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647B1 -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647B1
KR102398647B1 KR1020210119240A KR20210119240A KR102398647B1 KR 102398647 B1 KR102398647 B1 KR 102398647B1 KR 1020210119240 A KR1020210119240 A KR 1020210119240A KR 20210119240 A KR20210119240 A KR 20210119240A KR 102398647 B1 KR102398647 B1 KR 10239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moss
weight
parts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용
임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란
Priority to KR102021011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0M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5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from mixtures containing fibres, e.g. asbestos cement
    • B28B1/52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from mixtures containing fibres, e.g. asbestos cement for produc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386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공암 표면에 이끼 식생이 가능하여 천연 바위와 같은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끼를 통한 습도 유지 및 공기정화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인공암 몰드의 성형면에 이끼를 배치하는 단계와; b) SiO2 분말, TiO2 분말, Al2O3 분말, Fe2O3 분말, FeO 분말, MnO 분말, MgO 분말, CaO 분말 및 P2O5 분말가 첨가된 모르타르를 상기 이끼가 배치된 인공암 몰드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이끼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끼 표면층 상에 보강메쉬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d) 상기 보강메쉬 상에 일반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일반 모르타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Artificial rock capable of moss veget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공암 표면에 이끼 식생이 가능하여 천연 바위와 같은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끼를 통한 습도 유지 및 공기정화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친환경적인 자연 생태의 복원과 자연경관 형성 및 조성공사가 증가하고 있다. 더하여 도시 이미지 형성이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주요한 수단으로 인지되기 시작하면서 지역의 랜드마크와 경관거점 조성에도 관심이 높은 추세이다.
훼손된 자연 경관을 복원하고 새로운 경관을 조성하는데 있어 자연석의 고갈로 자연석에 가까운 질감을 지닌 인공암의 사용은 오래전부터 지속되어져 왔다.
한편, 인공암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0001 내지 0003 등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2개 이상의 몰드 프레임이 결합되어 상하면이 개방된 형틀을 이루는 몰드가 2층 이상 적층되고, 적층된 몰드의 각 결합면 사이에 메시가 끼워져 고정되며, 적층된 몰드 하단부에는 암석 표면 패턴형상이 새겨진 패턴몰드가 고정되어 몰드 모듈을 구성하되, 몰드 내부에 모르타르을 충진한 후 몰드 및 패턴몰드를 분리하여 제조되는 해안, 공원 또는 인공폭포 등 인공경관 조성을 위해 자연 바위의 형상 및 질감을 표현한 인공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인공암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02는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물유리계 폼비트 5 내지 30중량부; 골재 10 내지 1,000중량부; 경량재 1 내지 1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5 내지 30중량부; 고분자 수지 10 내지 50중량부; 섬유 10 내지 80중량부; 실란화합물 0.1 내지 10중량부; 소포제 1 내지 8중량부; 충진제 3 내지 4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및 고성능 감수제 0.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시시설용 인공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도증진 및 경화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고도의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내균열성, 동결융해안정성 및 공극 충진성 등도 뛰어나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산/알카리에 의한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3은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제작하려는 실제적 자연암벽체의 원안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원안을 바탕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벽면에 주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원안을 바탕으로 상기 주프레임에 조립될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와, 제작된 다수의 인공암벽조각을 주프레임에 결합시켜 인공암벽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인공암벽체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페인팅하여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공암벽조각을 제작하는 단계에서는 시멘트모르타르에 색상안료를 배합하여 영구적인 색감이 표현되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01 내지 0003의 인공암은 강도가 우수하거나, 영구적인 색감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이끼가 식생하기에 부적절하여 더욱 자연스러운 연출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KR10-1997490B1 (2019.07.02) KR10-1791412B1 (2017.10.24) KR10-2012-0047015A (2012.05.11)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공암 표면에 이끼 식생이 가능하여 천연 바위와 같은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끼를 통한 습도 유지 및 공기정화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인공암 몰드의 성형면에 이끼를 배치하는 단계와;
b) SiO2 분말, TiO2 분말, Al2O3 분말, Fe2O3 분말, FeO 분말, MnO 분말, MgO 분말, CaO 분말 및 P2O5 분말가 첨가된 모르타르를 상기 이끼가 배치된 인공암 몰드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이끼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끼 표면층 상에 보강메쉬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d) 상기 보강메쉬 상에 일반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일반 모르타르층을 형성하고,
상기 b)단계의 이끼 표면층은 모르타르 1000중량부에 SiO2 분말 15 내지 20중량부, TiO2 분말 5~15중량부, Al2O3 분말 5 내지 10중량부, Fe2O3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FeO 분말 30 내지 40중량부, MnO 분말 1 내지 5중량부, MgO 분말 5 내지 10중량부, CaO 분말 5 내지 10중량부, P2O5 분말 15 내지 20중량부 및 산화아연 30~40중량부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b)단계의 모르타르의 슬럼프값은 30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b)단계의 이끼 표면층에는 닥섬유,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 탄소섬유, 카본블랙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첨가되는 것이 좋다.
삭제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암의 표면층에 이끼의 식생이 가능하여 천연 바위와 같은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끼를 통한 습도 유지 및 공기정화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공암의 이끼가 식생된 표면층과 일반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내부층 사이에 보강메쉬가 배치되어 있어 이끼가 식생된 표면층이 내부층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공암몰드의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의 바닥면에 이끼를 배치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 상에 배치된 이끼 상에 이끼 표면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이끼 표면층 상에 보강메쉬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보강메쉬 상에 내부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인공암몰드로부터 탈형된 인공암의 종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제조방법은 크게, 인공암몰드 준비단계, 이끼 배치단계, 이끼 표면층 형성단계, 보강메쉬 안착단계 및 내부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인공암몰드의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인공암몰드 준비단계는 도 1과 같은 상부가 개방된 캐비티부(110)가 형성된 인공암몰드(1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인공암몰드(10)의 재질은 상기 인공암몰드(10)에 의해 인공암 제조 후 인공암을 쉽게 탈형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2는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의 바닥면에 이끼를 배치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이끼 배치단계는 도 2와 같이 상기 인공암몰드(10)의 캐비티부(110)의 바닥면에 이끼(20)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배치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이끼(20)의 종류는 깃털이끼, 스칸디아모스 이끼 등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낮은 습도 등 극한 환경에서도 생명력을 유지하는 스칸디아모스 등의 이끼(2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 상에 배치된 이끼 상에 이끼 표면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이끼 표면층 형성단계는 도 3과 같이 상기 인공암몰드(10)의 캐비티부(110)에 배치된 이끼(20) 상에 SiO2 분말, TiO2 분말, Al2O3 분말, Fe2O3 분말, FeO 분말, MnO 분말, MgO 분말, CaO 분말 및 P2O5 분말가 첨가된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이끼 표면층(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끼 표면층(30)은 SiO2 분말, TiO2 분말, Al2O3 분말, Fe2O3 분말, FeO 분말, MnO 분말, MgO 분말, CaO 분말 및 P2O5 분말이 첨가된 모르타르로 이루어짐에 따라, 흡습성이 우수하여 이끼(20)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수 있다.
특히, 상기 이끼 표면층(30)의 압축강도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고, 높은 흡수율을 얻기 위해, 상기 이끼 표면층(30)은 모르타르 1000중량부에 SiO2 분말 15 내지 20중량부, TiO2 분말 5~15중량부, Al2O3 분말 5 내지 10중량부, Fe2O3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FeO 분말 30 내지 40중량부, MnO 분말 1 내지 5중량부, MgO 분말 5 내지 10중량부, CaO 분말 5 내지 10중량부 및 P2O5 분말 15 내지 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이끼 표면층(30)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모르타르 1000중량부에 산화아연 분말 30 내지 40중량부를 더 첨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이끼 표면층(30)을 구성하는 상기 모르타르는 슬럼프값이 30 내지 50mm인 것이 좋다. 상기 모르타르의 슬럼프값이 30mm 미만일 경우 점도가 낮아져 상기 인공암몰드(10)의 캐비티부(110)의 성형면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나, 재료분리가 발생하기 쉽고 압축강도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50mm 초과일 경우 압축강도 등의 물성이 좋아지나 상기 인공암몰드(10)의 캐비티부(110)에 입체적으로 형성된 성형면에 일정한 두께로 작업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이끼 표면층(30)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모르타르에 닥섬유,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 탄소섬유, 카본블랙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배합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모르타르 1000중량부에 닥섬유,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 탄소섬유, 카본블랙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10 내지 100중량부가 배합되는 것이 좋다.
도 4는 이끼 표면층 상에 보강메쉬가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메쉬 안착단계는 도 4와 같이 상기 이끼 표면층(30) 상에 보강메쉬(40)를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보강메쉬(40)는 상기 이끼 표면층(30)과, 후술하는 상기 내부층 형성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층(5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시간경과에 따라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도금 메탈메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5는 보강메쉬 상에 내부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인공암몰드로부터 탈형된 인공암의 종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층 형성단계는 도 5와 같이 상기 인공암몰드(10)의 캐비티부(110)의 바닥면에 이끼(20), 이끼 표면층(30)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보강메쉬(40) 상에 일반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내부층(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내부층(50)은 기존의 인공암의 제조시 사용하는 일반 모르타르로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다.
이때, 상기 내부층(50)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압축강도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모르타르의 슬럼프값은 30 내지 50mm인 것이 좋다.
상기 일반 모르타르에는 상기 내부층(50)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일반 모르타르에 닥섬유,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 탄소섬유, 카본블랙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배합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내부층 형성단계에서는 가장자리부분과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너트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일반 모르타르를 이용해 내부층(50)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내부층(50)의 가장자리부분 및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너트가 배치되어, 하나 이상의 너트에 앵커볼트를 결합할 수 있고, 이에 급경사지, 사면 안정 등을 위한 구조물, 인공폭포, 인공조형물 등의 구조물을 시공시 인접한 인공암 들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제조방법은 흡습성이 높은 이끼 표면층(30)에 이끼(20)가 극한 환경에서도 식생이 가능하여 천연 바위와 같은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고, 이끼(20)를 통한 습도유지 및 공기정화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끼 표면층(30)과 상기 내부층(50) 사이에 상기 보강메쉬(40)가 배치되어 있어, 상기 이끼 표면층(30)이 내부층(50)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리콘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의 바닥에 깃털이끼를 배치시켰다.
그리고, 초속경 모르타르 1000 중량부에 SiO2 분말 16 중량부, TiO2 분말 10 중량부, Al2O3 분말 8 중량부, Fe2O3 분말 15 중량부, FeO 분말 35 중량부, MnO 분말 3 중량부, MgO 분말 8 중량부, CaO 분말 8 중량부 및 P2O5 분말 18 중량부를 첨가한 후 배합하여 대략 20mm의 두께로 깃털이끼가 배치된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에 도포하여 이끼 표면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초속경 모르타르의 슬럼프값은 40mm였다.
다음으로, 이끼 표면층이 형성된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에 아연도금 메탈메쉬를 안착시켰다.
그리고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에 배치된 아연도금 메탈메쉬 상에 슬럼프값이 40mm인 초속경 모르타르를 대략 30mm의 두께로 도포하여 내부층을 형성한 후 양생시켜, 실시예 1인 인공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달리 이끼 표면층을 형성하기 위한 초속경 모르타르 1000중량부에 산화아연 분말 40중량부를 더 첨가한 배합물을 이용해 이끼 표면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2인 인공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달리 이끼 표면층 및 내부층을 형성하기 위한 초속경 모르타르 1000중량부에 표면처리한 카본블랙 20중량부를 더 첨가한 배합물을 이용해 이끼 표면층 및 내부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3인 인공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달리 이끼 표면층 및 내부층을 형성하기 위한 초속경 모르타르 1000중량부에 섬유장이 6mm인 탄소섬유를 100중량부를 더 첨가한 배합물을 이용해 이끼 표면층 및 내부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4인 인공암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리콘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의 바닥에 깃털이끼를 배치시켰다.
그리고 슬럼프값이 40mm인 초속경 모르타르를 대략 50mm의 두께로 깃털이끼가 배치된 인공암몰드의 캐비티부에 도포한 후 양생시켜 비교예 1인 인공암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인공암 및 비교예 1의 인공암에 대해 흡습성, 압축강도 및 이끼의 생육상태에 대해 각각 실험하였다.
[흡습성 시험]
흡습성 시험은 실시예 1 내지 4의 인공암 및 비교예 1의 시편(50mm×50mm×50mm)에 대해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시편을 수조에 24시간 침지시킨 후 꺼내어 1분간 물기를 빼낸 후 표면을 닦은 상태에서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질량(A)을 측정하였다.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질량을 측정한 후 105±5℃의 건조로에 투입하여 24시간동안 건조시킨 후 실온가지 냉각한 상태에서 절대건조상태의 질량(B)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흡습성은
Figure 112022007706301-pat00001
의 식으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흡습성(%)

6.21

6.83

6.35

6.40

5.01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시편의 경우 흡습성이 5.01%로서 낮은 반면, 실시예 1 내지 4의 시편의 경우 흡습성이 6.21% 이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압축강도 시험]
위의 조건과 동일하게 하여 공시체를 제작 (직경Φ100mm, 높이 h 200mm) 하여서 28일 양생 후 KS F 2405 : 2010 의 시험방법으로 시험 결과는 아래의 표 2로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압축강도(MPa)

45

45

48

52

41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공시체의 경우 재령 28일의 압축강도가 42MPa 이상으로 비교예 1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고, 특히 실시예 4의 공시체의 경우 52MPa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시간경과에 따른 이끼의 생육 상태시험]
이끼가 물 밖으로 노출되도록 실시예 1 내지 4의 인공암 및 비교예 1의 인공암을 수조 내에 각각 배치시킨 상태에서 외부 그늘에 방치한 후 매일 정오에 이끼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이때 이끼 상태는 이끼의 색이 녹색 빛에서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갈색으로 50%이상 색변화
(일)

40일경과

45일 경과

50일 경과

60일경과

10일 경과
색변화 발생시 평균기온
(℃)

31.7

32.9

31.7

31.7

31.7
평균습도(%) 49 42 49 49 48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는 10일 경과 후 초록색의 깃털이끼가 갈색으로 50% 이상 변화하였고, 18일 째에는 완전히 갈색으로 변화하여 이끼가 손으로 만졌을 때 부서지면서 죽은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반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40일 경과하더라도 깃털이끼가 일부 갈색으로 색변화되었으나, 여전히 살아있는 등 장기간 생존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지속적인 수분 공급 이끼의 생육 상태시험]
이끼가 물 밖으로 노출되도록 실시예 1 내지 4의 인공암 및 비교예 1의 인공암을 수조 내에 각각 배치시킨 상태에서 외부 그늘에 방치한 후 매일 정오에 수분을 분무함과 동시에 이끼의 상태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로 나타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갈색으로 50%이상 색변화
(일)

지속생존

지속생존

지속생존

지속생존

10일 경과
색변화 발생시 평균기온
(℃)

-

-

-

-

30.6
평균습도(%) - - - - 52
표 4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10일 경과 후 깃털이끼가 50% 이상 갈색으로 색변화하였는 반면에,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갈색으로 색변화한 부분을 관찰할 수 없었다.
10: 인공암몰드,
110: 캐비티부,
20: 이끼,
30: 이끼 표면층,
40: 보강메쉬,
50: 내부층

Claims (7)

  1. a) 인공암 몰드의 성형면에 이끼를 배치하는 단계와;
    b) SiO2 분말, TiO2 분말, Al2O3 분말, Fe2O3 분말, FeO 분말, MnO 분말, MgO 분말, CaO 분말 및 P2O5 분말이 첨가된 모르타르를 상기 이끼가 배치된 인공암 몰드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이끼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이끼 표면층 상에 보강메쉬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d) 상기 보강메쉬 상에 일반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일반 모르타르층을 형성하고,
    상기 b)단계의 이끼 표면층은 모르타르 1000중량부에 SiO2 분말 15 내지 20중량부, TiO2 분말 5~15중량부, Al2O3 분말 5 내지 10중량부, Fe2O3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FeO 분말 30 내지 40중량부, MnO 분말 1 내지 5중량부, MgO 분말 5 내지 10중량부, CaO 분말 5 내지 10중량부, P2O5 분말 15 내지 20중량부 및 산화아연 30~40중량부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b)단계의 모르타르의 슬럼프값은 30 내지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이끼 표면층에는 닥섬유, 셀룰로오스 나노 파이버, 탄소섬유, 카본블랙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19240A 2021-09-07 2021-09-07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KR10239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40A KR102398647B1 (ko) 2021-09-07 2021-09-07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40A KR102398647B1 (ko) 2021-09-07 2021-09-07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647B1 true KR102398647B1 (ko) 2022-05-16

Family

ID=8180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40A KR102398647B1 (ko) 2021-09-07 2021-09-07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6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191A (ja) * 2004-06-18 2006-01-05 Nippon Steel Corp ブロック製造方法
KR20100100551A (ko) * 2009-03-27 2010-09-15 (주)에코허브 생태관용 인조구조물 제조
KR101116179B1 (ko) * 2011-04-22 2012-02-22 박정혁 인조석의 제조방법
KR20120047015A (ko) 2010-11-03 2012-05-11 김경석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KR101601967B1 (ko) * 2015-05-12 2016-03-21 (주)한필이엔지 옹벽블록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옹벽블록용 시멘트 모르타르
KR101791412B1 (ko) 2017-06-22 2017-10-31 (주)플러스스페이스 전시시설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전시시설용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1997490B1 (ko) 2019-02-12 2019-07-08 주식회사 한길 인공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인공암 구조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191A (ja) * 2004-06-18 2006-01-05 Nippon Steel Corp ブロック製造方法
KR20100100551A (ko) * 2009-03-27 2010-09-15 (주)에코허브 생태관용 인조구조물 제조
KR20120047015A (ko) 2010-11-03 2012-05-11 김경석 인공색감을 포함하는 인공암벽체 제조방법
KR101116179B1 (ko) * 2011-04-22 2012-02-22 박정혁 인조석의 제조방법
KR101601967B1 (ko) * 2015-05-12 2016-03-21 (주)한필이엔지 옹벽블록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옹벽블록용 시멘트 모르타르
KR101791412B1 (ko) 2017-06-22 2017-10-31 (주)플러스스페이스 전시시설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전시시설용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1997490B1 (ko) 2019-02-12 2019-07-08 주식회사 한길 인공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인공암 구조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92B1 (ko) 입체구멍 세라믹장식재의 제조방법 및 입체구멍 세라믹장식재
CN109483719B (zh) 一种透光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1018447B (zh) 一种高强度混凝土复合材料仿夯土挂板的制作方法
US7241410B2 (en) Process for making a product of artificial rock
CN106630819A (zh) 一种抗泛碱的海水珊瑚骨料混凝土砌块
CN106431150A (zh) 一种建筑垃圾作为骨料和工业固体废弃物作为掺合料制备气凝胶复合砂岩板的方法
CN105601204B (zh) 一种自洁净薄饰面防水材料及其外挂墙板和应用方法
CN203256955U (zh) 三维腔体纤维结构增强水泥机制板
CN110173122B (zh) 一种可表面密实增强的混凝土保温保湿复合养护方法
KR102398647B1 (ko) 이끼 식생이 가능한 인공암 및 그 제조방법
CN111605035A (zh) 一种陶粒复合型保温砌砖的生产工艺
KR20100112222A (ko) 표면에 식물류의 활착이 가능한 투수성 구조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CN107698223A (zh) 一种仿木板及其制作工艺
CN112431311A (zh) 一种建筑砌块及其生产工艺
KR101190243B1 (ko) 건축 조형물 제조용 건조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충전 몰탈 조성물과 충전 콘크리트 조성물, 그리고 건축 조형물 제조방법
CN106625992A (zh) 一种石膏模具预制复杂装饰混凝土工艺品预制方法
US11718563B2 (en) Polymer cement-granite composite tomb box and method for making same
AR062975A1 (es) Un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un panel estructural de construccion y panel obtenido
CN103774782A (zh) 一种夹心砌块
CN206917090U (zh) 一种基于纤维彩石混凝土板的干挂式罗马柱
EP0749404A1 (en) Mortar composition
CN112299756A (zh) 一种荷兰砖及其制备工艺
CN201908414U (zh) 一种新型人造砂岩石
CN113248189B (zh) 一种仿石材pc砖及其制造方法
CN107313553A (zh) 一种基于纤维彩石混凝土板的干挂式罗马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