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458B1 - 메모지 홀더 - Google Patents

메모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458B1
KR101219458B1 KR1020120062224A KR20120062224A KR101219458B1 KR 101219458 B1 KR101219458 B1 KR 101219458B1 KR 1020120062224 A KR1020120062224 A KR 1020120062224A KR 20120062224 A KR20120062224 A KR 20120062224A KR 101219458 B1 KR101219458 B1 KR 10121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over
memo
holder
memo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성
Original Assignee
심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성 filed Critical 심규성
Priority to KR102012006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458B1/ko
Priority to PCT/KR2012/011043 priority patent/WO20131875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4Covers with retention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 두께의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재(111)가 구비되는 받침대(100)와; 일단은 상기 받침대(100)의 접착부재(111)에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받침대(100)로부터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200);를 포함하여, 메모지 또는 명함을 수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메모지 또는 명함 삽입은 용이하게 하고 삽입된 메모지 또는 명함이 메모지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니터 또는 벽면과 같은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테이블 위에 거치시킬 수도 있게 하여 보관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메모지 홀더{Memo holder}
본 발명은 메모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기능을 가지며, 탈부착 및 휴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메모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지 홀더는 실생활에서 중요하게 기억해야할 것들이 기록되어 있는 메모지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도구로서, 통상 벽면이나 책상 위 등에 간편하게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상기 메모지 홀더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20-0220936호(명칭: 자석부착형 메모지 홀더)(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벽면에 부착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몸체 전면에 끼워지는 메모지를 가압 고정하는 전면판 및 상기 힌지의 외경에 결합되며 상기 메모지를 가압 고정한 전면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선행기술은 사용 시 한 손으로 전면판의 상단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전면판은 토션스프링의 텐션력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회동하며 몸체와 전면판 사이에 삽입공간을 제공하게 되고, 이어서 다른 한 손으로 메모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시킨 다음, 전면판의 누름을 해지시키게 되면 전면판은 토션스프링의 텐션력으로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모지를 가압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메모지 홀더는 메모지를 적층된 상태로만 보관할 수 있게 구비되어 복수의 메모지를 한 번에 여러 장을 확인할 수 없어 사용자가 필요한 메모지를 찾을 때 일일이 넘겨가며 찾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상기 메모지 홀더를 일정 기구에 장착시키면 탈부착 및 휴대가 불가능하여 사용상 한계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메모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모지 또는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기능을 가지며, 탈부착 및 휴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정 두께의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받침대와; 일단은 상기 받침대의 접착부재에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받침대로부터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 일단에는 상기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 타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받침대 후면에는 상기 받침대를 별도의 기구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 후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의 타단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경사면의 끝단 보다 짧거나 경사면의 끝단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의 타단은 굴절 형성될 수도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받침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탄성이 있는 필름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착홈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와 커버의 상단과 하단 일부를 고정시켜 상기 커버의 개방 정도를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받침대 상면은 실리콘 코팅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접착식 메모지와 비접착식 메모지를 동시에 수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메모지의 삽입은 용이하게 하고 삽입된 메모지가 메모지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니터 또는 벽면과 같은 공간, 그리고 기타 사무기기 및 가전제품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테이블 위에 거치시킬 수도 있게 하여 보관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커버가 받침대의 경사면보다 짧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의 (c)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커버가 받침대의 경사면보다 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의 (d)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커버 끝단이 굴절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받침대 후면에 양면테이프용 결합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받침대 후면에 후크용 결합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c)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받침대 후면에 밴드용 결합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d)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받침대 후면에 거치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받침대 상면에 성형된 실리콘 코팅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받침대 후면에 구비된 결합부재와 거치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서 받침대 상면에 성형된 실리콘 코팅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 일단에 접착부재(111)가 구비된 접착홈(110)이 형성되며 타단에 경사면(120)이 형성된 받침대(100)와, 일단은 받침대(100)의 접착부재(111)에 부착되도록 하며 타단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200)로 이루어져, 받침대(100)와 커버(200) 사이에 메모지 또는 명함 등(이하, 메모지)을 수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접착식 메모지는 메모지 홀더에 끼워서 보관하고 접착식 메모지는 메모지 홀더의 커버(200) 상면 또는 받침대(100) 상면에 부착시켜 보관하여 보관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 상면에 부착되어 일단면이 개폐 가능하게 하는 커버(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0)는 소정 두께의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받침대(100)의 상면 일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접착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홈(110)에는 접착부재(111)가 부착된다.
또한, 받침대(100)의 상면 타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경사면(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경사면(120)이 형성되는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0) 외측단을 향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200)는 받침대(100)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200)의 바닥면 일단은 받침대(100)의 접착부재(111)에 부착되며, 타단은 경사면(120)이 형성된 받침대(100) 측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0)의 접착부재(111)에 커버(200)가 부착될 때 상기 접착부재(111)가 받침대(100)에 형성된 접착홈(110)에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접착부재(111)에 부착되는 커버(200) 측이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받침대(10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커버(200)의 타단은 받침대(100)에 형성된 경사면(120)의 끝단보다 짧거나(도 2의 (b) 참조) 경사면(120)의 끝단 보다 길게(도 2의 (c) 참조)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커버(200)와 받침대(100) 사이에 메모지 삽입 시 받침대(100)의 경사면(120)과 커버(2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메모지 삽입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끝단이 굴절 형성될 수도 있게 하여 메모지 삽입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받침대(100)는 경사면(120)이 형성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이때, 받침대(10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커버(200)는 탄성이 있는 투명 필름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메모지 삽입 후 본 발명인 메모지 홀더의 커버(200) 측과 받침대(100)측에서 내용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다만 메모지의 내용 확인이 필요하지 않다면 받침대(100)와 커버(200)를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버(200)가 탄성을 가진 투명 필름 재질로 형성되게 하는 것은 메모지를 삽입 또는 탈거할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를 상방으로 들어 올린 후 삽입 또는 탈거가 완료되면 커버(200)가 본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홈(1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고정부(220)가 구비되도록 하여 받침대(100)와 커버(200)의 상단과 하단 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메모지의 일부가 접착부재(111)와 고정부(220) 사이 공간에 물릴 수 있게 하여 메모지를 보다 타이트하게 홀딩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고정부(220)는 탈착 가능한 클립이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져 받침대(100)와 커버(200) 외측 상단부와 하단부 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 및 열융착으로 구비될 수도 있게 하여 상기 받침대(100)와 커버(200) 내측 상단부와 하단부 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대(100) 상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코팅 성형을 실시하여 커버(200)와 받침대(100)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여 메모지 삽입 후 상기 커버(200)와 받침대(100) 사이에서 상기 메모지가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받침대(100)의 접착홈(110)에 부착된 접착부재(111)는 커버(200)와 받침대(100)를 접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이 적용될 수 있게 하며, 또한 열융착을 통해서도 상기 커버(200)와 받침대(100)를 접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받침대(100) 후면에는 상기 받침대(100)를 별도의 기구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결합부재는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는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131)로 구비되어 본 발명인 메모지 홀더를 모니터 또는 사무기기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32)가 구비될 수도 있게 하여 메모지 홀더를 모니터 또는 사무기기에 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밴드(133)가 구비될 수도 있게 하여 메모지 홀더를 모니터 또는 사무기기 일측에 끼울 수 있게 하고,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34)가 구비될 수도 있게 하여 메모지 홀더를 외장이 스틸 재질로 형성된 가전제품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0) 후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대(140)가 장착될 수도 있게 하여 본 발명인 메모지 홀더를 책상이나 테이블 상면에 세워 놓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 일단에 접착부재(111)가 구비된 접착홈(110)이 형성되며 타단에 경사면(120)이 형성된 받침대(100)와, 일단은 받침대(100)의 접착부재(111)에 부착되도록 하며 타단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200)로 이루어져, 받침대(100)와 커버(200) 사이에 메모지를 수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관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받침대(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커버(200)는 탄성이 있는 필름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메모지의 내용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커버(200)를 상방으로 개방시킨 다음 커버(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소멸되는 경우에는 커버(200)가 본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고, 커버(200)를 상방으로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받침대(100)와 커버(200)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사용 편의성과 디자인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받침대(100)에 형성된 경사면(120)과 커버(2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메모지 삽입 시 커버(200)를 큰 각도로 개방시키지 않고도 커버(200)와 경사면(120) 사이의 공간에 상기 메모지를 끼워 넣음으로써 삽입시킬 수 있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0)와 커버(200) 외측에 구비되는 고정부(220)를 통해 상기 커버(200)의 개방 정도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메모지를 보다 타이트하게 홀딩할 수 있게 하여 메모지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0) 상면은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실리콘 코팅 성형을 실시하여 커버(200)와 받침대(100) 사이에서 메모지가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관성 및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받침대(100) 후면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면테이프(131)를 부착시켜 본 발명인 메모지 홀더가 별도의 사무기기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32)를 장착시켜 본 발명을 사무기기에 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밴드(133)를 장착시켜 본 발명을 사무기기에 끼울 수 있게 하고,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34)을 장착시켜 본 발명을 가전제품에 탈착시킬 수 있게 하고, 도 4의 (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40)를 장착시켜 본 발명을 책상이나 사무기기 상면에 세워 거치시킬 수 있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받침대(100)와 커버(200)로 이루어져 메모지를 수납한 상태에서 휴대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받침대(100) 후면에 별도의 결합부재 또는 거치대(14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사무기기에 부착, 탈착 또는 거치가 가능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메모지 홀더는 소정 두께의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받침대와; 일단은 상기 받침대의 접착부재에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받침대로부터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로 이루어져 메모지 또는 명함을 수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메모지 또는 명함 삽입은 용이하게 하고 삽입된 메모지 또는 명함이 메모지 홀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니터 또는 벽면과 같은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테이블 위에 거치시킬 수도 있게 하여 보관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받침대 110 : 접착홈
111 : 접착부재 120 : 경사면
131 : 양면테이프 132 : 후크
133 : 밴드 140 : 거치대
200 : 커버 220 : 고정부

Claims (10)

  1. 소정 두께의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받침대와;
    일단은 상기 받침대의 접착부재에 부착되며, 타단은 상기 받침대로부터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일단에는 상기 접착부재가 구비되는 접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홈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와 커버의 상단과 하단 일부를 고정시켜 상기 커버의 개방 정도를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홀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타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후면에는 상기 받침대를 별도의 기구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후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홀더.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단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경사면의 끝단 보다 짧거나 경사면의 끝단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홀더.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단은 굴절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홀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탄성이 있는 필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홀더.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상면은 실리콘 코팅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홀더.
KR1020120062224A 2012-06-11 2012-06-11 메모지 홀더 KR10121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24A KR101219458B1 (ko) 2012-06-11 2012-06-11 메모지 홀더
PCT/KR2012/011043 WO2013187566A1 (ko) 2012-06-11 2012-12-18 메모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224A KR101219458B1 (ko) 2012-06-11 2012-06-11 메모지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458B1 true KR101219458B1 (ko) 2013-01-11

Family

ID=4784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224A KR101219458B1 (ko) 2012-06-11 2012-06-11 메모지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9458B1 (ko)
WO (1) WO20131875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965B1 (ko) * 2019-03-11 2019-10-23 원용길 모니터에 부착사용하는 다용도 보드
KR20220165380A (ko) * 2021-06-08 2022-12-15 임동균 페트를 이용한 다용도 홀더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532U (ko) * 1990-06-12 1992-01-27 김용태 벽부착용 메모대
JP3037942U (ja) * 1995-11-07 1997-06-06 俊二 岡嶋 マグネットクリップ
JPH11240281A (ja) * 1997-12-25 1999-09-07 Kimoto & Co Ltd 書類保持部材
KR200240453Y1 (ko) * 2001-04-25 2001-10-12 주식회사 테크노.티 메모지 보관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6990U (ko) * 1988-04-01 1989-10-11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532U (ko) * 1990-06-12 1992-01-27 김용태 벽부착용 메모대
JP3037942U (ja) * 1995-11-07 1997-06-06 俊二 岡嶋 マグネットクリップ
JPH11240281A (ja) * 1997-12-25 1999-09-07 Kimoto & Co Ltd 書類保持部材
KR200240453Y1 (ko) * 2001-04-25 2001-10-12 주식회사 테크노.티 메모지 보관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965B1 (ko) * 2019-03-11 2019-10-23 원용길 모니터에 부착사용하는 다용도 보드
WO2020184978A1 (ko) * 2019-03-11 2020-09-17 원용길 모니터에 부착사용하는 다용도 보드
KR20220165380A (ko) * 2021-06-08 2022-12-15 임동균 페트를 이용한 다용도 홀더의 제조방법
KR102516987B1 (ko) * 2021-06-08 2023-03-31 임동균 페트를 이용한 다용도 홀더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7566A1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9820B2 (en) Book shelf display device
JPH1128885A (ja) 紙ばさみ
CA2641587C (en) Display hanger for non-prescription reading glasses and case
US9295347B2 (en) Hinge clip
US20190269212A1 (en) Mobile device accessory
KR101219458B1 (ko) 메모지 홀더
US20240041175A1 (en) Smartphone Combo Wallet Sleeve with Clip and Pop-Up Stand, with Magnetic Key Fob and Attachment Disk
US20060242876A1 (en) Display frame
KR20170001872U (ko) 필기구 홀더를 갖는 서류 고정 집게
JP3160237U (ja) 表示物ホルダ
GB2477305A (en) A note pad holder for a shopping trolley
KR20120013612A (ko) 고정장치로 테이블 상판의 옆면에 탈부착할 수 있는 수납 상자
KR200474705Y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20000423U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단말기용 케이스
KR20130107569A (ko) 휴대용 독서대
JP4746721B1 (ja) 壁掛具および壁掛展示具
JP3180764U (ja) 紙類挟みホルダ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保持具、並びに筆記具用キャップ体及び筆記具用キャップセット
JP2019064215A (ja) クリップ
US10723542B1 (en) Binding strip storing and dispensing device
JP2013220269A (ja) 郵便受け箱の投入ブロック用器具および該投入ブロック用器具を備えた郵便受け箱
CN101719320B (zh) 电子阅读器
KR20100053379A (ko) 북 홀더
KR101908243B1 (ko) 집게
JP2017154332A (ja) シートホルダ
KR101765179B1 (ko) 다용도 부착식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