 1H), 4.65 (dd, J = 18.5, 5.9 Hz, 1H), 4.14 (dd, J = 18.5, 2.2 Hz, 1H), 3.70 (sept, J = 6.8 Hz, 1H), 2.39 (s, 3H), 2.23 (s, 3H), 1.37 (d, J = 6.8 Hz, 3H), 1.08 (d, J = 6.8 Hz, 3H)
[실시예 22] N-(7-메톡시-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7-methoxy-1-tosyl-1,2-dihydroquinolin-4-yl)-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30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3-메톡시페닐)-4-메틸-N-(3-(4-메틸-N-페닐페닐설폰아미도) 프로프-2-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N-(3-methoxyphenyl)-4-methyl-N-(3-(4-methyl-N-phenylphenylsulfonamido)prop-2-ynyl)benzenesulfonamide, 168.2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N-(7-메톡시-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143 mg, 85%)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4 (dd, J = 8.3, 1.7 Hz, 3H), 7.33-7.31 (m, 3H), 7.22-7.12 (m, 5H), 6.95 (d, J = 7.9 Hz, 2H), 6.91 (d, J = 8.1 Hz, 2H), 6.70 (dd, J = 8.6, 2.5 Hz, 1H), 5.58 (t, J = 4.5 Hz, 1H), 4.57 (s, 2H), 3.79 (s, 3H), 2.40 (s, 3H), 2.24 (s, 3H)
[실시예 23] N-(6-브로모-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6-bromo-1-tosyl-1,2-dihydroquinolin-4-yl)-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31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4-브로모페닐)-4-메틸-N-(3-(4-메틸-N-페닐페닐설폰아미도)프로프-2-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N-(4-bromophenyl)-4-methyl-N-(3-(4-methyl-N-phenylphenylsulfonamido)prop-2-ynyl)benzenesulfonamide, 182.9 mg, 0.3 mmol)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N-(6-브로모-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170.1 mg, 9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60 (d, J = 8.7 Hz, 1H), 7.55 (s, 1H), 7.42 (d, J = 8.0 Hz, 2H), 7.36 (d, J = 8.5 Hz, 1H), 7.30 (d, J = 8.0 Hz, 2H), 7.26-7.22 (m, 3H), 7.18 (t, J = 7.7 Hz, 2H), 6.94 (d, J = 8.0 Hz, 4H), 5.79 (t, J = 4.2 Hz, 1H), 4.59 (s, 2H), 2.42 (s, 3H), 2.27 (s, 3H)
[실시예 24] N-(6-시아노-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N-(6-cyano-1-tosyl-1,2-dihydroquinolin-4-yl)-4-methyl-N-phenylbenzenesulfonamide]의 제조
Figure 112012044608706-pat00032
플라스크에 FeCl3 (2.4 mg, 0.015 mmol)와 AgOTf(11.6 mg, 0.045mmol)를 넣고 DCE (0.8 mL)를 넣어 실온에서 5분간 교반시키고 여기에 N-(4-시아노페닐)-4-메틸-N-(3-(4-메틸-N-페닐페닐설폰아미도)프로프-2-이닐)벤젠설폰아마이드 (N-(4-cyanophenyl)-4-methyl-N-(3-(4-methyl-N-phenylphenylsulfonamido)prop-2-ynyl)benzenesulfonamide, 166.7 mg, 0.3 mmol)을 첨가하여 80℃에서 60분간 교반시킨 후 증류수 1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DCM (15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화합물인 N-(6-시아노-1-토실-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4-메틸-N-페닐벤젠설폰아마이드 (106.7 mg, 64%)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7.83 (d, J = 8.5 Hz, 1H), 7.69 (d, J = 1.9 Hz, 1H), 7.51 (dd, J = 8.5, 1.9 Hz, 1H), 7.43 (d, J = 8.3 Hz, 2H), 7.35 (d, J = 8.3 Hz, 2H), 7.25-7.19 (m, 5H), 7.00 (t, J = 8.0 Hz, 4H), 5.88 (t, J = 4.5 Hz, 1H), 4.64 (s, 2H), 2.44 (s, 3H), 2.30 (s, 3H)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철 촉매와 은 촉매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렌-알카인 유도체의 분자내 고리화 반응을 통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2083052410-pat00037

    [화학식 2]
    Figure 112012083052410-pat00038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은 수소, (C1-C7)알킬, (C1-C7)알콕시, 할로겐 또는 시아노이고;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 (C1-C7)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6-C20)아르(C1-C7)알킬이고;
    상기 R1과 R2는 -L-CR11R12-CR13=CR14-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R2와 R3는 (C1-C7)알킬렌 또는 (C2-C7)알케닐렌으로 연결되어 융합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L은 O 또는 S이고;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 또는 (C1-C7)알콕시이고;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7)알킬티오 또는 (C6-C20)아릴티오이고;
    R4는 SR15 또는 NR16Ts이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7)알킬, (C6-C20)아릴 또는 (C6-C20)아르(C1-C7)알킬이고;
    X는 NTs 또는 O이고;
    Ts는 (4-메틸페닐)설포닐이고;
    n은 0 또는 1의 정수이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철 촉매는 FeBr2, FeBr3, FeCl2, FeCl3, Fe(OTf)3, Fe(acac)3, Fe(CO)6, FeCl3·6H2O, FeCl3·4H2O, Fe2O3, Fe(NO)3·9H2O 및 FeSO4·7H2O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은 촉매는 AgOTf, AgNTf2, AgSbF6, AgBF4, AgAsF6, AgPF6 및 AgNO3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은 촉매의 사용량은 3가의 철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철 촉매에 대해 2 내지 4 당량이고, 2가의 철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1 내지 3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철 촉매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렌-알카인 유도체에 대해 1 내지 10 mol%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화 반응은 다이클로로메탄 (DCM), 다이클로로에탄 (DCE), 톨루엔 (Toluene), 아세토나이트릴 (MeCN), 나이트로메탄 (Nitromethan),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HF),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DMF) 및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D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 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20059922A 2012-06-04 2012-06-04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철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KR10122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22A KR101220154B1 (ko) 2012-06-04 2012-06-04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철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22A KR101220154B1 (ko) 2012-06-04 2012-06-04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철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154B1 true KR101220154B1 (ko) 2013-01-11

Family

ID=4784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22A KR101220154B1 (ko) 2012-06-04 2012-06-04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철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031A (ko) * 2014-01-07 2015-07-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스무트/은 혼합촉매를 이용한 2-테트랄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gew. Chem. Int. Ed., Vol. 47, pp. 4862-4865 (2008.). *
Angew. Chem. Int. Ed., Vol. 47, pp. 4862-4865 (2008.).*
Chem. Commun., Vol. 46, pp. 1748-1750 (2010.). *
Chem. Commun., Vol. 46, pp. 1748-1750 (201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031A (ko) * 2014-01-07 2015-07-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스무트/은 혼합촉매를 이용한 2-테트랄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715303B1 (ko) 2014-01-07 2017-03-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스무트/은 혼합촉매를 이용한 2-테트랄론 유도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72094A (zh) 一种手性氮杂环卡宾类催化剂及其应用
CN114437103B (zh) 一种通过金催化的不对称环加成反应合成手性四氢苯并氧杂卓类化合物的方法
WO2006093269A1 (ja) 光学活性アンモニウム塩化合物、その製造中間体および製造方法
CN107805253B (zh) 手性螺环氧化吲哚类化合物及其合成方法
KR101220154B1 (ko)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유도체 및 철 촉매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Bolm et al. Palladium-catalyzed intramolecular α-arylation of sulfoximines
Li et al. Pd-catalyzed direct arylation of 3-fluorofurans utilizing the neighboring effect of fluorine atom: facile synthesis of tetrasubstituted monofluoro furans
CN114989178A (zh) 一种螺[β-内酰胺-3,3’-氧化吲哚]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045530B (zh) 一种钌催化制备萘并吡喃类化合物的方法
JP6197037B2 (ja) 新規なフェニルナフトール誘導体
CN110540516B (zh) 一种1-磺酰甲基-3,4-二氢萘的制备方法
Shkinyova et al. Regioselectivity of nucleophilic substitution of the nitro group in 2, 4, 6-trinitrobenzamide
CN112625020A (zh) 一种铑催化碳氢键活化反应合成异香豆素衍生物
CN111732552A (zh) 一种钯催化合成1,3-噁唑-2-硫酮的方法
CN112574223A (zh) 一种合成1,2-二氢苯并呋喃并吡啶化合物的方法
Sandaroos et al. Synthesis of 10-aryl-7, 9-dihydro-3 H-furo [3, 4-b] pyrazolo [4, 3-f] quinolin-9-one using supported ionic liquid
CN110105259B (zh) 一种脱除杂芳烃化合物中的亚磺酰基的方法
KR102327657B1 (ko) 신규한 아줄렌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10036B (zh) 4-氧代-5-(芳甲酰基乙酸酯-2-基)萘-亚砜叶立德杂化体的合成方法
CN114213298B (zh) 一种由硫酚直接氧化制备硫代磺酸酯类化合物的方法
CN115572248B (zh) 一种制备β-氨基砜类化合物的方法
CN116947925A (zh) 一类含苯并呋喃结构的桥连联苯单膦配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125843B (zh) 一种3-羟甲基-4-苯基-3,4-二氢喹啉酮化合物的制备方法
CN111423405B (zh) 一种合成苯并吡喃3醇衍生物类化合物的方法
CN108976106B (zh) (e)-2-亚甲基-1,4-丁二酮类化合物的合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