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450B1 -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 Google Patents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450B1
KR101218450B1 KR1020120008864A KR20120008864A KR101218450B1 KR 101218450 B1 KR101218450 B1 KR 101218450B1 KR 1020120008864 A KR1020120008864 A KR 1020120008864A KR 20120008864 A KR20120008864 A KR 20120008864A KR 101218450 B1 KR101218450 B1 KR 10121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power
primary
coaxial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450B1/ko
Priority to US14/375,137 priority patent/US9419530B2/en
Priority to PCT/KR2013/000302 priority patent/WO20131155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3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transformers with a magnetic core
    • G01R15/185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transformers with a magnetic core with compensation or feedback windings or interacting coils, e.g. 0-flux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4Snubbe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4Snubber circuits
    • H02M1/346Passive non-dissipative sn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는, 입력 전원을 스위칭 제어하여 1차측 전류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코어, 상기 코어에 권선되는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2차측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2차측 전류를 출력하는 동축권선 변압기와,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보조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보조 권선의 출력을 센싱하여 상기 2차측 권선에 출력되는 전력을 추정하는 전력 추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축권선 변압기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심선을 상기 2차측 권선으로 이용하고, 상기 내부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외부 심선을 상기 보조 권선으로 이용하는 케이블을 상기 코어에 감아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보조 권선과 2차측 권선을 하나의 케이블로 형성하여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2차측 전력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APPARATUS FOR ESTIMATING OF POWER USING COAXIAL CABLE TRANSFORMER}
본 발명은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하여 2차측의 출력을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스위치 전원의 응용에 있어서 많은 경우에 고전압 또는 누설전류로 인한 사고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고하기 위하여 입력과 출력 사이에 전기적인 절연이 필요하다. 이 때 절연에는 고주파 변압기를 이용하며, 이 컨버터를 "절연형 DC-DC 컨버터"라고 한다. 이 때 사용되는 변압기는 절연 목적 외에 1, 2차 권선비에 의해 출력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 절연형 컨버터에는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포워드 컨버터(Forward Converter), 푸쉬-풀 컨버터(Push-Pull Converter), 하프 브릿지(Half-Bridge Converter), 풀 브릿지 컨버터(Full-Bridge Converter)가 있다. 이 중 플라이백 컨버터와 포워드 컨버터는 주로 수 백 와트 이하의 소형 전원회로에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저가형 컨버터는 변압기의 1차측에서 출력 전압 또는 전류를 센싱하는 간접측정방식을 사용하며,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이 감겨진 동일한 코어에 보조권선을 감아서 2차측(출력측) 정보를 추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보조 권선 간에 결합이 좋지 않아 누설 인덕턴스가 발생하게 되어 정확하게 출력 전압 또는 전류를 센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누설인덕턴스를 최소화기 위한 변압기는 병렬로 연결되는 여러 가닥의 내심을 가지고 있어서 권선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솔레노이드 권선 방식이 아닌 루프 권선 방식을 형성하고 이것을 고리 모양의 자심인 트로이덜 코어(Troidal Core)에 권선하였다. 이러한 변압기 구조는 제조 비용이 높아서 주로 대용량에만 사용되고 내부 심선이 꼬인 형태가 아니어서 결합 계수가 높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74203호(2002. 09. 28)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보조 권선을 이용하여 변압기의 2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출력을 간접적으로 추정함에 있어서, 보조 권선과 2차측 권선 간의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는, 입력 전원을 스위칭 제어하여 1차측 전류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코어, 상기 코어에 권선되는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2차측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2차측 전류를 출력하는 동축권선 변압기와,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보조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보조 권선의 출력을 센싱하여 상기 2차측 권선에 출력되는 전력을 추정하는 전력 추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축권선 변압기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심선을 상기 2차측 권선으로 이용하고, 상기 내부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외부 심선을 상기 보조 권선으로 이용하는 케이블을 상기 코어에 감아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는, 입력 전원을 스위칭 제어하여 1차측 전류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부와, 코어, 상기 코어에 권선되는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2차측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2차측 전류를 출력하는 동축권선 변압기와,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보조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보조 권선의 출력을 센싱하여 상기 2차측 권선에 출력되는 전력을 추정하는 전력 추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축권선 변압기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심선을 상기 보조 권선으로 이용하고, 상기 내부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외부 심선을 상기 2차측 권선으로 이용하는 케이블을 상기 코어에 감아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 복수의 내부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내부 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1차측 권선으로 이용하여, 상기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을 하나의 케이블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 복수의 내부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내부 심선의 제1 종단 또는 제2 종단이 또 다른 내부 심선의 제2 종단 또는 제1 종단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측 권선과 상기 2차측 권선, 상기 1차측 권선과 상기 보조 권선의 권선비를 고려하여 상기 내부 심선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코어에 솔레노이드 권선 방식 또는 트로이덜 권선 방식으로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원의 온-오프를 PWM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추정부는, 상기 추정된 2차측 권선에 출력되는 전력을 기 설정된 2차측 권선 전력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는 보조 권선을 이용하여 변압기의 2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전력을 간접적으로 추정함에 있어서, 보조 권선과 2차측 권선을 하나의 케이블로 형성하여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2차측 전력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의 구성도,
도2a는 도 1에 따른 전력 추정 장치에 포함되는 동축권선 변압기 중 트로이덜 코어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b는 도 1에 따른 전력 추정 장치에 포함되는 동축권선 변압기 중 E형 코어와 I형 코어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a는 도 2a 또는 도 2b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내부 구성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도,
도 4는 도 2a 또는 도 2b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종단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추정 장치(10)는 스위칭 제어부(11), 동축권선 변압기(12), 전력 추정부(13)를 포함한다. 스위칭 제어부(11)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제어모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입력 전원을 스위칭 제어하여 1차측 전류를 생성한다. 이 경우, 스위칭 제어부(11)는 스위치를 PWM(Pulse-Width Modulation) 제어함으로써 1차측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동축권선 변압기(12)는 1차측 인덕터(L1), 2차측 인덕터(L2), 보조 인덕터(L3)가 미리 설정된 권선수 비로 설정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동축권선 변압기(12)의 구조는 코어,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을 포함하며, 1차측 전류를 입력받아 코어에 권선된 1차측 권선 대 2차측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2차측 전류를 출력한다. 이 경우,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의 하나의 케이블에서 내부 심선 또는 외부 심선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케이블로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보조 권선을 구현할 수도 있다.
전력 추정부(13)는 보조 권선에 출력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센싱하여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의 권선비를 이용하여 2차측 권선에 출력되는 전력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스위칭 제어부(11)를 통해 동축권선 변압기(12)의 1차측 권선에 1차측 전류가 인가되면, 2차측 권선에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2차측 전류가 출력된다. 2차측 권선과 하나의 케이블로 구성되는 보조 권선에는 1차측 권선과 보조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보조 전류가 출력된다. 전력 추정부(13)는 보조 전류 또는 보조 전압을 측정하여 2차측 권선에 출력되는 전력을 추정하고, 그 추정값을 기 설정된 전력값과 비교하여 추정값이 설정된 전력값에 대해 정상 오차 범위 안에 있는 경우, 2차측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력이 정상임을 판단한다. 그러나, 추정된 전력값이 설정된 전력값에 대해 정상 오차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스위칭 제어부(11)를 제어하여 2차측 권선의 출력값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10)는 보조 권선을 이용하여 동축권선 변압기(12)의 2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전력을 추정함에 있어서, 보조 권선과 2차측 권선을 하나의 케이블로 형성하여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조 권선의 출력을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2차측 전력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추정 장치(10)는 2차측 권선에서 출력되는 2차측 전류를 평활하여 부하로 출력하는 출력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스위칭 전력 변환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2a는 도 1에 따른 전력 추정 장치에 포함되는 동축권선 변압기 중 트로이덜 코어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따른 전력 추정 장치에 포함되는 동축권선 변압기 중 E형 코어와 I형 코어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20)는 코어(21), 1차측 권선(22), 2차측 권선(24), 보조 권선(25)을 포함한다. 여기서, 동축권선이란 단심 또는 다심의 동축 케이블이 코어에 권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코어(21)는 자성체 물질로서, 원형의 토로이덜(toroidal)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1차측 권선(22)은 동축권선 변압기(20)의 1차측에 해당하는 코일이 코어(21)에 권선된 것을 의미하며, 2차측 권선(24)은 동축권선 변압기(20)의 2차측에 해당하는 코일이 코어(21)에 권선된 것을 의미한다. 보조 권선(25)은 2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출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적인 권선이다.
이 경우, 2차측 권선(24)과 보조 권선(25)은 하나의 케이블(23)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23)은 트로이덜 코어에 솔레노이드 권선 방식으로 권선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심선을 2차측 권선(24)으로 하고,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외부 심선을 보조 권선(25)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심선을 보조 권선으로 하고, 내부 심선을 2차측 권선(24)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에서는 코어(21)의 일 측에 1차측 권선(22)이 형성되고, 타 측에 2차측 권선(24) 및 보조 권선(25)을 포함하는 케이블(23)이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2차측 권선(24) 및 보조 권선(25)이 하나의 케이블(23)로 형성됨으로써, 2차측 권선(24)과 보조 권선(25) 간에 발생하는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할수 있다. 보조 권선(25)에 유기되는 출력을 측정함으로써 2차측 권선(24)에 인가되는 출력값인 전류 또는 전압을 추정할 때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23)이 복수의 내부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내부 심선 중 적어도 하나는 1차측 권선(22)으로 이용하여, 1차측 권선(22), 2차측 권선(24) 및 보조 권선(25)을 하나의 케이블(23)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선심 중 일부는 1차측 권선(22)으로 하고, 나머지 내부 선심은 2차측 권선(24)으로 하고, 외부 선심은 보조 권선(25)으로 이용할 수 있다. 1차측 권선(22)과 2차측 권선(24), 1차측 권선(22)과 보조 권선(25)의 권선비를 고려하여 내부 심선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내부 심선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N차측 권선으로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동축권선 변압기(20)는 E형 코어와 I형 코어를 결합한 코어(21)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E형 코어의 중심 다리에 케이블(23)을 감아서 변압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24) 및 보조 권선(25)을 하나의 케이블(23)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내부 심선을 서로 다른 권선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케이블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도 3a는 도 2a 또는 도 2b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따른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케이블(34)은 다수개의 내부 심선(Inner Conductor)(31)과 각 내부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피복(32), 다수개의 내부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심선(Outer Conductor)(33)으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심선(31)과 외부 심선(33)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보조 권선이 될 수 있다.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 보조 권선 사이의 간격을 가깝게 하여 결합 계수를 높임으로써, 커플링이 우수한 변압기를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얇은 여러 가닥의 에나멜선을 꼬아서 형성된 내부 심선(31)과 도전체가 피복된 외부 심선(33)을 포함한 케이블(34)을 사용하여 결합 계수를 100%에 근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심선(31)과 외부 심선(33) 사이에는 절연체(35)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내부 심선(31)은 외피가 에나멜 코팅으로 절연된 가는 에나멜선을 여러 가닥을 꼬아서 형성하고 각각의 내부 심선(31)의 말단에서 직렬로 연결되도록 하여 변압기의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 1차측 권선과 보조 권선의 턴비(turn ratio)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34)의 구조상 코어에 권선된 내부 심선(31)을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으로 하고, 외부 심선(33)을 보조 권선으로 한 경우, 1차측 전류에 의한 자속이 2차측 권선과 보조 권선에 모두 100% 쇄교하기 때문에 보조 권선에 의한 누설 인덕턴스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얇은 여러 가닥의 에나멜선을 꼬아서 형성된 내부 심선(31)의 말단부를 직렬 연결하면서 단일 또는 한 쌍의 코어에 솔레노이드 권선 또는 트로이덜 권선 방식으로 감는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동축권선 변압기는 누설 인덕턴스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권선을 견고하게 감아야 한다. 에나멜선은 얇은 도선이므로 기존의 동축 케이블보다 더 촘촘히 감을 수 있으므로 결합도가 강하여 누설 인덕턴스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34)이 복수의 내부 심선(31)을 포함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내부 심선(31)의 제1 종단 또는 제2 종단이 또 다른 내부 심선(31)의 제2 종단 또는 제1 종단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34)에서 복수의 내부 심선(31)을 2차측 권선으로 하고, 외부 심선(33)을 보조 권선으로 하는 경우, 각 내부 심선(31)은 절단된 제1 종단과 제2 종단을 갖게 된다. 이 경우, 또 다른 내부 심선(31)의 제1 종단 또는 제2 종단을 연결함으로써 코어에 감겨진 2차측 권선의 권선수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내부 심선의 종단 연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a 또는 도 2b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종단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43)은 하나의 연결된 선이며, 그 안에 포함되는 외부 심선(45)도 하나의 연결된 선으로 구성된다. 외부 심선(45)이 둘러싸는 내부 심선(42, 44)이 복수인 경우, 각각의 내부 심선들(42, 44)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이다. 절연된 내부 심선(42, 44)들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내부 심선(42, 44)들의 종단을 직렬로 연결한다. 이 경우, 하나의 내부 심선의 종단은 다른 내부 심선의 종단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내부 심선(44-1)의 종단은 제2 내부 심선(44-2)의 종단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n+1 개의 내부 심선의 종단을 서로 연결하면, 단일 내부 심선보다 길이가 (n+1)배 긴 내부 심선을 코어에 연결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제1 내부 심선(44-1)의 일 종단과 제(n+1) 내부 심선(44-(n+1))의 일 종단은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 심선(42, 44)을 서로 다른 권선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내부 심선(42, 44) 간의 단락된 종단이 더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측 권선과 2차 권선을 내부 심선(42, 44)으로 구성하고, 보조 권선을 외부 심선(44)으로 구성하는 경우, 1차측 권선에 해당하는 내부 심선(42-1)의 일 종단과 2차측 권선에 해당하는 내부 심선(44-1)의 일 종단은 단락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블에서 1차측 권선에 해당하는 내부 심선(42)과 2차측 권선에 해당하는 내부 심선(44)을 별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는 보조 권선을 이용하여 변압기의 2차측 권선에 인가되는 전력을 추정함에 있어서, 보조 권선과 2차측 권선을 하나의 케이블로 형성하여 누설 인덕턴스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2차측 전력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전력 추정 장치
11 : 스위칭 제어부
12, 20 : 동축권선 변압기
13 : 전력 추정부
21 : 코어
22 : 1차측 권선
23 , 34, 43 : 케이블
24 : 2차측 권선
25 : 보조 권선
31, 42, 44 : 내부 심선
32 : 피복
33 , 45 : 외부 심선
35 : 절연체

Claims (8)

  1. 입력 전원을 스위칭 제어하여 1차측 전류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부;
    코어, 상기 코어에 권선되는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2차측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2차측 전류를 출력하는 동축권선 변압기; 및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보조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보조 권선의 출력을 센싱하여 상기 2차측 권선에 출력되는 전력을 추정하는 전력 추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축권선 변압기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심선을 상기 2차측 권선으로 이용하고, 상기 내부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외부 심선을 상기 보조 권선으로 이용하는 케이블을 상기 코어에 감아서 형성하는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2. 입력 전원을 스위칭 제어하여 1차측 전류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부;
    코어, 상기 코어에 권선되는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1차측 전류를 입력받아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2차측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2차측 전류를 출력하는 동축권선 변압기; 및
    상기 1차측 권선 대 상기 보조 권선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보조 권선의 출력을 센싱하여 상기 2차측 권선에 출력되는 전력을 추정하는 전력 추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축권선 변압기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심선을 상기 보조 권선으로 이용하고, 상기 내부 심선을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외부 심선을 상기 2차측 권선으로 이용하는 케이블을 상기 코어에 감아서 형성하는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복수의 내부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내부 심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1차측 권선으로 이용하여, 상기 1차측 권선, 2차측 권선 및 보조 권선을 하나의 케이블로 형성하는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복수의 내부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내부 심선의 제1 종단 또는 제2 종단이 또 다른 내부 심선의 제2 종단 또는 제1 종단과 직렬로 연결되는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권선과 상기 2차측 권선, 상기 1차측 권선과 상기 보조 권선의 권선비를 고려하여 상기 내부 심선의 개수를 결정하는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코어에 솔레노이드 권선 방식 또는 트로이덜 권선 방식으로 권선되는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원의 온-오프를 PWM 제어하는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추정부는,
    상기 추정된 2차측 권선에 출력되는 전력을 기 설정된 2차측 권선 전력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하는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KR1020120008864A 2012-01-30 2012-01-30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KR10121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64A KR101218450B1 (ko) 2012-01-30 2012-01-30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US14/375,137 US9419530B2 (en) 2012-01-30 2013-01-15 Power estimation device using coaxial winding transformer
PCT/KR2013/000302 WO2013115505A1 (ko) 2012-01-30 2013-01-15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864A KR101218450B1 (ko) 2012-01-30 2012-01-30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450B1 true KR101218450B1 (ko) 2013-01-04

Family

ID=4784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864A KR101218450B1 (ko) 2012-01-30 2012-01-30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19530B2 (ko)
KR (1) KR101218450B1 (ko)
WO (1) WO2013115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3084B2 (en) * 2014-11-20 2018-05-15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witching voltage regulator input power estimation
US10069414B2 (en) 2015-04-01 2018-09-04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witching voltage regulator input voltage and current sensing
US10389242B2 (en) 2017-02-01 2019-08-20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Voltage and current sensing calibration for switching voltage regulators
EP3474024A1 (de) * 2017-10-19 2019-04-24 RITZ Instrument Transformers GmbH Stromwandler mit fluid- oder ölpapierisolierung für hochspan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935A (ja) * 1990-03-09 1993-12-07 Space Syst Loral Inc 直流電流モニタ
JPH11502313A (ja) * 1996-11-01 1999-02-23 フォスター―ミラー インク モジュラコア、自己動力式送電線センサー
JPH11511087A (ja) * 1995-08-19 1999-09-2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変圧器に接続された負荷の抵抗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JP2011502261A (ja) 2007-10-30 2011-01-20 パワー−ワ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分離型電流/電圧、電圧/電圧変換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3748A1 (en) * 1997-09-23 2002-03-21 Jouri Bolotinsky Transformer
JP3498055B2 (ja) * 1998-08-28 2004-02-1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電力変成器機能及び即時引外し機能を果す装置
DE19961535A1 (de) * 1999-12-20 2001-07-05 Vacuumschmelze Gmbh Filteranordnung
US6473318B1 (en) 2000-11-20 2002-10-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eakage energy recovering system and method for flyback converter
US7573000B2 (en) * 2003-07-11 2009-08-11 Lincoln Global, Inc. Power source for plasma device
JP2008005659A (ja) * 2006-06-23 2008-01-10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
GB2460266A (en) * 2008-05-23 2009-11-25 Cambridge Semiconductor Ltd Estimating conduction times of a switch mode power supply transformer
TWI370600B (en) * 2008-11-14 2012-08-11 Ind Tech Res Inst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nd contactless charging method
US8289745B2 (en) * 2009-01-13 2012-10-16 Magistor Technologies, L.L.C. Power supply with magistor switching
US8269592B1 (en) * 2010-05-05 2012-09-1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ulse transformer
KR101216752B1 (ko) * 2011-12-09 2012-12-2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하는 플라이백 컨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935A (ja) * 1990-03-09 1993-12-07 Space Syst Loral Inc 直流電流モニタ
JPH11511087A (ja) * 1995-08-19 1999-09-28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変圧器に接続された負荷の抵抗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JPH11502313A (ja) * 1996-11-01 1999-02-23 フォスター―ミラー インク モジュラコア、自己動力式送電線センサー
JP2011502261A (ja) 2007-10-30 2011-01-20 パワー−ワ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分離型電流/電圧、電圧/電圧変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5505A1 (ko) 2013-08-08
US9419530B2 (en) 2016-08-16
US20140376279A1 (en) 2014-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29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energy in a power converter circuit
KR101218450B1 (ko) 동축권선 변압기를 이용한 전력 추정 장치
WO2020029664A1 (zh) 线圈模组、无线充电发射装置、接收装置、系统和终端
CN109937515B (zh) 电磁感应供电设备
US9287035B2 (en) Flyback converter using coaxial cable transformer
RU2388092C2 (ru) Импульс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с фольговой обмоткой
EP1160801B1 (en) High-frequency current multiconductor cable and power feeding equipment for one or more movable bodies using said cable
EP2884503A1 (en) Power in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hunting measurement through inductive winding
CN205376269U (zh) 一种开关变压器
US9136054B1 (en) Reduced leakage inductance transformer and winding methods
US20220044867A1 (en) High-Frequency Transformers using Solid Wire for Welding-Type Power Supplies
JP6463277B2 (ja) 電力の伝送
KR102023129B1 (ko) 변압기용 코일조립체의 권선 및 탭 연결구조
CN110828127A (zh) 一种高频微电保护互感器
US20160111201A1 (en) Transformer
CN216389040U (zh) 用于自耦电力变压器的绕组及自耦电力变压器
CN210142571U (zh) 一种变压器结构
US3395374A (en) Voltage transient suppressor for coils
KR101237214B1 (ko) 동축권선 탭인덕터
KR101546786B1 (ko) 상변환이 가능한 변전방법 및 그 변압기
RU65686U1 (ru) Сварочны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JPH03124009A (ja) トランス
CN115172027A (zh) 可调变比电流互感装置
JPH1168498A (ja) インピーダンス変換回路
KR20060067630A (ko) 트랜스포머의 코어 보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