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015B1 -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015B1
KR101219015B1 KR1020110025116A KR20110025116A KR101219015B1 KR 101219015 B1 KR101219015 B1 KR 101219015B1 KR 1020110025116 A KR1020110025116 A KR 1020110025116A KR 20110025116 A KR20110025116 A KR 20110025116A KR 101219015 B1 KR101219015 B1 KR 10121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weather strip
power
power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555A (ko
Inventor
김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수
Priority to KR1020110025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01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2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stationary whilst being comp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또는 트렁크리드의 장착부에 웨더스트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는, 에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에 핸들이 설치되고 승강수단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1 베벨기어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승강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된 에어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수단 및 승강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에어분배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되는 제2 베벨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승강 브라켓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회전축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롤러와 대응되게 위치하여 웨더스트립을 압착하면서 조립되게 하는 제2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롤러 사이에 위치한 웨더스트립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for weatherstrip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또는 트렁크리드의 장착부에 웨더스트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더스트립(weatherstrip)은 자동차의 도어 또는 트렁크리드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고무패킹으로서, 비바람, 먼지, 오물의 침입을 저지함과 동시에 차외부로부터의 소음의 차음, 도어 개폐 시와 자동차의 진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웨더스트립은 자동차 사이드 판넬 및 트렁크리드에 형성된 장착부에 끼움 결합되어 도어와의 밀착을 유지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장착부에 끼워지도록 끼움부가 형성되고 도어와 접촉되는 탄성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웨더스트립을 조립하는 경우,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웨더스트립을 일일이 누르면서 장착부에 조립하게 됨에 따라 웨더스트립 조립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피로 누적이 급격히 발생하는 등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 또는 트렁크리드의 장착부에 웨더스트립을 일부 조립한 상태에서 2개의 롤러 사이로 웨더스트립을 위치시켜 압착과 동시에 장착부의 둘레 전체를 이동하면서 웨더스트립을 신속하게 조립시키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는, 에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에 핸들이 설치되고 승강수단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1 베벨기어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승강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된 에어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수단 및 승강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에어분배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되는 제2 베벨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승강 브라켓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회전축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롤러와 대응되게 위치하여 웨더스트립을 압착하면서 조립되게 하는 제2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롤러 사이에 위치한 웨더스트립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는, 자동차의 도어 또는 트렁크리드의 장착부에 웨더스트립 조립 시 본 장치를 이용하여 웨더스트립의 전체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이 되므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자동차 생산성 향상과 작업자의 피로 누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는, 에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에 핸들이 설치되고 승강수단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1 베벨기어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승강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된 에어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수단 및 승강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에어분배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되는 제2 베벨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승강 브라켓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2 회전축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롤러와 대응되게 위치하여 웨더스트립을 압착하면서 조립되게 하는 제2 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롤러 사이에 위치한 웨더스트립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분배수단은 상부에 장홈과 에어 분사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에어 배기홀이 형성되며 중앙에 수평 관통홀이 형성되는 분배 하우징과, 상기 수평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에어 분사홀과 에어 배기홀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도록 헤드부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을 전,후진시키는 작동스위치와, 상기 분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포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ㄷ'자 형태의 지지대가 서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대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안내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홀에 수직 관통되는 복수개의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양 피스톤의 상단에 고정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2 회전축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게 되는 제2 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는 동력발생수단(1), 하우징(2), 승강 브라켓(3), 에어분배수단(4), 제1 회전축(5), 제2 회전축(6), 제1 롤러(51), 제2 롤러(61), 가이드수단(7), 승강수단(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은 에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에어공급원으로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형 에어드릴 또는 에어드라이버 또는 전동 모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의 공급에 의한 회전력을 갖게 하는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은 상기 구성요소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동력요소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 외에도 장치의 손잡이 역할을 병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손에 쥔 상태로 작업하도록 길이가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의 공급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은 상기 동력발생수단(1)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에 핸들(21)이 설치되고 승강수단(8)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1)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1 베벨기어(22)가 내장된다.
상기 하우징(2)의 일측은 상기 핸들(21)이 설치되도록 관 형태의 돌출부(26)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동력발생수단(1)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접속구(27)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27)의 내부에는 상단에 상기 제1 베벨기어(22)가 고정되고 외면에 베어링(271)이 구비되어 있는 동력전달샤프트(272)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에는 상기 승강수단(8)의 피스톤(81)이 관통되도록 복수개의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의 타측에 스프링(24)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스프링 삽입홈(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중심에는 제1 회전축(5)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의 상부에 승강수단(8)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28)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24)은 에어의 공급에 의해 상기 승강 브라켓(3)의 상승 시 승강 브라켓(3)의 타측을 들어 올려주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승강 브라켓(3)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상기 승강 브라켓(3)은 상기 하우징(2)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승강수단(8)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31)는 승강수단(8)의 스토퍼(83)에 올려진 상태로 설치되어 에어의 공급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8)이 상승하면서 스토퍼(31)가 구비된 승강 브라켓(3)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과 승강 브라켓(3)의 양측 외면에는 록 너트(11)가 체결되도록 체결홈(29,32)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수단(8)은 상기 하우징(2)에 형성된 관통홀(23)에 수직 관통되는 복수개의 피스톤(81)과, 상기 피스톤(81)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2)과, 상기 양 피스톤(82)의 상단에 고정되는 스토퍼(83)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83)는 상기 피스톤(81)의 상단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며 상면에 승강 브라켓(3)의 스트퍼(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홈(831)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분배수단(4)은 상기 하우징(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된 에어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수단(8) 및 승강 브라켓(3)을 승강시킨다.
상기 에어분배수단(4)은 상부에 장홈(411)과 에어 분사홀(41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에어 배기홀(413)이 형성되며 중앙에 수평 관통홀(414)이 형성되는 분배 하우징(41)과, 상기 수평 관통홀(414)에 삽입되며 상기 에어 분사홀(412)과 에어 배기홀(413)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도록 헤드부(421)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피스톤(42)과, 상기 피스톤(42)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42)을 전,후진시키는 작동스위치(43)와, 상기 분배 하우징(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포트(44)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 하우징(41)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공급포트(44)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에어 분사홀(412)을 통해 장홈(411)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승강수단(8)의 피스톤(81)을 작동시켜 승강수단(8)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작동스위치(43)의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헤드부(421)가 형성된 피스톤(42)을 작동시켜 에어 분사홀(412)은 에어가 공급되도록 개방시키고 에어 배기홀(413)은 폐쇄시킨다. 즉, 상기 피스톤(42) 헤드부(421)의 이동에 따라 에어 분사홀(412)과 에어 배기홀(413) 중에서 하나는 개방되고 다른 하나는 폐쇄되게 된다.
반대로, 작동스위치(43)의 조작에 따라 피스톤(43)을 작동시켜 에어 분사홀(412)을 폐쇄시키고 에어 배기홀(413)을 개방시키면 에어가 에어 배기홀(4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승되었던 승강수단(8)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제1 회전축(5)은 상기 하우징(2)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베벨기어(22)와 맞물려 연동되는 제2 베벨기어(52)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제2 회전축(6)은 상기 승강 브라켓(3)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동력전달부(9)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9)는 상기 제1 회전축(5)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기어(91)와, 상기 제2 회전축(6)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91)와 맞물리게 되는 제2 기어(92)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5)이 회전하면 상기 제2 회전축(6)도 연동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롤러(51)는 상기 제1 회전축(5)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롤러(61)는 상기 제2 회전축(6)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롤러(51)와 대응되게 위치하여 웨더스트립(10)을 압착하면서 조립되게 한다.
상기 가이드수단(7)은 상기 하우징(2)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롤러(51,61) 사이에 위치한 웨더스트립(10)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수단(7)은 'ㄷ'자 형태의 지지대(711)가 서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지지브라켓(71)과, 상기 지지대(711)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베어링(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73)과, 상기 회전축(73)에 결합되는 안내롤러(74)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의 작동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공급원인 에어컴프레서를 작동시켜 동력발생수단(1)에 연결하여 에어가 공급되도록 한다.
동력발생수단(1)을 작동시키면 에어에 의해 회전동력이 발생되어 제1 베벨기어(22)가 고정되어 있는 동력전달샤프트(272)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베벨기어(22)와 맞물려 있는 제2 베벨기어(52)가 연동 회전하면서 제1 회전축(5)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축(5)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롤러(51)도 연동 회전한다.
동시에, 동력전달부(9)인 제1 회전축(5)의 제1 기어(91)에 맞물려 있는 제2 기어(92)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 회전축(6)이 회전하고 상기 제2 회전축(6)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제2 롤러(61)로 연동 회전한다.
이때, 동력발생수단(1)이 계속해서 작동되면 상기 제1,2 롤러(51,61)는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고, 동력발생수단(1)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제1,2 롤러(51,61)도 정지한다.
한편, 에어분배수단(4)에 의해 승강수단(8) 및 승강 브라켓(3)을 승강시킴에 따라 상기 승강 브라켓(3)에 지지되는 제2 회전축(6) 및 제2 롤러(61)가 승강한다.
즉, 에어공급포트(44)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분배 하우징(41)의 에어 분사홀(412)을 통해 장홈(411)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승강수단(8)의 피스톤(81)을 작동시켜 승강수단(8) 및 승강 브라켓(3)이 상승하면서 상기 제2 회전축(6) 및 제2 롤러(61)도 상승한다.
반대로, 작동스위치(43)의 조작에 따라 피스톤(43)을 작동시켜 에어 분사홀(412)을 폐쇄시키고 에어 배기홀(413)을 개방시키면 에어가 에어 배기홀(4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승되었던 승강수단(8)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제2 회전축(6) 및 제2 롤러(61)도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작업자는 한손은 장치의 핸들(21)을 잡고 다른 한손은 장치의 동력발생수단(1)을 잡는다.
그리고 제1,2 롤러(51,61)를 웨더스트립(10)에 근접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에어분배수단(4)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제2 롤러(61)를 상승시켜 상기 제1,2 롤러(51,61) 사이로 웨더스트립(10)이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1,2 롤러(51,61) 사이에 웨더스트립(10)의 인입이 완료되면 에어분배수단(4)의 작동스위치(43)를 조작하여 장치 내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2 롤러(61)를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2 롤러(51,61)에 의해 웨더스트립(10)을 가압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제1,2 롤러(51,61)의 회전에 의해 자동차의 웨더스트립 장착부의 둘레를 따라 장치의 안내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웨더스트립(10)을 장착부에 압착시켜 신속하게 조립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동력발생수단
2 : 하우징
21 : 핸들
22 : 제1 베벨기어
23 : 관통홀
24 : 스프링
25 : 스프링 삽입홈
26 : 돌출부
27 : 접속구
271 : 베어링, 272 : 동력전달샤프트
28 : 커버
29 : 체결홈
3 : 승강 브라켓
31 : 스토퍼
32 : 체결홈
4 : 에어분배수단
41 : 분배 하우징
411 : 장홈, 412 : 에어 분사홀, 413 : 에어 배기홀, 414 : 수평 관통홀
42 : 피스톤
421 : 헤드부
43 : 작동스위치
44 : 에어공급포트
5 : 제1 회전축
51 : 제1 롤러
52 : 제2 베벨기어
6 : 제2 회전축
61 : 제2 롤러
7 : 가이드수단
71 : 지지브라켓
711 : 지지대
72 : 베어링
73 : 회전축
74 : 안내롤러
8 : 승강수단
81 : 피스톤
82 : 스프링
83 : 스토퍼
831 : 홈
9 : 동력전달부
91 : 제1 기어
92 : 제2 기어
10 : 웨더스트립
11 : 록 너트

Claims (6)

  1. 에어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1)과,
    상기 동력발생수단(1)의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에 핸들(21)이 설치되고 승강수단(8)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1)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1 베벨기어(22)가 내장되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승강수단(8)에 의해 지지되는 스토퍼(31)가 구비되어 있는 승강 브라켓(3)과,
    상기 하우징(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된 에어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수단(8) 및 승강 브라켓(3)을 승강시키는 에어분배수단(4)과,
    상기 하우징(2)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1 베벨기어(22)와 맞물려 연동되는 제2 베벨기어(52)가 구비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5)과,
    상기 승강 브라켓(3)의 중심에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동력전달부(9)에 의해 상기 제1 회전축(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2 회전축(6)과,
    상기 제1 회전축(5)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는 제1 롤러(51)와,
    상기 제2 회전축(6)의 타측 선단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롤러(51)와 대응되게 위치하여 웨더스트립(10)을 압착하면서 조립되게 하는 제2 롤러(61)와,
    상기 하우징(2)의 타측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롤러(51,61) 사이에 위치한 웨더스트립(10)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배수단(4)은 상부에 장홈(411)과 에어 분사홀(41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에어 배기홀(413)이 형성되며 중앙에 수평 관통홀(414)이 형성되는 분배 하우징(41)과, 상기 수평 관통홀(414)에 삽입되며 상기 에어 분사홀(412)과 에어 배기홀(413)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도록 헤드부(421)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피스톤(42)과, 상기 피스톤(42)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42)을 전,후진시키는 작동스위치(43)와, 상기 분배 하우징(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포트(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7)은'ㄷ'자 형태의 지지대(711)가 서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 지지브라켓(71)과, 상기 지지대(711)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베어링(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73)과, 상기 회전축(73)에 결합되는 안내롤러(7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8)은 상기 하우징(2)에 형성된 관통홀(23)에 수직 관통되는 복수개의 피스톤(81)과, 상기 피스톤(81)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2)과, 상기 복수개의 피스톤(81) 상단에 고정되는 스토퍼(8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9)는 상기 제1 회전축(5)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기어(91)와, 상기 제2 회전축(6)의 외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91)와 맞물리게 되는 제2 기어(9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의 타측에 스프링(24)이 삽입되도록 복수개의 스프링 삽입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KR1020110025116A 2011-03-22 2011-03-22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KR10121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16A KR101219015B1 (ko) 2011-03-22 2011-03-22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116A KR101219015B1 (ko) 2011-03-22 2011-03-22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555A KR20120107555A (ko) 2012-10-04
KR101219015B1 true KR101219015B1 (ko) 2013-01-09

Family

ID=4727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116A KR101219015B1 (ko) 2011-03-22 2011-03-22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0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782B1 (ko) 1996-06-15 1999-06-15 정몽규 차량의 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 조립용 공구
KR20050109666A (ko) * 2004-05-17 2005-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웨더 스트립 장착 툴
JP2010274794A (ja) 2009-05-28 2010-12-09 Nishikawa Rubber Co Ltd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組付構造及びその組付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782B1 (ko) 1996-06-15 1999-06-15 정몽규 차량의 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 조립용 공구
KR20050109666A (ko) * 2004-05-17 2005-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웨더 스트립 장착 툴
JP2010274794A (ja) 2009-05-28 2010-12-09 Nishikawa Rubber Co Ltd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組付構造及びその組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555A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97487B (zh) 壁挂式空调室内机
KR101220380B1 (ko)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
CN102954534B (zh) 空调
CN103889828A (zh) 用于开启和关闭施工机械发动机罩的装置
JP2013523354A (ja) 壁用の洗浄装置
DE602008002642D1 (de) Profileheber für ein Nagelwerkzeug
KR101360066B1 (ko)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
KR20120063775A (ko) 차량용 후드패널 지그장치
CN102003417A (zh) 一种风扇风轮的自动清洁装置
CN115365210B (zh) 一种冲洗机
CN203271288U (zh) 一种门锁离合装置
KR101219015B1 (ko)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조립장치
KR101427215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창호
CN202204114U (zh) 空调
CN103233611A (zh) 一种门锁离合装置
KR100621908B1 (ko) 차체용 벅 사이드 게이트
KR101809217B1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KR101532619B1 (ko) 케이블 트레이용 휴대용 타공기
CN211681687U (zh) 一种扫地机器人工装夹具
KR100588568B1 (ko) 차량용 웨더 스트립 장착 툴
CN211056393U (zh) 一种用于卷帘门的绕线机
CN215284637U (zh) 一种车辆以及车辆雷达布置结构
CN216880639U (zh) 一种集成系统安装用的除污装置
KR101582237B1 (ko) 웨더스트립 장착 툴
CN218282290U (zh) 一种便于全方位加工的空调配件喷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