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169B1 - 휴대용 방음 헬멧 - Google Patents

휴대용 방음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169B1
KR101759169B1 KR1020160151798A KR20160151798A KR101759169B1 KR 101759169 B1 KR101759169 B1 KR 101759169B1 KR 1020160151798 A KR1020160151798 A KR 1020160151798A KR 20160151798 A KR20160151798 A KR 20160151798A KR 101759169 B1 KR101759169 B1 KR 10175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ser
sound
main bod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정
Original Assignee
김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정 filed Critical 김하정
Priority to KR102016015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42B3/306Audio entertainmen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73Neck restrai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4Caps, helme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방음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과 장소의 제한없이 두부(頭部)에 착용한 상태에서 노래연습을 수행하거나 소리내어 어학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인에게 소음 공해를 주지 않도록 함은 물론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방음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부에 투시스크린이 설치되고, 후면부에 흡음커버가 설치된 상태로 내부가 격판을 매개로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위치되는 두부수용실과 마이크장치가 설치되는 음향실로 분할되고, 상기 흡음커버와 격판 사이의 상기 두부수용실의 하부면에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인입되는 두부인입공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음향실에 설치되어 상기 음향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맑은 공기를 상기 음향실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순환장치; 상기 두부수용실의 하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의 두부와 상기 두부인입공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단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소리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는 하부방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방음 헬멧{PORTABLE SOUNDPROOF HELMET}
본 발명은 휴대용 방음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과 장소의 제한없이 두부(頭部)에 착용한 상태에서 노래연습을 수행하거나 소리내어 어학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인에게 소음 공해를 주지 않도록 함은 물론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방음 헬멧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아파트, 다세대 주택의 경우 실내에서 악기를 연주하거나 소리되어 노래연습을 하는 경우, 소리가 창문을 통해 복도나 이웃집으로 전달되어 이웃 간 불화의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집에서는 원하는 음악활동이나 노래연습을 마음 놓고 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 지어진 아파트, 다세대 주택의 경우, 층간 혹은 인접한 주택간 소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흡음재 및 차음재를 이용하여 바닥 및 내벽을 방음 설계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층간 혹은 인접주택 간의 소음을 크게 개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아파트, 다세대 주택의 실내에서 음악활동이나 노래연습을 하기에는 이웃간의 소음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영어나 중국어 등의 학습은 소리 내어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학원이나 도서관, 독서실 등에서 공구할 경우에 소리내어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혼자서 입으로만 중얼중얼 식으로 공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렇게 수많은 학생, 직장인들이 영어 중국어 등 외국어 공부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면서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리 내어 효과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학습공간이 마땅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8662호의 헬멧형 휴대용 방음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한 상태에서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노래연습을 수행하거나 소리내어 어학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타인에게 소음 공해를 주지 않도록 하고, 메인바디의 내부에 일정공간의 음향실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 헬멧의 착용시 답답함을 줄여 노래연습이나 어학연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방음 헬멧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부에 투시스크린이 설치되고, 후면부에 흡음커버가 설치된 상태로 내부가 격판을 매개로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위치되는 두부수용실과 마이크장치가 설치되는 음향실로 분할되고, 상기 흡음커버와 격판 사이의 상기 두부수용실의 하부면에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인입되는 두부인입공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음향실에 설치되어 상기 음향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맑은 공기를 상기 음향실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순환장치; 상기 두부수용실의 하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의 두부와 상기 두부인입공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단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소리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는 하부방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방음부는, 상기 두부수용실의 외부 하측면에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양단이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방음부는, 상기 두부수용실의 외부 하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공간 중 일부를 차단하는 제1차단재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격공간의 나머지부분을 차단하는 제2차단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격판에는 사용자의 안면이 상기 음향실 방향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안면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면노출공에는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되는 소음차단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노래연습을 수행하거나 소리내어 어학 연습을 수행할 수 있어 노래연습이나 어학연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타인이나 주위에 소음 공해를 주지 않음은 물론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어 사용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헬멧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핼멧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헬멧의 음향실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방음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헬멧에 지지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헬멧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헬멧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핼멧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헬멧의 음향실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헬멧은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인입되는 메인바디(10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공기순환장치(20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하부방음부(300)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상기 메인바디(100)를 두부(頭部)에 착용한 상태에서 노래연습을 수행하거나 소리 내어 어학 연습을 수행하는 경우, 주위에 소음으로 인한 방해나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전면부에 투시스크린(110)이 설치되고, 후면부에 흡음커버부(120)가 설치된 상태로 내부가 격판(130)을 매개로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위치되는 두부수용실(140)과 마이크장치(151)가 설치되는 음향실(150)로 분할되고, 상기 흡음커버부(120)와 격판(130) 사이의 상기 두부수용실(140)의 하부면에 사용자의 두부가 인입되는 두부인입공(1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벽에는 방음을 위해 방음재가 설치되고, 상기 두부수용실(140) 또는 상기 음향실(150)에는 상기 마이크장치(151)를 통해 입력된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52)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디(100)에는 상기 스피커(152)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후술되는 공기순환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152)는 상기 두부수용실(14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사용자의 두부(頭部)는 상기 두부인입공(141)을 통해 상기 두부수용실(140)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음향실(150)에는 상기 마이크장치(151)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두부수용실(140)에서 소리를 내는 경우, 상기 마이크장치(151)로 입력된 소리가 상기 스피커(152)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격판(130)에는 사용자의 안면이 상기 음향실(150) 방향으로 향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안면노출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안면노출공(131)에는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되는 소음차단재(133)가 설치된다.
상기 소음차단재(133)는 상기 안면노출공(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두부수용실(140)에 인입된 사용자의 안면이 상기 안면노출공(131)을 통해 상기 음향실(150) 방향으로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두부(頭部) 측면에 상기 소음차단재(133)가 밀착됨으로써 상기 음향실(150)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상기 두부수용실(140)로 유입되어 상기 두부인입공(141)을 통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두부수용실(140) 전면에 일전면적의 상기 음향실(150)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음헬멧을 사용시 답답함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장치(2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음향실(150)에 설치되어 상기 음향실(15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맑은 공기를 상기 음향실(150)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즉, 상기 공기순환장치(200)는 상기 음향실(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음향실(15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기(210)와 상기 음향실(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음향실(150)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기(22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순환장치(200)에 의해 상기 음향실(150)에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자의 호흡으로 인해 상기 투시스크린(110)에 생성되는 서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환풍기(210)나 송풍기(220)에는 메쉬형방음부재를 감싸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기순환장치(200)를 통해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음향실(150)에는 사용자가 내는 소리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음향실 내부 전체공간을 통해 상호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장치(151)를 수용하는 깔때기 형상의 소리수용체(153)가 설치되고, 상기 소리수용체(153)의 개구부는 상기 격판(130)의 안면노출공(131)을 통해 노출되는 사용자의 안면 입 부분에 근접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0)에는 상기 마이크장치(151)와 스피커(152), 상기 공기순환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전원부(170)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헬멧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건전지를 사용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용전력이나 차량의 전력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하부방음부(300)는 상기 두부수용실(140)의 하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상기 두부인입공(141) 사이의 이격 공간을 차단하여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 소음이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두부인입공(141)을 통해 두부수용실(140) 내부로 두부를 인입하게 되면 상기 두부인입공(141)과 사용자의 두부 또는 경부(警部)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음향실(150)에서 생성된 소리가 상기 두부수용실(140)을 거쳐 상기 두부인입공(141)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 주위 소음을 유발하게 되므로, 상기 하부방음부(300)를 통해 상기 이격공간을 차단함으로써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하부방음부(300)는 일 실시예로써 상기 두부수용실(140)의 외부 하측면에 사용자의 경부(警部)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양단이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두부수용실(140)의 내부로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인입한 후, 상기 하부방음부(300)의 양단을 상기 결속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하여 상기 이격공간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상기 결속부재는 밸크로나 단추, 지퍼 등과 같은 결속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방음부(300)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수용실(140)의 외부 하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공간 중 일부를 차단하는 제1차단재(31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0)과, 상기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격공간의 나머지부분을 차단하는 제2차단재(3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두부인입공(141)과 사용자의 두부 또는 경부(警部)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이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이격공간의 절반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제1차단재(310)에 의해 차단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2차단재(33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차단재(330)는 상기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편체(331)와 상기 이동편체(331)를 상호 연결하도록 반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된 차단편체(332)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레일(320)을 따라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두부수용실(140)로 두부(頭部)를 인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2차단재(330)를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방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격공간의 나머지 부분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음 헬멧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0)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신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방음 헬멧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지지부(400)은 상기 휴대용 방음 헬멧이 안착되는 안착판(410)과 상기 안착판(410)의 하부에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되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지지다리(420)로 이루진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방음 헬멧을 사용시 안정된 지지상태를 이룰 수 있어 사용 편의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메인바디 110: 투시스크린
120: 흡음커버부 130: 격판
131: 안면노출공 132: 소음차단재
140: 두부수용실 141: 두부인입공
150: 음향실 151: 마이크장치
152: 스피커 153: 소리수용체
160: 제어부 170: 전원부
200: 공기순환장치 210: 환풍기
220: 송풍기 300: 하부방음부
310: 제1차단재 320: 가이드레일
330: 제2차단재 331: 이동편체
332: 차단편체 400: 지지부
410: 안착판 420: 지지다리

Claims (4)

  1. 전면부에 투시스크린이 설치되고, 후면부에 흡음커버가 설치된 상태로 내부가 격판을 매개로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위치되는 두부수용실과 마이크장치가 설치되는 음향실로 분할되고, 상기 흡음커버와 격판 사이의 상기 두부수용실의 하부면에 사용자의 두부(頭部)가 인입되는 두부인입공이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음향실에 설치되어 상기 음향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맑은 공기를 상기 음향실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순환장치; 상기 두부수용실의 하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의 두부와 상기 두부인입공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단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소리가 상기 이격공간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는 하부방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부수용실에는 상기 마이크장치를 통해 입력된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상기 공기순환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설치되며,
    상기 격판에는 사용자의 안면이 상기 음향실 방향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안면노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안면노출공에는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되는 소음차단재가 설치되고, 상기 음향실에는 상기 마이크장치를 수용하는 깔때기 형상의 소리수용체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방음부는, 상기 두부수용실의 외부 하측면에 사용자의 목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양단이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두부수용실의 외부 하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격공간 중 일부를 차단하는 제1차단재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격공간의 나머지부분을 차단하는 제2차단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음 헬멧.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51798A 2016-11-15 2016-11-15 휴대용 방음 헬멧 KR10175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798A KR101759169B1 (ko) 2016-11-15 2016-11-15 휴대용 방음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798A KR101759169B1 (ko) 2016-11-15 2016-11-15 휴대용 방음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169B1 true KR101759169B1 (ko) 2017-07-19

Family

ID=5942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798A KR101759169B1 (ko) 2016-11-15 2016-11-15 휴대용 방음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287B1 (ko) * 2018-10-05 2019-10-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력손실 저감을 위한 골전도 방식의 작업용 헬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760Y1 (ko) * 2000-05-23 2000-11-15 조철호 방음 헬멧
JP3150837B2 (ja) * 1994-02-25 2001-03-26 株式会社メニコン 透明光学樹脂成形品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837B2 (ja) * 1994-02-25 2001-03-26 株式会社メニコン 透明光学樹脂成形品の製造法
KR200203760Y1 (ko) * 2000-05-23 2000-11-15 조철호 방음 헬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287B1 (ko) * 2018-10-05 2019-10-08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력손실 저감을 위한 골전도 방식의 작업용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4508B2 (en) Structures formed with sheet material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sound absorbing layer
Siebein et al. Ten ways to provide a high-quality acoustical environment in schools
ES2910404T3 (es) Sistema y método de ventilación
US10487532B2 (en) Structures formed with sheet material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sound absorbing layer
CN109072761A (zh) 增强型可充胀声音衰减系统
Watson Acoustics of Buildings: Including Acoustics of Auditoriums and Sound-Proofing of Rooms
JP2022517379A (ja) 通気システムを備える可動キャビン及びその通気方法
KR101759169B1 (ko) 휴대용 방음 헬멧
Berardi et al. ACOUSTIC TREATMENTS AIMING TO ACHIEVE THE ITALIAN MINIMUM ENVIRONMENTAL CRITERIA (CAM) STANDARDS IN LARGE REVERBERANT CLASSROOMS.
WO2016186534A1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помещений и салонов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варианты)
Szłapa et al. A comparison of handgun shots, balloon bursts, and a compressor nozzle hiss as sound sources for reverberation time assessment
KR200463932Y1 (ko) 개인용 이동식 방음학습방
KR101923088B1 (ko) 휴대용 방음 마스크
KR101126925B1 (ko) 포그 스크린 도어 시스템
Siebein Understanding classroom acoustic solutions
KR200459508Y1 (ko) 탁상식 방음 학습기
Addison et al. Ambient noise levels in university classrooms: Detrimental to teaching and learning?
Pyper et al. Room acoustics criteria and measurements of lobbies and atria for various building types
Mahmoud Acoustics from Interior Designer Perspective
Elitsa Acoustics and Noise in Schools
Bettarello et al. Acoustic comfort for living spaces: designing interactive and supportive environments dedicated to people with autism
Szeląg et al. Systems modifying the acoustic properties of room furnishings
Mertala-Lindsay FOLDING FAN
JP2022071599A (ja) 音響発生装置
Yusaf The porous shells of radiophony, or towards a theory of radio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