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248B1 - 방음 마이크 - Google Patents

방음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248B1
KR101217248B1 KR1020110026333A KR20110026333A KR101217248B1 KR 101217248 B1 KR101217248 B1 KR 101217248B1 KR 1020110026333 A KR1020110026333 A KR 1020110026333A KR 20110026333 A KR20110026333 A KR 20110026333A KR 101217248 B1 KR101217248 B1 KR 101217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icrophone
mask cover
shaped mask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453A (ko
Inventor
최신규
Original Assignee
최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신규 filed Critical 최신규
Priority to KR102011002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2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발산음이 외부로 새지 않고, 외부로부터 소음이 혼입되지 않으며, 공명이나 잡음이 섞이지 않는 방음 마이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닥부에 구성되는 배기 홀(15)과, 측벽에 입설되게 형성되는 집음구(12)를 구비하는 U자형 마스크 커버(10)와; 상기 배기 홀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 유도관(70)과; 상기 배기 유도관을 감싸는 손잡이부(30)와;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집음구 상부에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되는 제1흡음부재(40a,40b)와; 상기 제1흡음부재를 상기 U자형 본체 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60)와; 상기 배기 유도관 내에 설치되는 제2흡음부재(50)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집음구(12)에는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이크(20)가 고정되고, 마이크 상부에 제1흡음부재재(40a,40b)가 위치됨으로써, 발성음이 외부로 새나가지 않음은 물론 공명음이 마이크로 곧바로 전달되지 않고 U자형 마스크의 측벽에 반사되는 과정에서 일부 공명 음파가 흡수되거나 상쇄된 후 집음구를 통하여 마이크에 전달되므로 선명한 음질을 마이크에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 마이크{Soundproof microphone}
본 발명은 방음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피씨방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개방된 공간에서도 사용자의 발성음이나 대화음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방음하면서 공명이나 왜곡이 일어나지 않고 효과적으로 집음되어 마이크에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방음 마이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항상 자신의 생활을 보호하고 지키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발성음이나 대화 과정에서 타인에게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경향이 있다.
한 예로, 피씨방(PC room)과 같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정보를 주고 받거나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간에 함께 사용하는 장소이다.
그런데, 피씨방은 노래방처럼 개인 단위나 일정 단체만를 위한 밀폐된 공간이 아니라 전체가 개방되어 함께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개개인이 큰 소리를 발성하거나 대화하면서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피씨방과 같은 개방된 공간에서는 큰 소리를 발성하면서 즐기는 PC 프로그램이 있더라도, 실제 주변 이용자에게 소음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이용에 한계가 있다.
또, 다수의 사람들이 같은 공간에서 원격지로 유무선의 통신장치를 통해 소리음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마이크 장치가 필요하나 일반 마이크로는 주위의 잡음이 많이 들어가고, 마이크 주위에 방음을 위한 마스크 커버를 설치한 종래의 방음 마이크는 마스크 커버 내에서 발성음의 공명이나 왜곡이 심하게 발생하여 마이크에 전달되는 소리음의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성음이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발성음을 왜곡되지 않게 집음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방음 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피씨방이나 가정, 사무실 등의 개방된 공간에서 옆 사람에게 소음 피해를 주지않고 이용할 수 있는 방음 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는, 바닥부에 구성되는 배기 홀과, 측벽에 입설되게 형성되는 집음구를 구비하는 U자형 마스크 커버와;
상기 배기 홀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 유도관과;
상기 배기 유도관을 감싸는 손잡이부와;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집음구 상부에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되는 제1흡음부재와;
상기 제1흡음부재를 상기 U자형 본체 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배기 유도관 내에 설치되는 제2흡음부재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집음구에는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이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집음구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통형의 측벽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기 유도관을 감싸는 손잡이부는,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바닥부 외면과 접속되는 손잡이 상단 지지체와, 상기 손잡이 상단 지지체에 접속되는 손잡이 중간 지지체와, 상기 손잡이 상단 지지체 및 손잡이 중간 지지체가 상기 배기 유도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배기 유도관의 단부에 체결되는 손잡이 하단 지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부재는 원형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부채살 모양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에 고정되는 다수의 살대와, 상기 살대 들이 만나는 상기 테두리부재의 중심부로부터 그 테두리부재가 이루는 평면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부재는 상기 제1흡음부재를 관통하여 끝 단부가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바닥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로 한다.
또,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상단 측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부에 구성되는 배기 홀과, 측벽에 입설되게 형성되는 집음구를 구비하는 U자형 마스크 커버와; 상기 배기 홀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 유도관과; 상기 배기 유도관을 감싸는 손잡이부와;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집음구 상부에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되는 제1흡음부재와; 상기 제1흡음부재를 상기 U자형 본체 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배기 유도관 내에 설치되는 제2흡음부재를 구비한다.
특히, 상기 집음구에는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이크가 고정되고, 마이크 상부에 제1흡음부재가 위치됨으로써, 발성음이 외부로 새나가지 않음은 물론 공명음이 마이크로 곧바로 전달되지 않고 U자형 마스크의 측벽에 반사되는 과정에서 일부 공명 음파가 흡수되거나 상쇄된 후 집음구를 통하여 마이크에 전달되므로 선명한 음질을 마이크에 전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씨방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개방된 공간에서도 주위에 소음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발성음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U자형 마스크 커버, 배기 유도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U자형 마스크 커버, 배기 유도관, 손잡이 상단 지지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U자형 마스크 커버, 배기 유도관, 손잡이 상단 지지체, 손잡이 중간 지지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100)는 피씨방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장소에서 각각의 전자 미디어장치를 이용하여 큰 소리로 발성하거나 대화할 때, 주위에 소음 피해를 주지 않고, 왜곡되지 않은 소리음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형 방음 마이크이다.
즉,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100)는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개방된 공간의 피씨방이나, 정숙을 요하는 장소 등에서 자신의 게임 등을 즐길 때 혹은 원격지의 상대방과 유,무선 통화할 때 주변 사람들에게는 소음 피해를 주지않고, 주변의 소음으로 인한 잡음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만 양호하게 집음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방음 마이크(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이용시 입 주위 전방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U자형 마스크 커버(10),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저면 내벽으로부터 약1-10mm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는 마이크(20)와, U자형 마스크 커버(10)에 고정되는 손잡이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10)는 사용자가 내는 발성음이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사용자의 입 주위를 1차적으로 밀폐하기 위한 구조로서, 코 아래부분부터 턱부분까지의 안면부의 굴곡에 맞게 디자인된다.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내측 벽면은 소리 파형에 와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U자형 마스크 커버는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사람마다 얼굴 사이즈가 다른 것을 고려하여, 대,중,소 등의 다양한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다.
U자형 마스크 커버(10)에는 착용하였을 때 입 주위로부터 본체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19)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구(19)는 마스크 커버가 형성하는 공간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공기 유입구에 스폰지 등을 개재하여 외부로부터 소음이 함께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와 같이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개구부(11)로부터 내측으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19)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호흡 및 발성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발성음의 왜곡이 일어나지 않고 마이크(20)로 정확한 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2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저면 바닥부에 입설되게 형성되는 집음구(12) 내의 상단에 마이크 커버의 내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집음구(12)는 직방형, 원통형 등의 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통형의 측벽에는 소리음이 저면부를 포함한 사방에서 마이크(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음구(12)는 도 6과 같이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외측면과 관통홀(14)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마이크(20)는 U자형 마스크 커버의 저면부 외측으로부터 집음구(12)의 내측으로 억지끼움하여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내벽으로부터 대략 1-10mm정도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집음구(12) 내에 설치된 마이크(20)가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내벽 바닥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것은 U자형 마스크 커버 내에서 발생하는 공명음이 곧바로 마이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공명음이 반사되는 과정에서 일부 공명음이 상쇄되어 원음에 가까운 발성음이 집음기(12)를 통하여 마이크(20)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100)의 구조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음 마이크(100)은 U자형 마스크 커버(10), 마이크(20), 제1흡음부재(40a,40b), 제2흡음부재(50), 지지부재(60), 배기 유도관(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10)는 도 2, 도 5의 구조와 같이 일측에 사용자의 입 주위와 밀착되는 개구부(11)가 구성되고, U자형 바닥부를 이루는 타측에는 장방형의 배기 홀(15)이 구성된다.
상기 배기 홀(15)은 장방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기 홀 주위의 마스크 커버에는 추후 설명되는 지지부재(60)의 고정 홈(16)이 구성된다.
한편, 배기 유도관(70)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배기 홀(15)에 개구부(11) 쪽으로부터 끼워져 조립될 때 일측 가장자리가 배기 홀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도록 단턱(71)이 구성되고, 타측에는 볼트부(7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 유도관(70)의 내부에는 스폰지 등으로 된 재2흡음부재(50)가 설치되어 U자형 마스크 커버를 통하여 배출되는 소리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과 같이 배기 유도관(70)이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배기 홀(15)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이크(20)를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관통홀(14)를 통하여 집음기(12)에 억지끼움하여 고정한 후, 손잡이부(30)를 구성하는 손잡이 상단 지지체(31)를 배기 유도관(70)에 끼워 조립하면 도 7과 같은 구조가 된다.
상기 손잡이 상단 지지체(31)의 주위에는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공명에 의한 울림 현상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20)가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관통홀(14)를 통하여 집음기(12)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 후에는 그 관통홀(14) 부분을 고무 재질 및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밀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손잡이부(30)를 구성하는 손잡이 중간 지지체(32)를 배기 유도관(70)에 끼운 후 즉, 도 8의 구조에서 너트형의 손잡이 하단 지지체(33)를 배기 유도관의 볼트부(72)에 체결하여 손잡이부(30)의 조립을 완료한다.
또, 지지부재(60)는 차량의 운전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원형 테두리부재(61)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부채살 모양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에 고정되는 다수의 살대(62)와, 상기 살대 들이 만나는 테두리부재의 중심부로부터 그 테두리부재가 이루는 평면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부재(63)를 구비한다.
상기 핀부재(63)는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제1흡음부재(40a,40b)를 관통하는 형태로 하여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내측으로 밀착되게 장착되고, 제1흡음부재를 관통하는 핀부재(63)의 단부는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바닥에 형성된 고정홈(16)에 억지끼움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1흡음부재(40a,40b)는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공간부에서 발생하는 공명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고, 본체 내면 전체를 커버하는 형태로 구성하여도 된다. 또, 제1흡음부재를 고정하는 지지부재(60)는 상기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제1흡음부재를 마스크 커버 본체의 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100)는 도 9와 같이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공간부에서 발생되는 소리음을 제1흡음부재(40a,40b)를 통과시켜 집음구(12)로 집음하는 과정에서 일부 공명음이 소멸되어 마이크(20)에 전달된다.
또,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내벽 벽에 반사되는 음이 바로 마이크로 전달되지 않고, 입설된 집음구(12)의 홀(13)을 통하여 그 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마이크(20)에 전달되기 때문에 음의 공명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의 혼입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에 집음되는 소리음은 배기 유도관(70) 및 제2흠음부재(50)를 거쳐 외부로 빠져나가 소멸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U자형 마스크 커버(10)의 개구부로부터 내벽면에 결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위생시트를 추가로 구성하여 청결 및 위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음 마이크(100)는 사용자가 마스크 커버의 공간부로 발성하면 마이크(20)를 통하여 소리가 입력되고, 사용자의 발성음은 제1흡음부재(40a,40b)와, 제2흡음부재(50)를 거쳐 배출된다.
본 발명의 방음 마이크(100)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피씨방, 게임, 노래 경합프로그램, 영어 학습프로그램, 음성 채팅프로그램, 음성 일기프로그램과 같이 여러 사람들이 함께 이용하는 개방된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주위에 소음 피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공명이나 잡음이 혼입되지 않는 소리음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 및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발명의 목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10 - U자형 마스크 커버
11 - 개구부
12 - 집음구
13 - 홀
14 - 관통홀
15 - 배기 홀
16 - 고정홈
19 - 공기 유입구
20 - 마이크
30 - 손잡이부
31 - 손잡이 상단 지지체
32 - 손잡이 중간 지지체
33 - 손잡이 하단 지지체
40a,40b - 제1흡음부재
50 - 제2흡음부재
60 - 지지부재
61 - 테두리부재
62 - 살대
63 - 핀부재
70 - 배기 유도관
71 - 단턱
72 - 볼트부
100 - 방음 마이크

Claims (5)

  1. 바닥부에 구성되는 배기 홀과, 측벽에 입설되게 형성되는 집음구를 구비하는 U자형 마스크 커버와;
    상기 배기 홀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 유도관과;
    상기 배기 유도관을 감싸는 손잡이부와;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집음구 상부에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되는 제1흡음부재와;
    상기 제1흡음부재를 상기 U자형 본체 내에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배기 유도관 내에 설치되는 제2흡음부재를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집음구는 통형으로 구성되고, 그 통형의 측벽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이 구성되되, 상기 집음구에는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이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마이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도관을 감싸는 손잡이부는,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바닥부 외면과 접속되는 손잡이 상단 지지체와, 상기 손잡이 상단 지지체에 접속되는 손잡이 중간 지지체와, 상기 손잡이 상단 지지체 및 손잡이 중간 지지체가 상기 배기 유도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배기 유도관의 단부에 체결되는 손잡이 하단 지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마이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원형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부채살 모양으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에 고정되는 다수의 살대와, 상기 살대 들이 만나는 상기 테두리부재의 중심부로부터 그 테두리부재가 이루는 평면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부재는 상기 제1흡음부재를 관통하여 끝 단부가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바닥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로 하는 방음 마이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마스크 커버의 상단 측부에는 공기 유입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마이크.
KR1020110026333A 2011-03-24 2011-03-24 방음 마이크 KR101217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333A KR101217248B1 (ko) 2011-03-24 2011-03-24 방음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333A KR101217248B1 (ko) 2011-03-24 2011-03-24 방음 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453A KR20120108453A (ko) 2012-10-05
KR101217248B1 true KR101217248B1 (ko) 2013-01-03

Family

ID=4728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333A KR101217248B1 (ko) 2011-03-24 2011-03-24 방음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930A (ko) 2014-12-12 2016-06-22 김여원 각도 조절형 마이크
KR102077079B1 (ko) 2019-11-29 2020-02-13 권순근 방향 전환 가능한 다기능 마이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667B1 (ko) * 2018-04-30 2018-08-13 이성수 방음이 가능한 음향 마이크 장치
JP6987925B2 (ja) * 2020-06-01 2022-01-05 株式会社第一興商 カラオケ装置
JP6738507B1 (ja) * 2020-06-11 2020-08-12 朗 高野 マイクカバー
KR102560627B1 (ko) * 2020-12-28 2023-07-2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틱 개선을 위한 음량 감소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339B1 (ko) * 1996-04-27 1999-07-15 김지동 방음송화기
KR200252560Y1 (ko) * 2001-04-20 2001-11-16 곽승권 마스크 폰
KR100894915B1 (ko) * 2008-04-05 2009-04-30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역지향성 마이크로폰 및 이를 이용한 집음기
KR20100137920A (ko) * 2009-06-23 2010-12-31 박성훈 호흡이 가능한 방음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339B1 (ko) * 1996-04-27 1999-07-15 김지동 방음송화기
KR200252560Y1 (ko) * 2001-04-20 2001-11-16 곽승권 마스크 폰
KR100894915B1 (ko) * 2008-04-05 2009-04-30 (주)기가바이트씨앤씨 역지향성 마이크로폰 및 이를 이용한 집음기
KR20100137920A (ko) * 2009-06-23 2010-12-31 박성훈 호흡이 가능한 방음마이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930A (ko) 2014-12-12 2016-06-22 김여원 각도 조절형 마이크
KR102077079B1 (ko) 2019-11-29 2020-02-13 권순근 방향 전환 가능한 다기능 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453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248B1 (ko) 방음 마이크
US9232030B2 (en) Amplifying cover for a portable audio device
US7783034B2 (en) Communication privacy mask
US9525765B2 (en) Ergonomic anechoic anti-noise canceling chamber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CN105592389B (zh) 扬声器模组
JP4986091B1 (ja) 金管楽器用消音器
CN205622852U (zh) 扬声器模组
US6085864A (en) Cough muffler
US6401860B1 (en) Cough silencer device
US200402596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ound in surrounding area resulting from speaking into communication device
US7801571B2 (en) Multi-use acoustic leak path system
JPH1020867A (ja) 口対向型消音装置
KR101923088B1 (ko) 휴대용 방음 마스크
KR20130034676A (ko) 방음 마이크
JP2015029889A (ja) 防音マスク
CN101184118B (zh) 隔音口罩
KR101130999B1 (ko) 음성 감쇠 어학 학습기
JP7473887B2 (ja) マイクロホン装置、マイクロホン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部品、及び方法
CN212208911U (zh) 一种消除呼喊声音的装置
JP3505516B2 (ja) 発声消音器
JP2575475Y2 (ja) 消音装置
CN213426483U (zh) 一种语音教学机器人声音扩放设备
US20160072934A1 (en) Ergonomic tubular anechoic chambers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0966003B1 (ko) 휴대폰용 집음기
CN106605980A (zh) 一种新型隔音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