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441B1 -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441B1
KR101217441B1 KR1020110022291A KR20110022291A KR101217441B1 KR 101217441 B1 KR101217441 B1 KR 101217441B1 KR 1020110022291 A KR1020110022291 A KR 1020110022291A KR 20110022291 A KR20110022291 A KR 20110022291A KR 101217441 B1 KR101217441 B1 KR 101217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shaft
hole
nut
toilet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717A (ko
Inventor
고임순
Original Assignee
고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임순 filed Critical 고임순
Priority to KR102011002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44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44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7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ushing 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의 연결구멍에 조립되는 상체(20), 연동캠과 앵커를 가진 하체(30)를 다각축을 가진 연결축(50)으로 체결 조립하되, 상기 하체의 저면 중앙에 승강홈을 구비한 소켓관(43)를 형성하고, 고탄성 코니컬 스프링이 끼워진 연결축을 상체의 구멍과 하체의 소켓관을 관통 설치한 후 연결축 하단부의 나사축에 저탄성 스프링을 끼운 상태로 너트를 채워주며, 너트에 형성된 날개편이 소켓관의 승강홈에 끼워져 너트의 자유회전을 억제토록 하고, 연결축의 조임/풀림 작동에 따라서 상,하부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여 연결구 조립체의 강력한 밀착시공이 용이토록 하고 비틀린 급수관에도 누수 우려 없이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connector for water supply pipe of a toilet bowl}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을 통하여 시공된 급수관을 양변기에 연결하기 위한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부의 밀착구조를 개선하여 시공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누수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에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건물의 벽 속에 매설된 상수관에 급수관을 수직으로 연결하고, 상기 수직형 급수관을 양변기의 연결구멍에 연결하는 급수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 수직형 급수관을 양변기에 연결하는 방법은, 급수관 하단을 양변기 상판에 형성한 연결구멍 속으로 끼우고 내부에서 앵커를 조여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조를 사용하였으나, 연결구조의 밀착력이 약하여 연결구멍으로의 누수 형상과 시공작업이 어렵고 시간 소요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급수관 연결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이며,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9-0058065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급수관의 하단을 양변기의 연결구멍(201)에 밀착되게 연결하기 위해서, 양변기(200)의 연결구멍(201) 상면에 대접하는 상체(110)와, 연결구멍(201) 밑면에 대접하는 하체(120) 및 상기 하체(120)를 떠받치는 받침(130)의 구멍을 수직으로 관통되게 끼운 연결축(140)의 하단부에 스프링(141)을 끼운 후 스프링(141)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142)를 연결축(140)의 하단에 체결하여 상기 스프링(141)의 신장력으로 상체(110)와 하체(120)를 양변기(200)의 연결구멍(201)의 상면과 밑면에 밀착되게 한 것이다.
상기 연결구(100)는 양변기(200)의 연결구멍(201) 상,하면에 상체(110)와 하체(120)를 밀착하는 강도를 단순히 스프링(141)의 신장력으로만 밀착되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구조는 진퇴식 앵커를 이용하여 양변기 외측에서 연결구를 신속하게 체결조립하는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는 크다. 그러나 연결구의 하체를 떠받치는 스프링(141)의 신장력으로만 밀착되도록 한 것이므로 그 밀착의 정도가 약하여 양변기(200)의 연결구멍(201)을 통한 상체(110)의 틈새로 누수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건물 내벽의 상수관이나, 또는 급수관이 불량시공으로 완전 수평상태가 아니거나, 완전 수직상태가 아닐 경우가 있는바, 이런 경우 양변기에 연결한 급수관이 수직이 아닌 약간 옆으로 삐뚤어진 사각(수직이 아닌 상태)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으며, 이 경우에는 급수관과 양변기와의 각도가 직각이 아니므로 양변기의 연결구멍 상면에 틈이 벌어지게 되어 양변기 내에 충만된 수압이 누수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변기의 연결구멍의 상면과 밑면에 연결구의 상체와 하체를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연결축 하단에 삽입한 스프링의 신장력뿐만 아니라 , 상체에 별도의 밀착력을 주고, 연결축의 조절에 따라 상기 스프링과 상체에 별도로 구비한 밀착력의 강도가 조절되어 상, 하체가 양변기에 완전 밀착되도록 하여 사각으로 시공된 급수관에 연결하더라도 누수가 되지 않는 밀착력이 향상된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양변기의 연결구멍 상면에 대접하는 상체의 구멍과 상기 연결구멍의 밑면에 대접하는 하체의 구멍 및 상기 하체를 떠받치는 받침의 밑면에 형성한 관체를 관통하는 연결축의 하단에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의 관체 양측에 승강홈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축의 하단부에 스프링을 끼운 다음 날개편을 구비한 너트를 연결축 하부의 나사에 체결하여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스프링의 신장력으로 받침을 떠받쳐 하체를 양변기의 연결구멍의 밑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축의 두부와 상체의 구멍 사이에 코니컬 스프링을 끼워 코니컬 스프링의 신장력으로 상체를 연결구멍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축을 조절하여 너트를 상승시켜 연결축 하부의 스프링과 코니컬 스프링의 탄성을 동시에 강하게 하는 3중의 밀착효과를 얻게 되는 3중의 밀폐연결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연결축 하단의 스프링 이외의 연결축의 두부와 상체의 구멍 사이의 코니컬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과 코니컬 스프링의 밀착강도를 조절하는 연결축 하단에 형성한 나사와 너트의 조절로 양변기 연결구멍의 상면과 밑면에 상체와 하체를 밀착되도록 한 것이므로 종래 연결축 하단의 스프링의 신장력으로만 밀착되도록 한 것보다는 그 밀착 강도를 3중으로 보강하여 향상시킨 것이어서 사각으로 시공된 급수관에 연결하더라도 누수 되지 않게 거의 완전하게 연결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연결구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양변기에 체결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양변기에 완전하게 체결한 상태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건물 내부로 인입된 상수관(60)에 수직으로 연결한 급수관(62)을 양변기(70)의 연결구멍(71)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구(10)를 누수가 되지 않도록 밀폐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변기의 연결구멍(71)을 중심으로 하여 그 상측(외측)에 설치되는 상체(20)와, 하측(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체(20)에 결합되는 하체(30), 그리고 이들 상체(20)와 하체(30)를 묶어주는 연결축(50)으로 대별된다.
상체(20)에는 급수관의 연결접속을 위해서 나사관(21)과 조임너트(22)를 형성하고, 상기 상체(20)의 바닥 중앙에 형성한 구멍(23)의 밑면에 돌기캠(25)(25')을 형성하며, 상체(20)의 밑면 둘레에는 양변기 상면에 밀착되는 패킹(24)이 결합되어 있다.
양변기 연결구멍(71) 밑면에 위치하는 하체(30)의 중앙 요홈(31)에는 원반캠(3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부 양쪽에는 상기 원반캠(34)에 의해서 진퇴작동하는 앵커(36)(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반캠(34)의 중앙에는 4각 또는 6각의 다각구멍(33)이 형성되어 있고다각구멍(33)의 상면 좌우에는 상기한 돌기캠(24)(25')과 접촉되는 돌기(32)(32')와, 원반캠(34)의 밑면에 캠홈(35)이 형성되어 있다.
하체(30)의 요홈(31) 좌우에 설치된 앵커(36)(36')은 그 내단 상면에 형성한 연동돌기(37)37')가 원반캠(34) 밑면의 캠홈(35)에 삽입되어 있으며, 원반캠(34)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에 따라서 전진,후진작동을 한다.
또한 상기 하체(30)의 하부중앙에는 승강홈(42)(42')을 구비한 소켓관(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홈(42)(42')은 뒤에 설명되는 너트가 공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는다.
상기 상체(20)와 원반캠(34)과 하체(30)를 상하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이들 결합체의 중앙 구멍에 연결축(50)을 끼워서 일체로 체결한다.
상기 연결축(50)은 상단에 드라이버홈을 가진 머리(50')를 가지며 중간에는 상기 다각구멍(33)에 결합되는 다각축(51)이 형성되고 하단부는 원형 나사축(5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50)으로 상, 하체를 조립할 때는 도 3과 같이 연결축(50)에 와셔와 코니컬 스프링(56)을 끼워서 머리(50') 밑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체의 구멍(23)과, 원반캠의 다각구멍(33)과, 하체의 소켓관(43)을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연결축 (50)의 머리(50')를 드라이버로 힘껏 눌러서 다각축(51)이 원반캠(34)의 다각구멍(33) 밑으로 하강(이탈)시킨 상태로 나사축(53) 하단부에 스프링(52)과 와셔를 끼우고 너트(54)를 채워서 고정한다. 이때는 너트(54)가 소켓관(43) 속에 갇힌 상태로 나사 결합 된다.
상기한 상부 스프링은 비교적 탄성이 강한 원추형 스프링을 사용하고, 하부 스프링은 상측 스프링에 비해서 탄성이 약한 약성 스프링을 사용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상, 하부 스프링과는 별도로 연결축 중간에도 약성 스프링을 설치하여 3중 탄성 기능을 갖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너트(54)는 양쪽에 날개편(55)(55')을 가지고 있다. 너트(54)에 날개편(55)(55')을 형성한 이유는 연결축(50)을 회전(나사조임/나사풀림)시킬 때 너트가 따라서 돌지 않도록 잡아주는 스톱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소켓관(43)의 승강홈(42)(42')에 날개편(55)(55')이 끼워진 상태로 너트(54)가 나사축(53)에 나사결합되고, 연결축(50)을 드라이버로 좌/우 회전시키면 너트(54)의 날개편이 승강홈을 따라서 비회전 상태로 나사조임/나사풀림 작동만 용이토록 한 것이며, 너트의 임의적 회전이나 나사 풀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체(20)와 하체(30)를 체결조립할 때는 드라이버로 연결축(50) 의 머리를 눌러준 상태로 너트(54)를 체결하며, 이때는 상측의 코니컬 스프링(56) 이 탄력적으로 눌려진 상태로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고, 체결이 완료되어 눌러주던 연결축을 놓아주면 압축되었던 상, 하부 스프링(56)(52)의 복귀 탄성에 의해서 상체(20)와 하체(30)가 강력한 힘으로 마주 결합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연결구는 양변기에 시공하기 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앵커(36)(36')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오므려진 상태로 있으며, 연결축(50)의 다각축(51)은 원반캠(34)의 사각구멍(33)에 끼워진 상태의 조립체로 보관 및 운반 취급된다.
상기한 연결구 조립체를 양변기에 시공 조립할 때는, 양변기의 연결구멍(71) 속으로 연결구의 하체(30)를 삽입하면 상체(20)가 양변기(70)의 연결구멍(71)의 상면에 얹혀지며, 이 상태에서 연결축(50)의 머리(50')를 드라이버로 돌려주면 다각축(51)이 원반캠(34)을 회전시키고, 원반캠(34)의 캠홈(35)에 연결 접속된 앵커(36)(36')가 외측으로 전진하여 도 5와 같이 양변기 상판 저면(연결구멍 밑)에 걸려져 고정되며, 앵커에 의해서 연결구 조립체는 양변기에 일체로 체결되어 임의적인 이탈의 우려 없이 사용되며, 상. 하부 스프링에 의한 이중 탄성 조임력으로 강력한 밀착력이 작용하여 연결부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밀착연결이 이루어져 누수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시공설치된 연결구 조립체의 밀착력을 좀더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할 때는 연결축을 눌러준 상태로 너트를 조여서 상승시켜 스프링(52)과 코니컬 스프링(56)의 탄성을 좀더 강화시켜 밀착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이러한 밀착력 보강구조에 의해서 급수관이 약간의 경사진 사각의 형태로 시공되었다 하더라도 틈새 없는 밀착시공이 용이하고 누수 우려 없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구를 양변기에 체결조립한 후에는 급수관 하단부를 연결구 상체의 나사관(21) 속에 끼우고 조임너트(22)로 조여서 시공 완료한다.
10.....연결구. 20 .... 상체.
23 .... 구멍. 24......패킹.
30 .... 하체. 31.... 요홈
33 .... 다각구멍 34.....원반캠.
36,36'... 앵커 42,42'... 승강홈.
43....소켓관. 50.....연결축.
51.....다각축. 52.... 스프링.
53.... 나사축. 54 ....너트.
55,55'... 날개편. 56.....코니컬 스프링.

Claims (1)

  1. 양변기(70)의 연결구멍(71) 상하면에 대접하는 상체(20)와, 원반캠(34) 및 앵커(36)(36')를 가진 하체(30)와, 다각축을 가진 연결축(50)으로 구분 형성하여 연결축을 상체의 구멍과, 원반캠의 다각구멍과, 하체의 구멍에 수직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연결축의 하단부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신장력으로 상체와 하체를 양변기 연결구멍의 상면과 밑면에 밀착하도록 조립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50)의 머리(50')와, 상체(20)의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축 (50)에 상향 탄성을 부여토록 설치한 고탄성 코니컬 스프링(56)과;
    상기 연결축(50)의 다각축 하부에 형성한 나사축(53)과;
    상기 하체(30)의 저면부 형성한 승강홈(42)(42')을 갖는 소켓관(43)과;
    상기 연결축(50) 하단부의 나사축(53)에 나사결합되며, 승강홈(42)(42')에 끼워져 자유회전이 억제되는 날개편(55)(55')을 구비한 너트(54)와;
    상기 소켓관(43)를 관통한 연결축(50)의 하단 나사축(53)에 약성 스프링(52)을 끼우고 너트(54)를 채워서 된 비회전식 하부체결장치;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연결축(50)을 조이면 너트(54)가 상승 되어 상, 하부의 스프링의 탄성이 강화되어 양변기와 급수관이 밀착조립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급수관의 연결구.
KR1020110022291A 2011-03-14 2011-03-14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217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91A KR101217441B1 (ko) 2011-03-14 2011-03-14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91A KR101217441B1 (ko) 2011-03-14 2011-03-14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717A KR20120104717A (ko) 2012-09-24
KR101217441B1 true KR101217441B1 (ko) 2013-01-02

Family

ID=4711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2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7441B1 (ko) 2011-03-14 2011-03-14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2461B1 (ko) * 2024-05-30 2025-05-07 케이엘테크 주식회사 양변기용 급수관 연결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543B1 (ko) * 2017-09-15 2019-06-20 주식회사 서린에이더 고정형 밀폐패킹이 구비된 좌변기용 스퍼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79Y1 (ko) * 1999-12-21 2000-06-01 신우워토스주식회사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조
KR200415828Y1 (ko) * 2006-02-14 2006-05-08 송병규 수전용 클램프 구조
KR101044910B1 (ko) * 2009-06-29 2011-06-30 고임순 양변기용 급수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79Y1 (ko) * 1999-12-21 2000-06-01 신우워토스주식회사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조
KR200415828Y1 (ko) * 2006-02-14 2006-05-08 송병규 수전용 클램프 구조
KR101044910B1 (ko) * 2009-06-29 2011-06-30 고임순 양변기용 급수관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2461B1 (ko) * 2024-05-30 2025-05-07 케이엘테크 주식회사 양변기용 급수관 연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717A (ko) 201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63235B (zh) 一种洗衣机进水管连接装置
KR101217441B1 (ko)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구
CN105089115B (zh) 一种水龙头的台上快速安装结构
CN204940435U (zh) 一种水龙头的台上快速安装结构
CN204284499U (zh) 一种高温高压双闸板楔式闸阀
CN103541556B (zh) 装配式住宅pc预制构件安装调平方法
CN202971481U (zh) 一种能单侧安装的固定安装装置
JP2017014808A (ja) アンカー防錆用のアンカー頭部定着部材及びそのアンカー頭部定着構造
KR101521568B1 (ko) 양변기용 플랜지
CN105297853A (zh) 快速安装接头结构
CN105157327A (zh) 一种过线密封装置及冰箱
CN208122112U (zh) 一种套筒灌浆封仓结构
US20150033663A1 (en) Compound anchor
CN203257040U (zh) 一种建筑板材干挂法结构
CN208939493U (zh) 新型电缆管道封堵器
CN202298826U (zh) 一种筒式排水阀
CN205446319U (zh) 一种龙骨的连接装置
CN205062950U (zh) 一种快速安装接头结构
KR101629660B1 (ko) 유리고정용 앵커
CN205401396U (zh) 一种新型螺栓衬套组件
CN206941831U (zh) 一种压型钢板与钢梁连接结构
CN201705770U (zh) 一种带有弹垫的新型膨胀螺栓
CN202673931U (zh) 合金层板钉
CN206396560U (zh) 一种双层减振扣件的下底板
CN203583847U (zh) 嵌条式直钉免胶免修补踢脚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