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121B1 -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121B1
KR101218121B1 KR1020100138515A KR20100138515A KR101218121B1 KR 101218121 B1 KR101218121 B1 KR 101218121B1 KR 1020100138515 A KR1020100138515 A KR 1020100138515A KR 20100138515 A KR20100138515 A KR 20100138515A KR 101218121 B1 KR101218121 B1 KR 10121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communication network
photographing
communication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798A (ko
Inventor
김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토피아인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토피아인네트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토피아인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10013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12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2Multiprotocol rou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영상 전송 기능을 갖는 셋탑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원격지로 전송하는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셋탑박스에 있어서;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촬영영상 신호를 변환하는 촬영영상 처리부; 및 상기 셋탑박스를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속시키는 셋탑박스 통신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셋탑박스에 촬영영상 처리부와 촬영영상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셋탑박스로 입력된 촬영영상을 셋탑박스의 설치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A set top box and camera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e it}
본 발명은 촬영 영상 전송 기능을 갖는 셋탑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원격지로 전송하는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셋탑박스는 유선케이블을 통하여 송신된 방송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TV의와 같은 표시장치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방송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셋탑박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 방송신호가 입력되는 방송신호입력포트와, 방송신호입력포트에서 입력된 방송신호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방송신호를 선택 출력할 수 있게 한 방송수신모듈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방송신호를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방송신호출력포트와,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셋탑박스 제어부 및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한 조작입력포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셋탑박스는 유선 또는 무선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TV와 같은 표시장치로 전달하여 TV와 같은 표시장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을 출력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셋탑박스는 유선 또는 무선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그 기능성이 제한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첫 번째 과제는 촬영영상을 원격지에서도 시청할 수 있도록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기능이 탑재된 셋탑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두 번째 과제는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원격지에서도 시청할 수 있도록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원격지로 전송하고 원격지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한 기능이 탑재된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세 번째 과제는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상상을 원격지에서도 시청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격지에서도 촬영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촬영기기가 촬영하는 대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탑재된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선 또는 무선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셋탑박스에 있어서;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촬영영상 신호를 변환하는 촬영영상 처리부; 및 셋탑박스를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속시키는 셋탑박스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영상 처리부는 외부로부터 촬영된 촬영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촬영영상 신호입력포트; 상기 촬영영상 신호입력포트에서 입력된 촬영영상신호를 송신 가능하게 변환하여 셋탑박스 제어부로 전송하는 촬영영상디코더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영상디코더는 입력된 촬영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상기 디지털화된 촬영영상신호의 포맷을 셋탑박스 제어부가 이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영상 통신부는 셋탑박스 제어부에서 전송된 촬영영상신호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할 수 있게 통신규격에 따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 상기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에서 변환된 촬영영상신호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터; 라우터가 무선통신망을 통과하는 무선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테나; 라우터가 LAN을 통과하는 L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AN포트; 및 라우터가 WAN을 통과하는 W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WAN포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선 또는 무선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장치로 전송하며 촬영기기에 입력된 촬영영상신호를 원격지로 전송하는 셋탑박스; 상기 셋탑박스로 촬영영상을 입력하는 촬영기기; 및 셋탑박스에서 전송된 촬영영상신호를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원격지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셋탑박스는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촬영영상 신호를 변환하는 촬영영상 처리부; 및 상기 셋탑박스를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속시키는 셋탑박스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영상 처리부는 외부로부터 촬영된 촬영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촬영영상 신호입력포트; 상기 촬영영상 신호입력포트에서 입력된 촬영영상신호를 송신 가능하게 변환하여 셋탑박스 제어부로 전송하는 촬영영상디코더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영상디코더는 입력된 촬영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고, 상기 디지털화된 촬영영상신호의 포맷을 셋탑박스 제어부가 이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영상 통신부는 셋탑박스 제어부에서 전송된 촬영영상신호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할 수 있게 통신규격에 따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 상기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에서 변환된 촬영영상신호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터; 라우터가 무선통신망을 통과하는 무선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테나; 라우터가 LAN을 통과하는 L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AN포트; 및 라우터가 WAN을 통과하는 W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WAN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지 단말기는 표시장치와 연결되는 원격지 단말 출력부; 셋탑박스의 촬영영상송신부와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수단으로 촬영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지 단말통신부; 및 상기 원격지 단말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촬영영상신호를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원격지 단말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셋탑박스의 촬영영상전송부는 마이크를 통하여 독취된 주변 오디오가 입력되는 오디오입력포트; 상기 오디오를 촬영영상신호에 믹싱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셋탑박스는 양 방향의 화상통화가 가능하게 촬영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촬영 영상수신모듈; 상기 촬영 영상수신모듈에서 수신된 촬영영상신호를 표시장치로 출력 가능하게 아날로그화 하는 수신영상엔코더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선 또는 무선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장치로 전송하며 촬영기기에 입력된 촬영영상신호를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게 한 셋탑박스; 상기 셋탑박스로 촬영영상을 입력하는 촬영기기; 셋탑박스에서 전송된 촬영영상신호를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표시장치로 출력할 수 있게 한 원격지 단말기; 상기 촬영기기를 상하, 좌우 및 줌인 구동되게 하는 촬영기기구동부; 및 원격지 단말기로 촬영기기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촬영기기조작기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기기조작기에는 촬영기기조작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조작신호입력포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셋탑박스의 촬영영상전송부에 상기 원격지 단말기의 조작신호입력포트에서 송신된 조작신호를 수신하는 조작신호수신모듈; 상기 조작신호수신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조작신호를 셋탑박스 제어부에서 촬영기기구동부로 제어 출력할 수 있게 한 조작신호출력포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셋탑박스에 촬영영상 처리부와 촬영영상 통신부를 구비함으로써 셋탑박스로 입력된 촬영영상을 셋탑박스의 설치위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주요 회로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주요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주요 회로 블럭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원격지 단말기를 셋탑박스로 구성한 것을 보인 주요 회로 블럭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촬영기기구동부와 촬영기기조작기를 구비한 것을 보인 주요 회로 블럭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 촬영기기구동부와 촬영기기조자기를 구비하되 촬영기기조작기를 원격지 단말기에 일체로 실시한 것을 보인 주요 회로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셋탑박스로 입력된 촬영영상을 촬영영상 처리부와 촬영영상 통신부를 통하여 원격지로 전송하여서 원격지에서도 셋탑박스 설치위치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100)는 방송신호입력포트(111)와 방송수신모듈(112), 방송신호출력포트(113), 촬영영상 처리부, 셋탑박스 통신부 및 셋탑박스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위의 구성 중 방송신호입력포트(11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 방송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위의 구성 중 방송수신모듈(112)은 방송신호입력포트(111)에서 입력된 방송신호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방송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위의 구성 중 방송신호출력포트(113)는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영상신호출력포트(113a)와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오디오출력포트(113b)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방송신호를 표시장치(6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위의 구성 중 촬영영상 처리부(210)는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촬영영상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촬영영상 처리부는 외부로부터 촬영된 촬영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촬영영상 신호입력포트(211)와, 촬영영상 신호입력포트(211)에서 입력된 촬영영상신호를 송신 가능하게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며 촬영영상 신호를 셋탑박스 제어부(114)가 이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촬영영상디코더(212)를 포함한다.
또한, 촬영영상디코더(212)가 촬영영상 신호를 변환하는 것을 촬영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셋탑박스 제어부(114)의 입력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는 것이다.
위의 구성 중 촬영영상 통신부(220)는 셋탑박스를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속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촬영영상 통신부는 셋탑박스 제어부(114)에서 전송된 촬영영상신호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할 수 있게 통신규격에 따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221)과,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에서 변환된 촬영영상신호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터(222)와, 라우터(222)가 무선통신망을 통과하는 무선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안테나(223)와, 라우터(222)가 LAN을 통과하는 L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AN포트(224a) 및 라우터(222)가 WAN을 통과하는 W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WAN포트(224b)를 포함한다.
또한, 라우터(222)가 이용하는 무선통신망은 CDMA, 3G, WiFi에 따른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경로의 설정은 인증과정을 통하여 인증된 경우에만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위의 구성 중 셋탑박스 제어부(114)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촬영기기(410)에서 출력된 촬영영상신호가 촬영영상 처리부의 촬영영상 신호입력포트(211)에 입력되면, 촬영영상디코더(212)는 촬영기기(410)에서 입력된 촬영영상신호를 셋탑박스 제어부(114)가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고, 이렇게 변환된 촬영영상신호를 셋탑박스 제어부(114)에 전달한다.
셋탑박스 제어부(114)에 촬영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라우터(222)는 LAN, WAN 및 무선통신망 중 일부에 접속하여 무선 또는 유선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셋탑박스 제어부(114)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경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셋탑박스 제어부(114)가 무선 또는 유선 통신경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 셋탑박스 제어부(114)는 촬영영상 처리부(212)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영상을 이용 가능한 통신경로를 통해 원격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등을 셋탑박스가 접속한 통신망에 접속시켜 원격지에서도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은 표시장치(600)와 촬영기기(410), 셋탑박스(100), 원격지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위의 구성 중 표시장치(600)는 셋탑박스(100)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한다.
위의 구성 중 촬영기기(410)는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셋탑박스(100)로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위의 구성 중 셋탑박스(100)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에 촬영기기(410)가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의 구성 중 원격지 단말기(300)는 표시장치와 연결되는 원격지 단말 출력부(311)와, 셋탑박스(100)의 촬영영상송신부와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수단으로 촬영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지 단말통신부(312)와, 원격지 단말통신부(312)를 통하여 수신된 촬영영상신호를 표시장치(600)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원격지 단말제어부(314)를 포함한다.
표시장치(600)는 엘씨디 또는 오엘이디와 일반적인 표시장치로 구현된다.
원격지 단말 통신부(312)는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속하여 셋탑박스(100)가 전송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원격지 단말제어부(314)에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셋탑박스(100)의 동작은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에 촬영기기(410)가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원격지 단말기(300)가 원격지 단말 통신부(312)를 통하여 셋탑박스(100)가 접속한 통신망에 접속시키게 되면, 원격지 단말제어부(314)가 원격지 단말 통신부(312)를 통하여 수신된 촬영영상을 제어하여 표시장치(600)에 표시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셋탑박스(100)에 오디오 입력포트(241)와, 오디오 처리부(242)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셋탑박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격지의 사용자가 셋탑박스 주위의 소리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시스템에 음향전송 기능이 부가된 것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과 비교된다.
위의 구성 중 오디오 입력포트(241)는 주변의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420)의 오디오를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위의 구성 중 오디오 처리부(242)는 오디오 입력포트(241)로 입력되는 오디오를 디지털 오디오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의 프로토콜을 셋탑박스 제어부(114)가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하여 셋탑박스 제어부(114)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위의 구성 중 원격지 단말기(300)의 원격지 단말출력부에는 오디오 출력부와 오디오 출력포트를 포함한다.
위의 구성 중 오디오 출력부는 셋탑박스(100)에서 출력되어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통해 원격지 단말기(300)로 전송된 디지털 오디오를 원격지 단말제어부(314)로부터 전달받아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위의 구성 중 오디오 출력포트는 디지털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를 스피커로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은 셋탑박스(100)에 구비된 마이크(420)를 통하여 셋탑박스(100) 주위의 소리를 청취할 수 있어 촬영기기(410)를 통하여 화상과 함께 오디오를 전송 받아 화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6 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기기구동부(420)와 촬영기기조작기(520)를 포함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기기조작기(520)는 원격지 단말기(300)와 별도 장착하여 사용하게 실시하거나,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지 단말기(300)가 표시장치(600)를 일체로 한 경우에 원격지 단말기(300)에 일체로 구비하거나, 표시장치(600)의 터치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은 셋탑박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격지의 사용자가 셋탑박스와 연결되는 촬영기기가 촬영하는 영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부가된 것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과 비교된다.
위의 구성 중 촬영기기구동부(420)는 촬영기기(410)에 구비되며, 셋탑박스제어부(1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기기구동부(4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촬영기기(410)가 지향하는 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촬영기기구동부(4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를 이용한 촬영영상 전송 시스템은 셋탑박스로부터 멀리 떨어진 원격지의 사용자가 셋탑박스와 연결되는 촬영기기가 촬영하는 영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용자가 원격지 단말기(300)에 연결된 촬영기기조작기(520)를 조작하게 되면, 원격지 단말기(300)를 통하여 촬영기기조작기(520)의 조작신호가 셋탑박스(100)에 전달된다.
셋탑박스(100)에 전달된 조작신호는 촬영기기(410)의 외부촬영기구구동부(420)로 전달되어 촬영기기(410)의 지향방향이 원격지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작되는 것이다.
100 : 셋탑박스 111 : 방송신호입력포트
112 : 방송수신모듈 113 : 방송신호출력포트
113a: 영상신호출력포트 113b: 오디오출력포트
114 : 셋탑박스 제어부 115 : 조작입력포트
210 : 촬영영상 처리부 211 : 촬영영상 신호입력포트
212 : 촬영영상디코더 220 : 촬영영상 통신부
221 :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 222 : 라우터
223 : 무선안테나 224a: LAN포트
224b: WAN포트 231 : 촬영 영상수신모듈
232 : 수신영상엔코더 241 : 오디오입력포트
242 : 오디오 처리부 251 : 조작신호수신모듈
252 : 조작신호출력포트 300 : 원격지 단말기
311 : 원격지 단말 출력부 312 : 원격지 단말통신부
313 : 원격지 영상엔코더 314 : 원격지 단말제어부
321 : 조작신호입력포트 410 : 촬영기기
420 : 마이크 510 : 촬영기기구동부
520 : 촬영기기조작기 600 : 표시장치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유선 또는 무선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장치로 전송하는 셋탑박스에 있어서;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촬영영상 신호를 변환하는 촬영영상 처리부와;
    상기 셋탑박스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셋탑박스를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속시키는 셋탑박스 통신부와;
    상기 셋탑박스의 내부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셋탑박스를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속시키는 촬영영상 통신부; 및
    상기 촬영영상 처리부 및 상기 셋탑박스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영상 처리부 및 상기 셋탑박스 통신부를 제어하는 셋탑박스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영상 통신부는,
    상기 셋탑박스 제어부에서 전송된 촬영영상신호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할 수 있게 통신규격에 따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과;
    상기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에서 변환된 촬영영상신호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터와;
    상기 라우터가 무선통신망을 통과하는 무선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안테나와;
    상기 라우터가 LAN을 통과하는 L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AN포트; 및
    상기 라우터가 WAN을 통과하는 W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WAN포트를 포함하는 셋탑박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유선 또는 무선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장치로 전송하며 촬영기기에 입력된 촬영영상신호를 원격지로 전송하는 셋탑박스와;
    상기 촬영기기가 촬영한 촬영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촬영영상 신호를 변환하는 촬영영상 처리부와;
    상기 셋탑박스의 내부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셋탑박스를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속시키는 셋탑박스 통신부와;
    상기 셋탑박스의 내부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셋탑박스를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접속시키는 촬영영상 통신부와;
    상기 촬영영상 처리부 및 상기 셋탑박스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영상 처리부 및 상기 셋탑박스 통신부를 제어하는 셋탑박스 제어부; 및
    상기 셋탑박스에서 전송된 촬영영상신호를 상기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원격지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영상 통신부는,
    상기 셋탑박스 제어부에서 전송된 촬영영상신호를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송신할 수 있게 통신규격에 따른 포맷으로 변환하는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과;
    상기 셋탑박스 통신포맷변환모듈에서 변환된 촬영영상신호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터와;
    상기 라우터가 무선통신망을 통과하는 무선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선안테나와;
    상기 라우터가 LAN을 통과하는 L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AN포트; 및
    상기 라우터가 WAN을 통과하는 WAN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WAN포트를 포함하는 셋탑박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0138515A 2010-12-30 2010-12-30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 KR10121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15A KR101218121B1 (ko) 2010-12-30 2010-12-30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15A KR101218121B1 (ko) 2010-12-30 2010-12-30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710A Division KR101254581B1 (ko) 2012-05-25 2012-05-25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798A KR20120076798A (ko) 2012-07-10
KR101218121B1 true KR101218121B1 (ko) 2013-01-03

Family

ID=4671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515A KR101218121B1 (ko) 2010-12-30 2010-12-30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1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240B1 (ko) * 2001-06-27 2004-05-27 (주) 세비텍 무선으로 양방향 조절이 가능한 셋탑 시스템
KR20090092871A (ko) * 2008-02-28 2009-09-02 윤상구 원격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처리 단말기 및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240B1 (ko) * 2001-06-27 2004-05-27 (주) 세비텍 무선으로 양방향 조절이 가능한 셋탑 시스템
KR20090092871A (ko) * 2008-02-28 2009-09-02 윤상구 원격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처리 단말기 및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798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6299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and device-specific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9438784B2 (en) Camera operation terminal, camera,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device
KR101469838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JP2005151450A (ja) 携帯端末、ビデオ電話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40006607A (ko) 스마트폰 거치아암
KR101218121B1 (ko)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
KR101254581B1 (ko)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촬영 영상 전송 시스템
KR20130076948A (ko) 디지털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152857A1 (en) Camera Apparatus and System
KR20090028139A (ko) 화상 통화 장치 이용 방법
JP2009027626A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撮影装置、及びリモート撮影システム
JP2004194148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5162719B1 (ja) 光伝送システム
JP5448779B2 (ja) 再生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218122B1 (ko)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게임신호 전송 시스템
KR101254580B1 (ko) 셋탑박스 및 이를 이용한 비디오게임신호 전송 시스템
KR101102395B1 (ko) 티브이 화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및 제어 방법
US9767851B2 (en) Document camera, video and audio output system, and video and audio output method
KR101050960B1 (ko) Cctv 카메라 원격제어 송수신장치
JP580756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230318A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JP5443278B2 (ja) レンズ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無線アダプタ
JP2016063277A (ja) 撮像装置とその撮像機器および操作端末
KR20090097618A (ko)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KR20060073658A (ko) 카메라 모듈의 분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