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950B1 -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 Google Patents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950B1
KR101216950B1 KR1020110014407A KR20110014407A KR101216950B1 KR 101216950 B1 KR101216950 B1 KR 101216950B1 KR 1020110014407 A KR1020110014407 A KR 1020110014407A KR 20110014407 A KR20110014407 A KR 20110014407A KR 101216950 B1 KR101216950 B1 KR 10121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handle
detachable structure
roas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030A (ko
Inventor
최진달
Original Assignee
최진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달 filed Critical 최진달
Priority to KR102011001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9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 등 구이물을 굽기위해 사용되는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석쇠살이 엮어진 석쇠망체 양단에 삽탈관이 형성된 구이부와, 상기 삽탈관에 삽입되는 삽탈봉과 손잡이가 형성된 파지부를 분리 형성하되, 구이부를 이동시 파지부의 삽탈봉을 삽탈관에 삽입시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 별도의 안전장비 착용 없이도 가열된 구이부의 취급이 매우 용이하고, 이는 안전장비 착용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화상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Grill with detachable handle}
본 발명은 고기 등 구이물을 굽기 위해 사용되는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 등의 구이물이 올려지는 구이부와, 상기 구이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파지부를 분리 형성하되, 구이부를 이동시 분리 형성된 파지부를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 가열된 석쇠의 취급이 매우 용이하게 하면서도, 화상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에 관한 것이다.
석쇠는, 고기나 굳은 떡 등 구이 조리가 가능한 음식을 숯불이나 가스불 등의 화기를 이용하여 굽기 위한 기구로서,
일반적인 석쇠는, 네모지거나 둥근 쇠 테두리에 다수 가닥의 철사나 구리 선 등으로 된 석쇠살을 엮어서 망체를 이루며, 그 테두리에는 석쇠의 운반이 가능한 금속재의 손잡이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석쇠는, 그 석쇠를 숯불이나 가스불 등의 화기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석쇠의 석쇠살 상부에 고기 등을 올려놓으면, 숯불이나 가스불의 열기에 의해 석쇠살이 뜨겁게 가열되면서 고기가 구워져서 구워진 고기를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석쇠는 단순 망체로 구성되어 있어 화기에 지속적으로 사용시, 고기 등의 타고남은 음식 잔재들이 눌러붙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고기의 조리가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인바, 구이시 지속적으로 석쇠를 교환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석쇠는 석쇠의 이동수단인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구이 시간 동안 상당히 가열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때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섣불리 손잡이를 파지하는 행동이 빈번히 발생 되며, 이는 화상 등의 직접적인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의 가열 상태를 인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손잡이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장갑 등 충분한 안전장비를 착용 후 석쇠를 파지하여야 하는 것인바, 사용상의 매우 번거로움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석쇠살이 엮어진 석쇠망체 양단에 삽탈관이 형성된 구이부와, 상기 삽탈관에 삽입되는 삽탈봉과 손잡이가 형성된 파지부를 분리 형성하되, 구이부를 이동시 파지부의 삽탈봉을 삽탈관에 삽입시켜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 별도의 안전장비 착용 없이도 가열된 구이부의 취급이 매우 용이하고, 이는 안전장비 착용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화상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다수의 금속 와이어로 된 석쇠살을 엮어 형성하고 그 둘레는 테두리로 마감된 석쇠망체를 형성하고, 그 석쇠망체의 양단은 중앙 관통 형성된 관통공을 갖는 삽탈관이 양측 평행하게 형성된 구이부와;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로부터 양측으로 벌어지게 절곡 형성된 수평연장대와, 그 수평연장대로부터 양측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구이부의 양측 삽탈관에 각각 삽입되는 삽탈봉이 각각 형성된 절곡봉 형상의 파지부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는, 화기에 의해 가열된 석쇠의 구이부를 파지부의 삽탈봉을 이용하여 삽탈관에 삽입하여 옮김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석쇠의 취급이 매우 용이하며, 별도의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고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그 사용상으로도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다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1)는, 고기 등 구이물의 구이가 가능한 구이부(100)와,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파지부(200)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구이부(100)는, 구이물이 올려지는 석쇠망체(110)와 파지부(200)와의 결합이 가능한 삽탈관(120)(120')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석쇠망체(110)는, 철사나 구리 등의 금속 와이어로 된 석쇠살(111)(111')를 다수개 엮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사각 형상의 망체로 구성되며, 그 둘레에는 테두리(112)로 마감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삽탈관(120)(120')은, 상기 석쇠망체(110)의 양단에 형성된 것으로, 양측이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중앙이 관통된 관통공(121)을 갖는 관통관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삽탈관(120)(120')은, 도 3의도시와 같이 원형관(120a)(120a')으로 구성하거나, 도 4의 도시와 같이 각관(120b)(120b')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지부(200)는, 가열된 구이부(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봉을 절곡하여 손잡이(210)와, 수평연장대(220)(220')와, 삽탈봉(230)(230')을 이루게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손잡이(210)는, 봉을 중앙으로부터 절곡하여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수평연장대(220)(220')는, 상기 손잡이(210)로부터 양측으로 벌어지게 직각 절곡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구이부(100)의 삽탈관(120)(120')의 간격만큼 연장 형성된 것이다.
또한, 삽탈봉(230)(230')은, 상기 각각의 수평연장대(220)(220')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양측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구이부(100)의 양측 삽탈관(120)(120')에 삽입되어 구이부(100)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파지부(200)는, 손잡이(210)와, 수평연장대(220)(220')와, 삽탈봉(230)(230')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
Figure 112011011686424-pat00001
"형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수평연장대(220)(220')의 단부로부터 하향 수직 연장되는 수직연장대(240)(240')를 형성하되, 그 수직연장대(240)(240')의 하단부에 삽탈봉(230)(230')을 각각 수평상으로 양측 평행하게 연장 형성함으로, 측면상 손잡이(210)와 삽탈봉(230)(230')이 "
Figure 112011011686424-pat00002
"형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는, 석쇠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먼저, 본 발명 석쇠(1)를 이용하여 고기 등 구이물을 구울시에는 통상의 석쇠 사용방법과 같이 숯불이나 가스불 등의 화기(10)에 석쇠(1)의 구이부(100)를 올려놓고 충분한 예열 시간을 가지므로 구이물이 눌러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예열된 구이부(100)의 석쇠망체(110) 상부에는 고기나 떡 등의 구이물을 얹어 놓으면 되는 것으로, 구이물의 구이기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통상의 구이 방법과 같이 구이물을 굽게 되면 구이부(100)의 석쇠망체(110)에는 구이물의 잔재물 등이 타거나 눌러붙는 것인바, 이때, 새로운 구이물을 올려놓게 되면 잔재물로 인해 구이물이 타는 등 구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때에는 석쇠(1)의 구이부(100)를 교체하여야 하는 것인바, 사용자는 파지부(200)의 손잡이를 파지하고, 양단에 형성된 삽탈봉(230)(230')을 이용하여 구이부(100)의 삽탈관(120)(120')의 관통공(121)으로 꽂아 삽입하면 되는 것으로, 석쇠(1)의 구이부(100)와 파지부(20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구이부(100)를 화기(10)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이부(100)와 파지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열된 구이부(100)를 화기(10)로부터 안전하게 걷어내면 되는 것이며, 또 다른 구이부(100)를 화기에 설치시에도 파지부(200)를 이용한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구이부(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파지부(200)는, "
Figure 112011011686424-pat00003
" 형이나, "
Figure 112011011686424-pat00004
"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인바, 구이부(100)가 구이 테이블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화기에서는 "
Figure 112011011686424-pat00005
" 형의 파지부(200)의 사용이 적합하며, 구이부(100)가 구이테이블의 상부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화기에서는 "
Figure 112011011686424-pat00006
"형으로 절곡된 파지부(200)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는, 사용자가 안정장비를 착용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간편하게 화기로부터 구이부의 탈거 및 재 설치가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자로 하여금 화기로부터 구이부의 취급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100 : 구이부 110 : 석쇠망체
111,111' : 석쇠살 112 : 테두리
120,120' : 삽탈관 200 : 파지부
210 : 손잡이 220,220' : 수평연장대
230,230' : 삽탈봉 240,240' : 수직연장대

Claims (5)

  1. 다수의 금속 와이어로 된 석쇠살(111)(111')을 엮어 형성하고 그 둘레는 테두리(112)로 마감된 석쇠망체(110)를 형성하고, 그 석쇠망체(110)의 양단은 중앙 관통 형성된 관통공(121)을 갖는 삽탈관(120)(120')이 양측 평행하게 형성된 구이부(100)와;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210)와, 상기 손잡이(210)로부터 양측으로 벌어지게 절곡 형성된 수평연장대(220)(220')와, 그 수평연장대(220)(220')로부터 양측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구이부(100)의 삽탈관(120)(120')에 각각 삽입되는 삽탈봉(230)(230')이 형성된 절곡봉 형상의 파지부(2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2. 제 1항에 있어서,
    삽탈관(120)(120')은, 원형관(120a)(120a')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3. 제 1항에 있어서,
    삽탈관(120)(120')은, 각관(120b)(120b')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4. 제 1항에 있어서,
    파지부(200)는, 손잡이(210)와, 수평연장대(220)(220')와, 삽탈봉(230)(230')이 동일 평면상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5. 제 1항에 있어서,
    파지부(200)는, 수평연장대(220)(220')의 단부로부터 하향 수직 연장되는 수직연장대(240)(240')를 형성하되, 그 수직연장대(240)(240')의 하단부에 삽탈봉(230)(230')을 각각 수평상으로 양측 평행하게 연장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KR1020110014407A 2011-02-18 2011-02-18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KR10121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07A KR101216950B1 (ko) 2011-02-18 2011-02-18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07A KR101216950B1 (ko) 2011-02-18 2011-02-18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030A KR20120095030A (ko) 2012-08-28
KR101216950B1 true KR101216950B1 (ko) 2013-01-04

Family

ID=4688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07A KR101216950B1 (ko) 2011-02-18 2011-02-18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237B1 (ko) * 2012-12-17 2014-11-2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그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431Y1 (ko) * 1999-09-30 2000-04-15 석무호 숯불 운반용기
KR200374013Y1 (ko) * 2004-10-28 2005-01-28 탁용원 구이기의 화력조절장치
KR20050107976A (ko) * 2004-05-11 2005-11-16 이정열 고기구이용 불판
KR200431704Y1 (ko) * 2006-08-09 2006-11-24 이종길 구이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431Y1 (ko) * 1999-09-30 2000-04-15 석무호 숯불 운반용기
KR20050107976A (ko) * 2004-05-11 2005-11-16 이정열 고기구이용 불판
KR200374013Y1 (ko) * 2004-10-28 2005-01-28 탁용원 구이기의 화력조절장치
KR200431704Y1 (ko) * 2006-08-09 2006-11-24 이종길 구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030A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352B2 (en) Barbecue grill
US7717029B2 (en) Grill assembly
KR101216950B1 (ko) 손잡이 착탈 구조를 갖는 구이용 석쇠
CN203328538U (zh) 带可拆卸档位系统烤叉的烧烤炉
KR101334913B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US20080047440A1 (en) Shish kabob unit
KR101479097B1 (ko)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KR20130022579A (ko) 구이용 불판
KR20100059121A (ko) 숯불구이용 석쇠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WO2018111126A1 (en) Wire-stick with a ring for easy removal of grilled meat and vegetables kebabs
US7118146B2 (en) Skewer
KR200471373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479206Y1 (ko) 무연 숯불 구이장치
CN202858884U (zh) 一种多士炉
KR200433972Y1 (ko) 꼬치봉이 구비된 야외용 바비큐 구이기
KR101322117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0463758Y1 (ko) 불판
KR200386648Y1 (ko) 산적 및 고기 구이 장치
CN204722127U (zh) 用于煤气灶的烤玉米器
KR20110050085A (ko) 숯불구이기용 석쇠
CN210055718U (zh) 一种方便清洁的高温烧烤炉
KR20180047475A (ko) 로스터용 볼록 석쇠
CN207855578U (zh) 一种无烟烧烤炉
CN203953395U (zh) 一种烧烤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