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354B1 -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 - Google Patents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354B1
KR101217354B1 KR1020120059220A KR20120059220A KR101217354B1 KR 101217354 B1 KR101217354 B1 KR 101217354B1 KR 1020120059220 A KR1020120059220 A KR 1020120059220A KR 20120059220 A KR20120059220 A KR 20120059220A KR 101217354 B1 KR101217354 B1 KR 101217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dump truck
partition member
opening
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영
Original Assignee
최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영 filed Critical 최인영
Priority to KR102012005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60P1/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위에 장비진입을 위해 일정한 두께로 복토하는 공사와 같이 포설 시점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게 포설하는 계단식 포설방식에 있어서 포설재를 만재하여 적재된 대형덤프트럭이 포설 시점에서 전방으로 운송할 때 각 계단식 단계별 위치에다 대형덤프트럭에 적재된 포설재를 상기 덤프트럭장비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순차적으로 일정량씩 적하 후 이동함으로써 전방으로 이동 할수록 대형덤프트럭에 적재된 포설재가 감소됨에 따라 연약층위에 주행하고 있는 대형덤프트럭의 접지압으로 인한 연약지반의 함몰 및 측방융기의 방지내지 최소화 되도록 한 구성이고, 분할ㆍ구획된 칸막이부재의 개폐가 간단한 개폐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포설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Loading cargo of dump truck dividing compartment and method loading gradually paving materials on the weak soil layers}
본 발명은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적하공법에 관한 것으로 포설 시점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게 포설하는 계단식 포설방식에 있어서 대형덤프트럭이 포설 시점에서 전방으로 이동해 감에 따라 각 단계별 포설위치에다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된 포설재를 장비의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순차적으로 일정량씩 적하시켜 전방으로 갈수록 대형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된 포설재 중량을 순차적으로 감소시켜 최전방포설위치에서 그 적재량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연약층위의 접지압으로 인한 연약지반의 함몰 및 측방융기의 방지내지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고, 분할ㆍ구획된 칸막이부재의 개폐가 간단한 개폐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포설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유용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탈수공법에 의해 개량하는 경우 약 50~150 톤급 정도의 대형 장비를 이용하여 드레인을 박아 지반을 개량하게 되는데, 대상 지반이 해성점토나 해성점토로 매립된 지역과 같이 초연약지반인 경우 장비 진입이 불가능하여 장비 진입을 위한 사전 조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장비 진입을 위한 사전 조치 방법으로는 현재 주로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방법, 표층 고화 처리방법 및 주행식 벨트 컨베이어에 의한 포설공법이 있다.
토사 복토 방법이나 주행식 벨트 컨베이어에 의한 포설공법은 연약지반의 함몰 및 측방융기를 방지하기위하여 일정한 폭으로 도1과 같이 포설층을 통상 A→B→C→D패턴의 계단식으로 포설한다. 전방으로 갈수록 얇게 포설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두껍게 포설하는 방식이다.
계단식 포설은 연약지반 위의 복토를 계단식으로 포설함으로써 함몰과 측방융기를 최소화시키려는 것이므로 맨 처음 시작 계단식 포설은 주행식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여 포설되는 것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계단의 개수는 포설두께에 따라 선택가능하다.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저를 이용한 토사 복토 방법은 도1에 도시되어있다.
이 방법은 연약 토층 상단에 토목 섬유(101)를 깐 후, 소형도저(102)를 이용하여 A포설층을 형성한다. A포설층을 Ⅰ단계포설이라 한다. A포설층위에다 Ⅱ단계포설인 B포설층을 형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B포설층위에다 Ⅲ단계포설인 C포설층을, C포설층위에다 Ⅳ단계포설인 D포설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A, B, C, D포설층의 두께를 각각 H1, H2, H3, H4,이라한다.
A포설층은 가장 연약한 지반으로 함몰과 측방융기가 가장 크게 일어난다. D포설층은 가장 안정된 지반으로 덤프트럭이 포설재를 만재하고 주행이 가능한 지반이다. B, C포설층은 D포설층에 대하여 보강이 필요한 지반이다. 포설재는 주로 흙이나 모래이다.
1회 포설되는 포설재의 두께는 연약지반의 조건 및 각 포설층에 따라 다르다. 보통 30~50cm로 포설된다.
도저 본체와 복토용 토사 간의 거리가 가까워 지중응력이 중복되어 응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연약토층 상단까지 장비가 직접 진입하여 복토재를 밀어 포설함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및 운반 토사의 하중으로 인한 연약토층 함몰과 포설되는 복토재 전방의 연약토층이 융기와 복토재를 밀면서 포설함에 따른 수평력에 의한 연약토층의 밀리는 현상으로 더 이상 복토시공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연약토층의 함몰과 측방융기를 작게하기위하여 도저는 소형도저를 사용하고 포설재의 운반도 소형덤프트럭에 의하여 운반된다. 도저 및 덤프트럭 장비의 자중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만약 소형덤프트럭보다 중량이 상대적으로 큰 대형덤프트럭에 의하여 포설재를 운반하게 되면, 연약토층에 가해지는 중량은, 예컨대 15톤 덤프트럭에 포설재가 만재된 경우 총중량이 26톤이 되고. 바퀴 1개에 걸리는 축 하중은 10.4톤이 된다. 접지압 과다로 연약층위 주행이 곤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연약토층이 함몰되고 측방융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소형덤프트럭은 연약지반의 함몰 및 측방융기의 방지를 위해 유리하기는 하지만 포설재의 이송량이 적어 운반회수가 많아져서 연약토층을 연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심하게 되면 연약토층이 함몰되고 측방융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대형인 대형덤프트럭은 운반회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자체중량이 커서 연약토층을 함몰되게 하고 측방융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대형덤프트럭을 사용하여 운반회수를 줄이면서 동시에 계단식 포설층에 대하여는 포설재의 중량을 점차로 감소시켜 소형덤프트럭과 같이 연약토층이 함몰되거나 측방융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 본 발명은 포설 시점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게 포설하는 계단식 포설방식에 있어서 대형덤프트럭이 포설 시점에서 전방으로 이동해 감에 따라 각 계단식 단계별 위치에다 대형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된 포설재를 순차적으로 일정량씩 적하시켜 전방으로 갈수록 대형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된 포설재 중량을 순차적으로 감소시켜 최전방포설위치에서 그 적재량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연약층위의 접지압으로 인한 연약지반의 함몰 및 측방융기의 방지내지 최소화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대형덤프트럭의 적재함을 다 수개 분할ㆍ구획하되, 적재함이 상향으로 경사짐에 따라 포설재가 밖으로 쏟아지는 쪽에 있는 구획구간을 a구획구간, 이를 기준으로 적재함 안쪽으로 갈수록 b구획구간, c구획구간이라고 하면, 적재함의 상향경사로 인하여 a구획구간으로부터 포설재가 쏟아질 때 b구획구간의 포설재는 a구획구간으로, 그리고 c구획구간의 포설재는 b구획구간으로 순차적으로 각각 전진되어 적재된 위치가 변화되면서도 적재함 밖으로는 쏟아지지 않으며, 또 b와 c구획구간의 포설재를 순차적으로 적재함 밖으로 각각 쏟아지게 하는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적재함의 빈공간이 c구획구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b구획구간→a구획구간이 되게 함으로써 적재함의 순차적 중량감소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함몰 및 측방융기 없이 얇게 포설된 전방까지 포설재 운반이 가능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본 발명은 대형덤프트럭을 사용하여 운반회수를 줄임과 동시에 계단식 포설층에 대하여는 대형덤프트럭에 적재된 포설재의 중량을 점차로 감소시켜 소형덤프트럭과 같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연약토층의 함몰 및 측방융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포설재운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 다 수개 분할ㆍ구획된 칸막이부재의 개폐가 간단한 개폐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의 양쪽 상측에 설치되고, 하부 개구부(15)가 형성된 디귿자형의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일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11)을 따라 이동ㆍ가이드되면서 상기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다수의 구획구간으로 분할하는 다수의 칸막이부재(20-1)(20-2)와;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레일홈(11)에는 칸막이부재(20-1)(20-2)의 회동이 가능한 칸막이부재(20-1)(20-2)의 축(21)이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내부에는 칸막이부재(20-1)(20-2)의 축(21)에 서로 연결되어 삽입되는 로프(30)와;
상기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의 하부 바닥면 중앙에는 적재함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칸막이부재(20-1)(20-2)의 하부 중앙홀(22)에 삽입되는 가이드봉(50)과;
상기 대형덤프트럭 적재함(1) 내의 골재를 적하 시 상기 로프(30)를 감았다 풀었다하면서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로프와인더(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이다.
여기에다 상기 칸막이부재(20-1)(20-2)의 축(21)에 로프(30)를 연결하되 축(21)에 삽입되도록 로프(30)의 양단에 고리부재(31)를 형성한 구성이다.
또 상기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의 전방 상측에는 상기 로프(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43)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로프와인더(40)는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의 포설재의 적하가 완료되어 빈 공간이 된 상태에서 와인더축(42)의 회전에 의하여 로프(30)를 감아 칸막이부재(20-1)(20-2)가 원 위치에 놓이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대형덤프트럭은 소형덤프트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포설재의 적재량이 큰 덤프트럭를 말한다. 즉 소형덤프트럭이란 포설재의 적재로 인하여 연약토층이 함몰 및 측방융기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것을 의미한다면, 대형덤프트럭은 포설재의 적재로 인하여 연약토층이 함몰 및 측방융기가 발생되는 정도의 크기를 의미한다.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축(21)에는 로프(30)가 연결된다. 축(21)에 로프(3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로프(30)의 양단에는 고리부재(3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2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위해서다.
가이드레일(10)의 내부에는 로프(30)가 삽입된다. 가이드레일(10)의 레일홈(11)에는 칸막이부재(20-1)(20-2)의 축(21)이 삽입된다. 레일홈(11)을 따라 칸막이부재(20-1)(20-2)의 축(21)이 이동ㆍ가이드된다. 로프(30)는 가이드레일(10)의 내부에 삽입되어있으면서 동시에 상기 축(21)에 삽입되어있는 구조이다. 칸막이부재(20-1)(20-2)의 간격은 로프(30)의 길이에 의해 정해지는 설계간격이다. 간격은 칸막이부재(20-1)(20-2)에 의해 구획되도록 설계된 길이이다. 로프(30)는 로프와인더(40)에서 시작하여 칸막이부재(20-1)(20-2)의 축(21)을 거쳐 하나로 연결된다. 칸막이부재(20-1)(20-2)에 의하여 구획된 상태에서하나로 연결된 로프(30)는 팽팽한 상태이다.
포설재를 적하기위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들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로프와인더(40)에서 로프(30)를 풀어야한다. 로프(30)가 풀리지 않으면 로프와인더(40)가 로프(30)를 구속하고 있어서 칸막이부재(20-1)(20-2)가 이동되지 않아 포설재의 적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칸막이부재(20-1)(20-2)의 이동은 칸막이부재(20-1)(20-2)간의 간격이 좁아짐을 의미한다. 이때 로프(30)는 가이드레일(10)의 하부 개구부(15)를 통하여 아래로 처지게 된다. 하부 개구부(15)는 포설재 적하 시 로프(30)의 처짐을 위한 완화공간이다. 로프(30)가 팽팽한 상태에서는 가이드레일(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보이지 않는다. (도3a 및 도3b참조)
본 발명의 포설재는 연약지반포설용인 경우 주로 흙이나 모래이다. 도로포장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모래나 자갈 또는 쇄석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포설재는 연약지반포설용이나 도로포장용을 운반하기위한 것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로 운반ㆍ사용되는 경우까지 포함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 본 발명은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포설단계별 적하공법에 관한 것으로 포설 시점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게 포설하는 단계별 포설방식에 있어서 포설재를 만재하여 적재된 대형덤프트럭이 포설 시점에서 전방으로 운송할 때 각 단게별 위치에다 대형덤프트럭에 적재된 포설재를 장비의 무게 중심을 감안하여 순차적으로 일정량씩 적하 후 이동하므로써 적하시 장비의 안전성을 유지하며 전방으로 이동할 수록 대형덤프트럭에 적재된 포설재가 감소됨에 따라 연약지반 위에 주행하고 있는 대형덤프트럭의 접지압이 감소되어 연약지반의 함몰 및 측방융기의 방지내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 대형덤프에 만재하여 적재된 대형덤프트럭이 포설 시점에서 전방으로 이동해가면서 대형덤프트럭의 적재함에 적재된 포설재를 순차적으로 적하시킴으로서 대형덤프트럭의 중량에 따른 부담이 최소화 되어 주행이 가능함에 따라 소형덤프에 의한 소 운반 없이 직접 대형덤프로 포설재 이동이 되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 대형덤프트럭 적재함에 분할ㆍ구획된 칸막이부재의 개폐가 간단한 개폐구조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포설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 대형덤프트럭에 의한 순차적 적하량이 도저에 의한 운반 및 포설에 알맞는 적정량이 되므로 도저에 의한 효율이 품셈기준으로 0.4 → 0.7로 향상됨에 따라 작업효율이 75%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종래 도저를 이용하여 토사 복토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도1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약토층의 함몰과 측방융기현상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대형덤프트럭의 분리형 적재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3b는 도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대형덤프트럭의 분리형 적재함에 포설재가 만재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대형덤프트럭의 분리형 적재함으로부터 1차 적하가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4c는 도4b의 1차 적하가 완료된 후, 2차 적하를 위해 주행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4d는 본 발명의 대형덤프트럭의 분리형 적재함으로부터 2차 적하가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4e는 도4d의 2차 적하가 완료된 후, 3차 적하를 위해 주행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4f는 본 발명의 대형덤프트럭의 분리형 적재함으로부터 3차 적하가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대형덤프트럭의 분리형 적재함의 적하 순서와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보인 과정도
본 발명의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을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약토층 위에 토목섬유를 포설하고 그 위에 포설재를 A단계포설→B단계포설→C단계포설→D단계포설로 포설된 계단식 포설방법에 있어서
⒜ 적재함의 구획구간에 포설재가 만재된 대형덤프트럭이 D단계포설구역을 주행하여 그 종점에 이르러 고정된 개폐부재(G)를 해제하여 적재함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작동시켜 개폐부재(G)가 열리면서 a구획구간의 포설재를 D단계포설구역의 종점에다 1차 적하시키고, 이 과정에서 칸막이부재(20-1)는 그 축(21)이 레일홈(11)에 가이드되어 개폐부재(G)쪽으로 전진ㆍ근접되고, 그리고 칸막이부재(20-2)는 원래 칸막이부재(20-1)가 위치된 곳으로 이동되며, 이때 개구부(15)를 갖는 가이드레일(10)에 삽입된 로프(30)의 풀린 길이가 칸막이부재(20-1)가 개폐부재(G)에 전진ㆍ근접된 길이만큼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풀리면서 상기 칸막이부재(20-1)가 여전히 가이드봉(50)에 삽입된 상태가 되게 한 후, 로프(30)는 풀린 상태그대로 고정하여 적재함을 하향시켜 수평 되게 한 다음, 개폐부재(G)를 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1차 포설재의 중량이 감소된 대형덤프트럭이 C단계포설구역을 주행하여 그 종점에 이르러 고정된 개폐부재(G)를 해제하고, 또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로프(30)를 풀되 그 풀린 길이가 칸막이부재(20-2)가 개폐부재(G)에 전진ㆍ근접된 길이만큼 되게 한 다음, 적재함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작동시켜 개폐부재(G)와, 그리고 칸막이부재(20-1)가 가이드봉(50)에서 빠져 열리게 하면서 원래 b구획구간(이때는 전진된 a구획구간)의 포설재를 C단계포설구역의 종점에다 2차 적하시키고, 이 과정에서 칸막이부재(20-1)는 가이드봉(50)에서 빠져 회전 가능한 개폐부재(G)와 중첩된 상태이고, 또 칸막이부재(20-2)는 개폐부재(G)쪽으로 전진ㆍ근접되어 상기 ⒜단계에서 전진 위치된 칸막이부재(20-1)가 위치된 곳으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칸막이부재(20-2)는 여전히 가이드봉(50)에 삽입된 상태가 되게 한 후, 로프(30)는 풀린 상태그대로 고정하여 적재함을 하향시켜 수평 되게 한 다음, 개폐부재(G)를 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2차 포설재의 중량이 감소된 대형덤프트럭이 B단계포설구역을 주행하여 그 종점에 이르러 고정된 개폐부재(G)를 해제하고, 또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로프(30)를 풀되 그 풀린 길이가 칸막이부재(20-2)가 가이드봉(50)에서 빠질 수 있는 길이만큼 되게 한 다음, 적재함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작동시켜 개폐부재(G)와, 그리고 칸막이부재(20-1)가 가이드봉(50)에서 빠져 열리게 하면서 원래 c구획구간(이때는 전진된 a구획구간)의 포설재를 B단계포설구역의 종점에다 3차 적하시키고, 이 과정에서 칸막이부재(20-2)가 가이드봉(50)에서 빠져 회전 가능한 칸막이부재(20-1) 및 개폐부재(G)와 중첩된 상태가 되면서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모두 빈공간이 되게 한 후, 풀린 로프(30)를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감아 원상태의 ⒜구획구간, ⒝구획구간, ⒞구획구간이 되도록 하는 단계;
⒟ 상기 ⒜단계~⒞단계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1, 2, 3차 적하를 수행하면서 계단식 포설패턴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을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이다.
먼저, 본 발명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의 a구획구간, b구획구간, c구획구간내의 포설재를 적하하는 과정을, 전방으로 갈수록 얇게 포설하는 단계별포설방식과 관련하여 도5와 도1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3칸으로 구획된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의 ①과 같이 대형덤프트럭에 포설재를 만재하여 도1의 D포설층을 주행한 다음, ②와 같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상향으로 들어올려 a구획구간의 포설재만 D포설층의 종점에다 1차 적하한다. 이때 원래 b구획구간의 포설재는 a구획구간으로 전진되고, b구획구간의 포설재는 a구획구간으로 전진된 상태이다. c구획구간은 ②와 같이 빈공간이다.
다시 ③과 같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수평상태로 복원하여 도1의 C포설층을 주행한 다음, ④와 같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상향으로 들어올려 C포설층의 종점에다 a구획구간으로 전진된 원래 b구획구간의 포설재만 2차 적하한다. 이때 원래 c구획구간의 포설재는 a구획구간으로 전진된 상태이다. ⒝구획구간과 ⒞구획구간은 ④와 같이 빈공간이다.
다시 ⑤와 같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수평상태로 복원하여 도1의 B포설층을 주행한 다음, ⑥과 같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상향으로 들어올려 B포설층의 종점에다 a구획구간으로 전진된 원래 c구획구간의 포설재를 3차 적하한다. 이때는 이미 빈공간인 b구획구간과 c구획구간을 비롯하여 a구획구간까지 빈 공간 상태이므로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에는 포설재가 없는 상태이다. ⑦과 같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수평상태로 복원하여 포설재를 만재시킨 다음 위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계단식 포설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주행 시에는 포설재의 운반이 이루어지는 과정이고, 1, 2, 3차 적하는 운반된 포설재를 대형덤프트럭적재함(1) 밖으로 쏟는 과정이다. 1, 2, 3차 적하는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상향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예컨대 1차 적하를 위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상향으로 들어 올린다. 이때 열린 개폐부재(G)을 통하여 대형덤프트럭적재함(1) 밖으로 쏟아지는 포설재는 a구획구간의 포설재이다. a구획구간의 포설재가 적하되기 위해서는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상향으로 들어올리기 전에 개폐부재(G)의 고정을 풀어야한다. 이와 함께 로프(30)도 제한된 길이만큼 풀어놓아야한다. 여기서는 칸막이부재(20-1)가 개폐부재(G)에 접근된 길이만큼만 풀어준다. 로프(30)는 칸막이부재(20-1)(20-2)의 축(21)에 삽입된 고리부재(31)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되어있다.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의 a구획구간, b구획구간, c구획구간은 칸막이부재(20-1)와 칸막이부재(20-2)에 의하여 구획되지만 1차 적하 시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상향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는 a구획구간의 포설재만 밖으로 적하되면서 원래 b구획구간의 포설재가 a구획구간으로 전진되지만 밖으로 쏟아지지 않는다. 로프(30)는 보통 후렉시블한 체인형태이다. 로프(30)의 한끝은 로프와인더(40)에 고정되고 다른 끝은 칸막이부재(20-2)의 축(21)을 거쳐 칸막이부재(20-1)의 축(21)에 고정되어있다. 로프와인더(40)는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로프(30)를 감았다 풀었다하면서 칸막이부재(20-1)(20-2)를 이동시킨다.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의 a구획구간, b구획구간, c구획구간이 칸막이부재(20-1)(20-2)에 의하여 구획된 경우 로프(30)는 팽팽한 상태이다. 이를 바꿔 말하면, a구획구간, b구획구간, c구획구간은 거의 팽팽한 로프(30)의 위치에 의해 정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적하 시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상향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a구획구간의 포설재만 밖으로 적하되고, 원래 b구획구간의 포설재가 a구획구간으로 전진되지만 밖으로 쏟아지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4b에서와 같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상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면, 개폐부재(G)는 열린 상태이고, 칸막이부재(20-1)(20-2)는 서서히 아래로 전진하면서 a구획구간의 포설재는 밖으로 서서히 적하되기 시작한다. 이때 로프와인더(40)가 푸는 로프(30)의 길이는 칸막이부재(20-1)가 개폐부재(G)에 접근된 길이만큼 풀되 가이드봉(50)에서 칸막이부재(20-1)의 하부 중앙홀(22)이 빠지지 않는 길이이다.
여기서 가이드봉(50)은 칸막이부재(20-1)(20-2)를 관통하면서 가이드레일(10)과 평행되고, 가이드봉(50)의 일단은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개폐부재(G)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자유단형태이다. 가이드봉(50)를 보강하기위하여 그 보강재가 로프(30)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그 구조는 칸막이부재(20-1)(20-2)와 동일한 구조로 하되 그 설치위치는 포설재 만재시 포설재를 구획하지 않는 곳에 위치하게 한다. 보강재의 로프(30)연결 및 그 길이는 칸막이부재(20-1)(20-2)의 경우와 동일하다.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위로부터 빈 공간이 열리게 되면 보강재도 로프(30)에 의하여 빈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봉(50)을 위로 지지하게 된다.
만약 가이드봉(50)에서 칸막이부재(20-1)의 하부 중앙홀(22)이 빠지게 되면 칸막이부재(20-1)도 개폐부재(G)와 함께 열리게 되어 칸막이부재(20-1)가 막고 있는 b구획구간의 포설재까지 적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상향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칸막이부재(20-1)가 개폐부재(G)에 전진ㆍ근접되었다하더라도 가이드봉(50)에서 칸막이부재(20-1)의 하부 중앙홀(22)이 빠지지 않는 한, a구획구간의 포설재만 밖으로 적하되고, 그 이외의 포설재가 밖으로 적하되지 않는다. 가이드봉(50)에서 칸막이부재(20-1)의 하부 중앙홀(22)이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로프와인더(40)에 의한 로프(30)길이 조정에 있다. 로프(30)길이에 의하여 a구획구간, b구획구간, c구획구간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로프(30)는 로프와인더(40)에서 시작되어 칸막이부재(20-1)(20-2)와 연결되고, a, b, c구획구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로프(30)는 거의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2차 적하에 대하여 살펴본다.
2차 적하는 도4d와 같이 b구획구간의 포설재가 적하되는 과정이다.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상향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는 칸막이부재(20-1)가 가이드봉(50)에서 이탈된 상태로서 개폐부재(G)와 함께 칸막이부재(20-1)도 열린 상태이다. 또한 칸막이부재(20-2)는 서서히 아래로 전진되면서 b구획구간의 포설재는 서서히 밖으로 적하되기 시작한다.
이때 칸막이부재(20-1)는 가이드봉(50)에서 빠져있는 상태이고, 칸막이부재(20-2)는 칸막이부재(20-1)쪽으로 전진ㆍ근접되기는 하지만 칸막이부재(20-2)는 가이드봉(50)에서 빠진 상태는 아니다. 가이드봉(50)에서 칸막이부재(20-2)가 빠지지 않는 한, 이는 1차 적하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칸막이부재(20-2)가 열리지 않아 도4d의 c구획구간 포설재가 경사진 상태에서도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또한, 칸막이부재(20-2)가 칸막이부재(20-1)쪽으로 전진ㆍ근접되는 과정에서 칸막이부재(20-1)와 칸막이부재(20-2)사이에 연결된 로프(30)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칸막이부재(20-2)가 칸막이부재(20-1)쪽으로 도4e에서와 같이 전진ㆍ근접되게 되면 칸막이부재(20-1)와 칸막이부재(20-2)사이에 연결된 로프(30)는 팽팽한 상태가 아닌 아래로 길게 처진 상태가 된다.
아래로 길게 처진 로프(30)를 흡수하기위한 구조가 바로 가이드레일(10)의 하부 개구부(15)이다. 가이드레일(10)의 하부 개구부(15)가 로프(30)의 처짐을 흡수하는 공간이다. 그 이외는 1차 적하 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3차 적하에 대하여 살펴본다.
3차 적하는 마지막으로 도4f의 c구획구간의 포설재가 적하되는 과정이다.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모두 빈 공간이 된다.
앞서 2차 적하 시 칸막이부재(20-2)가 가이드봉(50)에서 빠지지 않는 상태에서 c구획구간의 포설재가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제 3차 적하를 위하여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을 상향으로 들어 올리면서 로프(30)길이를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풀어준다. 이때 칸막이부재(20-2)가 칸막이부재(20-1)에 근접된 상태이므로 로프와인더(40)에 의한 로프(30)길이의 조정은 칸막이부재(20-2)가 가이드봉(50)에서 빠질 수 있는 길이로서 1차 적하시의 조정길이보다 훨씬 작다.
한편, 도4a의 주행→도4b의 1차 적하→도4c의 주행→도4d의 2차 적하→도4e의 주행→도4f의 3차 적하→주행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에 따른 개폐부재(G)의 고정ㆍ해제 및 로프(30)의 풀림ㆍ고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4a의 주행 시에는 개폐부재(G)와 로프(30)는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다.
도4b의 1차 적하 시에는 개폐부재(G)와 로프(30)는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열린 상태이다. 이때 로프(30)가 풀린 길이는 칸막이부재(20-1)가 개폐부재(G)에 전진ㆍ근접된 길이만큼 풀린 길이이다. 로프(30)가 풀리긴 하나 칸막이부재(20-1)는 여전히 가이드봉(50)에 삽입된 상태이다.
도4c의 주행 시에는 개폐부재(G)와, 그리고 로프(30)가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다. 이때 로프(30)의 길이는 칸막이부재(20-1)가 개폐부재(G)에 전진ㆍ근접된 길이이면서 칸막이부재(20-1)가 가이드봉(50)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된 상태이다.
도4d의 2차 적하 시는 개폐부재(G)와, 그리고 로프(30)가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열리면서 로프(30)가 풀린 상태이다. 이때 로프(30)가 풀린 길이는 칸막이부재(20-1)와 칸막이부재(20-2)사이의 길이 만큼이다. 칸막이부재(20-2)가 개폐부재(G)에 전진ㆍ근접되게 위치되게 하기위해서다. 칸막이부재(20-2)가 가이드봉(50)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이다.
도4e의 주행 시에는 개폐부재(G)와, 그리고 로프(30)가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다. 이때 로프(30)의 길이는 도4d의 2차 적하 시에 풀린 길이와 같다.
도4f의 3차 적하 시는 개폐부재(G)와, 그리고 로프(30)가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열리면서 로프(30)가 풀린 상태이다. 이때 로프(30)가 풀린 길이는 도4d에서 풀린 길이에다 칸막이부재(20-2)가 가이드봉(50)에서 빠질 수 있는 길이를 더한 길이이다.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모두 빈공간이 된 상태에서 주행할 경우 먼저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풀린 로프(30)를 감아 다시 포설재가 구획 적재되도록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개폐부재(G)도 고정시킨다.
설명의 편의상 3칸으로 구획된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수의 구획에 대해서도 위의 개념과 동일하다면 동일 범주에 속한다.
1 : 대형덤프트럭적재함 10 : 가이드레일
15; 하부 개구부 11 : 레일홈
20 : 칸막이부재 21 : 축
22 : 중앙홀 30 : 로프
31 : 고리부재 40 : 로프와인더
41 : 모터 42 : 와인더축
43 : 가이드롤러 50 : 가이드봉

Claims (5)

  1. 삭제
  2. 적재함의 상측양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동되는 다수의 구획구간으로 분할된 칸막이부재를 갖는 덤프트럭적재함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0)은 하부 개구부(15)가 형성된 디귿자형태이면서 디귿자형태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11)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레일홈(11)에는 칸막이부재(20-1)(20-2)의 축(21)이 삽입되어있되 축(21)의 단부가 하부 개구부(15)까지 연장ㆍ삽입되어있고, 로프(30)는 디귿자형태의 하부 개구부(15)에 삽입되어있으면서 고리부재(31)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축(21)의 단부에 로프(30)의 고리부재(31)를 걸어 상기로프(30)가 축(21)에 연결되어있는 한편, 덤프트럭적재함(1)의 하부 바닥면 중앙에는 적재함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칸막이부재(20-1)(20-2)의 하부중앙에 형성된 하부 중앙홀(22)에 가이드봉(50)이 삽입되어있고, 상기 덤프트럭적재함(1) 내의 골재를 차례로 적하 시 상기 로프(30)를 감았다 풀었다하면서 상기 칸막이부재(20)의 이동과 정지를 가능하게 하는 로프와인더(40)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와인더(40)는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의 포설재의 적하가 완료되어 빈 공간이 된 상태에서 와인더축(42)의 회전에 의하여 로프(30)를 감아 칸막이부재(20-1)(20-2)가 원 위치에 놓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의 전방 상측에는 상기 로프(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4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5. 연약토층 위에 토목섬유를 포설하고 그 위에 포설재를 A단계포설→B단계포설→C단계포설→D단계포설로 포설된 계단식 포설방법에 있어서

    ⒜ 적재함의 구획구간에 포설재가 만재된 대형덤프트럭이 D단계포설구역을 주행하여 그 종점에 이르러 고정된 개폐부재(G)를 해제하여 적재함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작동시켜 개폐부재(G)가 열리면서 a구획구간의 포설재를 D단계포설구역의 종점에다 1차 적하시키고, 이 과정에서 칸막이부재(20-1)는 그 축(21)이 레일홈(11)에 가이드되어 개폐부재(G)쪽으로 전진ㆍ근접되고, 그리고 칸막이부재(20-2)는 원래 칸막이부재(20-1)가 위치된 곳으로 이동되며, 이때 개구부(15)를 갖는 가이드레일(10)에 삽입된 로프(30)의 풀린 길이가 칸막이부재(20-1)가 개폐부재(G)에 전진ㆍ근접된 길이만큼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풀리면서 상기 칸막이부재(20-1)가 여전히 가이드봉(50)에 삽입된 상태가 되게 한 후, 로프(30)는 풀린 상태그대로 고정하여 적재함을 하향시켜 수평 되게 한 다음, 개폐부재(G)를 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1차 포설재의 중량이 감소된 대형덤프트럭이 C단계포설구역을 주행하여 그 종점에 이르러 고정된 개폐부재(G)를 해제하고, 또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로프(30)를 풀되 그 풀린 길이가 칸막이부재(20-2)가 개폐부재(G)에 전진ㆍ근접된 길이만큼 되게 한 다음, 적재함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작동시켜 개폐부재(G)와, 그리고 칸막이부재(20-1)가 가이드봉(50)에서 빠져 열리게 하면서 원래 b구획구간(이때는 전진된 a구획구간)의 포설재를 C단계포설구역의 종점에다 2차 적하시키고, 이 과정에서 칸막이부재(20-1)는 가이드봉(50)에서 빠져 회전 가능한 개폐부재(G)와 중첩된 상태이고, 또 칸막이부재(20-2)는 개폐부재(G)쪽으로 전진ㆍ근접되어 상기 ⒜단계에서 전진 위치된 칸막이부재(20-1)가 위치된 곳으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칸막이부재(20-2)는 여전히 가이드봉(50)에 삽입된 상태가 되게 한 후, 로프(30)는 풀린 상태그대로 고정하여 적재함을 하향시켜 수평 되게 한 다음, 개폐부재(G)를 고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2차 포설재의 중량이 감소된 대형덤프트럭이 B단계포설구역을 주행하여 그 종점에 이르러 고정된 개폐부재(G)를 해제하고, 또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로프(30)를 풀되 그 풀린 길이가 칸막이부재(20-2)가 가이드봉(50)에서 빠질 수 있는 길이만큼 되게 한 다음, 적재함을 상향으로 경사지게 작동시켜 개폐부재(G)와, 그리고 칸막이부재(20-1)가 가이드봉(50)에서 빠져 열리게 하면서 원래 c구획구간(이때는 전진된 a구획구간)의 포설재를 B단계포설구역의 종점에다 3차 적하시키고, 이 과정에서 칸막이부재(20-2)가 가이드봉(50)에서 빠져 회전 가능한 칸막이부재(20-1) 및 개폐부재(G)와 중첩된 상태가 되면서 대형덤프트럭적재함(1)이 모두 빈공간이 되게 한 후, 풀린 로프(30)를 로프와인더(40)에 의하여 감아 원상태의 ⒜구획구간, ⒝구획구간, ⒞구획구간이 되도록 하는 단계;

    ⒟ 상기 ⒜단계~⒞단계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1, 2, 3차 적하를 수행하면서 계단식 포설패턴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을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
KR1020120059220A 2012-06-01 2012-06-01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 KR10121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20A KR101217354B1 (ko) 2012-06-01 2012-06-01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20A KR101217354B1 (ko) 2012-06-01 2012-06-01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354B1 true KR101217354B1 (ko) 2012-12-31

Family

ID=4790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220A KR101217354B1 (ko) 2012-06-01 2012-06-01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54B1 (ko) * 2014-01-10 2015-07-14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분리적하가 가능한 덤프트럭 적재함
CN113022409A (zh) * 2021-04-16 2021-06-25 湖南路港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数字化土方开挖施工的自卸汽车用车厢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518B1 (ko) * 2009-10-16 2010-06-14 주식회사 포트랜스 차량 적재함에 부착된 적재물의 잔존물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518B1 (ko) * 2009-10-16 2010-06-14 주식회사 포트랜스 차량 적재함에 부착된 적재물의 잔존물 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54B1 (ko) * 2014-01-10 2015-07-14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분리적하가 가능한 덤프트럭 적재함
CN113022409A (zh) * 2021-04-16 2021-06-25 湖南路港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数字化土方开挖施工的自卸汽车用车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42283B (zh) 一种岩堆边坡建筑材料轨道运输装置及其安装与使用方法
US4261119A (en) Method for digging and transporting material
US10053292B2 (en) Steep conveying installation for open-cast mining
CN108468554B (zh) 隧道台车及土工布防水板和二衬纵向钢筋的机械铺设方法
RU2505640C1 (ru) Укладчик георешетки с оборудованием для хранения георешетки и ее расправления при укладке
CN106276056B (zh) 多节段组合式土方垂直提升装置
KR101217354B1 (ko) 분리적하가 가능한 대형덤프트럭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포설재의 계단식 포설 적하공법
CN109681266B (zh) 大坡度斜井混凝土运输方法
RU2323339C2 (ru) Очистной комплекс профессора каримана
CN104986696B (zh) 叉车的滑道式组合叉臂
CN204778631U (zh) 组合叉臂叉车
CN204778677U (zh) 叉车的滑道式组合叉臂
CN208182248U (zh) 一种木材码放捆扎设备及木材运输系统
CN108502578A (zh) 一种木材码放捆扎设备及木材运输系统
CN215208114U (zh) 一种用于地铁暗挖横通道盾构施工物料吊运的装置
CN104500131A (zh) 一种用于斜井施工出渣的运输系统及运输方法
JP5528049B2 (ja) トンネル掘削装置
CN105697016B (zh) 煤矿岩巷综掘机后部配套矸石快速运输和处置系统及方法
WO1999005396A1 (en) Haulage system for pit mining and discharge gate therefor
KR101536854B1 (ko) 분리적하가 가능한 덤프트럭 적재함
CN204327183U (zh) 一种用于斜井施工出渣的运输系统
RU2477349C2 (ru) Машина для укладки геосинтет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в подбалластный слой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лотна без снятия рельсошпальной решетки
RU2521171C2 (ru) Машина для укладки объемной георешетки
CN108001972B (zh) 低轨技术运输安装大型干燥机的方法
KR100476478B1 (ko) 댐 법면 콘크리트 타설작업 지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