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115B1 - 온풍-온수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온풍-온수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115B1
KR101220115B1 KR1020110067768A KR20110067768A KR101220115B1 KR 101220115 B1 KR101220115 B1 KR 101220115B1 KR 1020110067768 A KR1020110067768 A KR 1020110067768A KR 20110067768 A KR20110067768 A KR 20110067768A KR 101220115 B1 KR101220115 B1 KR 101220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ransfer body
fluid
hea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Priority to KR102011006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온풍-온수 발생 장치는 제1 유체가 통과하는 제1 열전달 몸체, 상기 제1 열전달 몸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발열 시트, 상기 발열 시트를 감싸는 제2 열전달 몸체, 상기 발열 시트 및 상기 제2 열전달 몸체를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제2 열전달 몸체의 외측면에 결합된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가열 유닛들; 적어도 2 개의 상기 가열 유닛들의 상기 제1 열전달 몸체들을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 상기 가열 유닛들을 감싸며 제2 유체가 제공되는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체가 토출 되는 유체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유체 유입구로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풍-온수 발생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HOT AIR AND HOT WATER}
본 발명은 온수 및 온풍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온풍-온수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터는 대상물, 예를 들어, 공기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히터는 케이스 내부에 발열을 위한 발열체가 배치되어 있어 외부로 열을 발열하기 때문에 히터의 외부로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공기 또는 액체를 가열할 뿐 하나의 히터로 동시에 온풍과 온수를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이로 인해 히터의 열 효율이 크게 감소 된다.
본 발명은 히터의 바깥쪽으로 제공된 열에 의하여 제1 유체를 가열하고, 히터의 안쪽으로 제공된 열에 의하여 제2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온풍-온수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온풍-온수 발생 장치는 제1 유체가 통과하는 제1 열전달 몸체, 상기 제1 열전달 몸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발열 시트, 상기 발열 시트를 감싸는 제2 열전달 몸체, 상기 발열 시트 및 상기 제2 열전달 몸체를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제2 열전달 몸체의 외측면에 결합된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가열 유닛들; 적어도 2 개의 상기 가열 유닛들의 상기 제1 열전달 몸체들을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 상기 가열 유닛들을 감싸며 제2 유체가 제공되는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체가 토출 되는 유체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유체 유입구로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온풍-온수 발생 장치의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된 상기 제1 열전달 몸체에는 상기 제1 열전달 몸체를 통과하는 상기 제2 유체의 온도를 센싱 하는 온도 센서가 배치된다.
온풍-온수 발생 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각 가열 유닛들의 상기 각 발열 시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더 포함한다.
온풍-온수 발생 장치의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제2 열전달 몸체의 외측면에 상호 평행하게 복수개가 배치된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에는 복수개의 난류 형성부가 형성된다.
온풍-온수 발생 장치는 인접한 가열 유닛들에 각각 결합된 방열 부재들의 일부는 상호 오버랩된다.
온풍-온수 발생 장치의 상기 유체 공급 장치는 상기 제2 유체를 상기 가열 유닛들로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풍-온수 발생 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열전달 몸체의 표면에 시트 형태로 형성된 발열 시트를 배치하여 열전달 몸체의 내부로는 제1 유체를 가열하고, 열전달 몸체의 외부로는 제2 유체를 가열하여 발열 시트로부터 발생된 열의 이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풍-온수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풍-온수 발생 장치의 가열 유닛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열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온풍-온수 장치의 케이스 및 유체 공급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풍-온수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풍-온수 발생 장치의 가열 유닛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열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온풍-온수 장치의 케이스 및 유체 공급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온풍-온수 발생 장치(1)는 가열 유닛(600)들, 연결 부재(700), 케이스(800) 및 유체 공급 장치(900, 도 5 참조)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온풍-온수 발생 장치(1)는 제어 유닛(5) 및 온도 감지 센서(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가열 유닛(60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전달 몸체(100), 발열 시트(200), 제2 열전달 몸체(300), 절연체(400) 및 방열 부재(500)를 포함한다.
제1 열전달 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제1 유체가 통과하는 공간(110)이 형성된 기둥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유체는, 예를 들어, 물일 수 있다.
제1 열전달 몸체(100)는, 예를 들어, 파이프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열전달 몸체(100)는, 예를 들어, 제1 열전달 계수를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열전달 몸체(100)는 열전달 계수가 매우 낮은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외측면에는 후술 될 발열 시트(200)가 배치되는 바, 전원이 제공되는 발열 시트(200) 및 제1 열전달 몸체(100)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하여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외측면에는 산화 피막, 산화막, 절연용 페인트 등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발열 시트(200)는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발열 시트(2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제1 열전달 몸체(100), 후술 될 제2 열전달 몸체(300) 및 방열 부재(500)를 함께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발열 시트(200)는 절연 시트(210), 절연 패턴(220), 제1 전극 패턴(230), 제2 전극 패턴(240), 발열 패턴(250) 및 무기 절연층(260, 도 4 참조)을 포함하며, 발열 시트(200)는 얇은 두께를 갖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연 시트(21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 시트(210)는 발열 시트(200) 및 제1 열전달 몸체(100)를 1차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 시트(210)는 후술 될 발열 패턴(250)으로부터 발생 된 열에 의한 형상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내열성을 갖는 내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패턴(220)은 절연 시트(210) 상에 배치되며, 절연 패턴(220)은 후술 될 제1 전극 패턴(230), 제2 전극 패턴(240) 및 발열 패턴(250)과 대응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패턴(220)은 제1 열전달 몸체(100) 및 발열 시트(200)를 2차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 시트(210) 및 절연 패턴(220)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이미드(Polyamide), 에폭시(Epoxy) 수지 및 세라믹(Ceramics)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적 절연체이면서도 열 전도성이 개선된 신소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장치(600)의 제1 열전달 몸체(100) 및 발열 시트(200)는 큰 온도차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발열 시트(200)의 절연 시트(210) 및 절연 패턴(220)에느 큰 열 응력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연 시트(210) 및 절연 패턴(220)이 열 응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열전달 몸체(100) 및 발열 시트(200) 사이에는 플랙시블한 버퍼층(buffer layer)이 개재될 수 있다.
제1 전극 패턴(230)은 절연 패턴(220) 상에 배치되며, 제1 전극 패턴(230)은 절연 패턴(220)의 장변의 일측 에지를 따라, 예를 들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전극 패턴(230)은, 예를 들어, 우수한 도전성을 갖는 은, 알루미늄, 동, 알루미늄 합금, 동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 패턴(240)은 절연 패턴(220) 상에 배치되며, 제2 전극 패턴(240)은 절연 패턴(220)의 장변의 상기 일측 에지와 대향 하는 타측 에지를 따라, 예를 들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전극 패턴(240)은, 예를 들어, 우수한 도전성을 갖는 은, 알루미늄, 동, 알루미늄 합금, 동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극 패턴(230,240)들은 절연 패턴(220) 상에 상호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전극 패턴(230) 및 제2 전극 패턴(240)에는 직류(DC)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 패턴(230)에는 (+) 전원이 인가되고, 제2 전극 패턴(240)에는 (-)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발열 패턴(250)은 절연 패턴(250) 상에 배치되며, 발열 패턴(250)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0,250)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발열 패턴(250)은 제1 및 제2 전극 패턴(240,250)들을 따라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발열 패턴(250)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지그재그 형상, 굴절된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발열 패턴(250)은 탄소섬유(Carbon fiber)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 패턴(250)은 탄소 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절연 패턴(220) 상에 적절한 두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인쇄, 임프린트, 전사 또는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무기 절연층(260)은 발열 패턴(250)을 덮어 발열 패턴(250)이 발열 패턴(250) 외부의 도체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무기 절연층(260)은, 예를 들어,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된 유리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발열 시트(200)는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발열 시트(200)로부터 발생된 열은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외측면 및 제1 열전달 몸체(100)의 내측면을 향하는 양쪽 방향으로 전달된다.
한편, 발열 시트(200)가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외측면에 배치됨에 따라 발열 시트(200)가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발열 시트(200)가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외측면에는 발열 시트(200)의 두께 이상의 깊이로 형성된 발열 시트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발열 시트 수납홈에 수납된 발열 시트(200)의 상면은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열전달 몸체(300)는 발열 시트(200)를 감싼다. 제2 열전달 몸체(300)가 발열 시트(200)를 감쌈으로써 발열 시트(200)로부터 발생 된 열은 제1 열전달 몸체(300) 뿐만 아니라 제2 열전달 몸체(300)로도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발열 시트(200)로부터 발생 된 열을 효율적으로 제1 및 제2 제2 열전달 몸체(100,3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열전달 몸체(100) 및 제2 열전달 몸체(300)는 동일한 열전달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열전달 몸체(100)는 제1 열전달 계수를 갖고, 제2 열전달 몸체(300)는 제1 열전달 몸체(100)와 다른 제2 열전달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열전달 몸체(300)는 스테인리스 스틸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동 및 동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열전달 몸체(300)는 제1 열전달 몸체(1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만 제2 열전달 몸체(300)는 제1 열전달 몸체(100)가 삽입되도록 제1 열전달 몸체(100)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다.
한편, 제2 열전달 몸체(300)를 발열 시트(200)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하고 제2 열전달 몸체(300)가 제1 열전달 몸체(100) 보다 높은 열전달 계수를 갖는 금속성 재질을 포함할 경우, 발열 시트(200)의 무기 절연층(260)의 일부가 다양한 이유에 의하여 손상되어 발열 패턴(250)의 일부가 노출될 경우 발열 패턴(250)과 제2 열전달 몸체(300)의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 쇼트가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발열 시트(200) 및 제2 열전달 몸체(300)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열전달 몸체(300) 및 발열 시트(200) 사이에 갭이 형성될 경우, 제1 열전달 몸체(100) 및 제2 열전달 몸체(300) 사이의 빈 공간에 의하여 발열 시트(200)로부터 발생 된 열의 열전달 효율이 크게 감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발열 시트(200)로부터 발생 된 열을 효율적으로 제2 열전달 몸체(300)로 전달하고 발열 시트(200) 및 제2 열전달 몸체(300)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열 시트(200) 및 제2 열전달 몸체(300) 사이에는 절연체(400)가 개재된다.
절연체(400)는 발열 시트(200) 및 제2 열전달 몸체(300)를 전기적으로 절연 및 제1 열전달 몸체(100) 및 제2 열전달 몸체(300) 사이의 갭을 제거하여 발열 시트(200)로부터 발생 된 열이 효율적으로 제2 열전달 몸체(300)에 전달되도록 하여 발열 시트(200)로부터 발생된 열의 이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연체(400)는 발열 시트(200)에 코팅된 절연 코팅막, 발열 시트(200)를 덮는 절연 플레이트 및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절연체(400)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연체(400)는 발열 시트(200)를 포함하여 제1 열전달 몸체(100)를 모두 덮거나 발열 시트(200)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열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열전달 몸체(300) 및 절연체(400) 사이에는 보조 열전달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고, 보조 열전달 부재는, 예를 들어, 제2 열전달 몸체(300)의 열전달 계수 보다 큰 열전달 계수를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써멀 페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 부재(500)는 방열 시트(200)로부터 발생 되어 제2 열전달 몸체(300)로 전달된 열을 신속하게 제2 열전달 몸체(300)의 외부로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방열 부재(500)는 제2 열전달 몸체(300) 보다 높은 제3 열전달 계수를 가질 수 있고, 방열 부재(50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동, 동 합금, 은 및 은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형상 측면에서, 방열 부재(500)는 제2 열전달 몸체(300)에 결합 되는 개구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방열 부재(500)는 제2 열전달 몸체(300)에 복수개가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방열 부재(500)들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 부재(500)들의 사이로는 제2 유체가 통과할 수 있다. 방열 부재(500)들의 사이로 통과하는 제2 유체는, 예를 들어, 공기일 수 있다.
한편, 각각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방열 부재(500)들의 표면에는 난류 형성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난류 형성부(510)는 방열 부재(500)의 표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방열 부재(500)를 통과하는 제2 유체의 흐름을 교란시켜 난류를 발생시키고, 난류에 의하여 방열 부재(500)의 표면에서 가열된 유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교반 시켜 유체의 가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난류 형성부(510)는 바(bar) 또는 섬(island) 형상으로 형성되며, 난류 형성부(510)의 단면은 반원,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난류 형성부(510)는 방열 부재(500) 뿐만 아니라 제2 열 전달 부재(300)의 표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가열 유닛(6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 개가 병렬 형태로 배치되며, 각 가열 유닛(600)의 방열 부재(500)들 일부가 각각 겹치도록 배치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적어도 2 개의 가열 유닛(600)들이 상호 병렬 방식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하나의 가열 유닛(60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연결 부재(7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 개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된 각 가열 유닛(600)의 제1 열전달 몸체(100)들의 일측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이로 인해 병렬 방식으로 배치된 각 가열 유닛(600)들은 직렬 방식으로 연통 된다.
연결 부재(700)에 의하여 직렬 방식으로 연통 된 각 가열 유닛(600)들의 각 제1 열전달 몸체(100)들로는 물과 같은 제1 유체가 제공되고, 제1 유체는 각 가열 유닛(600)들의 발열 시트(200)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하여 가열된 후 토출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온풍-온수 발생 장치(1)는 가열 유닛(600)들 중 가열된 제1 유체가 토출 되는 가열 유닛(600)의 제1 열전달 몸체(100)에 장착된 온도 감지 센서(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온도 감지 센서는 가열 유닛(600)의 방열 부재(500)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풍-온수 발생 장치(1)는 온도 감지 센서(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 감지 센서(7)로부터 제공된 센싱 신호가 인가되며, 각 가열 유닛(600)의 발열 시트(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유닛(5)을 더 포함한다.
제어 유닛(5)은 온도 감지 센서(7)로부터 제공된 센싱 신호에 따라 각 가열 유닛(600)의 발열 시트(200)에 인가되는 전원의 레벨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 유닛(5)은 각 가열 유닛(600)의 각 발열 시트(200)에 동일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 유닛(5)은 각 가열 유닛(600)의 각 발열 시트(200)에 서로 다른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유닛(5)이 각 가열 유닛(600)의 각 발열 시트(200)에 서로 다른 전원을 제공함으로써 각 가열 유닛(600)의 각 제1 열전달 몸체(100)를 통과하는 제1 유체의 온도 및 각 가열 유닛(600)의 제2 열전달 몸체(300)를 통과하는 제2 유체의 온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2 개가 병렬 방식으로 배치된 각 가열 유닛(600)은 케이스(800)에 의하여 감싸지며, 케이스(800)는 유체 유입구(810) 및 유체 토출구(820)를 포함한다. 유체 유입구(810)로 유입된 공기와 같은 제2 유체는 각 가열 유닛(600)의 제2 열전달 몸체(300) 및 방열 부재(500)에 의하여 가열된 후 유체 토출구(820)로 토출 된다.
한편, 케이스(800)의 유체 유입구(810)에는 유체 공급 장치(900)가 배치되며, 유체 공급 장치(900)는 유체 유입구(810)로 공기와 같은 제2 유체를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측면에서, 각 가열 유닛(600)의 제1 열전달 몸체(100)로 제1 온도를 갖는 제1 유체가 제공되면, 제어 유닛(5)은 각 가열 유닛(600)의 발열 시트(200)에 전원을 제공하고 이로 인해 각 가열 유닛(600)의 제1 열전달 몸체(100), 제2 열전달 몸체(300)로는 발열 시트(200)로부터 발생 된 열이 전달되고, 제1 열전달 몸체(100)의 제1 유체는 제1 온도에서 제2 온도로 가열되어 제1 열전달 몸체(100)로부터는 온수가 토출 된다.
한편, 제어 유닛(5)은 발열 시트(200)에 전원이 제공된 후 유체 공급 장치(900)에도 전원을 제공하고 이로 인해 유체 공급 장치(900)로부터는 가열 유닛(600)의 제2 열전달 몸체(300) 및 방열 부재(500)로 공기와 같은 제2 유체를 제공하고, 제2 열전달 몸체(300) 및 방열 부재(500)로 제공된 제2 유체는 제2 열전달 몸체(300) 및 방열 부재(500)에 의하여 가열되어 케이스(800)의 유체 토출구(820)로부터는 온풍이 토출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열전달 몸체의 표면에 시트 형태로 형성된 발열 시트를 배치하여 열전달 몸체의 내부로는 제1 유체를 가열하고, 열전달 몸체의 외부로는 제2 유체를 가열하여 발열 시트로부터 발생된 열의 이용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온풍-온수 발생 장치 600...가열 유닛
700...연결 부재 800...케이스
900...유체 공급 장치 5...제어 유닛
7...온도 감지 센서

Claims (6)

  1. 제1 유체가 통과하는 제1 열전달 몸체, 상기 제1 열전달 몸체의 외측면에 배치된 발열 시트, 상기 발열 시트를 감싸는 제2 열전달 몸체, 상기 발열 시트 및 상기 제2 열전달 몸체를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제2 열전달 몸체의 외측면에 결합된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가열 유닛들;
    적어도 2 개의 상기 가열 유닛들의 상기 제1 열전달 몸체들을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
    상기 가열 유닛들을 감싸며 제2 유체가 제공되는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체가 토출되는 유체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유체 유입구로 상기 제2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온풍-온수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된 상기 제1 열전달 몸체에는 상기 제1 열전달 몸체를 통과하는 상기 제2 유체의 온도를 센싱 하는 온도 센서가 배치된 온풍-온수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각 가열 유닛들의 상기 각 발열 시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더 포함하는 온풍-온수 발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제2 열전달 몸체의 외측면에 상호 평행하게 복수개가 배치된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에는 복수개의 난류 형성부가 형성된 온풍-온수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가열 유닛들에 각각 결합된 방열 부재들의 일부는 상호 오버랩된 온풍-온수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장치는 상기 제2 유체를 상기 가열 유닛들로 제공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온풍-온수 발생 장치.
KR1020110067768A 2011-07-08 2011-07-08 온풍-온수 발생 장치 KR101220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68A KR101220115B1 (ko) 2011-07-08 2011-07-08 온풍-온수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68A KR101220115B1 (ko) 2011-07-08 2011-07-08 온풍-온수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115B1 true KR101220115B1 (ko) 2013-01-11

Family

ID=4784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768A KR101220115B1 (ko) 2011-07-08 2011-07-08 온풍-온수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1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768A (ko) * 2013-12-17 2015-06-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식 히터
WO2015117219A1 (en) * 2014-02-07 2015-08-13 Sylvain Laberge Baseboard for use in preheating water
WO2015167140A1 (ko) * 2014-04-30 2015-11-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식 히터
KR20160007086A (ko) * 2014-07-11 2016-01-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식 히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888A (ja) 1999-01-29 2000-08-08 Sony Disc Technology Inc 流体加熱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00001909U (ko) * 2008-08-13 2010-02-23 권인환 강제 배기식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888A (ja) 1999-01-29 2000-08-08 Sony Disc Technology Inc 流体加熱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00001909U (ko) * 2008-08-13 2010-02-23 권인환 강제 배기식 난방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768A (ko) * 2013-12-17 2015-06-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식 히터
KR101998262B1 (ko) * 2013-12-17 2019-10-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식 히터
WO2015117219A1 (en) * 2014-02-07 2015-08-13 Sylvain Laberge Baseboard for use in preheating water
WO2015167140A1 (ko) * 2014-04-30 2015-11-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식 히터
KR20160007086A (ko) * 2014-07-11 2016-01-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식 히터
KR102092137B1 (ko) * 2014-07-11 2020-03-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가열식 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0539B (zh) 具有散热和发热功能的电池组件
KR101220115B1 (ko) 온풍-온수 발생 장치
CN212013082U (zh) 一种半导体管状加热装置
CN106711547A (zh) 一种热管理装置及动力电源装置
US11438971B2 (en) High-performance far-infrared surface heating element of carbon composite material and application thereof
CN105433679B (zh) 电热毯
US20190335541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with ptc module
CN108923099A (zh) 一种新型动力电池模组及其装配工艺
KR200492882Y1 (ko) 가열장치용 플렉시블 히터
CN214706054U (zh) 加热装置、电池模组以及车辆
KR20130006003A (ko) 유체 가열 장치
CN105451380B (zh) 加热垫
CN203399321U (zh) 一种柱状厚膜液体加热器
KR102151351B1 (ko) 발열 컵 및 그 제조방법
CN107270380A (zh) 取暖器、表面绝缘型ptc电热器及其制备方法
CN105433464B (zh) 护腰
CN208096011U (zh) 一种发热体及电子烟
CN105433634B (zh) 椅垫
CN113163534A (zh) 管状加热装置及加热系统
CN105466005B (zh) 足浴盆
CN105433466B (zh) 护膝
CN214250118U (zh) 多联式管状加热装置及温度补偿装置
CN107152715A (zh) 取暖器、表面绝缘型ptc电热器及其制备方法
CN207099345U (zh) 取暖器及表面绝缘型ptc电热器
KR20120066238A (ko) 와류 형성 유로를 구비한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