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068B1 -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 Google Patents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068B1
KR101220068B1 KR1020110079399A KR20110079399A KR101220068B1 KR 101220068 B1 KR101220068 B1 KR 101220068B1 KR 1020110079399 A KR1020110079399 A KR 1020110079399A KR 20110079399 A KR20110079399 A KR 20110079399A KR 101220068 B1 KR101220068 B1 KR 10122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gas turbine
circular support
combustion chamb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업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70Disassembly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터빈 연소실의 좁은 공간에서 중량물 부품인 바스켓의 취외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취외장치는, 원통형 구조물인 바스켓(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지는 원형지지대(10)와; 상기 원형지지대(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지도록 일정 길이를 이루는 고정 프레임(20)와;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양단 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바스켓(100)의 양단부를 지지토록 하는 가이드턱(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GAS TURBINE COMBUSTOR BASKET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웨스팅하우스 가스터빈의 연소기 분해 및 조립과정에서 바스켓의 취외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스팅하우스사에서 생산되는 가스터빈(Model W501 D-5)의 연소기 분해 및 조립시에는 가스터빈 연소실 내부의 중량물 부품인 바스켓(Basket)을 취외하게 된다.
즉, 이러한 가스터빈 연소기의 분해 및 조립은 계획 정비기간 또는 기기의 이상 발생시 실시되는 것으로, 공급연료를 연소기 내부로 고르게 분사시키는 기능을 하는 바스켓 부품의 취외 및 조립작업이 협소한 작업공간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 바스켓의 취외 및 조립작업은 체인블럭과 레버블럭을 연결 설치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취외 및 조립작업시 중량물인 바스켓의 무게중심을 잡고 정렬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바스켓과 노즐의 중심이 맞지 않게 되면 체결볼트의 손상을 초래하여 복구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량물 취급으로 인한 정비원의 안전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바스켓의 취외 및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서 작업효율 및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취외장치는, 원통형 구조물인 바스켓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지는 원형지지대와; 상기 원형지지대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지도록 일정 길이를 이루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단 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바스켓의 양단부를 지지토록 하는 가이드턱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스터빈 연소실의 좁은 공간에서 중량물 부품인 바스켓의 취외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바스켓의 보다 정밀한 이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작업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취외장치의 원형지지대 분해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취외장치의 원형지지대 분해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취외장치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취외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취외장치의 바스켓 설치 상태도.
도 6은 도 3의 A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취외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 취외장치 구조를 살펴보면, 원통형 구조물인 바스켓(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지는 원형지지대(10)와, 원형지지대(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지도록 일정 길이를 이루는 고정 프레임(20)과, 고정 프레임(20)의 양단 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바스켓(100)의 양단부를 지지토록 하는 가이드턱(30)의 3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그중 원형지지대(10)는, 상호 대칭형태의 반원형상을 이루는 2개가 쌍을 이루어 구비되며, 내주측에는 바스켓(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베어링(11)이 구비되고, 쌍을 이루는 원형지지대(10)는 상호간 결합을 위한 결합부(12)가 양단부에 요철형태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양측 결합부(12)에는 체결핀(미도시)의 체결을 위한 핀체결공(12)이 형성됨으로서 체결핀의 체결에 의해 상호 원형의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원형지지대(10) 일측에는 레버블럭 또는 체인블럭(40)과 연결을 위한 아이볼트(15)가 결합되어지되, 원형지지대(10) 에는 아이볼트(15)의 안정적인 안착 지지를 위한 제1안착홈(13)이 형성되었고, 상기 제1안착홈(13)에는 아이볼트(15)의 착탈을 위한 볼트체결공(14)이 관통 형성되었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20)은 중단부에 원형지지대(10)의 안착을 위한 제2안착홈(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23)에는 원형지지대(1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16)에 체결되어지는 볼트(26)가 관통되어지는 관통공(25)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고정 프레임(20) 양단부에는 가이드턱(30)의 착탈 결합을 위한 착탈홈(22)이 형성되었다.
한편, 가이드턱(30)에는 볼트(26)의 선단부가 체결되어지는 볼트체결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홈(31)과 대응되는 고정프레임(20)의 양단부에는 볼트(26)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24)이 형성되었다.
또한, 가이드턱(30)에는 바스켓(100)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러버부재(32)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바스켓 취외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취외장치는 원형지지대(10)와 고정 프레임(20) 그리고 가이드턱(3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먼저, 터빈케이싱의 맨홀에 설치되어져 있는 바스켓(100)을 취외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2개로 분할되어져 있는 원형지지대(10)를 바스켓(100)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끼운 상태에서 체결핀(미도시)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상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2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져 있는 가이드턱(30)이 바스켓(100)의 원통형 본체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원형지지대(10)에 결합되어져 있는 아이볼트(15)에 레버블럭 또는 체인블럭(40)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크레인에 의한 운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중량물 부품인 바스켓(100)이 본 발명의 취외장치에 의해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함께 협소한 공간에서 회전 및 이동작업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이드턱(30)에 바스켓(100)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한 러버부재(32)가 구성됨으로 상호간의 미끄러짐 현상 발생이 방지되어 이동과정에서 바스켓(100)의 탈락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10 : 원형지지대 11 : 가이드베어링
12 : 핀체결공 13 : 제1안착홈
14 : 볼트체결공 15 : 아이볼트
20 : 고정 프레임 22 : 착탈홈
23 : 제2안착홈 24,25 : 관통공
30 : 가이드턱 31 : 볼트체결홈
32 : 러버부재 40 : 체인블럭
100 : 바스켓

Claims (7)

  1. 원통형 구조물인 바스켓(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지는 원형지지대(10)와;
    상기 원형지지대(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지도록 일정 길이를 이루는 고정 프레임(20)과;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양단 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내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바스켓(100)의 양단부를 지지토록 하는 가이드턱(30);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지지대(10)는 상호 대칭형태의 반원형상을 이루는 2개가 쌍을 이루어 구비되며, 내주측에는 바스켓(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베어링(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원형지지대(10)는 상호간 결합을 위한 결합부(12)가 양단부에 요철형태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양측 결합부(12)에는 체결핀의 체결을 위한 핀체결공(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지지대(10) 일측에는 레버블럭 또는 체인블럭(40)과 연결을 위한 아이볼트(15)가 결합되어지되, 원형지지대(10) 에는 아이볼트(15)의 안정적인 안착 지지를 위한 제1안착홈(13)이 형성되었고, 상기 제1안착홈(13)에는 아이볼트(15)의 착탈을 위한 볼트체결공(14)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0) 중단부에는 원형지지대(10)의 안착을 위한 제2안착홈(23)이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가이드턱(30)의 착탈 결합을 위한 착탈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턱(30)에는 볼트(26)의 선단부가 체결되어지는 볼트체결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체결홈(31)과 대응되는 고정프레임(20)의 양단부에는 상기 볼트(26)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턱(30)에는 바스켓(100)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안정적인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러버부재(3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KR1020110079399A 2011-08-10 2011-08-10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KR101220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399A KR101220068B1 (ko) 2011-08-10 2011-08-10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399A KR101220068B1 (ko) 2011-08-10 2011-08-10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068B1 true KR101220068B1 (ko) 2013-01-09

Family

ID=4784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399A KR101220068B1 (ko) 2011-08-10 2011-08-10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0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7820B1 (ja) * 2005-01-14 2006-01-25 新太郎 上田 ポット吊り上げ装置
JP2008128253A (ja) * 2006-11-23 2008-06-05 Siemens Ag 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取り扱い方法、及び、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を取り付けるための、とりわけ、風力タービンにブレード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7820B1 (ja) * 2005-01-14 2006-01-25 新太郎 上田 ポット吊り上げ装置
JP2008128253A (ja) * 2006-11-23 2008-06-05 Siemens Ag 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の取り扱い方法、及び、風力タービンブレードを取り付けるための、とりわけ、風力タービンにブレード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1794B2 (ja) バッテリーボックス締付装置およびこのバッテリーボックス締付装置を含むバッテリーボックス
KR101220068B1 (ko) 가스터빈 연소실 바스켓 취외장치
CN205283023U (zh) 一种滚筒采煤机供电电缆保护装置
KR101410778B1 (ko) 터빈로터의 버켓의 조립지그장치
CN203418489U (zh) 单梁行车起升电机减速机拆装吊挂器
CN204281020U (zh) 颚式破碎机部件吊装辅助工具
CN202790176U (zh) 一种万向联轴器
CN104176667A (zh) 可快速拆装的定滑轮装置
CN113941856A (zh) Crh5动车组齿轮箱变位组装装置及变位组装工艺
KR20180050877A (ko) 수차터빈 헤드커버 베이스 볼트 분해조립 장치
KR102639574B1 (ko) 안전 시스템
CN203568663U (zh) 自定心外扩吊具
KR200481629Y1 (ko) 터빈축 인양장치
CN204057808U (zh) 可快速拆装的定滑轮装置
JP2012161225A (ja) 仮連結機能を有するバーニヤ金具とその連結工法
CN202022655U (zh) 履带板吊具
KR101444135B1 (ko) 장갑차용 인양장치
CN210001513U (zh) 新型起重机械吊钩组滑轮保持装置
KR20100000135U (ko) 체인 컨베이어 교체용 지그
CN205134088U (zh) 枪栓式捻股机工字轮定位装置
CN203855337U (zh) 塔机吊臂作业安全保护装置
KR101219884B1 (ko) 가스터빈 연소화염 안내관 인출장치
CN209245191U (zh) 一种齿轮结构防护锁死装置
JP2018107937A (ja) 多導体宙乗機用落下防止ネット装置
JP2016539036A (ja) 中間連結器用平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