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618A -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618A
KR20090097618A KR1020080022884A KR20080022884A KR20090097618A KR 20090097618 A KR20090097618 A KR 20090097618A KR 1020080022884 A KR1020080022884 A KR 1020080022884A KR 20080022884 A KR20080022884 A KR 20080022884A KR 20090097618 A KR20090097618 A KR 20090097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mputer
image
headse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인
Original Assignee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filed Critical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Priority to KR102008002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618A/ko
Publication of KR2009009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영상을 송신하는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에 있어서,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 렌즈(70); 상기 카메라 렌즈(70)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70)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60); 컴퓨터(20)에 연결설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는 USB허브(50); 화상카메라의 일측에 구비되어 화상카메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80); 헤드셋(10)에 연결설치되어 음성, 음악 또는 음성 및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40) 및 상기 카메라 구동부(60), 전원공급부(80), USB허브(50)와 무선통신부(40)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70)에 의해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컴퓨터(20)로 송신하고, 컴퓨터(20)와 헤드셋(10) 사이에서 음성, 음악 또는 음성 및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화상카메라, 헤드셋, 무선통신, 블루투스

Description

컴퓨터용 화상카메라{A Video Camera for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사용되는 화상카메라에 헤드셋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하여 헤드셋을 별도로 컴퓨터에 연결하지 않고 무선으로 자유롭게 화상통신 및/또는 음성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화상 또는 영상을 제공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 들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모니터에 시청각적 욕구를 위한 스피커나 화상카메라 등과 같은 각종 장비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있다.
여기서, 화상카메라(Video camera)는 우선 시각계의 신호를 기계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기계적 신호를 최종적으로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화상카메라는 최근 컴퓨터의 보급과 더불어 원거리에 있는 사람간의 화상회의, 화상채팅 등을 할 수 있도록 모니터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바, 상기 화상카메라를 별도로 컴퓨터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화상카메라에 구비되는 데이터 전송 케이블 예를 들면,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컴퓨터, 특정적으로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화상을 보면서 회의 및 채팅을 하는 화상회의 및 화상채팅 등은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화상신호, 즉 영상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것 외에 별도의 음성신호, 즉 음성데이터를 상호 전송하여야 한다.
이에, 전술한 음성신호의 전송을 위해 음성을 출력하고 입력할 수 있는 스피커 및 마이크가 구비된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 상기 헤드셋을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컴퓨터에 연결하여야 한다.
한편, 최근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휴대용 단말기, 가전제품 등을 상호 무선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기기 간을 연결하는 복잡한 전선 없이도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표준으로 블루투스(Bluetooth)가 채택되고 이를 구현한 모듈이 칩 형태로 보급되면서, 컴퓨터나 가전제품 이외에도 IMT-2000으로 대표되는 3세대 디지털 이동통신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최근 휴대용 단말기 등에 탑재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블루투스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로 할 수 있는 기능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능이 블루투스 헤드셋과의 음성통화, 음악청취 및/또는 DMB 및 영화의 오디오 기 능이다. 이는 블루투스에 데이터통신용 채널(ACL)외에 별도의 음성통화채널(SCO)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기능으로, 무선랜과 같은 다른 무선통신 규격에는 없는 기능이다.
그러므로 블루투스가 탑재된 헤드셋을 사용할 경우, 선이 연결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행동이나 이동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고, 별도의 유선조작 없이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컴퓨터와 블루투스가 탑재된 헤드셋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블루투스가 가능한 무선장치를 컴퓨터 내부에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상회의 및 화상채팅 등의 화상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화상카메라에 휴대용 단말기로서 헤드셋, 특정적으로 무선 헤드셋과 상호 통신 가능한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시켜 별도로 컴퓨터에 블루투스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화상카메라만으로 화상, 특정적으로 영상과 음성 및/또는 음악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 렌즈; 상기 카메라 렌즈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 컴퓨터에 연결설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는 USB허브; 화상카메라의 일측에 구비되어 화상카메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 헤드셋에 연결설치되어 음성, 음악 또는 음성 및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 구동부, 전원공급부, USB허브와 무선통신부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에 의해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컴퓨터로 송신하고, 컴퓨터와 헤드셋 사이에서 음성, 음악 또는 음성 및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에 과제 해결 수단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카메라에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시켜 컴퓨터에 화상카메라를 연결설치하는 것만으로, 화상통신 및/또는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카메라는 컴퓨터에 별도로 연결설치되어 피사체 또는 배경 등의 영상을 촬상하여 컴퓨터로 전송하거나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및/또는 음악데이터를 블루투스가 가능한 헤드셋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카메라 렌즈가 구비되고, 컴퓨터에 연결설치되기 위한 본체가 형성된 당업계의 통상적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라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카메라에 해당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카메라의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카메라, 특정적으로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는 컴퓨터(20)에 별도로 연결설치되어 피사체 또는 배경 등의 영상을 촬 상하여 컴퓨터로 전송하거나 컴퓨터(2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및/또는 음악데이터를 블루투스가 가능한 헤드셋(10)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는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 렌즈(70); 상기 카메라 렌즈(70)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70)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60); 컴퓨터(20)에 연결설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는 USB허브(50); 화상카메라의 일측에 구비되어 화상카메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80); 헤드셋(10)에 연결설치되어 음성, 음악 또는 음성 및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40) 및 상기 카메라 구동부(60), 전원공급부(80), USB허브(50)와 무선통신부(40)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70)에 의해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컴퓨터(20)로 송신하고, 컴퓨터(20)와 헤드셋(10) 사이에서 음성, 음악 또는 음성 및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카메라, 특정적으로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는 필요에 따라, 그 외부 일측에 음성신호 또는 통화여부를 조작하거나 화상카메라와 헤드셋(10)과 서로 블루투스로 연결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키(90)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키(90)와 이웃하는 일측에 조작키(90)의 조작에 따른 조작상태 또는 화상카메라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10)은 화상카메라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즉 블루투스 모듈이 답재되어 블루투스가 가능한 헤드셋(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기능을 갖고 일측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20)는 화상카메라와 연결설치되어 화상카메라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화상회의, 화상채팅 및/또는 전화통화(인터넷전화)를 위해 음성 및/또는 음악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컴퓨터(20)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70)는 피사체 또는 배경 등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카메라 렌즈(70)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부(60)는 상기 카메라 렌즈(70)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70)의 렌즈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거나 카메라 렌즈(70)로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 구동부(60)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USB허브(50)는 컴퓨터(20)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70)에 의해 촬상된 영상데이터, 음성 및/또는 음악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컴퓨터(2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화상카메라의 전원공급부(80)를 통해 화상카메라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USB허브(50)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80)는 상기 USB허브(50)에 연결설치되어 컴퓨터(20)로부터 USB허브(50)를 통해 제공되는 전류를 화상카메라에 사용가능하도록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부(40)는 헤드셋(10), 특정적으로 블루투스가 탑재된 헤드셋(10)과 무선통신하며 음성 및/또는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선통신부(40)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헤드셋(10)과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모듈이 설치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전술한 카메라 구동부(60), 전원공급부(80), USB허브(50)와 무선통신부(40)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70)에 의해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컴퓨터(20)로 송신하고, 컴퓨터(20)와 헤드셋(10) 사이에서 음성 및/또는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동시에 화상카메라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제어부(30)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화상카메라는 그 외부 일측에 음성신호 또는 통화여부를 조작하거나 화상카메라와 헤드셋(10)과 서로 블루투스로 연결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키(90)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키(90)와 이웃하는 일측에 조작키(90)의 조작에 따른 조작상태 또는 화상카메라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바, 전술한 조작키(90) 및 디스플레이(100)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100)는 추가로 컴퓨터를 통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로 인터넷 전화를 하거나 화상통신을 할 경우, 전화번호 및/또는 상대방 ID를 표시할 수도 있고, 블루투스로 연결된 장치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카메라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상회의를 하거나 화상채팅을 할 경우, 전원 공급부(80)를 통해 화상카메라에 전류를 인가하는 동시에 조작키(90)를 작동시켜 화상카메라와 헤드셋(10) 및 컴퓨터(20)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조작키(90)의 사용 없이, 컴퓨터(20)와 화상카메라가 서로 연결설치되면 자동적으로 헤드셋(10) 및 컴퓨터(20)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제어부(30)가 화상카메라의 카메라 렌즈(70)에서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USB허브(50)를 통해 컴퓨터(20)로 송신하는 동시에, USB허브(50)를 통해 컴퓨터(20)로부터 수신된 음성 및/또는 음악 데이터를 무선통신부(40)를 통해 헤드셋(10)으로 송신한다.
그 다음, 헤드셋(1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40)를 통해 제어부(30)로 입력된 후 USB허브(50)를 통해 컴퓨터(20)로 송신하여, 화상회의 및/또는 화상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카메라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70)는 화상회의 및/또는 화상채팅 등과 같이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사용되는바, 컴퓨터 사용자가 영상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70)의 사용 없이, 화상카메라에 구비되는 무선통신부(40)를 통하여 헤드셋(10)과 컴퓨터(20) 사이에 음성 및/또는 음악 데이터가 서로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셋 20 : 컴퓨터
30 : 제어부 40 : 무선통신부
50 : USB허브 60 : 카메라 구동부
70 : 카메라 렌즈 80 : 전원공급부
90 : 조작키 100 : 디스플레이

Claims (2)

  1. 컴퓨터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영상을 송신하는 컴퓨터용 화상카메라에 있어서,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 렌즈; 상기 카메라 렌즈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 컴퓨터에 연결설치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전류를 공급받는 USB허브; 화상카메라의 일측에 구비되어 화상카메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 헤드셋에 연결설치되어 음성, 음악 또는 음성 및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 구동부, 전원공급부, USB허브와 무선통신부에 연결설치되어 카메라 렌즈에 의해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컴퓨터로 송신하고, 컴퓨터와 헤드셋 사이에서 음성, 음악 또는 음성 및 음악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용 화상카메라가 그 외부 일측에 음성신호 또는 통화여부를 조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키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키와 이웃하는 일측에 조작키의 조작에 따른 조작상태 또는 화상카메라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KR1020080022884A 2008-03-12 2008-03-12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KR20090097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884A KR20090097618A (ko) 2008-03-12 2008-03-12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884A KR20090097618A (ko) 2008-03-12 2008-03-12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618A true KR20090097618A (ko) 2009-09-16

Family

ID=4135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884A KR20090097618A (ko) 2008-03-12 2008-03-12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6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5747B (zh) * 2021-02-09 2024-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通话的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5747B (zh) * 2021-02-09 2024-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通话的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0746B1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US7925296B2 (en) Intergrated communication apparatus
CN102598843B (zh) 移动终端、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7511110A (ja) 遠隔地のクライアントにストリーミング・メディアを伝送するカメラ
TWI392345B (zh) 可攜式Wi-Fi數位攝影機以及具可攜式Wi-Fi數位攝影機之系統
US10129919B2 (en) Video headset
US98265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mobile terminal
EP1990982A1 (en) Integrate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Bluetooth headset
JP2009218950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20090092946A (ko) Ip셋톱박스와 음성 송수신 리모콘을 이용한 멀티미디어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제공방법
KR101368698B1 (ko) 스마트폰 거치아암
CN204291130U (zh) 利用移动网络实现单人和多人语音留言的设备
KR20090097618A (ko) 컴퓨터용 화상카메라
JPWO2015125362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1009897A (zh) 使用无线终端输出音频数据的设备和方法
KR101390949B1 (ko)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JP2007288287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16405631A (zh) 屏幕共享方法、终端和存储介质
CN104468933A (zh) 利用移动网络实现单人和多人语音留言的方法及设备
CN2615978Y (zh) 一种基于pc的实现宽带应用的多功能终端
WO2005011274A1 (ja) ドアホンシステム及び信号送受信方法、並びにドアホン親装置及びドアホン子装置
RU177094U1 (ru) Безопасный смартфон
JP201710843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90012657A (ko) 카메라가 구비되지 않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731224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