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859B1 -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859B1
KR101216859B1 KR1020100108638A KR20100108638A KR101216859B1 KR 101216859 B1 KR101216859 B1 KR 101216859B1 KR 1020100108638 A KR1020100108638 A KR 1020100108638A KR 20100108638 A KR20100108638 A KR 20100108638A KR 101216859 B1 KR101216859 B1 KR 101216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cement mortar
artificial rock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015A (ko
Inventor
김경석
Original Assignee
김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석 filed Critical 김경석
Priority to KR102010010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8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제작하려는 실제적 자연암벽체의 원안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원안을 바탕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벽면에 주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S200)와, 상기 원안을 바탕으로 상기 주프레임에 조립될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S300)와, 제작된 다수의 인공암벽조각을 주프레임에 결합시켜 인공암벽체를 제작하는 단계;(S400)와, 상기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페인팅하여 완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S300)에서는 시멘트모르타르에 색상안료를 배합하여 영구적인 색감이 표현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페인팅하여 완성하는 단계(S500)에서는 투명프라이머 100중량부에 수성안료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가 더 혼합되어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ROCKWALL INCLUDING AN ARTIFICIAL COLOR SENSE}
본 발명은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몰드을 이용하여 자연암벽체의 질감을 그대로 표현하고, 더불어 실리콘몰드에 FRP몰드를 병행중첩시켜 실리콘몰드에 시멘트모르타르를 타설할 때 실리콘몰드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시멘트모르타르에 색상안료를 배합시켜 인공암벽체에 자연암벽체의 색감이 영구적으로 표현되게 한 구조의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인공 조형물은 놀이동산, 테마파크, 영화 세트장, 공원 및 박물관 등에 설치되어 사람들에게 시각적으로 실제를 보는듯한 느낌을 제공해야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공 조형물은 자연이나 과거의 환경 분위기를 접하기 어려운 현대인에게 바위, 인공폭포의 암벽, 성벽, 건물 및 나무 등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자연환경이나 과거의 생활환경과 흡사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인공 조형물이 실제와 유사한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인공 조형물의 표면을 페인팅 처리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현재에 사용되는 페인팅 방법은 단순히 도료를 인공 조형물의 표면에 칠하거나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기술에서는 인공 조형물의 오래된 느낌을 사실적으로 연출하는데 있어서 전문자료나 기술을 보유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인공 조형물의 낡은 느낌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외국의 기술자들을 영입하여 사실적인 효과나 연출 이미지를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인조벽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종래의 인조벽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35966호의 "인공 암반구조"(이하, 편의상 "종래 인조벽"이라칭함)가 알려져 있다.
이에 종래 인조벽은, 인공 암반 구조에 있어서, 외관을 이루는 전면부로서 암반의 입체적인 색감을 구비하도록 표면 처리되어 외측면 상에 페인트층이 도포되어 있는 구성이다.
하지만 종래의 인조벽 페인트층은 수분과 접촉하면 불과 수개월도 못가서 도장이 벗겨져 인공암벽의 색감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조벽은 내부에 프레임이 내장되기 때문에 두께가 매우 두꺼워서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조벽은 사람이 직접 손으로 질감을 표현하여 사실적인 암벽의 형태를 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시멘트모르타르에 색상안료를 배합시켜 인공암벽체에 자연암벽체의 색감이 영구적으로 표현되게 구성되는 한편, 인공암벽조각을 고정하기 위해 인공암벽조각에 매립되는 연결프레임을 금속메쉬와 와이어를 통해 결합시켜 주프레임에 조립시 연결프레임이 인공암벽조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실리콘몰드를 이용하여 자연암벽체의 질감을 그대로 표현하고, 더불어 실리콘몰드에 FRP몰드를 병행중첩시켜 실리콘몰드에 시멘트모르타르를 타설할 때 실리콘몰드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발명에 따른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은 콘크리트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작하려는 실제적 자연암벽체의 원안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원안을 바탕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벽면에 주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S200)와, 상기 원안을 바탕으로 상기 주프레임에 조립될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S300)와, 제작된 다수의 인공암벽조각을 주프레임에 결합시켜 인공암벽체를 제작하는 단계;(S400)와, 상기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페인팅하여 완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S300)에서는 시멘트모르타르에 색상안료를 배합하여 영구적인 색감이 표현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페인팅하여 완성하는 단계(S500)에서는 투명프라이머 100중량부에 수성안료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가 더 혼합되어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S300단계는 실제적 자연암벽체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리콘몰드를 제작하는 단계;(S310)와, 상기 실리콘몰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실리콘몰드의 외면에 FRP를 도포하여 FRP몰드를 제작하는 단계;(S320)와, 상기 FPR몰드의 내면에 실리콘몰드를 중첩시키고, 암벽체의 질감이 표현된 실리콘몰드의 내면에 색상안료가 배합된 제 1시멘트모르타르를 5cm 내지 7cm 두께 범위로 타설하고, 상기 제 1시멘트모르타르에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금속메쉬 및 주프레임에 연결될 연결프레임을 매립시켜 1차 건조하는 단계;(S330)와, 상기 제 1시멘트모르타르의 표면에 색상안료가 배합되지 않은 제 2시멘트모르타르를 5cm 내지 7cm 두께 범위로 타설하여 2차 건조시키는 단계;(S340)와, FRP몰드 및 실리콘몰드를 탈거하여 인공암벽조각을 완성하는 단계;(S35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제 1시멘트모르타르는 시멘트모르타르 100중량부와, 물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와, 수성안료 12중량부 내지 15중량부와, 유리섬유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제 1시멘트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 1시멘트모르타르에 매립되는 부분에 와이어를 권취하되, 상기 와이어는 상기 금속메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에 따르면, 시멘트모르타르에 색상안료를 배합시켜 인공암벽에 자연 암벽체의 색감이 영구적으로 표현되게 구성되어 보는 사람들에 하여금 심미감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실리콘몰드을 이용하여 자연암벽체의 질감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인공암벽조각을 고정하기 위해 인공암벽조각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을 금속메쉬와 와이어를 통해 결합시켜 연결프레임이 인공암벽조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도 1의 S500단계로 시공되는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의 설치도,
도 3은 도 1의 S300단계의 세부 순서도,
도 4는 도 3의 S300단계로 제작된 인공암벽조각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S500단계로 시공되는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의 설치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리콘몰드을 이용하여 자연암벽체의 질감을 그대로 표현하고, 더불어 실리콘몰드에 FRP몰드를 병행중첩시켜 실리콘몰드에 시멘트모르타르를 타설할 때 실리콘몰드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시멘트모르타르에 색상안료를 배합시켜 인공암벽체에 자연암벽체의 색감이 영구적으로 표현되게 한 구조의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의 제조 과정은 크게 5개의 단계로 제작되는데, 이는 실제적 자연암벽체의 원안을 준비하는 단계(S100)와, 콘크리트 벽면에 주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S200)와, 상기 주프레임에 조립될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S300)와, 인공암벽조각을 주프레임에 조립하여 인공암벽체를 제작하는 단계(S400)와, 상기 인공암벽체에 페인팅하여 완성하는 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작하려는 실제적 자연암벽체의 선택하여 원안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제작하려는 인공암벽체와 높이를 감안하여 이에 해당하는 실제적 자연암벽체를 선택하여 원안을 준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연암벽체를 다수 개로 구획하여 인공암벽체조각를 세팅하는 과정이 포함된다.(S100)
그리고 인공암벽체를 설치하고 하는 콘크리트 벽면에 자연암벽체의 굴곡과 높이를 감안하여 주프레임을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후술되는 인공암벽체조각의 전체 두께를 감안하여 주프레임을 설치하는게 바람직하다.(S200)
이 후 상기 원안을 바탕으로 상기 주프레임에 조립될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수의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한다. 여기서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에서는 시멘트모르타르에 색상안료를 배합하여 영구적인 색감이 표현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작된 인공암벽조각에는 강성증대를 위해 금속메쉬망이 구비되며 더불어 상기 주프레임에 인공암벽조각을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프레임이 더 구비된다.(S300)
그리고 도 2와 같이, 인공색감이 포함된 인공암벽조각(21)의 연결프레임(214)을 통해 주프레임(1)에 결합시켜 인공암벽체(2)를 제작한다.(S400)
마지막으로 상기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투명프라이머를 페인팅하여 인공암벽체를 완성한다. 여기서 투명프라이머는 2회 내지 4회 범위로 도포되며, 인공암벽체의 입체감를 표현하여 사실적인 자연암벽체로 제작될 수 있도록 색상안료가 더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색상안료는 배합이 잘되도록 수성안료로 구성되며 투명프라이머 100중량부에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가 혼합되어 구성된다.
이는 수성안료가 5중량부 이하이면 투명프라이머의 도포를 4회 이상 해야 인공암벽체의 입체감이 표현되기 때문이고, 10중량부 이상이면 사실적인 자연암벽체로 채색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S500)
이하에서는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를 첨부되어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S300단계의 세부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S300단계로 제작된 인공암벽조각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300단계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작된다.
먼저 실제적 자연암벽체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구획된 자연암벽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다수의 실리콘몰드(3)를 제작한다. 이러한 상기 각 실리콘몰드(3)는 상온에서 경화되는 액상 실리콘(Room Temperature Vulcanizing)으로 구성된다.(S310)
그리고 상기 실리콘몰드(3) 만으로는 시멘트모르타르를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각 실리콘몰드(3)의 외면에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를 도포하여 FRP몰드(4)를 제작한다.(S320)
이 후 상기 FPR몰드()의 내면에 실리콘몰드(3)를 중첩시키고, 자연암벽체의 질감이 표현된 실리콘몰드(3)의 내면에 색상안료가 배합된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를 5cm 내지 7cm 두께 범위로 타설한다.
여기서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는 시멘트모르타르 100중량부와, 물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와, 수성안료 12중량부 내지 15중량부와, 유리섬유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실리콘몰드(3)를 탈거할시 노출되는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에 인공색감이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더불어 유리섬유 역시 포함시켜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의 결합력 및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에는 투입되는 물을 조절하기 위한 감수재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성안료 이외에 천연색소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에 투입되는 수성안료가 12중량부 이하일 경우에는 자연암벽체의 색깔이 잘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수성안료가 15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자연암벽체와 같은 색감이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S320)
그리고 도 4와 같이, 실리콘몰드(3)에 타설된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금속메쉬(213)를 실리콘몰드(3) 전체에 설치하고, 주프레임(1)에 연결될 연결프레임(214) "ㄷ" 형태로 절곡시켜 금속메쉬(213)의 상부에 안착한다. 이 때 상기 금속메쉬(213) 및 연결프레임(214)은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에 매립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연결프레임(214)의 절곡된 양측은 주프레임(1)과 연결시키기 위해 제 1시멘트모르타르에 노출되게 하여 1차 건조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214)은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에 매립되는 부분에 와이어(215)를 권취하되, 상기 와이어(215)는 상기 금속메쉬(213)와 부분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와이어(215)를 통해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와 연결프레임(214)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더불어 금속메쉬(213)와 연결프레임(214)을 일체화하여 연결프레임(214)이 제 1,2시멘트모르타르(211,2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215) 및 금속메쉬(213)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섬유 또는 비철금속을 소재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30)
이 후 상기 제 1시멘트모르타르(211)의 표면에 색상안료가 배합되지 않은 제 2시멘트모르타르(212)를 5cm 내지 7cm 두께 범위로 타설하여 2차 건조시킨다. 여기서 제 2시멘트모르타르(212)는 내측 벽면을 이루기 때문에 별로의 색상안료를 포함되지 않는 구조이다.(S340)
마지막으로 FRP몰드(4) 및 실리콘몰드(3)를 탈거하여 인공암벽조각(21)을 완성한다.(S35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시멘트모르타르 및 제 2시멘트모르타르는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이 혼합된 모르타르로서 통상의 시멘트 모르타르와 동일 유사한 것으로 강도를 높이기 위해 통상의 건축용 모르타르보다 시멘트를 많이 혼합하였다, 또한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감수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통상적인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시멘트 : 모래의 비율은 용적비 1 : 1~5정도에 사용 용도에 따라 물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 중 시멘트의 비율을 높이고, 물의 양을 줄여 모르타르 중의 물의 함량을 낮게 함으로서 소성후 인공암벽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 주프레임
2: 인공암벽체 21: 인공암벽조각 211: 제 1시멘트모르타르
212: 제 2시멘트모르타르 213: 금속메쉬
214: 연결프레임 215: 와이어
3: 실리콘몰드
4: ERP몰드

Claims (5)

  1. 콘크리트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작하려는 실제적 자연암벽체의 원안을 준비하는 단계;(S100)
    상기 원안을 바탕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벽면에 주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S200)
    상기 원안을 바탕으로 상기 주프레임에 조립되는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S300)
    제작된 다수의 인공암벽조각을 주프레임에 결합시켜 인공암벽체를 제작하는 단계;(S400)
    상기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페인팅하여 완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S300)에서는 시멘트모르타르에 색상안료를 배합하여 영구적인 색감이 표현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페인팅하여 완성하는 단계(S500)에서는 투명프라이머 100중량부에 수성안료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가 더 혼합되어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300단계는
    실제적 자연암벽체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실리콘을 도포하여 실리콘몰드를 제작하는 단계;(S310)
    상기 실리콘몰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실리콘몰드의 외면에 FRP를 도포하여 FRP몰드를 제작하는 단계;(S320)
    상기 FPR몰드의 내면에 실리콘몰드를 중첩시키고, 암벽체의 질감이 표현된 실리콘몰드의 내면에 색상안료가 배합된 제 1시멘트모르타르를 5cm 내지 7cm 두께 범위로 타설하고, 상기 제 1시멘트모르타르에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금속메쉬 및 주프레임에 연결될 연결프레임을 매립시켜 1차 건조하는 단계;(S330)
    상기 제 1시멘트모르타르의 표면에 색상안료가 배합되지 않은 제 2시멘트모르타르를 5cm 내지 7cm 두께 범위로 타설하여 2차 건조시키는 단계;(S340)
    FRP몰드 및 실리콘몰드를 탈거하여 인공암벽조각을 완성하는 단계;(S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시멘트모르타르는 시멘트모르타르 100중량부에 물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와, 수성안료 12중량부 내지 15중량부와, 유리섬유 5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제 1시멘트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 1시멘트모르타르에 매립되는 부분에 와이어를 권취하되, 상기 와이어는 상기 금속메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00108638A 2010-11-03 2010-11-03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KR10121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638A KR101216859B1 (ko) 2010-11-03 2010-11-03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638A KR101216859B1 (ko) 2010-11-03 2010-11-03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015A KR20120047015A (ko) 2012-05-11
KR101216859B1 true KR101216859B1 (ko) 2012-12-28

Family

ID=4626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638A KR101216859B1 (ko) 2010-11-03 2010-11-03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305B1 (ko) * 2012-10-17 2013-07-26 김우진 인공암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8647B1 (ko) 2021-09-07 2022-05-16 주식회사 아란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015A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4661A (zh) 用水泥建造仿真、仿古建筑的方法
KR20090047261A (ko) 인공조형물 제작방법
KR101216859B1 (ko)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CN106630854A (zh) 仿石材混凝土装饰板及其制备方法
US20020100241A1 (en) Sheet of articulated masonry-like uni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732252B1 (ko) 축소 모형-표면 분할을 이용한 테마 건축 물용 유연성거푸집의 제조방법
CN105735599A (zh) 一种具有双面马赛克图案装饰效果的格栅墙及其制作方法
US20100133725A1 (en) Mold With Reinforced Hinge
CN103482903A (zh) 仿花岗岩贴片石的制备方法
CN203452224U (zh) 一种建筑墙体
KR101707621B1 (ko) 완성도가 높고 비용이 절감되는 콘크리트 조형물의 제조방법
CN207314637U (zh) 一种拼装仿木结构及造型体
KR100502726B1 (ko) 에폭시수지 모르타르 블록 및 제조 방법
US20080010741A1 (en) Procedure for Molding of an Artificial Rock or Wood
RU122150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е декоративные и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е изделия
CN206337766U (zh) 建筑外墙装饰挂板
KR100519616B1 (ko) 양각문양이 형성된 콘크리트 칼라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Onderdonk The Ferro-concrete Style: Reinforced Concrete in Modern Architecture, with Four Hundred Illustrations of European and American Ferro-concrete Design
KR200305937Y1 (ko) 양각문양이 형성된 콘크리트 칼라 구조물
CN208072834U (zh) 一种外墙仿石材装饰板
KR20090103433A (ko) 나무결 입체 질감을 갖는 건축용 마감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6351364B (zh) 一种层叠效果混凝土景墙结构及其施工工艺
JP6748585B2 (ja) 自然石風な造形体の製造方法
KR200443528Y1 (ko) 그림이 연출되는 블록
JP2012232524A (ja) 化粧コンクリートにおける着色モルタル化粧層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