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446B1 - 노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446B1
KR101217446B1 KR1020090067292A KR20090067292A KR101217446B1 KR 101217446 B1 KR101217446 B1 KR 101217446B1 KR 1020090067292 A KR1020090067292 A KR 1020090067292A KR 20090067292 A KR20090067292 A KR 20090067292A KR 101217446 B1 KR101217446 B1 KR 101217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shing
cover
washing wat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163A (ko
Inventor
료우이치 고가
히데히코 니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4975A external-priority patent/JP5446424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3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capable of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discharge, e.g. either jet or sp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노즐 장치는, 노즐 본체와, 세정수 공급구를 가진다. 노즐 본체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구와, 분출구에 연통하여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와, 유로에 설치되어, 세정수에 선회 성분을 부여하는 선회부를 가진다. 분출구는 유로에 연결된 소구멍부와, 소구멍부로부터 개구단에 걸쳐 형성되고, 소구멍부보다 개구 면적이 큰 대구멍부를 가진다. 세정수 공급구는 유로에 접속되어, 유로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Description

노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NOZZLE DEVICE AND SANITARY WASH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노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5는 종래의 노즐 장치의 횡단면도, 도 26은 그 노즐 장치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단속류를 분출하는 노즐(1)의 중앙에는 유로(2)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1)의 선단부에는 원형의 노즐실(3)이 설치되고, 노즐실(3) 내에는, 복수의 물받음 날개를 가지는 회전체(4)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실(3)의 선단부의 상부에는 제1 분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분출구(5)와 동축 상이 되는 상방에는 제2 분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분출구(5)와 제2 분출구(6)의 사이에는 외기 연통하는 공기 흡인구(7)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수를 회전체(4)의 물받음 날개에 닿게하면 회전체(4)가 회전하고, 회전체(4)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분출구(5)가 단속적으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쵸퍼 작용으로 세정수가 단속적으로 분출된다. 또한 세정수는 공기 흡인구(7)로부터 공기를 말려들게 하여 제2 분출구멍(6)으로 분출된다. 이 때문에 노즐(1)은 유량감 을 증가시킨 세정수를 분출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수를 단속류로 하기 위해서 가동 부품인 회전체(4)를 사용하고 있고, 세정수에 포함되는 먼지 등에 의해 회전체(4)의 동작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회전체(4)의 구성이 복수의 물받음 날개를 제공한 복잡한 형상이며, 또한 세정수의 힘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크기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노즐(1)을 소형화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고장이 잘 일어나지 않고 소형이며 사용하기 편리하고, 세정력이 높은 단속류를 분출하는 노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이다.
본 발명의 노즐 장치는, 노즐 본체와, 세정수 공급구를 가진다.
노즐 본체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구와, 분출구에 연통하여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와, 유로에 설치되어, 세정수에 선회 성분을 부여하는 선회부를 가진다. 분출구는 유로에 연결된 소구멍부와, 소구멍부로부터 개구단에 걸쳐 형성되고, 소구멍부보다 개구 면적이 큰 대구멍부를 가진다. 세정수 공급구는 유로에 접속되어, 유로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이 구성에 의해, 소구멍부에서 분출된 세정수의 일부가 선회하면서 대구멍부의 내주벽에 맞닿음으로써, 대구멍부에서 분출하는 세정수는 단속류로 된다. 이 때문에, 세정력을 높임과 동시에, 인체에 강한 세정감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를 변기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노즐 장치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노즐 장치 전체의 상부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동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 도 5는 동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위치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동 노즐 장치의 선단부의 주요부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의 엉덩이 세정 분출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A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6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노즐 본체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노즐 본체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동 노즐 장치의 노즐 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동 노즐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노즐 장치의 수납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동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며, 도 16은 동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동 노즐 장치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8은 동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9는 동 노즐 장치의 맨앞의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0은 동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상태를 나타내는 횡사시도이다. 도 21, 도 22는 동 노즐 장치의 연결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변기(10)의 상면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1)는, 노즐 장치(15)와, 본체(12)와, 변좌(13)와, 뚜껑(14)을 가진다. 본체(12)는 변기(10)의 후부에 설치되고, 변좌(13)와 뚜껑(1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 다. 노즐 장치(15)는 본체(12)의 전부(前部)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12)는, 노즐 장치(15)의 유로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와, 노즐 장치(15)와 세정수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있다.
다음에 도2~도 5를 이용하여 노즐 장치(15)의 구성을 설명한다. 노즐 장치(15)는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를 포함하는 노즐 유닛(21)과, 케이싱(16)과, 노즐 셔터(42)와, 세정수 공급구(28a~30a)를 가진다. 케이싱(16)은 상하로 분리 가능한 상부 케이스(17)와 하부 케이스(18)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7)와 하부 케이스(18)는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케이싱(16)의 중앙부에는 대략 원통형의 노즐 가이드(19)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가이드(19)의 일단에는 선단 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가이드(19) 내에는 원통형의 노즐 유닛(21)이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노즐 유닛(2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가이드(19)내에 수용한 위치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선단 개구(20)에서 돌출된 세정 위치의 사이를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우선 노즐 유닛(21)의 구성과 그 상세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유닛(21)은, 대략 원통형의 노즐 본체(22)와, 노즐 본체(22)를 수용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노즐 커버(23)와, 노즐 본체(22)로 노즐 커버(23)를 견인하는 연결 부분(24)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23)는 노즐 본체(22)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다.
우선 노즐 본체(22)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본체(22)는, 원부분의 외경이 큰 대경부(25)와, 선단 부분의 외경이 작은 비데 노즐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대경부(25)와 비데 노즐부(26)의 중심 위치는 다르고, 비데 노즐부(26)는 대경부(25)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경부(25)의 외경은 노즐 커버(23)의 내경보다 조금 작고,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서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가능한 치수 관계로 되어 있다. 노즐 본체(22)는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어 있다. 스테인리스제의 커버(27)는 비데 노즐부(26)의 전체를 덮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본체(22)의 내부에는, 엉덩이 세정 유로(28)와, 비데 세정 유로(29)와, 노즐 세정 유로(30)의 3개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세정수 공급구(28a, 29a, 30a)는 각각 엉덩이 세정 유로(28), 비데 세정 유로(29), 노즐 세정 유로(30)에 연결되고, 각 유로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세정수 공급구(28a, 29a, 30a)는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세정수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와 연통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8)는 원래의 부분부터 대경부(25)의 선단부 근방까지 설치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엉덩이 세정 유로(28)의 선단은 대경부(25)의 상면에 설치된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에 연결되어 있다. 비데 세정 유로(29)는 원래의 부분부터 비데 노즐부(26)의 대략 선단부까지 설치되어 있다. 비데 세정 유로(29)의 선단은 비데 노즐부(26)의 상면에 형성된 비데 세정 분출구(32)에 연결되어 있다. 노즐 세정 유로(30)는 원래의 부분부터 대경부(25)의 대 략 선단부까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세정 유로(30)의 선단은 대경부(25)의 외측면과 하방에 형성된 노즐 세정 분출구(33)에 연결되어 있다.
노즐 본체(22) 내에 3개의 유로를 설치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엉덩이 세정 유로(28)와 노즐 세정 유로(30)는 노즐 본체(22)의 중심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8)는 노즐 본체(22)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벗어난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엉덩이 세정 분출구(31)는 노즐 본체(22)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엉덩이 세정 유로(28)는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의 근방에서 만곡된 만곡부(28b)를 통해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에 연접(連接)되어 있다.
도 11은 만곡부(28b)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만곡부(28b)의 유로의 중앙에서 만곡의 중심 가까이에는, 만곡부(28b)와 동일하게 만곡하는 정류벽(28c)이 배치되어 있다. 정류벽(28c)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mm이다. 정류벽(28c)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세정수에 선회 성분을 부여하는 선회부를 구성하는 선회 돌기(28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유로(28)를 흐르는 세정수는 만곡부(28b)의 만곡 형상과 선회 돌기(28d)에 의해 선회 성분이 부여된다.
만곡부(28b)를 형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본체(22)의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의 근방은,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하 별도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부분은, 노즐 기재(22a)에 노즐 뚜껑(22b)을 상 방으로부터 접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노즐 기재(22a)에는 엉덩이 세정 유로(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 뚜껑(22b)은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와 정류벽(28c)과 선회 돌기(28d)를 가진다. 또한 노즐 기재(22a)에는 2개의 위치 결정 구멍(22c)이 형성되고, 노즐 뚜껑(22b)에는 2개의 위치 결정 보스(22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구멍(22c)과 위치 결정 보스(22d)가 서로 끼워 맞춰진다. 이 구성에 의해, 정류벽(28c)과 선회 돌기(28d)와 엉덩이 세정 유로(28)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된다.
노즐 뚜껑(22b)의, 엉덩이 분출구(31)가 형성된 부분에는, 엉덩이 분출구(31)로부터 엉덩이 세정 유로(28) 내로 돌출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돌기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엉덩이 분출구(31)는 돌기부(31c)의 대략 중앙에 개구되어 있다. 돌기부(31c)를 설치함으로써, 세정수가 원통 형상의 돌기부(31c)를 따라 흐름으로써 선회 성분이 보강된다. 이 때문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세정력과 세정감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엉덩이 분출구(31)는 1개의 개구이며, 도 6A, 도 6B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소구멍부(31a)와 대구멍부(31b)로 이루어지는 2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엉덩이 분출구(31)의 원래 부분은 개구 면적이 작은 소구멍부(31a)이다. 엉덩이 분출구(31)의 선단 부분은 개구 면적이 큰 대구멍부(31b)이다. 소구멍부(31a)로 대구멍부(31b)가 바뀌는 모퉁이의 부분은, 직각으로 솟아오른 엣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엣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흐름의 박리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분출구(31)를 2단 형상으로 함으로써, 소구멍부(31a)에서 분출한 세정수의 일부가 선회하면서 대구멍부(31b)의 내주벽에 닿고, 닿은 세정수가 둘레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때문에, 대구멍부(31b)에서 분출하는 세정수는 단속류로 된다. 이 때문에 세정 대상인 국부의 세정력이 높아짐과 더불어, 인체에 강한 세정감을 줄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소구멍부(31a)와 대구멍부(31b)의 치수의 관계는 이하와 같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구멍부(31a)로 대구멍부(31b)가 바뀌는 엣지 형상의 모퉁이의 부분과, 대구멍부(31b)의 선단 외주를 통과하는 선을 접선 C로 한다. 그리고 엉덩이 분출구(31)의 중심축을 중심선 D로 한다. 접선 C와 중심선 D가 이루는 각도 E는, 엉덩이 분출구(31)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를 단속류로 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 요소이며, 각도 E를 5도 이상, 15도 이하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소구멍부(31a)에서 분출한 세정수를 대구멍부(31b)의 선단 근방에 맞닿게할 수 있어, 세정수에 효과적인 단속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세정력과 세정감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특히 각도 E가 7도 이상, 10도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대구멍부(31b)를 설정하면 효과적인 단속류를 얻을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단속적으로 세정수가 국부에 닿음으로써, 세정력이 높아짐과 더불어 인체에 강한 세정이라는 감각이 생긴다. 이 때문에, 실제로 국부에 생기는 하중보다 강하게 느껴져, 높은 만족감을 주는 효과가 생긴다.
도 9~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비데 세정 분출구(32)는 복수의 개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세정 분출구(33)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내부 세정 분출구(33a)와 측면 상방에 형성된 외부 세정 분출구(33b)를 가진다. 내부 세정 분출구(33a)와 외부 세정 분출구(33b)의 분출 방향은 노즐 본체(22)의 직경 방향에 대해서 오프셋(offset)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노즐 커버(23)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커버(23)는, 스테인리스의 박판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노즐 커버 본체(23a)와, 수지 성형품인 커버 후단 부재(23b)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 후단 부재(23b)에는, 하부가 해방된 대략 반원통 형상의 양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뻗은 연결 받침부(48)와 위치 결정 돌기(51)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커버 본체(23a)와, 커버 후단 부재(23b)의 중합부(23c)가 중합된다. 그리고 커버 후단 부재(23b)의 양측의 개방단의 근방에 설치된 고정 돌기(23d)가, 노즐 커버 본체(23a)에 형성된 고정 구멍(23e)에 끼워 맞춰진다. 이에 따라 노즐 커버 본체(23a)와 커버 후단 부재(23b)가 접합, 고정되어 있다.
고정 구멍(23e)의 내경 치수는 고정 돌기(23d)의 외형 치수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 커버 본체(23a) 혹은 커버 후단 부재(23b)의 치수에 다소 오차가 생겨도 조립 가능하다.
또한, 커버 후단 부재(23b)의 중합부(23c)의 치수는 다른 부분보다 작고, 노즐 커버 본체(23a)의 내면과 대략 동일한 치수로 성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버 후단 부재(23b)와 노즐 커버 본체(23a)는 밀접하여 중합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커버 후단 부재(23b)의 상면 중앙에는, 전 방으로 돌출된 돌기(23f)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노즐 커버 본체(23a)의 후단부에는 오목부(23g)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23f)가 오목부(23g)와 걸어맞춰짐으로써, 노즐 커버 본체(23a)가 커버 후단 부재(23b)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돌기(23f)와 오목부(23g)를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술과 같이 노즐 커버 본체(23a) 혹은 커버 후단 부재(23b)의 치수에 다소 오차가 생겨도, 노즐 커버 본체(23a)와 커버 후단 부재(23b)를 적절한 위치에서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착제나 접합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술과 같이 노즐 커버(23)는, 노즐 커버 본체(23a)와 커버 후단 부재(23b)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23)의 후단면은 개방면으로 되어 있다. 이 후단면에서 노즐 본체(22)가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단면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가 관통 가능한 비데 노즐 출입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비데 노즐 출입구(35)는, 비데 노즐부(26)만이 돌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비데 노즐부(26)는 노즐 커버(23)의 비데 노즐 출입구(35)에서 대략 전체를 돌출한 상태로 수용한 상태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즐 커버(23)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엉덩이 세정 개구(36)와 노즐 세정 개구(37)가 형성되어 있다. 엉덩이 세정 개구(36)와 노즐 세정 개구(37)는, 노즐 본체(22)를 노즐 커버(23)에 수용한 상태에서, 노즐 본체(22)의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와 노즐 세정 분출구(3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엉덩 이 세정 분출구(31)와 노즐 세정 분출구(33)로부터 분출된 세정수는 엉덩이 세정 개구(36)와 노즐 세정 개구(37)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통과하여 분사된다.
도 14~도 1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본체(22)의 하면에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톱니형상의 랙(rack)(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커버(23)의 하면 후방에는, 랙(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슬릿 형상의 랙 개구(3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커버(23)의 하면 전방에는 노즐 커버(23) 내의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구(39)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케이싱(16)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케이싱(16)은,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와 연결 부분(24)으로 구성된 노즐 유닛(21)을 수용한다. 케이싱(16)에는 노즐 가이드(19)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가이드(19) 후부의 내경은 노즐 커버(23)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 커버(23)와 노즐 가이드(19)는 자연스럽게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가이드(19)의 선단 개구(20)의 근방에는, 내경이 큰 세정 확대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유닛(21)의 수납 위치에 있어서, 세정 확대부(40)는 도 8에 도시하는 노즐 세정 분출구(33) 및 엉덩이 세정 분출구(31)를 충분히 커버하는 깊이를 가진다. 세정 확대부(40)의 내경은 노즐 커버(23)의 외면과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미소한 간극을 형성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이 간극에 노즐 세정용의 세정수가 유통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세정 확대부(40)의 하부에는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수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 가이드(19)의 선단 개구(20)의 상부에는, 상하로 회동 자유로운 노즐 셔터(42)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셔터(42)는 노즐 가이드(19)의 선단 개구(20)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노즐 셔터(42)는, 노즐 유닛(21)을 노즐 가이드(19)에 수납한 상태로 선단 개구(20)를 폐색할 수 있다. 노즐 유닛(21)이 세정 위치에 진출할 때, 노즐 셔터(42)는 노즐 유닛(21)의 선단으로 눌려 전진됨으로써 상방으로 열린다. 노즐 유닛(21)이 수납 위치에 수납했을 때, 노즐 셔터(42)는 그 자중(自重)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닫힌다.
다음에 노즐 장치(15)를 구동하는 구조에 대해서, 도 14~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는 엉덩이 세정 상태를 나타내며, 도 16은 비데 세정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싱(16)의 하부에는 노즐 구동부(43)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구동부(43)는, 구동 모터(44)와 웜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변속 기어(45)와 피니언 기어(46)를 가진다. 피니언 기어(46)는 도 7에 도시한 노즐 커버(23)의 랙 개구(38)를 통해 노즐 본체(22)의 하면에 설치된 랙(34)과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모터(44)의 회전은 웜 기어와 변속 기어(45)를 통해 회전 속도를 떨어트려 피니언 기어(46)에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46)가 회전함으로써, 랙(34)을 가지는 노즐 본체(22)가 슬라이드한다. 구동 모터(44)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제어부가 운전을 제어한다. 또한, 구동 모터(44)의 후부에는 구동 모터(44)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회전 검지 센서(47)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7~도 22를 주로 참조하면서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부분(2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에는, 노즐 본체(22)의 이동에 의해 노즐 커버(23)를 견인 이동시키는 연결 부분(24)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분(24)은, 연결 받침부(48)와, 연결 부재(49)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받침부(48)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커버 후단 부재(23b)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고, 연결 부재(49)는 도 21, 2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본체(22)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2, 도 21,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지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된 연결 받침부(48)는, 커버 후단 부재(23b)의 한쪽 측면에 노즐 커버(23)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결 받침부(48)의 하면에는 전후로 간격을 두고 2개소에 전부 오목 함몰부(48a)와 후부 오목 함몰부(48b)가 형성되어 있다. 전부 오목 함몰부(48a)와 후부 오목 함몰부(48b)의 간격은 비데 노즐부(26)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되어 있다.
연결 부재(49)는 노즐 본체(22)의 후단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49)는 연결 부재 본체(49a)와 슬라이드 규제 돌기(49b)와 연결편(50)을 가진다. 연결 부재 본체(49a)는 노즐 본체(22)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연결편(50)은, 연결 받침부(48)에 대향하도록 연결 부재 본체(49a)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편(50)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고, 그 일단은 연결 부재(49)에 고정되어 있다. 타단(선단)에는 연결 돌기(50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돌기(50a)는 연결 받침부(48)의 전부 오목 함몰부(48a)와 후부 오목 함몰부(48b)에 끼워넣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 돌기(50a)가 전부 오목 함몰부(48a) 또는 후부 오목 함몰부(48b)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연결 부재(49)와 연결 받침부(48)가 연결되고,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가 연동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 후단 부재(23b)의 연결 받침부(48)가 설치된 측과 반대의 측면에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위치 결정 돌기(51)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51)는 케이싱(16)의 노즐 가이드(19)측부에 설치된 전부 스토퍼(52)와 후부 스토퍼(53)에 맞닿음으로써 노즐 커버(23)의 슬라이드 범위를 규제한다.
위치 결정 돌기(51)의 중앙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슬라이드 규제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도 2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결 부재 본체(49a)에 설치된 슬라이드 규제 돌기(49b)가 슬라이드 규제 홈(51a)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규제 홈(51a) 내를 슬라이드 규제 돌기(49b)가 이동함으로써, 연결 부재(49)와 연결 받침부(48) 상호의 슬라이드 범위가 규제된다. 또한, 슬라이드 규제 돌기(49b)의 이동 범위는 전부 오목 함몰부(48a)와 후부 오목 함몰부(48b)의 이간 거리보다 조금 길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즐 본체(22)에 강한 힘이 더해져, 전부 오목 함몰부(48a) 혹은 후부 오목 함몰부(48b)로부터 역방향으로 연결 돌기(50a)가 튀어 나가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노즐 장치(15)의 동작,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하는 노즐 장치(15)를 사용하지 않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노즐 본체(22)는 노즐 가이드(19)의 가장 후부에 위치하고, 노즐 커버(23)도 슬라이드 범위의 가장 후부에 위치하고 있다. 노즐 커버(23)에 설치된 위치 결정 돌기(51)는, 노즐 가이드(19) 측부에 설치된 후부 스토퍼(53)에 맞닿은 상태이며, 노즐 본체(22), 노즐 커버(23) 모두 가장 후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연결편(50)의 연결 돌기(50a)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결 받침부(48)의 후부 오목 함몰부(48b)에 끼워넣은 상태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규제 돌기(49b)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드 규제 홈(51a)의 후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수납 상태에서 세정을 개시할 때에는, 우선, 사용자가 조작 패널 등의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제어를 개시하여 구동 모터(44)를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44)의 회전이 피니언 기어(46)게 전달됨으로써 피니언 기어(46)와 맞물린 랙(34)을 가지는 노즐 본체(22)가 후방으로 이동하려 한다. 그러나, 노즐 본체(22)는 이 이상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으므로, 그 전후 방향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 이 이후의 노즐 본체(22)의 위치를, 구동 모터(44)의 회전수를 회전 검지 센서(47)로 검지함으로써, 노즐 본체(22)의 이동량을 추정하면서 위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제어부는 구동 모터(44)를 역회전시켜 노즐 본체(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결편(50)의 연결 돌기(50a)가 연결 받침부(48)의 후부 오목 함몰부(48b)에 끼워 넣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 커버(23)는 노즐 본체(22)에 견인되어 일체화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엉덩이 세정의 조작을 행한 경우, 도 4, 도 15,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노즐 본 체(22) 및 노즐 커버(23)는, 미리 설정해 둔 제어 시퀀스에 따라서, 원점 상태로부터의 구동 모터(44)의 회전수가 설정치에 이르면 정지한다. 이 때, 노즐 커버(23)에 설치된 위치 결정 돌기(51)는 노즐 가이드(19)의 측부에 설치된 전부 스토퍼(52)에 접촉하기 바로 전에 정지한 상태이며, 이 위치가 엉덩이 세정의 표준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는 세정수 공급부(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고, 엉덩이 세정 유로(28)에 통수함으로써 엉덩이 세정이 개시된다. 엉덩이 세정 유로(28)에 유입된 세정수는 도 11에 도시하는 직선부(28s)로부터 만곡부(28b)를 통과하여 엉덩이 세정 분출구(31)로부터 분출된다.
만곡부(28b)에는 선회 돌기(28d)를 가지는 정류벽(28c)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만곡부(28b)에 있어서는, 외주측의 유속이 빨라지고, 내주측의 유속이 느려진다. 이에 따라 정류벽(28c)의 하류측에서 선회류가 발생하여, 엉덩이 분출구(31)에 선회류가 유입된다.
엉덩이 분출구(31)에 유입된 세정수는 선회하면서 도 6B에 도시하는 소구멍부(31a)로부터 대구멍부(31b)로 유입된다. 대구멍부(31b) 내에 유입된 세정수는 소구멍부(31a)로 대구멍부(31b)가 바뀌는 모퉁이부에서 일단 박리를 일으키고, 확산하면서 대구멍부(31b)의 선단 방향으로 흐른다. 대구멍부(31b) 내를 흐르는 동안에 세정수의 일부는 대구멍부(31b)의 내주벽에 맞닿음으로써, 세정수가 끊겨 단속류로 되어 대구멍부(31b)의 선단에서 사용자의 국부를 향하여 분출한다. 세정수가 단속류로 됨으로써 세정 효과가 향상됨과 더불어, 사용자는 실제로 국부에 생기 는 하중보다 강하게 느껴, 강한 세정감을 얻는다는 효과가 생긴다.
또한,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와 비데 세정 분출구(32)의 상부는 노즐 커버(23)에 의해 덮여 있는 상태이며, 엉덩이 세정에 의해 생긴 오수(汚水)가 직접 닿지 않으므로,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와 비데 세정 분출구(32)는 청결하게 유지된다.
또한 통수하는 유로의 전환 및 유량의 조절은 세정수 공급부에 설치된 유량 조정 밸브(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행해진다. 유량 조절 밸브의 시일성이 불충분한 경우, 엉덩이 세정 유로(28)와 비데 세정 유로(29)의 유량 전환이 완전하게 행해지지 않아 엉덩이 세정 중에도 비데 세정 분출구(29)로부터 미소량의 물이 분출하게 된다. 그러나, 비데 세정 분출구(29)의 상부가 노즐 커버(23)로 덮여 있으므로, 그 물이 노즐 유닛(21)의 외부로 분출될 우려는 없다.
엉덩이 세정을 행하는 상태에서 구동 모터(44)를 정전(正轉), 역전(逆轉)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구동시키면,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표준 위치에 대해서 전후에 요동한 상태로 된다. 이 동작에 의해 세정수는 인체의 국소의 보다 넓은 범위를 동시에 세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엉덩이 세정의 정지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44)는 역회전하고,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수납 상태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사용자가 비데 세정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가 엉덩이 세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노즐 본체(22)의 원점 위치를 확인한 후, 구동 모터(44)를 역회전시키 고,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비데 세정의 경우는 엉덩이 세정 위치를 넘어 노즐 본체(22)를 전방으로 더 이동시킨다.
이 때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커버(23)에 설치된 위치 결정 돌기(51)는 전부 스토퍼(52)에 맞닿고, 노즐 커버(23)는 이 이상 앞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노즐 본체(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21에 도시하는 연결편(50)의 연결 돌기(50a)가 후부 오목 함몰부(48b)로부터 떨어진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해지도록, 노즐 본체(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44)의 구동 토크는 연결 돌기(50a)를 떼어내는데 필요로 하는 하중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연결 돌기(50a)가 후부 오목 함몰부(48b)로부터 떨어지면,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분리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부 스토퍼(52)에 의해 이동이 규제된 노즐 커버(23)에 대해서, 노즐 본체(22)만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가 노즐 커버(23)의 선단면에 형성된 비데 노즐 출입구(35)로 진출하기 시작한다.
또한 노즐 본체(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연결 돌기(50a)는 전부 오목 함몰부(48a)에 끼워넣어진다. 연결 돌기(50a)가 전부 오목 함몰부(48a)에 완전히 끼워넣어지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가 비데 노즐 출입구(35)로부터 완전히 진출한 상태로 된다. 이 시점에서 노즐 본체(22)의 전방 이동이 종료하도록, 미리 제어 시퀀스에 의해 구동 모터(44)의 회전수에 의해, 제어부가 위치 제어를 행한다. 이 때, 구동 모터(44)의 오작동에 의해 노즐 본체(22)를 전방으로 더 이동시키려고 해도, 슬라이드 규제 돌기(49b)가 슬라이드 규제 홈(51a)의 전단에 맞닿아 그 이상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연결 돌기(50a)가 전부 오목 함몰부(48a)로부터 튀어나가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연결 돌기(50a)가 전부 오목 함몰부(48a)에 끼워넣어진 상태로 구동 모터(44)를 조금 역회전시킴으로써 노즐 본체(22)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비데 세정의 표준 위치까지 이동시킨 시점에서 구동 모터(44)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가 도 20에 도시하는 비데 세정의 표준 위치로 된다.
비데 세정의 표준 위치에 노즐 본체(22)가 도달한 시점에서, 제어부는 세정수 공급부를 제어하고, 비데 세정 유로(29)에 통수를 개시한다. 이와같이 하여 비데 세정이 개시된다. 전술과 같이 통수 유로의 전환 및 유량의 조절은 세정수 공급부의 유량 조정 밸브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의 상부는 노즐 커버(23)에 의해 덮여 있는 상태이며, 비데 세정에 의해 생긴 오수가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에 직접 닿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엉덩이 세정 분출구(31)는 청결하게 유지된다. 또한 유량 조절 밸브의 시일성이 불충분한 경우, 엉덩이 세정 유로(28)와 비데 세정 유로(29)의 유량 전환이 완전하게 행해지지 않아 비데 세정 중에도 엉덩이 세정 분출구(31)로부터 미소량의 물이 분출하게 된다. 그러나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의 상부가 노즐 커버(23)로 덮여 있으므로, 그 물이 노즐 유닛(21)의 외부로 분출될 우려는 없다.
비데 세정을 행하는 상태에서 구동 모터(44)를 정전, 역전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구동시키면,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표준 위치에 대해서 전후로 요 동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세정수는 인체의 국소의 보다 넓은 범위를 동시에 세정할 수 있다.
비데 세정의 정지를 조작하면, 구동 모터(44)는 역회전하고, 노즐 본체(22) 및 노즐 커버(23)는 후방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수납을 위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 과정에 있어서, 노즐 커버(23)에 설치된 위치 결정 돌기(51)는 노즐 가이드의 측부에 설치된 후부 스토퍼(53)에 맞닿고, 노즐 커버(23)는 이 이상 뒤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노즐 본체(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연결편(50)의 연결 돌기(50a)가 전부 오목 함몰부(48a)로부터 떨어진다. 전술과 같이 노즐 본체(2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44)의 구동 토크는 연결 돌기(50a)를 떼어내는데 요하는 하중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연결 돌기(50a)가 전부 오목 함몰부(48a)로부터 떨어지면,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는 분리된 상태로 되고, 후부 스토퍼(53)에 의해 이동이 규제된 노즐 커버(23)에 대해서, 노즐 본체(22)만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비데 노즐부(26)가 노즐 커버(23)의 전단면에 형성된 비데 노즐 출입구(35)의 내부에 수납되기 시작한다. 또한 노즐 본체(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연결 돌기(50a)는 후부 오목 함몰부(48b)에 끼워넣어진다.
연결 돌기(50a)가 후부 오목 함몰부(48b)에 완전하게 끼워넣어지면, 비데 노즐부(26)가 비데 노즐 출입구(35)에 대해서 완전하게 수납된 상태로 된다. 이 시점에서 노즐 본체(22)는 노즐 가이드(19)의 후단에 맞닿아, 이 이상 후방으로 이동 할 수 없다.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어 시퀀스에 의거하여, 구동 모터(44)의 회전수에 의한 위치 제어에 의해 구동 모터(4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엉덩이 세정 또는 비데 세정이 종료하고, 노즐 본체(22)가 수납 위치에 정지한 시점에서, 제어부는 노즐 세정 제어를 개시한다. 제어부는 세정수 공급부를 제어하고, 노즐 세정 유로(30)에 통수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노즐 세정이 개시된다. 통수 유로의 전환 및 유량의 조절은 세정수 공급부의 유량 조정 밸브에 의해 행해진다.
도 8에 도시하는 노즐 세정 유로(30)에 통수하면, 노즐 본체(22)의 대경부(25)의 전단부에 형성된 2개의 노즐 세정 분출구(33)(내부 세정 분출구(33a), 외부 세정 분출구(33b))로부터 세정수가 분출한다. 외측면에 설치된 외부 세정 분출구(33b)로부터 분출한 세정수는 노즐 커버(23)에 설치된 노즐 세정 개구(37)를 통하여 노즐 커버(23)의 외측으로 분출한다. 그리고, 노즐 커버(23)를 덮는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의 내벽에 닿고, 튀어돌아오는 세정수에 의해 노즐 커버(23)의 외주벽 및 엉덩이 세정 분출구(31)를 세정한다. 또한 하방을 향해 형성된 내부 세정 분출구(33a)로부터 분출된 세정수는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의 측부에 흐르고, 비데 노즐부(26)의 표면 및 비데 세정 분출구(32)를 세정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내부 세정 분출구(33a)와 외부 세정 분출구(33b) 및 노즐 세정 개구(37)는, 노즐 본체(22)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오프셋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분출된 세정수는 노즐 가이드(19) 및 노즐 커버(23)의 원주 방향으로 선회 순환하는 선회류로 되어, 노즐 본체(22), 노즐 커버(23)의 더러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세정이 끝난 세정수는 노즐 커버(23)와 노즐 가이드(19)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구(39, 41)로부터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노즐 장치(15)는,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와, 연결 부분(24)과, 노즐 가이드(19)를 포함하는 케이싱(16)과, 노즐 구동부(43)를 가진다. 노즐 본체(22)에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와 비데 세정 분출구(32)와 노즐 세정 분출구(33)와, 각각의 분출구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28, 29, 30)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의 노즐 커버(23)에는, 노즐 본체(22)를 덮고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에 대응하는 분출 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분(24)에는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가 연결되어 있다. 노즐 가이드(19)는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를 수납한다. 노즐 구동부(43)는 노즐 본체(22)의 진퇴(전후 방향의 이동)를 구동한다. 즉, 노즐 장치(15)는 노즐 본체(22)를 수용하는 케이싱(16)과, 노즐 본체(22)를 케이싱(16)에 대해서 진퇴 구동하는 노즐 구동부(43)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노즐 본체를 진퇴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분출구(31~33)와 유로(28~30)를 노즐 본체(22)에 집약하여 설치하여, 노즐 커버(23)의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노즐 장치(15) 전체적으로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를 상호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대응하는 분출구와 분출 개구의 위치 맞춤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엉덩이 세정 분출 구(31)로부터의 세정수는 분출 개구(36)를 통해 분출된다. 따라서, 세정수 분출 시에는 노즐 본체(22), 특히 비데 세정 분출구(32)와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의 근방은 노즐 커버(23)로 덮여 있다. 이 때문에 세정에 의해 더러워진 세정수로 노즐 본체(22)가 오염되지 않아 위생적이다.
또한, 노즐 커버(23)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된 노즐 커버 본체(23a)와,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된 커버 후단 부재(23b)를 가진다. 노즐 커버 본체(23a)와 커버 후단 부재(23b)는, 고정 돌기(23d)와 고정 구멍(23e)의 끼워 맞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착제나 접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접합되어 있다. 또한 노즐 커버 본체(23a)를 스테인리스로 형성함으로써, 오염이 부착되기 어렵고 또한 부착된 오염을 세정에 의해 용이하게 떨어트릴 수 있다.
또한, 비데 세정 시는 비데 노즐부(26)가 노즐 커버(23)의 전단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세정수를 분출한다. 이 때문에, 세정 대상에 근접하여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고, 또한 섬세한 분사 형태가 요망되는 비데 세정을 비데 세정 분출구(32)로부터 직접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분사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노즐 커버(23)는, 수납 위치와 엉덩이 세정 위치의 사이를, 연결 부분(24)을 통해 노즐 본체(22)와 연동한다. 이 때문에, 노즐 본체(22)만을 노즐 구동부(43)로 구동하는 것만으로,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의 양쪽을 연동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다.
또, 비데 세정 위치에는 노즐 본체(22)만을 단독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1개의 노즐 구동부(43)로 2개의 구동 대상을 각각의 최적 위치 까지 구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저비용화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본체(22)에 형성된 노즐 세정 분출구(33)의 외부 세정 분출구(33b)에서 분출된 세정수는, 노즐 세정 개구(37)를 통해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로 분출한다. 그리고, 노즐 가이드(19)에서 반사하여 노즐 커버(23)의 외면과 노즐 가이드(19)의 내면을 세정한다. 내부 세정 분출구(33a)에서 분출된 세정수는, 노즐 커버(23)에서 반사하여 주로 비데 노즐부(26)의 외면과 노즐 커버(23)의 내면을 세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엉덩이 세정과 비데 세정에 있어서 오수나 오물로 오염되는 노즐 본체(22)와 노즐 커버(23)의 셀프 클리닝 기구를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생적 노즐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유로(28)의 만곡부(28b)의 유로 중앙에서 만곡의 중심 가까이에 정류벽(28c)을 설치하고, 정류벽(28c)의 상류측의 단부에 선회 돌기(28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만곡부(28b)에 있어서는, 외주측의 유속이 빨라지고, 내주측의 유속이 느려진다. 이 유속차에 의해 정류벽(28c)의 하류측에서 선회류가 발생하고, 엉덩이 분출구(31)에 선회류가 유입된다.
또한, 엉덩이 세정 분출구(31)를 대구멍부(31b)와 소구멍부(31a)의 2단 형상으로 함으로써, 세정수가 단속류로 되어 분출하여 국부에 닿는다. 이 때문에, 실제로 국부에 생기는 하중보다 강하게 느끼기 때문에, 사용자는 높은 세정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노즐 장치(15)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국부를 향해 분출 하는 세정수를 3차원적으로 요동한 분류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정력을 높임과 더불어, 인체에 강한 세정이라는 감각이 생긴다. 따라서, 위생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노즐 구동부(43)에는 구동 모터(44)와 웜 기어와 변속 기어(45)와 피니언 기어(46)를 가지는 기어를 통한 전달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트나 체인 등의 전달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커버(23)와 비데 노즐부(26)를 커버하는 부재를 스테인리스로 형성했는데, 이들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내식성을 구비한 금속 재료나 세라믹 등의 무기 재료 혹은 수지 재료여도 된다. 특히 이들 재료에 항균 혹은 살균 성능이나 발수 성능 등을 부가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청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연결 부분(24)의 연결편(50)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형성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여도 된다. 수지 재료를 사용한 경우, 연결 부분(24)의 연결 부재(49)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낮은 비용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정류벽(28c)의 두께를 0.5mm로 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노즐 기재(22a)와 일체로 수지 성형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정류벽(28c)의 두께를 0.5~1.0mm정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유로의 압력 손실을 억제하기 위해서 정류벽(28c)은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 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최소 두께인 0.5mm를 채용하고 있다. 정류벽(28c)을 보다 얇게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정류벽(28c)을 금속 등의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하여 만곡부(28b)에 설치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소구멍부(31a)의 두께(d)를 0.5mm로 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5~1.5mm의 범위의 두께로 함으로써 세정수의 단속류를 얻을 수 있다. 두께(d)를 바꿈으로써 희망하는 단속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대구멍부(31b)의 개구 면적을 소구멍부(31a)의 약 2배로 했는데, 이 점에 관해서도 1.5~2.5배의 범위에서 단속류를 얻을 수 있다. 개구 면적을 바꿈으로써 최적의 단속류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24는 동 노즐 유닛의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즉, 도 23은 노즐 커버(23)의 외면을 세정하는 커버 세정 유로(57)와 커버 세정 분출구(58)의 주요부 단면을 도시한다. 도 24는 노즐 커버(23)의 내면과 비데 노즐부를 세정하는 노즐 세정 유로(도시하지 않음)와 노즐 세정 분출구(60)의 주요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과 같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노즐 본체(22)에 노즐 세정 유로(30)가 설치되고, 노즐 세정 유로(30)에 노즐 세정 분출구(33)가 연통하고 있다. 노즐 세정 분출구(33)의 외부 세정 분출구(33b)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는 노즐 커버(23)의 노즐 세정 개구(37)를 통해 노즐 커버(23)의 외측에 분출된다. 그리고 노즐 커 버(23)를 덮는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의 내벽에 닿아, 튀어돌아오는 세정수에 의해 노즐 커버(23)의 외주벽 및 엉덩이 세정 분출구(31)가 세정된다. 또한 내부 세정 분출구(33a)로부터 분출된 세정수는 노즐 본체(22)의 비데 노즐부(26)의 측부에 흐르고, 비데 노즐부(26)의 표면 및 비데 세정 분출구(32)를 세정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도 23,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케이싱(55)의 상부 케이스(56)의 상부에 커버 세정 유로(57)와 커버 세정 분출구(58)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세정 분출구(58)는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커버 세정 분출구(58)는 노즐 가이드(19)의 중심축의 대략 상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본체(59)에 설치된 노즐 세정 유로(30)는 하방을 향해 개구한 노즐 세정 분출구(60)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노즐 세정 분출구(60)의 분출 방향은 노즐 본체(59)의 직경 방향에 대해서 오프셋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동작,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노즐 본체(59)가 수납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노즐 세정 제어를 개시한다. 제어부는 세정수 공급부를 제어하고, 노즐 세정 유로(30)와 커버 세정 유로(57)에 통수를 개시함으로써 노즐 세정이 개시된다. 통수 유로의 전환 및 유량의 조절은 세정수 공급부의 유량 조정 밸브에 의해 행해진다.
노즐 세정 유로(30)에 통수한 세정수는, 노즐 본체(59)의 전단부에 형성된 노즐 세정 분출구(60)로부터 하방을 향해 분출하고, 노즐 본체(59)의 비데 노즐부의 측부에 흐른다. 이와 같이 하여 비데 노즐부(26)의 표면 및 비데 세정 분출구(32)와 노즐 커버(23)의 내면이 세정된다.
한편, 커버 세정 유로(57)에 통수된 세정수는 커버 세정 분출구(58)로부터 하방을 향해 분출하여, 노즐 커버(23)의 외면에 닿는다. 그리고, 노즐 커버(23)의 외주와 노즐 가이드(19)의 세정 확대부(40)의 내벽의 간극을 흐르면서 노즐 커버(23)의 외주벽과 노즐 가이드(19)의 내주벽과 엉덩이 세정 분출구(31)를 세정한다.
세정이 끝난 세정수는 노즐 커버(23)와 노즐 가이드(19)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배수구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본체(59)의 세정에 사용하는 유로(30, 57)와 분출구(60, 58)가 노즐 커버(23)의 내부와 외부에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즐 커버(23)의 외주면과 노즐 커버(23)의 내부에 수용되는 비데 노즐부를 각각 최적의 세정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노즐 본체(59)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노즐 세정 유로(30)와 커버 세정 유로(57)로의 세정수의 통수를 동시에 행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즐 세정 유로(30)와 커버 세정 유로(57)에 개별로 통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엉덩이 세정이 종료한 후는 커버 세정 유로(57)에만 통수하여 노즐 커 버(23)의 외주면과 엉덩이 세정 분출구(31)를 세정한다. 비데 세정이 종료한 후는 노즐 세정 유로(30)에만 통수하여 비데 노즐부와 노즐 가이드(19)의 내주벽을 세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세정수를 쓸데없이 사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2에서는, 세정수에 선회 성분을 부여하는 선회부로서, 도 10에 도시하는 만곡부(28b)와, 선회 돌기(28d)를 가지는 정류벽(28c)을 설치하고, 만곡부(28b) 내에 정류벽(28c)을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국 특허 7191473호나 일본국 특허공개 2003-19353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선회부로서 노즐 본체에 소용돌이실을 설치해도 된다.
혹은, 만곡부(28b)에 상당하는 직선적인 홈부와, 선회 돌기(28d)를 가지는 정류벽(28c)에 상당하고, 이 홈부에 배치되는 직선적인 정류벽을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선회 돌기(28d)를 설치한 측에서는 유속이 작아지고, 반대측과의 유속차에 의해 세정수에 선회 성분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만곡부(28b)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수에 선회 성분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엉덩이 세정 유로(28)를 노즐 본체(22)의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노즐 세정 유로(30)를 노즐 본체(22)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 본체(22) 내부의 한쪽측에 2개의 유로를 설치할 수 있어, 비데 노즐부(26)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2에서는 엉덩이 세정 유로(28)에 선회부를 설치하고, 엉덩이 세정 분출구(31)에 소구멍부(31a), 대구멍부(31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이외에, 비데 세정 유로(29)에 선회부를 설치하고, 비데 세정 분출구(32)에 소구멍부, 대구멍부를 형성해도 된다. 양자에 형성해도 된다. 이와같이 복수의 세정 기능을 1개의 노즐 장치(15)에 구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형의 노즐 장치(15)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노즐 장치는, 세정력과 세정감이 높은 분출 구멍을 구비한 노즐 장치를 소형이고 간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국부 세정 이외의 모든 세정 장치 등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를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수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상부 케이스를 떼어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분출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노즐 본체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노즐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노즐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수납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수납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엉덩이 세정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맨앞의 위치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비데 세정 상태를 도시하는 횡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연결 수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연결 수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의 노즐 장치의 노즐 유닛의 주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종래의 노즐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26은 종래의 노즐 장치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Claims (9)

  1.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구와,
    상기 분출구에 연통하여 세정수를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에 선회 성분을 부여하는 선회부를 가지고, 상기 분출구는 상기 유로에 연결된 소구멍부와, 상기 소구멍부로부터 개구단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소구멍부보다 개구 면적이 큰 대구멍부를 가지는 노즐 본체와,
    상기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유로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 공급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출구는, 상기 소구멍부로 상기 대구멍부가 바뀌는 모퉁이의 부분이 직각으로 솟아오른 엣지 형상을 가진, 2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구멍부와 상기 소구멍부의 연접부(連接部)와 상기 대구멍부의 상기 개구단의 외주를 통과하는 접선과, 상기 분출구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는 5도 이상, 15도 이하인, 노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상기 유로 내로 돌출한 원통형의 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출구는 상기 돌기부의 중앙에 형성된, 노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는 복수의 분출구 중 1개이고, 상기 유로는 복수의 유로 중 1개이며, 상기 복수의 유로는 각각의 분출구에 연통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적어도 1개에 상기 선회부가 설치되고, 상기 선회부가 설치된 유로에 연통한 분출구가 상기 소구멍부와 상기 대구멍부를 가지는, 노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통형상의 노즐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커버는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노즐 커버에는,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분출구에 대응하는 분출 개구가 형성된, 노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노즐 본체를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진퇴 구동하는 노즐 구동부를 더 구비한, 노즐 장치.
  7. 청구항 1에 기재된 노즐 장치와,
    상기 세정수 공급구로부터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유로에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부와,
    상기 세정수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장치는,
    상기 노즐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노즐 본체를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진퇴 구동하는 노즐 구동부를 더 가지고,
    상기 위생 세정 장치는, 변기 상에 재치되는 변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즐 구동부를 제어하는, 위생 세정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통형상의 노즐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커버는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노즐 커버에는, 상기 노즐 본체의 상기 분출구에 대응하는 분출 개구가 형성된, 위생 세정 장치.
KR1020090067292A 2008-09-29 2009-07-23 노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 KR101217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50132 2008-09-29
JP2008250132 2008-09-29
JP2009104975A JP5446424B2 (ja) 2008-09-29 2009-04-23 ノズル装置とそれを用いた、衛生洗浄装置
JPJP-P-2009-104975 2009-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163A KR20100036163A (ko) 2010-04-07
KR101217446B1 true KR101217446B1 (ko) 2013-01-02

Family

ID=4221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292A KR101217446B1 (ko) 2008-09-29 2009-07-23 노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4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5565A (ja) * 1999-01-25 2002-05-31 Toto Ltd 人体洗浄装置
KR20050121626A (ko) * 2004-06-30 2005-12-27 요요전자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
JP2007270564A (ja) * 2006-03-31 2007-10-18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8223244A (ja) * 2007-03-08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ズ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5565A (ja) * 1999-01-25 2002-05-31 Toto Ltd 人体洗浄装置
KR20050121626A (ko) * 2004-06-30 2005-12-27 요요전자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
JP2007270564A (ja) * 2006-03-31 2007-10-18 Toto Ltd 衛生洗浄装置
JP2008223244A (ja) * 2007-03-08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ズ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163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6424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用いた、衛生洗浄装置
JP4939983B2 (ja) ノズル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4940862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WO2011111339A1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備える衛生洗浄装置
JP459154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104625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940748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807144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591542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101217446B1 (ko) 노즐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위생 세정 장치
JP5446367B2 (ja) 衛生洗浄装置
JP5626304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8038535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101196154B1 (ko)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JP4984629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09303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338020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5556259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940819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4425394B2 (ja) 温水洗浄装置のノズル掃除装置
JP5103834B2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4293126A (ja) 衛生洗浄装置
JP2008038536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7439574B2 (ja) 局部洗浄装置
JP4109814B2 (ja) 温水洗浄便座の人体局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